KR200227846Y1 - 가족 납골묘 - Google Patents

가족 납골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846Y1
KR200227846Y1 KR2019980022728U KR19980022728U KR200227846Y1 KR 200227846 Y1 KR200227846 Y1 KR 200227846Y1 KR 2019980022728 U KR2019980022728 U KR 2019980022728U KR 19980022728 U KR19980022728 U KR 19980022728U KR 200227846 Y1 KR200227846 Y1 KR 200227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support plate
storage room
tube
fami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445U (ko
Inventor
희 순 최
Original Assignee
황승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승하 filed Critical 황승하
Priority to KR2019980022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846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4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4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846Y1/ko

Links

Landscapes

  • Bag Frame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망자의 유골등을 보관하기 위한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써, 여러곳에 흩어져 있는 조상들의 묘를 한 곳으로 모아서 이장하기에 용이하고, 또 화장을 한 후 유골을 담은 납골의 보관 및 고인의 유해를 함께 모실수 있도록 한 가족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중앙에는 유체를 그대로 관에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외측을따라, 다수의 납골함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밀폐된 납골 보관실을 구성하여, 매장에 의한 봉분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수대에 걸친 선조들의 유체를 상기 봉분내에 화장하여 납골당형식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족 납골묘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묘를 수대에 걸쳐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국민정서상 거부감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한정된 국토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족 납골묘
본 고안은 망자의 유골등을 보관하기 위한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써, 여러곳에 흩어져 있는 조상들의 묘를 한 곳으로 모아서 이장하기에 용이하고, 화장을 한 후 유골을 담은 납골의 보관 및 고인의 유해1구(합장시에는 2구까지)를 함께 모실수 있도록 한 가족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관습상 화장을 기피하고 유체를 그대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장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한사람당 하나의 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국민 정서의 성향때문에 현재 우리나라는 하루에도 여의도면적에 해당하는 국토가 묘지로 변해가는 실정이므로, 지금과 같은 추세가 계속 이어진다면, 멀지 않은 장래에 전국토가 묘지화 될 것임이 분명한 현실인 것이다.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화장을 장려하고 있으나, 문화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종래의 방법에 의해 고안된 다양한 형태의 납골당에 의한 묘지 조성방법이 있으나, 이를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국민 정서상 거부감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그리하여 본 고안에 의한 가족납골묘를 안출하게 된 것으로써 이러한 형태의 가족납골묘는 공원묘지등에서도 이를 채택 할 수 있을뿐만이 아니라, 국토의 활용 및 여러곳에 흩어져 있는 조상들의 묘를 한곳에 모으는 효과가 있고 조상숭배의 가족정신을 고취시켜주는 효과를 가져온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유체를 그대로 관에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장에 의한 봉분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수대에 걸친 선조들의 유체를 납골당형식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족 납골묘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묘를 수대에 걸쳐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국민정서상 거부감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한정된 국토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은 외형상을 원형으로 갖는 본 고안 가족 납골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받침판과 납골 보관실의 칸막이와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서, 도 1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서, 봉분을 세운 상태에서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5는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본 고안 가족 납골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관 보관실 2 : 칸막이
3 : 납골 보관실 4 : 문
5 : 손잡이 6 : 자물쇠부
7 : 상측 받침판 8 : 하측 받침판
본 고안에 의한 가족 납골묘의 구조는 중앙으로 유체를 그대로 넣을 수 있는 관을 보관하는 관 보관실이 구성되며, 관 보관실을 중앙에 두고, 묘의 외관 측면을 따라 칸막이가 형성되어 망자의 유골을 담은 납골함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의 납골보관실이 구성된다.
상기 다단의 납골 보관실 각각에는 개폐문(door)이 형성되어 있고, 개폐문의 각각에는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손잡이부부와, 아무나 문을 열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자물쇠부가 구성된다.
그리고, 묘의 외관 상측과 하측은 외관형상을 따라 받침판이 형성되고, 상측의 받침판이 하측의 받침판보다 약간 길게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비 또는 눈 등이 납골 보관실의 외벽에 잘 닿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 받침판과 납골 보관실의 칸막이, 하측 받침판과 납골 보관실의 칸막이의 결합내측에는 결합부재로 스테인레스 봉이 결합된다.
또한, 묘의 상측 받침판은 관 보관실만이 상측으로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며, 관을 넣은 후 상측으로 봉분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가족 납골묘의 재질은 주로 석재등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관 및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 가족 납골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외형상을 원형으로 갖는 본 고안 가족 납골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받침판과 납골 보관실의 칸막이와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으로 유체를 그대로 넣을 수 있는 관을 보관하는 관 보관실(1)이 구성되며, 관 보관실(1)을 중앙에 두고, 묘의 원주를 따라 따라 칸막이(2)가 형성되어 망자의 유골을 담은 납골함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의 납골 보관실(3)이 구성된다.
상기 다단의 납골 보관실(3) 각각에는 개폐문(4)이 형성되며, 개폐문(4)의 각각에는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손잡이부(5)와, 아무나 문을 열수 없도록 내부로 잠김장치가 형성되고, 열쇠구멍만이 외부로 돌출되는 자물쇠부(6)가 구성된다.
그리고, 묘의 외관 상측과 하측에는 외관형상을 따라 상측 받침판(7)과 하측 받침판(8)이 형성되고, 상측 받침판(7)이 하측 받침판(8)보다 더 길게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비 또는 눈 등이 납골 보관실(3)의 외벽에 잘 닿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 받침판(7)과 납골 보관실(3)의 칸막이(2), 하측 받침판(8)과 납골 보관실(3)의 칸막이(2)의 결합내측에는 결합부재로 스테인레스 봉(9)이 결합된다.
또한, 묘의 상측은 관 보관실(1)만이 상측에 개방된 상태로 관을 넣은 후 상측으로 봉분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측 받침판(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 가족 납골묘는 유체를 관에 넣어 매장형태와 같이 흙을 덮어 봉분을 세울 수 있도록 함과, 그 이외의 부분에 밀폐된 납골 보관실(3)에 다수의 납골함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상측 받침판(7)은 관 보관실(1)만이 외부로 개방되어 있고, 원형을 따라 구성된 납골 보관실(3)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막혀있으므로, 관 보관실(1)에 관을 넣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을 덮어 봉분을 세워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외측벽을 따라 칸막이(2)로 막혀진 납골 보관실(3)이 구성되어 있어, 다수의 납골함을 각각의 납골 보관실(3)에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상측 받침판(7)은 하측 받침판(8)보다 더 큰 원주로 형성되고, 외부로 더 돌출되어 있어 눈, 비 등으로 인한 영향이 납골 보관실(3)이 적게 작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측 받침판(7)과 하측 받침판(8) 그 내측로 스테인레스 봉(9)을 결합부재로 하여 칸막이(2)와 결합되어 있어, 그 유동이 방지 된다.
묘의 재질은 돌로 이루어지므로, 형성된 개폐문(4) 또한 석문이며, 외형상을 고려하여 손잡이부(5)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자물쇠부(6) 또한 외부로는 열쇠를 꽂는 열쇠구멍만이 형성되는 자물쇠를 선택하여 외부의 형상을 더욱 수려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가족 납골묘는 고인이 되신 분의 유체를 관 보관실(1)에 보관하고, 그 선대의 유체는 화장하기도 하며 그 유골은 각각의 납골 보관실(3)에 보관하되,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관 보관실(1)의 유체를 화장하여 다시 납골 보관실(3)에 보관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사각형의 형상을 지닌 본 고안 가족 납골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외형을 사각형으로 형성하여 중앙 내부의 관 보관실(1)과 그 이외의 납골 보관실(3)을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봉분을 세운 매장형식과 다수의 납골함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대의 유골을 함께 보관할 수 있는 가족 납골묘를 제공함으로써, 국민적 정서에 거부감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여러 대(代)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깨끗한 장지문화의 조성과 한정된 국토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가족 납골묘는 여러군데 흩어진 가족의 묘를 한군데 합쳐 모아 둘 수 있으며, 그 외관 또한 조형물로써 구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제작표현이 가능하며, 공원묘지 등과 같은 곳에도 이러한 가족 납골묘를 채택하여 사용할 경우 그 효과는 더해 질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중앙에는 유체를 그대로 넣을 수 있는 관을 보관하는 관 보관실이 구성되며, 관 보관실을 중앙에 두고, 묘의 외관 측면을 따라 칸막이가 형성되어 망자의 유골을 담은 납골함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의 납골보관실이 구성되고,
    상기 다단의 납골 보관실 각각에는 개폐문이 형성되며, 개폐문의 각각에는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손잡이부와, 아무나 문을 열수 없도록 자물쇠부가 구성되며,
    묘의 외관 상측과 하측은 외관형상을 따라 받침판이 형성되고, 상측의 받침판이 하측의 받침판보다 더 길게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측 받침판과 납골 보관실의 칸막이, 하측 받침판과 납골 보관실의 칸막이의 결합내측에는 결합부재로 스테인레스 결합 봉이 결합 되며,
    상측 받침판은 관 보관실만이 상측에 개방된 상태로 관을 넣은 후 상측으로 봉분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납골묘.
KR2019980022728U 1998-11-17 1998-11-17 가족 납골묘 KR200227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728U KR200227846Y1 (ko) 1998-11-17 1998-11-17 가족 납골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728U KR200227846Y1 (ko) 1998-11-17 1998-11-17 가족 납골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445U KR20000010445U (ko) 2000-06-15
KR200227846Y1 true KR200227846Y1 (ko) 2001-07-19

Family

ID=69508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728U KR200227846Y1 (ko) 1998-11-17 1998-11-17 가족 납골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8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445U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6754B2 (en) Combined headstone and columbarium
US7703185B2 (en) Combined headstone and columbarium
US6052954A (en) Burial structure for the non-retrievabl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US3945094A (en) System for the inhumation of corpses
US20030145533A1 (en) Burial structure for th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US6484457B1 (en) Burial structure for the non-retrievabl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KR200227846Y1 (ko) 가족 납골묘
KR200384790Y1 (ko) 유골함 보관장치
KR200193187Y1 (ko) 가족 납골묘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KR200406931Y1 (ko) 유골이 흙 속에 매장된 상태로 된 납골묘
KR200216704Y1 (ko) 조립식 납골당
KR200185323Y1 (ko) 배수·환기구가 설치된 납골묘
KR200238394Y1 (ko) 납골함 보관구조
KR200172570Y1 (ko) 가족용 납골묘
KR200322828Y1 (ko) 납골묘
KR200329554Y1 (ko) 봉분식 납골묘의 납골함 보관 장치
KR200200935Y1 (ko) 납골묘
KR100304492B1 (ko) 혼합형분묘의시공방법
KR100353310B1 (ko) 축조용 돌묘
KR200352981Y1 (ko) 가정형 납골묘
KR200223612Y1 (ko) 가족용 납골단
KR200242678Y1 (ko) 납골당의 구조
KR200216703Y1 (ko) 봉분식 납골당
KR200182781Y1 (ko) 한국형 납골당 가족묘 공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20830

Effective date: 2003021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2100002367;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20830

Effective date: 20030211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711

Effective date: 2008020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0001818;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711

Effective date: 2008020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611

Effective date: 2008030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000152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611

Effective date: 2008030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