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981Y1 - 가정형 납골묘 - Google Patents

가정형 납골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981Y1
KR200352981Y1 KR20-2004-0008403U KR20040008403U KR200352981Y1 KR 200352981 Y1 KR200352981 Y1 KR 200352981Y1 KR 20040008403 U KR20040008403 U KR 20040008403U KR 200352981 Y1 KR200352981 Y1 KR 2003529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ase
deceased
storage space
bo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의
Original Assignee
윤재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의 filed Critical 윤재의
Priority to KR20-2004-0008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9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9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9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한 골분을 보관하는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서, 육면으로 이루워진 케이스의 일측면을 개구시켜 그 내측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 구획벽을 형성하여 다수의 보관함이 수납되도록 구성되는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 일측에 설치되되 단속수단(잠금과 열림기능)이 구비된 도어와, 상기 몸체케이스 내부에 수납되되 그 내부에 고인의 화장골분이 안치되는 골분보관함과, 상기 몸체케이스 내부에 수납되되 그 내부에 고인의 유품이나 제구가 수납되는 유품보관함으로 구성된 가정형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정형 납골묘{A domestic grave for ashes}
본 고안은 가정에 설치하여 고인이 된 가족의 납골과 신위의 사적기록 및 유품을 안치하여 모실 수 있도록 한 가정형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면으로 이루워진 케이스의 일측면을 개구시켜 그 내측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 구획벽을 형성하여 다수의 보관함이 수납되도록 구성된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 일측에 설치되되 잠금과 열림기능(단속수단)을 갖는 도어와, 상기 몸체케이스 내부에 수납되되 그 내부에 고인의 화장골분이 안치되는 골분보관함과, 상기 몸체케이스 내부에 수납되되 그 내부에 고인의 유품이나 제구가 수납되는 유품보관함으로 구성된 가정형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장례 방식은 주로 시신을 땅에 매장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로인하여 해마다 묘지는 점점 늘어나는 반면에 기존의 묘지는 없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음으로 국토면적 중에서 묘지가 차지하는 면적이 점점 늘어나게 되었고 이로인하여 산림의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되였으며 이런 추세로는 수십년 후에 전 국토가 모두 묘지가 될 정도로 묘지는 증가하게 될 것이다.
또한 후손들이 자신의 조상들의 묘지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거나,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무연고 묘지는 해마다 많은수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녹지대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런 폐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개인묘지의 면적을 제한하게 되었으며 화장을 통한 장례식을 권유하게 되었고 또한 매장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화장을 하여 유골을 납골당에 보관토록 하는 것을 권유하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납골당이나 가족묘지는 대부분 후손들의 거주지와는 상당히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어 직접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위탁관리를 할 경우에도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조상의 묘지를 깨끗하고 깔끔하게 보존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기존의 납골당은 매우 큰 구조물로 제작되어 타인의 조상들과 함께 모셔지므로 명절등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제사를 모시기 위하여 이동하므로 교통문제가 유발되며, 제사시 수많은 사람들로 인하여 소음이 크고 번잡하여 경건하고 엄숙한 분위기에서 제사를 모실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납골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운반과 설치가 간편하여 가정에 설치가 가능한 가정형 납골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생산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일반수요자가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가정형 납골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은, 전체를 스테인레스스틸로 형성하되 그 내부에 고인의 화장골분이 안치되는 골분보관함과 조상의 유품을 보관할 수 있는 유품보관함을 설치하는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내부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4는 도3의 내부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골분보관함의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유품보관함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케이스 11: 구획벽
20: 도어 21: 단속수단
22: 키홀 30: 골분보관함
31: 밀폐용덮개 32: 구획판
40: 유품보관함 50: 손잡이
60: 경첩 70: 수납실(수납공간)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고안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사시도에 있어서 도어(20)를 연상태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경첩(60)을 몸체케이스(10)의 하측면에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는 도3의 사시도에 있어서 도어(20)를 연상태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육면으로 이루워진 케이스의 일측면을 개구시켜 그 내측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 구획벽(11)을 형성하여 다수의 보관함이 수납되도록 구성되는 몸체케이스(10)와, 상기 몸체케이스(10) 일측에 설치되되 단속수단(21)이 구비된 도어(20)와, 상기 몸체케이스(10) 내부에 수납되되 그 내부에 고인의 화장골분이 안치되는 골분보관함(30)과, 상기 몸체케이스(10) 내부에 수납되되 그 내부에 고인의 유품이나 제구가 수납되는 유품보관함(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몸체케이스(10)는 도1에서와 같이 전체를 스테인레스스틸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하되 그 외면에 방습 광택코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20)는 도2에서와 같이 몸체케이스(10)의 우측모서리부에 경첩(60)을 설치하여 체결하거나 도4에서와 같이 몸체케이스(10)의 하측모서리부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에 설치된 단속수단(21)은 그 일측에 키홀(22)이 설치될 수 있으며 다이얼식자물쇠와 열쇠식자물쇠가 같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골분보관함(30)의 사시도이며, 본 고안의골분보관함(30)은 일측면이 개구되어 그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육면체로 형성되되, 그 전면에는 손잡이(50)가 설치되고 개구면 일측에는 밀폐용덮개(31)가 설치되며, 그 내부에 골분과 함께 개량흙이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납공간은 그 내부에 구획판(32)이 설치되어 다수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개량흙은 황토 40~80중량부, 맥반석가루 1~30중량부, 석회 1~40중량부, 목탄가루 1~25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유품보관함(40)의 사시도이며, 상기 유품보관함(40)은 그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육면체로 형성되되 그 일측면이 개통되어 수납실(70)이 형성되고 전면에 손잡이(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유품보관함(40)은 그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을 나누는 구획판(32)이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생산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일반수요자가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운반과 설치가 간편하여 가정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기일이나 명절때 제사를 엄숙하고 경건하며 지낼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매우 크다.

Claims (5)

  1. 육면으로 이루워진 케이스의 일측면을 개구시켜 그 내측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 구획벽을 형성하여 다수의 보관함이 수납되도록 구성되는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 일측에 설치되되 단속수단이 구비된 도어와, 상기 몸체케이스 내부에 수납되되 그 내부에 고인의 화장골분이 안치되는 골분보관함과, 상기 몸체케이스 내부에 수납되되 그 내부에 고인의 유품이나 제구가 수납되는 유품보관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형 납골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분보관함은 일측면이 개구되어 그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육면체로 형성되되, 그 전면에는 손잡이가 설치되고 개구면 일측에는 밀폐용덮개가 설치되며, 그 내부에 골분과 함께 개량흙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형 납골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량흙은 황토 40~80중량부, 맥반석가루 1~30중량부, 석회 1~40중량부, 목탄가루 1~25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형 납골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품보관함은 그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육면체로 형성되되 그 일측면이 개통되어 수납실이 형성되고 전면에 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형 납골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골분보관함 또는 유품보관함은 그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을 나누는 구획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형 납골묘.
KR20-2004-0008403U 2004-03-26 2004-03-26 가정형 납골묘 KR2003529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403U KR200352981Y1 (ko) 2004-03-26 2004-03-26 가정형 납골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403U KR200352981Y1 (ko) 2004-03-26 2004-03-26 가정형 납골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981Y1 true KR200352981Y1 (ko) 2004-06-09

Family

ID=49431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403U KR200352981Y1 (ko) 2004-03-26 2004-03-26 가정형 납골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9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453A (ko) 2021-03-19 2022-10-13 배소정 유해 봉입물 및 유해봉입물 제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453A (ko) 2021-03-19 2022-10-13 배소정 유해 봉입물 및 유해봉입물 제작방법
KR20220148150A (ko) 2021-03-19 2022-11-04 배소정 유해봉입물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7066E1 (en) Cremated remains remembrance and burial system
US6052954A (en) Burial structure for the non-retrievabl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US6799399B2 (en) Burial structure for th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US6484457B1 (en) Burial structure for the non-retrievabl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KR200352981Y1 (ko) 가정형 납골묘
KR200172615Y1 (ko) 매립형 납골묘
GB2264962A (en) A cinerarium
KR200146075Y1 (ko) 납골묘
KR100304492B1 (ko) 혼합형분묘의시공방법
JPH05193Y2 (ko)
KR100223664B1 (ko) 봉분형 납골묘지용 안치장
KR200223612Y1 (ko) 가족용 납골단
KR200392056Y1 (ko) 납골묘
KR100360330B1 (ko) 납골묘의 시공방법
KR200175289Y1 (ko) 봉분식 납골당
KR100304491B1 (ko) 유골(遺骨)매장방법
KR200185323Y1 (ko) 배수·환기구가 설치된 납골묘
KR200227846Y1 (ko) 가족 납골묘
KR100353310B1 (ko) 축조용 돌묘
KR200323358Y1 (ko) 이중구조로 된 납골케이스
KR200246500Y1 (ko) 납골묘
KR200267616Y1 (ko) 납골묘
KR200193187Y1 (ko) 가족 납골묘
KR200164181Y1 (ko) 매장형 가족 납골묘
JP2023124991A (ja) 墓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