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616Y1 - 납골묘 - Google Patents

납골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616Y1
KR200267616Y1 KR2020010037317U KR20010037317U KR200267616Y1 KR 200267616 Y1 KR200267616 Y1 KR 200267616Y1 KR 2020010037317 U KR2020010037317 U KR 2020010037317U KR 20010037317 U KR20010037317 U KR 20010037317U KR 200267616 Y1 KR200267616 Y1 KR 200267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hape
coupling rod
groov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호철
Original Assignee
전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호철 filed Critical 전호철
Priority to KR20200100373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6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616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면이 호 형상을 이루며 상부에 끼움홈이 형성된 다수개의 기초판과;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하측에 형성되고, 일측에 내벽 끼움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걸림턱 및 결합봉 이동홈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기둥벽과; 상기 내벽 끼움부에 끼움되어 원형으로 배열되며 사각패널 형상인 다수개의 내벽과; 외면이 호 형상을 이루며 상기 기둥벽위에 장착되는 패널형상의 덮개판과; 상기 걸림턱에 밀착되어 닫히는 사각패널 형상인 다수개의 내측문과; 상기 내측문의 외측에 구비되어 회동하며, 일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외측문과; 상기 결합봉 이동홈에 내재되는 결합봉과 상기 철재 결합봉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자석열쇠로 구성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은 두께 및/또는 형상을 달리하여 다수개가 다층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이며, 원형으로 배열되는 상기 내벽의 안쪽에 흙이 채워져 봉분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납골묘{A Charnel House}
본 고안은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으로 구비되는 기초석재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끼움홈에 기둥벽의 돌출부를 끼움결합함으로써 견고한 다수개의 보관실이 구비되고, 자석열쇠를 이용하여 외부로 잠금장치가 보이지 않는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사망하였을 때에는 각 민족의 문화나 풍속 또는 전통에 따라 장례의식을 치루며 이 때, 각 나라의 지리적 여건에 따라 장의문화(葬儀文化)는 대표적으로 매장을 하거나 화장을 하였다. 이러한 장의문화(葬儀文化)는 각 민족과 국가의 전통과 인습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으며, 장법(葬法)에는 매장(埋葬), 세골장(洗骨葬), 풍장(風葬), 화장(火葬) 등이 있다.
한국에서 선호되고 있는 매장에는 지하에 시신을 묻는 토분묘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토분묘에는 지하에 관을 직접 묻는 방법이 있고, 지하의 석축에 관을 안치하거나 주위의 벽을 돌로 쌓아올려 시신을 안치하는 수혈식 석실 등이 있다. 이러한 토분묘는 봉분과 부속 토지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토지의 이용율을 크게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자연녹지와 산림의 훼손으로 사회 문제와 환경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또한, 세골장이나 풍장 등은 현대 도시 생활에는 부적합한 장법으로기피되고 있으며, 화장은 편리성과 안전성 등의 이유로 중국, 일본 등에서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전통적으로 선산이나 산소를 미리 선전하여 놓고 시신을 관에 넣어 지중에 매장하고 의례에 의하여 년중 수시로 제사를 지내게 된다. 이는 조상을 잘 모셔야 한다는 유교적 관습에 기초한 것으로 개인묘, 종중묘, 공동묘등의 형태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국토는 한정되어 있고 묘의 기수는 매년 증가추세에 있어 묘에 의하여 잠식되는 면적이 늘어나게 됨에 따라 국토의 효율적 이용이 어려워지게 되었다.
즉, 시신 매장은 일정한 면적을 차지하게 되고 세대가 흐를수록 많은 묘 공간이 필요로 하게 된다. 국토면적이 좁은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매장의 풍습에 따라 시신을 처리할 경우에는 묘지확보의 어려움이 있고 국토의 효율적 이용에 장애요소로 작용한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전체 토지에 대한 묘역의 비율은 약 6%에 육박할 정도이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오래 전부터 장례문화를 개선하고자 연구하였으며 최근에는 묘의 면적을 제한하는 법령이 제정되기에이르렀고(1기당 4평 이하), 그 대안으로서 시신을 화장하여 남은 유골분만을 보관하는 '납골묘' 형태의 유골안치를 적극권장하고 있다.
이러한 납골묘 방식은 각국에서 자국의 실정에 따라 운용되고 있으며 그 납골묘의 건축형태도 각 나라의 전통 건축양식이나 풍습에 맞게 다양하게 건축되고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의 납골묘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대표적인 납골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납골묘 내부의 유골함이 적체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호 100은 장방형 석벽(20)으로 구성되는 납골묘이며, 이 납골묘(800)의 내부에는다수개의 유골함(40)을 안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선반(30)이 가로로 설치되어 있으며 정면에는 내부로 사람이 출입가능하도록 출입문(10)이 설치되어 있다. 부호 32는 상기 납골묘(800) 내부의 중앙에 설치된 선반이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납골묘에 시신을 안치하고자 하면, 먼저 화장 후 유골분이 담긴 유골함(40)을 들고 상기 납골묘(800) 정면에 설치된 출입문(10)을 열고 안으로 들어가서 상기 선반(30) 상에 정렬하여 적치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납골묘에서는 좌우 석벽(20)의 선반(30)과 중앙 선반(32)에 유골함(40)을 차례대로 안치하여 종중이나 가족형으로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방법에 의해 고안된 다양한 형태의 납골당에 의한 묘지 조성 방법이 있으나, 이를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국민 정서상 거부감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상기의 납골당에 의한 묘지 조성방법은 매장의 방법을 전혀 사용할 수 없는 구조로서 화장에 의한 납골만을 보관하는 것이므로 현재 모든 국민들이 받아들이기에는 문제점이 많다.
따라서, 단순히 납골을 보관하는 납골묘가 아니라, 면적은 작게 차지하면서도 매장의 효과와 납골보관의 효과를 도모하면서 미관상도 수려한 납골묘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다수개의 기초판에 끼움홈을 형성시켜 기둥벽의 돌출부를 상기 끼움홈에 끼워 맞추고 내벽 끼움부에 내벽을 끼워맞춤으로 오랜세월이 지나도 틀어지지 않는 납골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기둥벽에 형성된 결합봉 이동홈에 삽입되는 결합봉과 상기 결합봉을 이동시키는 자석열쇠 이용하여 오랜세월이 지나도 고장이 없으며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납골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3목적은 원형으로 배열되는 내벽의 안쪽에 흙을 채움으로서 납골묘의 상부에 봉분을 형성시켜 일반적인 토분묘와 같은 모습을 갖춤으로서 매장문화에 익숙한 사람들로 하여금 친숙함을 주어 납골문화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납골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외면이 호 형상을 이루며 상부에 끼움홈이 형성된 다수개의 기초판과;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하측에 형성되고, 일측에 내벽 끼움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걸림턱 및 결합봉 이동홈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기둥벽과;
상기 내벽 끼움부에 끼움되어 원형으로 배열되며 사각패널 형상인 다수개의 내벽과;
외면이 호 형상을 이루며 상기 기둥벽위에 장착되는 패널형상의 덮개판과;
상기 걸림턱에 밀착되어 닫히는 사각패널 형상인 다수개의 내측문과;
상기 내측문의 외측에 구비되어 회동하며, 일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외측문과;
상기 결합봉 이동홈에 내재되는 철재 결합봉과 상기 결합봉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자석열쇠로 구성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은 두께 및/또는 형상을 달리하여 다수개가 다층으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며, 원형으로 배열되는 상기 내벽의 안쪽에 흙이 채워져 봉분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대표적인 납골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납골묘 내부의 유골함이 적체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초판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기초판위에 기둥벽, 내벽, 내측문, 외측문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출입문 20 : 석벽
30 : 선반 32 : 선반
40 : 유골함 100 : 납골묘
150 : 기초판 160 : 끼움홈
200 : 기둥벽 210 : 돌출부
220 : 내벽 끼움부 230 : 걸림턱
240 : 결합봉 이동홈 250 : 결합봉
300 : 내벽 400 : 덮개판
500 : 내측문 550 : 외측문
560 : 결합홈 570 : 자석열쇠
600 : 잠금장치 700 : 봉분
800 : 납골묘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800)는 외면이 호 형상을 이루며 상부에 끼움홈(160)이 형성된 다수개의 기초판(150)이 원형으로 배열되어있고, 상기 기초판(150)위에 다수개의 기둥벽(200)이 끼움되어 원형 배열되어 있다. 상기 기둥벽(200)의 하측에는 상기 끼움홈(160)에 끼움되는 돌출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내벽 끼움부(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걸림턱(230) 및 결합봉 이동홈(2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벽 끼움부(220)에 끼움되는 다수개의 내벽(300)이 원형으로 배열되며, 상기 다수개의 내벽(300)과 상기 기둥벽(200)의 상부에는 외면이 호 형상이고 패널형상인 덮개판(400)이 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초판(150)위에 기둥벽(200), 내벽(300), 덮개판(400)이 결합되면 바깥둘레로 유골함(미도시)을 넣을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는 사각패널 형상인 다수개의 내측문(500)이 상기 걸림턱(230)에 밀착되어 닫힌다. 그리고, 상기 내측문(500)의 외측에는 일측에 결합홈(560)이 형성된 다수개의 외측문(550)이 회동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봉 이동홈(240)에는 철재로 이루어진 결합봉(250)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결합봉(250)은 자석열쇠(570)를 이용하여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외측문(550)을 잠그거나 열수있는 잠금장치(6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를 부분별로 도시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초판의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판(150)은 패널형상으로 땅위에 다수개가 원형으로 배열되어 중앙부가 중공인 도우넛과 같은 형상으로 납골묘(800)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 상기 기초판(150)의 외면은 호 형상으로 다수개가 조합되면 전체 모양은 원형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기초판(150)을 8개를 이용하는 경우, 내경은 정 팔각형이고, 외경은 원형인 중공의 도우넛 형상이 된다. 상기 기초판을 사용하는 개수로 다각형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고, 또한 상기 기초판(150)의 외면 형상을 직선으로 하면 외경의 모양도 다각형의 모양을 연출할 수 있다.
상기 기초판(15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끼움홈(16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끼움홈(160)은 상기 기초판(150)위에 세워질 기둥벽(200)들이 틀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기초판위에 기둥벽, 내벽, 내측문, 외측문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의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벽(200)은 상기 기초판(150)의 끼움홈(160)에 끼움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홈(160)의 형상과 일치하게 돌출된 돌출부(210)가 상기 기둥벽(20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둥벽(200)은 사각의 패널형상으로 일측에 내벽 끼움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내벽 끼움부(220)에 내벽(300)이 끼움된다. 이때, 상기 내벽(300)은 기둥벽(200)과 기둥벽(200)사이에 연속적으로 끼움되어 상기 기둥벽(200)이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과 더불어 납골묘(800) 내측의 벽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내벽(300) 또한 원형으로 배열된 상기 기둥벽(200)에 끼움되며 배열되므로 마찬가지로 원형 배열을 이룬다.
또한, 상기 기둥벽(200)의 타측에는 걸림턱(230)과 결합봉 이동홈(2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230)은 사각패널 형상인 내측문(500)이 닫히는 경우 상기 걸림턱(230)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내측문(500)의 외측에는 회동하여 개폐되는 외측문(550)이 구비된다. 상기 외측문(550)은 내측문(500)과 더불어 구비되는 이중문을 구성하며 상기 외측문(550)의 일측에는 결합홈(560)이 형성되어 잠금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기둥벽(200)에 형성된 상기 결합봉 이동홈(240)에는 철재로 이루어진 결합봉(250)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결합봉(250)은 상기 기둥벽(200)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게 되므로 자유롭게 상기 외측문(550)을 개폐시킬 수 있다. 납골묘(800)의 특성상 문을 여닫을 때는 유골함을 넣거나 꺼낼 때인데, 상기 유골함은 한 번 넣어두면, 특별한 경우를 제외 하고는 꺼내는 경우가 드물다.
따라서, 상기 외측문(550)은 잠가 놓게 되는데 상기 외측문(550)이 닫힌 상태에서 자석열쇠(570)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봉(250)을 상기 외측문(550)의 결합홈(560)으로 이동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결합봉(250)의 일측은 상기 결합봉 이동홈(240)에 끼움되고, 타측은 상기 결합홈(560)에 끼움된 상태가 되어 상기 외측문(550)이 잠긴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문(550)을 다시 열고자 할 때는 상기 자석열쇠(570)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봉(250)을 상기 결합봉 이동홈(240)에 완전히 이동시키면 된다. 여기서, 상기 자석열쇠(570)는 오랜시간이 지나도 자력을 잃지 않도록 영구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결합봉(250)과 자석열쇠(570)로 이루어진 잠금장치(600)는 기계적인 장치가 없기 때문에 노지에서 눈, 비, 바람을 맞으면서 오랜기간이 지나도 고장을 일으키지 않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기둥벽(200)의 상부는 외면이 호 형상으로 된 다수개의 덮개판(400)이 장착되어 덮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덮개판(400)은 패널형상으로 상기 기둥벽(200)과 기둥벽(200)사이에 놓여 각 보관실의 덮개가 된다. 상기 덮개판(400)의 배열도 상기 기초판(150)의 배열과 마찬가지로 원형을 이루며, 상기 덮개판(400)은 두께, 형상, 크기등을 달리하여 다수개를 다층으로 구비하면 납골묘(800)의 미관을 더욱 수려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도6에서는 상기 덮개판(400)을 3층으로 구비하여 예시하였으나, 상기 덮개판(400)은 얼마든지 층수나 모양을 달리하여 외관미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판(400), 기둥벽(200), 내벽(300), 내측문(500). 외측문(550)에는 무늬를 넣을 수 있으며, 무늬를 넣는 경우 납골묘(800)의 외관은 더욱 수려해진다.
그리고 원형으로 배열된 상기 내벽(300)의 안쪽에는 흙이 채움되어 상기 납골묘(800)의 상부로 봉분(700)이 형성된다. 이러한 봉분(700)은 납골묘(800)가 일반적인 토분묘와 같은 모습을 갖춤으로서 매장문화에 익숙한 사람들로 하여금 친숙함을 주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납골묘(800)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800)의 재질은 대리석, 화강암 또는 콘크리트 패널과 같은 석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보다 일반적은 재질은 화강암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에 의하면, 다수개의 기초판(150)에 끼움홈(160)을 형성시켜 기둥벽(200)의 돌출부(210)를 상기 끼움홈(160)에 끼워 맞추고 내벽 끼움부(220)에 내벽(300)을 끼워맞춤으로서 오랜세월이 지나도 틀어지지 않는 납골묘(800)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 기둥벽(200)에 형성된 결합봉 이동홈(240)에 삽입되는 결합봉(250)과 상기 결합봉(250)을 이동시키는 자석열쇠(570)를 이용한 잠금장치(600)를 구비하여, 오랜세월이 지나도 고장이 없으며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납골묘(800)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원형으로 배열되는 내벽(300)의 안쪽에 흙을 채움으로서 납골묘(800)의 상부에 봉분(700)을 형성시켜 일반적인 토분묘와 같은 모습을 갖추게 되어 매장문화에 익숙한 사람들로 하여금 친숙함을 주며 납골문화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납골묘(800)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3)

  1. 외면이 호 형상을 이루며 상부에 끼움홈(160)이 형성된 다수개의 기초판(150)과;
    상기 끼움홈(160)에 끼워지는 돌출부(210)가 하측에 형성되고, 일측에 내벽 끼움부(220)가 형성되며, 타측에 걸림턱(230) 및 결합봉 이동홈(240)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기둥벽(200)과;
    상기 내벽 끼움부(220)에 끼움되어 원형으로 배열되며 사각패널 형상인 다수개의 내벽(300)과;
    외면이 호 형상을 이루며 상기 기둥벽(200)위에 장착되는 패널형상의 덮개판(400)과;
    상기 걸림턱(230)에 밀착되어 닫히는 사각패널 형상인 다수개의 내측문(500)과;
    상기 내측문(500)의 외측에 구비되어 회동하며, 일측에 결합홈(560)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외측문(550)과;
    상기 결합봉 이동홈(240)에 내재되는 철재 결합봉(250)과 상기 결합봉(25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자석열쇠(570)로 구성되는 잠금장치(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400)은 두께 및/또는 형상을 달리하여 다수개가 다층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
  3. 제 1항에 있어서, 원형으로 배열되는 상기 내벽(300)의 안쪽에 흙이 채워져 봉분(7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
KR2020010037317U 2001-12-04 2001-12-04 납골묘 KR200267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317U KR200267616Y1 (ko) 2001-12-04 2001-12-04 납골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317U KR200267616Y1 (ko) 2001-12-04 2001-12-04 납골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616Y1 true KR200267616Y1 (ko) 2002-03-12

Family

ID=73113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317U KR200267616Y1 (ko) 2001-12-04 2001-12-04 납골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6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2954A (en) Burial structure for the non-retrievabl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Daszewski Graeco-Roman town and necropolis in Marina el-Alamein
Johnson 12: Architecture of Empire
US6799399B2 (en) Burial structure for th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US6484457B1 (en) Burial structure for the non-retrievabl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Dodson Mortuary architecture and decorative systems
KR200267616Y1 (ko) 납골묘
CN111395856A (zh) 墓碑
JP3166679U (ja) 墓前用水鉢及び花立て・水鉢セット
Kleiss Safavid palaces
CN213087627U (zh) 一体式公墓碑
CN213087625U (zh) 一种墓碑
CN213087628U (zh) 一种自锁保护式墓碑
MacIvor The King's Chapel at Restalrig and St Triduana's Aisle: A hexagonal two-storied Chapel of the fifteenth-century
CN213087626U (zh) 一种安全锁控墓碑
Cosenza The Burial Sites in Taranto, Italy: Necropolis and Hypogea in the Ancient City
CN212927291U (zh) 一种简易墓碑
Godlewski Monastic life in Makuria
KR200189933Y1 (ko) 납골묘의 회전구조
KR100379364B1 (ko) 가족 납골묘
KR200220633Y1 (ko) 가족납골묘
Huseynova Unigue features of Nakhichevan architecture impact on the architecture of the East
Myśliwiec West Saqqara
KR950008469Y1 (ko) 가족용 납골 분묘
KR200246500Y1 (ko) 납골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