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432Y1 - 납골함 - Google Patents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432Y1
KR200397432Y1 KR20-2005-0020723U KR20050020723U KR200397432Y1 KR 200397432 Y1 KR200397432 Y1 KR 200397432Y1 KR 20050020723 U KR20050020723 U KR 20050020723U KR 200397432 Y1 KR200397432 Y1 KR 200397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box
ashes
box
ossuary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주미
Original Assignee
여주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주미 filed Critical 여주미
Priority to KR20-2005-0020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4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4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표면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한 원통이나 사각 또는 팔각 등의 다양한 형성으로 된 외부함(10)과, 상기 외부함(10)을 밀폐 시키고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도록 한 체크밸브(21)를 형성한 뚜껑(20)과, 상기 외부함(10)의 내부에 내장되고 내부에 유골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한 내부 뚜껑을 갖는 유골함(30)과, 상기 외부함(10)과 유골함(30) 사이에 토양을 채워서 토양층(40)을 형성한 것과, 상기 외부함(10)과 뚜껑(20)을 결합하여 체크밸브(21)를 통하여 내부의 공기를 빼내어 용기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하도록 구성하여, 외부함에 롤러를 이용하여 무늬를 형성하므로, 그 모양 아주 정밀하여 수려한 무늬를 표면에 형성하고, 납골함의 내부 공기를 강제로 뽑아냄으로써, 결로 방지 및 습기가 억제되어 유골의 변질 및 부패에 따른 악취발생 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내부에 토양을 수용하도록 하여 유골함의 유동을 방지하고, 미풍양속의 의미를 가지고, 또한 외부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외부함이 구성되므로 천재지변 시에도 여타 납골함과는 달리 뛰어난 내구성을 가지는 납골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납골함{FUNERAL URN}
본 고안은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함과, 체크밸브를 구성한 뚜껑과, 유골을 수용하는 유골함과, 상기 외부함과 유골함 사이에 토양층을 구성하여, 체크밸브에 의해 용기 내부의 공기를 빼내어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는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와 같이 화장보다는 매장을 선호하는 유교 문화권에서는 국토의 면적이 한정되고 묘지의 면적은 날로 증가되므로, 묘지의 절대적인 부족 및 그에 따른 국토 이용 면적의 감소가 문제시 되고 있다. 특히, 인구밀도가 높고 국토면적이 좁은 나라에서는 묘지 부족현상이 심화되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가에서는 매장보다 화장을 권고하고 있으며, 거의 절반에 가까운 사람들이 화장을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 화장을 한 후 발생된 유골 또는 유분(이하에서는, '유골분'으로 통칭함)을 보관하기 위해
현재에는 납골함에 넣어서 여러 가지 형태의 납골묘에 안장하게 된다. 납골함은 화장 처리한 망자의 유골분을 담아 납골묘 또는 납골당에 안치 보존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도자기, 석재 또는 목재 등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습기에 의해 내부의 유골분이 부패하게 된다. 이는 납골함의 내부에 있는 공기 중의 습기가 내부 및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해 납골함 내부의 벽면에 물방울을 발생케하여 유골분에 스며들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납골함은 고인의 유해나 유품을 수납하여 주로 납골당 등에 안치, 보존하기 위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종래의 납골함은 내구성이 저조하고 납골함의 외관미가 경직감을 주게 되어 고인의 유해를 모시기에는 품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 납골함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외부함에 롤러를 이용하여 무늬를 형성하므로, 그 모양 아주 정밀하여 수려한 무늬를 표면에 형성하고, 납골함의 내부 공기를 강제로 뽑아냄으로써, 결로 방지 및 습기가 억제되어 유골의 변질 및 부패에 따른 악취발생 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내부에 토양을 수용하도록 하여 유골함의 유동을 방지하고, 미풍양속의 의미를 가지며, 또한 외부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외부함이 구성되므로 천재지변 시에도 여타 납골함과는 달리 뛰어난 내구성을 가지는 납골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 납골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면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한 원통이나 사각 또는 팔각 등의 다양한 형성으로 된 외부함(10)과;
상기 외부함(10)을 밀폐 시키고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도록 한 체크밸브(21)를 형성한 뚜껑(20)과;
상기 외부함(10)의 내부에 내장되고 내부에 유골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한 내부 뚜껑을 갖는 유골함(30)과;
상기 외부함(10)과 유골함(30) 사이에 토양을 채워서 토양층(40)을 형성한 것과;
상기 외부함(10)과 뚜껑(20)을 결합하여 체크밸브(21)를 통하여 내부의 공기를 빼내어 용기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외부함(10)의 내부에 수납되는 유골함(30)을 토기나 유기, 목기등으로 함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실시예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의 구성을 나타낸 절개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의 다른 실이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골분을 수납하는 납골함의 외부함(10)을 표면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한 원통이나 사각 또는 팔각 등의 다양한 형성으로 하는데, 상기 다양한 무늬는 음각 또는 양각의 문양을 형성한 롤러에 의해 압출되어 상기 외부함(10) 표면에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함(10)의 뚜껑(20)은 상기 외부함(10)을 밀폐 시키고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도록 한 체크밸브(21)를 형성하는데, 상기 납골함의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상기 뚜껑에도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골함(30)은 외부함(10)의 내부에 내장되고 내부에 유골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한 내부 뚜껑을 갖는다.
또한 상기 외부함(10)과 유골함(30) 사이에 토양을 채워서 토양층(40)을 형성한다.
상기 납골함은 결로 방지 및 습기가 억제하고, 유골의 변질 및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부함(10)과 뚜껑(20)을 결합하여 체크밸브(21)를 통하여 내부의 공기를 빼내어 용기내부를 진공가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납골함에 의하면, 외부함에 롤러를 이용하여 무늬를 형성하므로, 그 모양 아주 정밀하여 수려한 무늬를 표면에 형성하고, 납골함의 내부 공기를 강제로 뽑아냄으로써, 결로 방지 및 습기가 억제되어 유골의 변질 및 부패에 따른 악취발생 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내부에 토양을 수용하도록 하여 유골함의 유동을 방지하고, 미풍양속의 의미를 가지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외부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외부함이 구성되므로 천재지변 시에도 여타 납골함과는 달리 뛰어난 내구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의 구성을 나타낸 절개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의 다른 실이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부함 20: 뚜껑
21: 체크밸브 30: 유골함
40: 토양층

Claims (2)

  1. 표면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한 원통이나 사각 또는 팔각 등의 다양한 형성으로 된 외부함(10)과;
    상기 외부함(10)을 밀폐 시키고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도록 한 체크밸브(21)를 형성한 뚜껑(20)과;
    상기 외부함(10)의 내부에 내장되고 내부에 유골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한 내부 뚜껑을 갖는 유골함(30)과;
    상기 외부함(10)과 유골함(30) 사이에 토양을 채워서 토양층(40)을 형성한 것과;
    상기 외부함(10)과 뚜껑(20)을 결합하여 체크밸브(21)를 통하여 내부의 공기를 빼내어 용기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함(10)의 내부에 수납되는 유골함(30)을 토기나 유기, 목기등으로 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KR20-2005-0020723U 2005-07-15 2005-07-15 납골함 KR200397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723U KR200397432Y1 (ko) 2005-07-15 2005-07-15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723U KR200397432Y1 (ko) 2005-07-15 2005-07-15 납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432Y1 true KR200397432Y1 (ko) 2005-10-04

Family

ID=4369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723U KR200397432Y1 (ko) 2005-07-15 2005-07-15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4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415Y1 (ko) 2009-08-04 2011-04-27 박희병 목심칠기 유골함 (木芯漆器遺骨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415Y1 (ko) 2009-08-04 2011-04-27 박희병 목심칠기 유골함 (木芯漆器遺骨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7432Y1 (ko) 납골함
KR101255949B1 (ko) 유골부패방지용 진공 구조 납골함
KR101215544B1 (ko) 봉안함
KR101844504B1 (ko) 납골함
KR20100117466A (ko)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KR102050776B1 (ko) 분해 가능한 참숯과 한지를 이용한 봉안함과 그 제조방법
KR200325773Y1 (ko) 유골 보관용 봉투
JP3212067U (ja) 埋葬イメージの水晶骨壺構造
JP3211632U (ja) 遺骨収納体
KR200211374Y1 (ko) 제오라이트 납골함
KR101875157B1 (ko) 미니어처 봉분
KR100647129B1 (ko) 매장형 납골함
KR200395225Y1 (ko) 이중 납골함의 통풍구조
KR200207158Y1 (ko) 납골탑
KR20210149978A (ko) 유골 보관용 황칠봉투
KR200207171Y1 (ko)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KR200246921Y1 (ko) 납골묘비
KR200277150Y1 (ko) 꽃상여 지관
KR200347823Y1 (ko) 수납 통을 갖는 금속재 비석.
KR200332747Y1 (ko) 유골 보관용 상자어셈블리
KR200234969Y1 (ko) 골장용 돌묘
KR200380729Y1 (ko) 자연석을 이용한 납골묘
KR200392056Y1 (ko) 납골묘
KR100304492B1 (ko) 혼합형분묘의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