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466A -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 Google Patents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466A
KR20100117466A KR1020090036258A KR20090036258A KR20100117466A KR 20100117466 A KR20100117466 A KR 20100117466A KR 1020090036258 A KR1020090036258 A KR 1020090036258A KR 20090036258 A KR20090036258 A KR 20090036258A KR 20100117466 A KR20100117466 A KR 20100117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tainless steel
lid
sealing structure
doubl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921B1 (ko
Inventor
정형근
Original Assignee
정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형근 filed Critical 정형근
Priority to KR1020090036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921B1/ko
Publication of KR20100117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8Apparatus for transporting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A61G17/0076Met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인의 유골을 장기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납골함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인레스 스틸에 의한 이중통체로 된 본체와 뚜껑을 각기 형성하되, 본체의 단열공간은 진공상태가 되게 하고 뚜껑의 충전공간에는 단열재를 삽입 형성하며, 본체와 뚜껑의 결합부에는 다양한 형상으로의 절곡 형성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스틸의 특성을 이용하여 공기 차단부와 둥근 나사(Round thread) 결합부를 형성하여 기밀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면서도, 본체의 내측으로 가압 삽입되는 단열패드는 유골의 안정화 및 재차 단열 작용을 수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테인레스 스틸에 의한 본체와 뚜껑의 표면에 에칭이나 샌딩에 의한 미려한 장식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미려한 장식성을 연출하면서도,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취급성이 뛰어나면서도 사용 수명의 연장이 가능한 것이고, 우수한 단열 특성으로 인해 결로를 방지하므로 유골의 부패나 변질을 방지하는 것이며, 고도의 밀폐 작용으로 인해 세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하므로 장기간 동안 유골을 본래 그대로의 형태와 상태로 보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납골함, 본체, 뚜껑, 스테인레스 스틸, 단열공간, 단열재, 밀봉패드

Description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Cinerary urn having adiabatic sealing structure by double wall of stainless steel}
본 발명은 고인의 유골을 장기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납골함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인레스 스틸에 의한 이중통체로 된 본체와 뚜껑을 각기 구비하고, 상기의 본체는 진공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의 뚜껑 내부에는 단열재를 충전하여 우수한 단열성을 확보하면서도, 자유로운 절곡 성형이 가능한 본체와 뚜껑에 의해 상호 간의 결합부에 다양한 공기 차단부를 형성함에 따라 뛰어난 밀봉구조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본체 내부로 가압 삽입되는 단열패드는 공기의 차단은 물론 유골이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되게 한 특징의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장례문화는 전통적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화장을 기피한 분묘식 매장의 형태를 일반적으로 채택해 왔다. 이에 따라 현재는 가용 국토면적의 5.2%가 묘지조성을 위해 잠식되어 있는 실정이며, 묘지의 외관이 개인의 사회적 지위를 대변하는 잣대로 악이용되기도 함에 따라, 매장문화에 수반되는 자연환경의 훼손과 국 민적 위화감 조성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왔다.
따라서 최근에는 자연환경의 보존, 국토이용의 효율성 제고 및 신분과 빈부의 격차로부터 생기는 위화감 제거 차원에서, 망자(亡者)의 시신을 화장한 후 그 유골을 가루로 하여 납골함에 보관하는 화장장묘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납골함의 안치를 위한 납골당의 대형 건립도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납골당에 보관하는 망자의 유골은 일반적으로 자기 등으로 된 납골함의 내부에 안치하고 이를 향나무로 만든 함체의 내부에 수납하여 보관하게 되는데, 종래 유골을 안치한 자기재의 납골함은 뚜껑을 본체의 입구에 아무런 기밀장치 없이 덮어놓게 되어 있으므로, 그 경계부를 통한 외부공기의 유입 및 온도가 서로 다른 납골함 내부공기와 외부공기의 접촉은 납골함의 내부에 습기를 발생시켜 유골분의 변질을 초래하게 되므로 장기간 보관이 용이하지 않고, 자기재로 만들어진 납골함은 지나치게 무거운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일반적인 납골함은 대부분 자기를 이용하여 원형의 통체로 제작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자기의 납골함 외표면에 종교적인 특징의 인쇄부를 프린트하거나 라미네이팅하여 제작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자기로 된 납골함은 지나치게 무거워 운반이 용이하지 않은 것이고 운반 및 취급과정에서 쉽게 파손되므로 매우 세심한 주의를 요하는 것이며, 표면의 인쇄부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탈색되거나 훼손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므로 장시간 동일한 품질을 그대로 유지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밀 및 밀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의 납골함은 내부 유골의 부패가 일어나게 되는 동시에 악취 등을 유발하므로 고인의 가족이나 주변인들로 하여금 극심한 자책감을 갖게 하는 것이다.
즉, 통상적으로 납골함의 법적 보존기간은 약 15년으로 의무화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비교적 오랜시간 동안 납골함 내의 유골을 안전하게 또는 변질없이 보관하기 위해서는 납골함의 밀봉구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화장장묘에 대한 도입 시기가 그다지 오래되지 못한것이 사실이고, 각종 기반 시설이나 기술 또는 인식의 저변 확대가 이루어지지 않아 효과적이고 올바른 형태의 납골함에 대한 보관이나 보존이 지극히 미흡한 상태인 것이다.
이와 같이 밀봉구조를 갖추지 못한 납골함은 온도변화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서 급격한 온도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단열 작용을 거의 수행하지 못하게 되므로 납골함의 외표면은 물론 내표면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의 결로 현상은 납골함 내의 유골을 부패시키거나 변질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와 뚜껑의 틈새를 통해 공기의 소통이 이루어지면서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납골함 내부에서 번식하거나 증식하게 되므로 납골함 내의 유골에 대한 안전한 보관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스테인레스 스틸에 의한 이중통체로 된 본체와 뚜껑을 각기 형성하되, 본체의 단열공간은 진공상태가 되게 하고 뚜껑의 충전공간에는 단열재를 삽입 형성하며, 본체와 뚜껑의 결합부에는 다양한 형상으로의 절곡 형성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스틸의 특성을 이용하여 다단의 공기 차단부와 둥근 나사(Round thread) 결합부를 형성하여 기밀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면서도, 본체의 내측으로 가압 삽입되는 단열패드는 유골의 안정화 및 재차 단열 작용을 수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납골함이 갖고 있던 제반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극복한 특징의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스틸을 절곡 형성하여 된 내통체와 외통체의 사이에 단열공간을 갖는 상부 개구형태의 이중통체 구조로 된 본체와; 스테인레스 스틸을 절곡 형성하여 된 내부체와 외부체의 사이에 충전공간을 갖는 이중통체 구조의 뚜껑으로 구분 형성하되,
상기 본체의 단열공간은 진공상태로 구성하고, 상기 뚜껑의 충전공간에는 단열재를 삽입 형성하여, 상기의 본체와 뚜껑이 서로 나사 체결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스틸에 의한 본체와 뚜껑의 표면에 에칭이나 샌딩에 의한 미려한 장식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미려한 장식성을 연출하면서도,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취급성이 뛰어나면서도 사용 수명의 연장이 가능한 것이고, 우수한 단열 특성으로 인해 결로를 방지하므로 유골의 부패나 변질을 방지하는 것이며, 고도의 밀폐 작용으로 인해 세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하므로 장기간 동안 유골을 본래 그대로의 형태와 상태로 보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납골함은 본체(10)와 뚜껑(20)의 분리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본체(10)와 뚜껑(20)은 모두 스테인레스 스틸을 절곡 형성하여 된 이중통체의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태로 된 본체(10)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절곡하여 된 내통체(10)와 외통체(12)의 이중 통체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의 내통 체(10)와 외통체(12)의 사이에는 진공상태의 단열공간(13)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뚜껑(20)은 역시 스테인레스 스틸을 절곡하여 된 하부체(21)와 상부체(22)에 의한 이중 통체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의 하부체(21)와 상부체(22)의 사이에는 밀봉된 충전공간(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충전공간(23) 내에는 스티로폼이나 스폰지와 같이 단열 기능을 갖는 소재로 된 단열재(24)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뚜껑(20)을 결합하게 되면 본체(10)의 내부는 본체(10)의 단열공간(13) 및 뚜껑(20)의 충전공간(23) 내 단열재(24)에 의해 우수한 단열 효과를 얻게 되는 것으로서, 본체(10) 외부에서의 급격한 온도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상기의 단열공간(13)과 단열재(24)에 의해 온도 변화의 완충 및 차단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은 온도 변화가 서서히 이루어지면서 내면에 대한 결로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본체(10)와 뚜껑(20)은 서로 나사 결합방식을 통해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의 본체(10)와 뚜껑(20)의 결합부에는 다양한 공기 차단부를 형성함에 따라 본체(10)의 내부공간에 대한 우수한 기밀성이 보장되도록 한 것인데,
도 4 및 도 5의 확대 단면도와 같이, 본체(10)의 선단 내면에는 둥근나사홈(15)을 형성하고 뚜껑(20)의 외면 하단에는 둥근나사산(25)을 형성함에 따라 상호 간의 둥근 나사(Round thread)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인데, 둥근 나사 결합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나사홈과 나사산 간의 틈새가 최소화되므로 이물질의 유 입이나 공기의 소통을 억제하는 것이므로 본체(10)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세균이나 곰팡이균이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체(10)의 선단에는 상향의 차단돌부(16)를 형성하고, 상기의 차단돌부(16)와 대응하는 위치인 뚜껑(20)의 하부에는 끼움홈부(26)를 형성함에 따라 본체(10)의 상측에 뚜껑(20)을 결합하는 경우 뚜껑(20)의 끼움홈부(26) 내측으로 본체(10)의 차단돌부(16)가 삽입되면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재차 차단하게 되는 것이고, 이들 차단돌부(16)와 끼움홈부(26)의 틈새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이들 틈새가 극히 좁아 긴 거리의 유로를 형성하게 될 것이므로 고도의 압력 차가 아니라면 본체(10) 내부로의 공기에 대한 자연 유입은 완전히 차단될 것이다.
특히, 상기의 뚜껑(20) 하부 외면에는 별도의 오링(50)을 삽입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의 오링(50)은 본체(10)의 내측 선단에 형성된 안치턱(18)과 밀착되게 구성함에 따라 본체(10)의 상측에 뚜껑(20)을 결합하게 되면 상기의 오링(50)이 본체(10)의 안치턱(18)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오링(50) 자체의 탄력성으로 인해 본체(10)와 뚜껑(20) 간의 틈새를 또 한번 제거하게 되어 3중의 기밀 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별도의 밀봉패드(30)를 구비함에 따라 다시 한번 본체(10) 내의 유골에 대한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상기의 밀봉패드(30)는 스펀지 또는 고탄력의 고무재 등을 이용하여 제작함에 따라 뛰어난 신축력을 갖도록 하고 고밀도의 고무재 또는 스펀지는 공기의 차단 효과가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상기의 밀봉패드(30)를 본체(10)의 내측으로 긴밀하게 가압하여 삽입하면 상기 밀봉패드(30)의 하측 공간부에 대한 긴밀한 밀봉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의 밀봉패드(30)에는 필요에 따라 숯분말을 포함하여 제작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숯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우수한 탈취 작용과 제습 작용을 갖고 있어 납골함 내의 유골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한 악취의 제거 및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고, 때에 따라서는 상기의 밀봉패드(30) 내에 다양한 향취 물질이나 항균 물질 등을 혼합하여 성형하는 경우 이들 향취 물질이나 항균 물질이 갖는 고유의 특성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의 본체(10)에는 하부면에 별도의 쿠션부재(40)를 부착 형성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을 납골당이나 납골묘 내에 안치할 경우 부드러운 안치감을 얻을 수 있으면서도 납골함이 받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시켜 줄 수 있을 것이며, 미끄럼 방지의 기능을 겸할 것이므로 납골함이 진동에 의해 스스로 이동하거나 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납골함은 전기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스틸을 절곡 형성하여 이중 통체의 구조를 갖고 있어 매우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것이고, 변색이나 부식으로부터도 뛰어난 내성을 갖고 있어 장기간 고급스러움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된 본체(10) 및 뚜껑(20)의 외표면에 는 에칭 처리를 통해 다양한 문양부(17)(27)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문양부(17)(27)는 본체(10)와 뚜껑(20)의 전체면에 대하여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고 본체(10) 또는 뚜껑(20) 중 선택된 구성품에만 제한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체(10)와 뚜껑(20)의 전체면에 반복되는 패턴의 문양을 형성한 상태에서 종교적인 의미를 갖는 다양한 장식문양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에칭 처리에 의한 문양부(17)(27)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질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부식의 깊이와 강도 또는 형태에 따라 다양한 농담의 표현이 가능하여 동일한 재질 내에서 다양한 무늬와 문양 및 문자 등의 표현이 가능하므로 더욱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납골함은 도 6의 도시와 같이 개방된 본체(10)의 내부에 고인의 유골분을 넣은 상태에서 별도의 밀봉패드(30)를 가압하여 삽입하게 되면 상기의 밀봉패드(30)에 의해 본체(10)의 내부공간과 유골 간의 공간부가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유골이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의 밀봉패드(30)는 가압력에 의해 억지 끼움 형태로 삽입되는 것이어서 본체(10)가 기울어지거나 충격을 받더라도 위치의 이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결국 유골이 흐트러지거나 기울어지지 않게 되므로 더욱 안정적인 상태로 유골을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밀봉패드(30)를 가압하여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의 본체(10) 상부에 뚜껑(20)을 결합하게 되면 이들의 밀봉 결합구조에 의해 상기의 본체(10) 내부로는 외부의 공기가 전혀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밀봉패드(30)의 상측에는 뚜껑(20)의 저면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발생할 것인데 상기의 공간부는 유골분의 량에 따른 범용성을 위한 설계공간으로서 이와 같은 공간부 내에 향기물질이나 항균물질을 넣어 두는 경우 이들에 의한 우수한 향취 및 항균 작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밀봉패드(30) 상면에는 별도의 홈부(도면에는 미도시함)를 형성하고 상기의 홈부에 고인의 사진을 넣어두는 경우에는 상기의 유골이 항상 고인과 함께 하고 있다는 심리적인 안정감을 가족이나 친지들이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의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의 분리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팜의 결합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의 사용상태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내통체
12 : 외통체 13 : 단열공간
15 : 둥근나사홈 16 : 차단돌부
17 : 문양부 18 : 안치턱
20 : 뚜껑 21 : 내부체
22 : 외부체 23 : 충전공간
24 : 단열재 25 : 둥근나사산
26 : 끼움홈부 27 : 문양부
30 : 밀봉패드
40 : 쿠션부재
50 : 오링

Claims (8)

  1. 스테인레스 스틸을 절곡 형성하여 된 내통체(11)와 외통체(12)의 사이에 단열공간(13)을 갖는 상부 개구형태의 이중통체 구조로 된 본체(10)와; 스테인레스 스틸을 절곡 형성하여 된 하부체(21)와 상부체(22)의 사이에 충전공간(23)을 갖는 이중통체 구조의 뚜껑(20)으로 구분 형성하되,
    상기 본체(10)의 단열공간(13)은 진공상태로 구성하고, 상기 뚜껑(20)의 충전공간(23)에는 단열재(24)를 삽입 형성하여, 상기의 본체(10)와 뚜껑(20)이 서로 나사 체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2. 제 1항에 있어서,
    본체(10)는 개구된 선단의 내면에 둥근나사홈(15)을 형성하고, 뚜껑(20)의 외면 하측에는 둥근나사산(25)을 형성하여, 상기의 본체(10)와 뚜껑(20)이 둥근 나사(Round thread)에 의해 서로 체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3. 제 1항에 있어서,
    본체(10)는, 내측 공간으로 밀봉패드(30)를 가압 삽입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4. 제 3항에 있어서,
    밀봉패드(30)는, 숯분말을 혼합하여 성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5. 제 1항에 있어서,
    본체(10)는, 저면에 쿠션부재(40)를 부착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6. 제 1항에 있어서,
    본체(10)는 선단에 상향의 차단돌부(16)를 형성하고, 뚜껑(20)은 상기의 차단부(16)가 삽입되는 절곡 형상의 끼움홈부(26)를 형성하여, 상기 끼움홈부(26) 내에 차단돌부(16)가 삽입됨에 따라 본체(10)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7. 제 1항에 있어서,
    본체(10)와 뚜껑(20)은, 외면에 문양부(17)(27)를 에칭 처리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8. 제 1항에 있어서,
    뚜껑(20)은 하부 외면에 오링(50)을 삽입 형성하고, 본체(10)의 내측 선단에는 상기의 오링(50)이 밀착되는 안치턱(18)을 형성하여, 상기의 오링(50)이 안치턱(18)에 밀착됨에 따라 본체(10) 내부에 대한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KR1020090036258A 2009-04-24 2009-04-24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KR101162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258A KR101162921B1 (ko) 2009-04-24 2009-04-24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258A KR101162921B1 (ko) 2009-04-24 2009-04-24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466A true KR20100117466A (ko) 2010-11-03
KR101162921B1 KR101162921B1 (ko) 2012-07-17

Family

ID=43404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258A KR101162921B1 (ko) 2009-04-24 2009-04-24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374B1 (ko) * 2021-07-15 2022-03-18 하얀나래 사회봉사자사회적협동조합 밀폐강화 유골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810B1 (ko) * 2014-02-19 2015-04-24 주식회사 티앤에스 납골함
KR200492279Y1 (ko) * 2018-04-13 2020-09-09 주창만 개량형 유골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264Y1 (ko) * 2002-02-04 2002-05-11 주식회사 유진산기 유골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374B1 (ko) * 2021-07-15 2022-03-18 하얀나래 사회봉사자사회적협동조합 밀폐강화 유골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921B1 (ko) 2012-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921B1 (ko)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KR100619234B1 (ko) 진공 가압 방식의 밀폐구조를 갖는 납골함.
KR101215544B1 (ko) 봉안함
KR101255949B1 (ko) 유골부패방지용 진공 구조 납골함
KR101821155B1 (ko) 진공 유골함
US8286314B1 (en) Cremation remains system for memorializing a decedent
KR20120101960A (ko) 가족 납골함
KR101844504B1 (ko) 납골함
KR101189188B1 (ko) 봉안함
KR101750623B1 (ko) 기능성 진공 납골함
KR102376374B1 (ko) 밀폐강화 유골함
KR200397432Y1 (ko) 납골함
KR100800265B1 (ko) 납골함
KR200231795Y1 (ko) 진공 납골함
KR200420011Y1 (ko) 납골함
KR200389574Y1 (ko) 납골함의 밀폐구조
KR101844115B1 (ko) 유골함
KR200256395Y1 (ko) 유골함
KR200306341Y1 (ko) 유골함
KR200356988Y1 (ko) 부부합장 유골함
KR200256677Y1 (ko) 납골함 패킹구조
KR101380622B1 (ko) 내함의 이탈을 방지하는 3중구조 납골함
WO2010037343A1 (zh) 花饰水晶盒
KR100558831B1 (ko)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
KR20030001050A (ko) 납골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