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011Y1 - 납골함 - Google Patents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011Y1
KR200420011Y1 KR2020060008248U KR20060008248U KR200420011Y1 KR 200420011 Y1 KR200420011 Y1 KR 200420011Y1 KR 2020060008248 U KR2020060008248 U KR 2020060008248U KR 20060008248 U KR20060008248 U KR 20060008248U KR 200420011 Y1 KR200420011 Y1 KR 2004200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ocher
charcoal
lid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기
Original Assignee
홍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기 filed Critical 홍성기
Priority to KR2020060008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0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0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A61G17/0106W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개시된 납골함은 향나무로 제작되고 외통뚜껑을 구비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바닥에 통공이 형성되고 황토뚜껑이 구비된 황토용기와; 상기 황토용기의 통기공에 배치한 숯과; 상기 숯 상부의 통기공 상에 안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납골함은 황토용기의 항균력과 숯의 습기 제거를 통해 보관력을 향상시켜 보관된 유골의 산화로 벌레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
황토, 숯, 향나무, 습기

Description

납골함{FUNERAL UR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납골함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A-A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납골함
4 : 외통뚜껑
6 : 외통
8 : 통공
10 : 황토뚜껑
12 : 황토용기
14 : 숯
16 : 받침대
18 : 결합턱
본 고안은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용기의 항균력과 숯의 습기 제거를 통해 보관력을 향상시켜 보관된 유골의 산화로 벌레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로부터 행해지는 장례문화는 망자의 시신을 관에 넣고 봉분을 세우는 매장방식과 망자의 시신을 화장하고 남은 유골을 납골함에 담아 납골당이나 납골묘에 안치하는 화장방식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전통적인 우리 장례문화를 볼 때, 대다수가 매장방식을 선호하고 있는데, 이는 고인은 물론 후손들 역시 시신이 훼손되기를 원하지 않고, 조상을 공경하는 유교화 풍수지리에 따른 도교의 영향을 받아 오랜 전통적인 문화로 자리잡아 형성된 것이고, 반면에 화장제도는 한정적인 범위에 머물러 있음이 현실이다.
그러나, 매장식 장묘제도는 긍정적 측면보다는 불합리한 요소를 보다 많이 내재하고 있어 점차 화장식 장례문화, 이중에서도 특히 납골식 장묘제도를 선호하는 경향이 점차 확산되어 가고 있고 국가적으로도 이러한 제도의 활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화장식 장례문화는 본래 불교의 다비식에서 전래 되어 온 것으로 인도를 포함한 많은 불교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구미 각국에서도 자국의 산야를 보호하거나 공원화를 조성하기 위해 화장식 장묘 제도중 하나인 납골묘나 납골당으로 대체하고 있다.
한편, 현재 납골묘나 납골당에 사용되는 종래의 납골함은 통상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유골을 담을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된 단지부재와 단지부재의 상부에 공원화를 조성하기 위해 화장식 장묘제도 중 하나인 납골묘나 납골당으로 대체하고 있다.
한편, 현재 납골묘나 납골당에 사용되는 종래의 납골함은 통상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유골을 담을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된 단지부재와 단지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단지부재를 밀폐시키는 뚜껑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종래의 단지부재와 단지부재를 밀폐시키기 위한 뚜껑부재는 주로 옥이나 대리석등과 같은 천연석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현재 납골함의 단지부재와 뚜껑부재는 재가 단순히 단지부재에 얹혀지거나 끼워지는 구조이거나 완전히 밀봉되어 다시 개봉하기가 힘든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단지부재와 뚜껑부재가 얹혀지거나 끼워지는 구조의 경우 단지부재 내부로 공기나 수분등이 유입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유골함을 모시거나 옮기다가 실수로 떨어뜨리는 경우 단지부재에 장입된 유골이 쏟아져 신성한 유골의 일부가 분실되거나 더럽혀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단지부재와 뚜껑부재가 밀봉되는 납골함은 단지부재에 장입된 유골이 외부로 유출될 염려는 없지만, 유골함을 다시 개봉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후손이 유골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밀봉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단지부재 내외부의 기온차, 습도 등에 의해 단지부재 내부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여 유골이 변질되고 단지부재의 외부로 악취가 유출되어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황토용기의 항균력과 숯의 습기 제거를 통해 보관력을 향상시켜 보관된 유골의 산화로 벌레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납골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향나무로 제작되고 외통뚜껑을 구비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바닥에 통기공이 형성되고 황토뚜껑이 구비된 황토용기와, 상기 황토용기의 통기공에 배치한 숯과, 상기 숯 상부의 통공 상에 안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납골함이 외통과, 외통 내에 수용되는 황토용기에 의한 2중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황토용기는 바닥에 숯을 깔게 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황토용기는 통공 상부에 안치되도록 향나무로 제작된 받침대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납골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A-A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2)은 향나무로 제작되고 외통뚜껑(4)을 구비한 외통(6)과, 상기 외통(6)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바닥에 통공(8)이 형성되고 황토뚜껑(10)이 구비된 황토용기(12)와, 상기 황토용기(12)의 통공(8)에 배치한 숯(14)과, 상기 숯(14) 상부의 통기공(8) 상에 안착되는 받침대(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통(6)은 향나무로 제작되며, 나무 고유의 향이 발산되어 악취를 차단하게 된다. 외통뚜껑(4)도 향나무로 제작하여 외통(6)의 결합턱(18)에 기밀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황토용기(12)는 황토를 이용 구워 만든 것으로, 원적외선이 발산되도록 하여 납골이 자연적으로 살균되도록 한다.
그리고 황토용기(12)의 바닥에는 통공(8) 형성되고 숯(14)의 살균력이 유골에 전이되도록 하여 벌레가 생기거나 변질 됨이 방지된다.
또한, 통공(8)에 걸쳐지는 받침대(16)를 두고 있어 납골이 올려 놓여 질 수 있도록 된다.
숯(14)은 살균력뿐만 아니라 습기에 제거에 탁월하기 때문에 납골함(2) 내부의 습기 제거나 변질에 의한 벌레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2)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향나무로 제작된 외통(6)에 통공(8)이 형성된 황토용기(12)를 집어넣고 통공(8)에 숯(14)을 깔아 놓는다.
그리고 나서 숯(14) 위에 받침대(16)를 올려놓고 그 위에 납골을 놓은 후 황토뚜껑(10)과 외통뚜껑(4)을 차례대로 닫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납골함(2)이 향나무로 제작된 외통(6)과 황토로 제작된 황토용기(12)에 의하여 2중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보관된 납골의 산화에 의한 변질 등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황토용기(12) 내에 숯(14)과 황토에 의하여 형성된 살균력과 원적외선으로 쏘이게 되는 납골의 보관 수명은 반영구적으로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납골함이 향나무로 형성되고 있어 벌레나 곤충의 접근을 방지한 상태에서 내부의 황토용기와 숯에 의하여 습기 제거뿐만 아니라 황토의 성분에 의하여 살균되면서 원적외선에 노출되어 벌레의 형성이나 산화에 의 한 부패 및 악취를 방지하게 되어 납골의 보관 수명을 증대하게 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향나무로 제작되고 외통뚜껑을 구비한 외통;
    상기 외통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바닥에 통기공이 형성되고 황토뚜껑이 구비된 황토용기;
    상기 황토용기의 통기공에 배치한 숯; 및
    상기 숯 상부의 통공 상에 안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이 외통과, 외통 내에 수용되는 황토용기에 의한 2중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납골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황토용기는 바닥에 숯을 깔게 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황토용기는 통공 상부에 안치되도록 향나무로 제작된 받침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KR2020060008248U 2006-03-28 2006-03-28 납골함 KR2004200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248U KR200420011Y1 (ko) 2006-03-28 2006-03-28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248U KR200420011Y1 (ko) 2006-03-28 2006-03-28 납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011Y1 true KR200420011Y1 (ko) 2006-06-30

Family

ID=41768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248U KR200420011Y1 (ko) 2006-03-28 2006-03-28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0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316B1 (ko) * 2012-08-27 2014-08-14 박소창 납골함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316B1 (ko) * 2012-08-27 2014-08-14 박소창 납골함과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29679A1 (en) Combined headstone and columbarium
US5568677A (en) Environmentally safe and economical burial casket
KR200420011Y1 (ko) 납골함
KR101255949B1 (ko) 유골부패방지용 진공 구조 납골함
KR200403946Y1 (ko) 납골함
KR101162921B1 (ko)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KR20120101960A (ko) 가족 납골함
KR20080000775U (ko) 납골함
KR100761485B1 (ko) 결로 방지구조를 갖는 평장형 봉안묘
KR101844115B1 (ko) 유골함
KR200447965Y1 (ko) 납골함
KR100800265B1 (ko) 납골함
KR200312500Y1 (ko) 납골함
KR20080000626U (ko) 황토석을 이용한 유골함
KR200256395Y1 (ko) 유골함
KR200420535Y1 (ko) 개량 분골함
KR200246450Y1 (ko) 공기 순환 및 방부 기능을 지닌 납골단지
KR200173781Y1 (ko) 유골함
KR20200088660A (ko) 이중용기 구조의 납골함
KR200172615Y1 (ko) 매립형 납골묘
KR200198673Y1 (ko) 납골단지
KR200221677Y1 (ko) 납골단지
KR20090119808A (ko) 명당 납골함
KR200389574Y1 (ko) 납골함의 밀폐구조
KR200442396Y1 (ko) 멸균기능을 갖춘 납골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