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338A - 유골함 - Google Patents
유골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4338A KR20170004338A KR1020150094559A KR20150094559A KR20170004338A KR 20170004338 A KR20170004338 A KR 20170004338A KR 1020150094559 A KR1020150094559 A KR 1020150094559A KR 20150094559 A KR20150094559 A KR 20150094559A KR 20170004338 A KR20170004338 A KR 201700043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closure
- thread
- inner enclosure
- desiccant
- ash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은, 상단부가 개방되고, 유골을 수용하는 내부 밀폐함; 상기 내부 밀폐함의 상단부를 덮어 상기 내부 밀폐함을 밀폐시키고, 내부 수용 공간에 방충 및 방습제를 수용하는 내부 밀폐덮개; 상기 내부 밀폐함을 수용하는 외부 밀폐함; 및 상기 외부 밀폐함의 상단부를 덮어 상기 외부 밀폐함을 밀폐시키는 외부 밀폐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밀폐덮개의 하단부에는 일부가 관통되도록 에어홀이 형성된 관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골에서 발생하는 습도 및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유교사상에 따른 관습으로 장묘문화가 발전해 왔으며, 이러한 장묘문화는 선조의 시신을 온전한 상태로 보관하여 풍수지리에 따른 명당자리를 찾아 분묘와 묘비를 최대한 근사하게 하는 것이 고인이 되신 선조에 대한 예의를 다하는 것이고, 그렇게 함으로써 자손들이 복을 받아 번창한다고 믿어 왔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에 비례하여 인구밀도가 높아 국토를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는 면에서 분묘형의 장묘문화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도출시키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 장묘문화는 분묘형의 장묘문화에서 점차 화장형의 장묘문화로 변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화장형의 장묘문화는 고인의 시신을 화장한 후 그 유골을 분말화하여 유골함에 담아 납골당에 안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납골당은 수많은 유골함을 보관할 수 있도록 건설되는 건축물로서 주변환경을 공원화하여 도시 근교에 건설되어 있어 적은 비용으로 고인의 유골을 보관할 수 있으며, 고인의 유족들이나 그 주변사람들은 고인의 기일 또는 한식이나 추석 때와 같이 조상에 예를 지내는 시기에 쉽게 찾아가 예를 다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납골당에 보관되는 유골함은 통상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유골을 담을 수 있는 단지부재와 뚜껑부재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단지부재와, 단지부재를 밀폐시키는 뚜껑부재는 주로 옥이나 화강암 또는 도자기 등과 같은 천연석재를 사용하여 제조되어 있으나 이러한 유골함은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해 내, 외부의 온도차 및 유골함 내의 습도 등에 의한 결로 현상으로 유골함의 내부에 수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수분에 의해 유골함에 보관중인 유골이 변질되면서 벌레와 악취가 발생하게 되어 납골당을 찾는 참배객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납골당 자체가 혐오 대상이 되기도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유골함은 내부에 단순한 수용공간을 갖는 사기 또는 목재 등의 용기로 구성되어 있어서 내부의 항습과 항균 및 살균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아 수납된 유골이 쉽게 부패되거나 변색되어 유족들의 마음을 슬프게 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유골에서 발생하는 습도 및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유골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또는 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유골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은, 상단부가 개방되고, 유골을 수용하는 내부 밀폐함; 상기 내부 밀폐함의 상단부를 덮어 상기 내부 밀폐함을 밀폐시키고, 내부 수용 공간에 방충 및 방습제를 수용하는 내부 밀폐덮개; 상기 내부 밀폐함을 수용하는 외부 밀폐함; 및 상기 외부 밀폐함의 상단부를 덮어 상기 외부 밀폐함을 밀폐시키는 외부 밀폐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밀폐덮개의 하단부에는 일부가 관통되도록 에어홀이 형성된 관통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방충 및 방습제는 향나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 밀폐함과 상기 내부 밀폐덮개 사이에 배치된 밀폐고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 밀폐함의 내주면에는 내주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밀폐덮개의 외주면에는 외주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내주나사선과 상기 외주나사선은 서로 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 밀폐함과 상기 내부 밀폐덮개는 스테인레스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 밀폐함과 상기 외부 밀폐덮개는 황동주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에 의하면, 내부 수용 공간에 향나무가 수용되고, 그 저면에 관통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유골에서 발생하는 습기 및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에 의하면, 내부 밀폐함과 내부 밀폐덮개 사이에 밀폐고무링이 배치되기 때문에, 내부 밀폐함으로의 외부 습기의 유입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에 의하면, 내부 밀폐함의 상부 내주면에 내주나사선이 형성되고, 내부 밀폐덮개의 하부 외주면에 외주나사선이 형성되고, 내주나사선과 외주나사선이 접하기 때문에, 내부 밀폐함으로의 외부 습기의 유입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에 의하면, 내부 밀폐함과 내부 밀폐덮개는 스테인레스로 형성되고, 외부 밀폐함과 외부 밀폐덮개는 황동주물로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도자기나 나무 등으로 형성된 유골함보다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내부 밀폐덮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내부 밀폐함(3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내부 밀폐덮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내부 밀폐함(3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을 설명한다.
<실시 형태>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내부 밀폐덮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10)은 외부 밀폐함(100), 외부 밀폐덮개(200), 내부 밀폐함(300) 및 내부 밀폐덮개(4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외부 밀폐함(100)과 외부 밀폐덮개(200)는 유골함(10)의 외형을 구성하는 부분이다. 외부 밀폐덮개(200)는 외부 밀폐함(100)의 상단부를 덮어 외부 밀폐함(100)을 밀폐시킨다. 이때, 외부 밀폐함(100)과 외부 밀폐덮개(200)는 내부 밀폐함(300) 및 내부 밀폐덮개(4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외부 밀폐함(100)과 외부 밀폐덮개(200)는 수용된 내부 밀폐함(300) 및 내부 밀폐덮개(400)를 보호하기 위해 황동주물 등 단단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밀폐함(300)은 상단부가 개방되어 유골을 수용한다. 내부 밀폐덮개(400)는 내부 밀폐함(300)의 상단부를 덮어 내부 밀폐함(300)을 밀폐시킨다. 구체적으로, 내부 밀폐함(300)의 내주면에는 내주나사선(325)이 형성되고, 내부 밀폐덮개(400)의 외주면에는 외주나사선(425)이 형성되고, 내주나사선(325)과 외주나사선(425)은 서로 접하여 내부 밀폐함(300)을 밀폐시킬 수 있다. 내부 밀폐함(300)과 내부 밀폐덮개(400)는 습기 등으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등의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밀폐덮개(400)에는 내부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방충 및 방습제(440)를 수용할 수 있다. 내부 밀폐덮개(400)는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도록 에어홀이 형성된 관통부(41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방충 및 방습제(440)는 향 발산 및 내부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물질로 향나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밀폐함(300)의 유골에서 발생하는 습기 및 악취는 관통부(410)를 통해 내부 수용 공간에 수용된 방충 및 방습제(440)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 밀폐덮개(400)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밀폐덮개(400)는 관통부(410), 밀폐판(420), 밀폐뚜껑(430) 및 방충 및 방습제(440)를 포함한다.
밀폐판(420)은 내부 밀폐함(300)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밀폐판(420)은 방충 및 방습제(440)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밀폐판(420)의 하부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외주나사선(425)이 형성될 수 있다. 외주나사선(425)에 대한 설명은 이하 도 5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밀폐판(420)과 밀폐뚜껑(430)은 내부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결합하여 내부 수용 공간에 방충 및 방습제(440)가 수용되도록 한다.
밀폐판(420)과 밀폐뚜껑(430)의 결합으로 형성된 내부 수용 공간에 수용된 방충 및 방습제(44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충 및 방습제(440)는 내부 수용 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이고, 관통부(410)의 에어홀로 통과되지 못하도록 에어홀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일 수 있다.
내부 밀폐함(300)과 내부 밀폐덮개(400) 사이에는 내부 밀폐함(300)을 더욱 밀폐시킬 수 있도록 실리콘 재질 등의 밀폐고무링(500)이 배치될 수 있다. 밀폐고무링(500)의 위치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내부 밀폐함(3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유골함(10)의 배치순서를 정리하면, 외부 밀폐함(100)의 상단부가 개방되어 유골(30)이 보관된 내부 밀폐함(300)을 수용하고, 내부 밀폐함(300) 상에 내부 밀폐덮개(400)가 배치되어 1차적으로 유골(30)이 배치된 내부 공간을 밀폐시킨다. 그 후, 외부 밀폐함(100)의 상단부를 막도록 외부 밀폐덮개(200)가 배치되어 2차적으로 유골(30)이 배치된 내부 공간을 밀폐시킨다. 따라서, 유골(30)이 배치된 내부 공간에 외부의 이물질 및 습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10)은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또는 습기 유입 등을 막기 위해 내부 밀폐함(300)의 상부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내주나사선(325)이 형성되고, 밀폐판(420)의 하부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외주나사선(425)이 형성될 수 있다. 외주나사선(425)이 형성된 밀폐판(420)은 내부 밀폐함(300)에 삽입될 때, 외주나사선(425)이 내부 밀폐함(300)의 내주나사선(325)을 타고 넘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밀폐판(420)의 외주나사선(425)의 상면은 내부 밀폐함(300)의 내주나사선(325)의 하면과 접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10)은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또는 습기 유입 등을 막기 위해 밀폐판(420)의 상부의 하단과 내부 밀폐함(300)의 상단 사이에는 밀폐고무링(50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외부 밀폐함(100)은 상부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돌출부(150)가 형성되고, 도 6을 참조하면, 내부 밀폐함(300)은 저면부(310)와, 저면부(310)에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부 내주면에 내주나사선(325)이 형성된 상방연장부(320)와, 상방연장부(320)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부(330)와, 확장부(330)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하방연장부(340) 및, 하방연장부(340)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접합부(350)를 포함한다. 접합부(350)는 내측돌출부(150)의 상면과 접하고, 이때, 접합부(350)와 내측돌출부(150) 사이에는 실리콘(50) 등에 의해 마감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10)은 내부 수용 공간에 방충 및 방습제(440)가 수용되고, 그 저면에 관통부(410)가 형성되기 때문에, 유골(30)에서 발생하는 습기 및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10)은 내부 밀폐함(300)과 내부 밀폐덮개(400) 사이에 밀폐고무링(500)이 배치되기 때문에, 내부 밀폐함(300)으로의 외부 습기의 유입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10)은 내부 밀폐함(300)의 상부 내주면에 내주나사선(325)이 형성되고, 내부 밀폐덮개(400)의 하부 외주면에 외주나사선(425)이 형성되고, 내주나사선(325)과 외주나사선(425)이 접하기 때문에, 내부 밀폐함(300)으로의 외부 습기의 유입을 더욱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10)은 내주나사선(325)과 외주나사선(425)으로 인해 내부 밀폐함(300)과 내부 밀폐덮개(400)의 비의도적인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 시 유골함들이 모두 엎어져 다수의 유골들이 섞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10)은 밀폐함(300)과 내부 밀폐덮개(400)의 분리를 방지하여 유골함들이 모두 엎어져도 내부 밀폐함(300)과 내부 밀폐덮개(400)의 비의도적인 분리를 방지하기 때문에 다수의 유골들이 섞이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른 유골함(10)은 내부 밀폐함(300)과 내부 밀폐덮개(400)이 스테인레스로 형성되고, 외부 밀폐함(100)과 외부 밀폐덮개(200)이 황동주물로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도자기나 나무 등으로 형성된 유골함보다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유골함 30: 유골
100: 외부 밀폐함 200: 외부 밀폐덮개
300: 내부 밀폐함 400: 내부 밀폐덮개
500: 밀폐고무링
100: 외부 밀폐함 200: 외부 밀폐덮개
300: 내부 밀폐함 400: 내부 밀폐덮개
500: 밀폐고무링
Claims (5)
- 상단부가 개방되고, 유골을 수용하는 내부 밀폐함;
상기 내부 밀폐함의 상단부를 덮어 상기 내부 밀폐함을 밀폐시키고, 내부 수용 공간에 방충 및 방습제를 수용하는 내부 밀폐덮개;
상기 내부 밀폐함을 수용하는 외부 밀폐함; 및
상기 외부 밀폐함의 상단부를 덮어 상기 외부 밀폐함을 밀폐시키는 외부 밀폐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밀폐덮개의 하단부에는 일부가 관통되도록 에어홀이 형성된 관통부를 포함하는, 유골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 및 방습제는 향나무를 포함하는, 유골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밀폐함과 상기 내부 밀폐덮개 사이에 배치된 밀폐고무링;을 더 포함하는, 유골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밀폐함의 내주면에는 내주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밀폐덮개의 외주면에는 외주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내주나사선과 상기 외주나사선은 서로 접하는, 유골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밀폐함과 상기 내부 밀폐덮개는 스테인레스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 밀폐함과 상기 외부 밀폐덮개는 황동주물로 형성된, 유골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4559A KR101844115B1 (ko) | 2015-07-02 | 2015-07-02 | 유골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4559A KR101844115B1 (ko) | 2015-07-02 | 2015-07-02 | 유골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4338A true KR20170004338A (ko) | 2017-01-11 |
KR101844115B1 KR101844115B1 (ko) | 2018-03-30 |
Family
ID=5783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4559A KR101844115B1 (ko) | 2015-07-02 | 2015-07-02 | 유골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411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03452A (ko) | 2022-07-01 | 2024-01-09 | 조두영 | 기능성 유골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2912A (ko) | 2004-12-24 | 2006-06-28 | 김춘식 | 납골함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5627Y1 (ko) * | 2000-12-20 | 2001-06-01 | 안상돈 | 납골용기 |
KR200281056Y1 (ko) * | 2002-02-04 | 2002-07-13 | 조인현 | 진공 유골 보관 용기 |
KR200312500Y1 (ko) * | 2003-02-21 | 2003-05-12 | 노인달 | 납골함 |
KR200406249Y1 (ko) * | 2005-10-25 | 2006-01-20 | 강소영 | 속통걸이이중납골단지 |
-
2015
- 2015-07-02 KR KR1020150094559A patent/KR1018441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2912A (ko) | 2004-12-24 | 2006-06-28 | 김춘식 | 납골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4115B1 (ko) | 2018-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56947A (ko) | 2중 유골함 | |
KR101844115B1 (ko) | 유골함 | |
KR101215544B1 (ko) | 봉안함 | |
KR101821155B1 (ko) | 진공 유골함 | |
KR200385898Y1 (ko) | 밀폐형 유골함 외함 | |
KR101233087B1 (ko) | 진공 납골함 | |
KR20190050189A (ko) |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 | |
KR100800265B1 (ko) | 납골함 | |
KR200453415Y1 (ko) | 목심칠기 유골함 (木芯漆器遺骨函) | |
KR200420011Y1 (ko) | 납골함 | |
KR200312500Y1 (ko) | 납골함 | |
KR200389574Y1 (ko) | 납골함의 밀폐구조 | |
KR200399690Y1 (ko) |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 |
KR200442396Y1 (ko) | 멸균기능을 갖춘 납골함 | |
KR20090081889A (ko) | 항균, 항습 봉안함 | |
KR200420535Y1 (ko) | 개량 분골함 | |
KR20110018973A (ko) | 유골함 | |
KR100643734B1 (ko) | 납골함 | |
KR100837761B1 (ko) | 부패방지를 위한 유골함 | |
KR200360020Y1 (ko) | 납골단지 | |
KR200325790Y1 (ko) | 납골함 | |
KR200380182Y1 (ko) | 단지형 유골함 | |
KR200360028Y1 (ko) | 유골함 | |
KR100558831B1 (ko) |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 | |
KR20010079106A (ko) | 납골 보관용 항아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