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734B1 - 납골함 - Google Patents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734B1
KR100643734B1 KR1020040111681A KR20040111681A KR100643734B1 KR 100643734 B1 KR100643734 B1 KR 100643734B1 KR 1020040111681 A KR1020040111681 A KR 1020040111681A KR 20040111681 A KR20040111681 A KR 20040111681A KR 100643734 B1 KR100643734 B1 KR 100643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inner container
ashes
main body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2912A (ko
Inventor
김춘식
Original Assignee
김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식 filed Critical 김춘식
Priority to KR1020040111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734B1/ko
Publication of KR20060072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소량의 공기가 유동되게 함으로써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내부용기를 단열재로 성형함으로써 습기에 의한 변질이나 부패 등을 방지하여 유골분을 초기의 양호한 상태로 장기간 유지 보관할 수 있는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유골분이 내장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내부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내부용기로 구성된 납골함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덮개(20)가 개폐되는 부위에 외측결합부(12)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외측결합부(12)의 상부에 일정깊이로 절개된 복수개의 환기공(13)이 형성되고, 하부면 중심부에는 내부와 외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공기유입공(14)이 더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공(14)의 상부에 부착되어 미생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공기유입공(14)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방충망(16)이 구비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부용기(30)는 단열재로 성형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내부덮개(40)의 상부에 습기를 제거하고 유골분의 부패를 방지하도록 활성탄과 세라믹이 도포된 항균부직포(50)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용기(30)의 내부에 내장되는 유골분의 상부와 하부에는 유골분의 부패를 방지하도록 항균부직포(50)가 각각 더 구비되어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공(1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호 유통되도록 상기 본체(10)와 상기 내부용기(3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60)와, 상기 본체(10)와 상기 내부용기(30)의 저부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다리부(L)를 각각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내부덮개(40)의 내측에는 밀폐덮개(42)가 구비되되, 상기 내부용기(30)의 내측결합부(32) 외주연을 따라 일정깊이로 파여진 체결턱(33)과 체결되도록 상기 밀폐덮개(42)의 내주연으로 돌출되게 체결돌기(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납골함, 유골분, 항균부직포, 공간부, 밀폐덮개

Description

납골함{LAYING ASHES CONTAINER TO REST}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납골함의 분리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납골함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납골함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2: 외측결합부
13: 환기공 14: 공기유입공
16: 방충망 20: 덮개
30: 내부용기 32: 내측결합부
33: 체결턱 40: 내부덮개
42: 밀폐덮개 43: 체결돌기
50: 항균부직포 60: 공간부
L: 다리부
본 발명은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소량의 공기가 유동되게 함으로써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내부용기를 단열재로 성형함으로써 습기에 의한 변질이나 부패 등을 방지하여 유골분을 초기의 양호한 상태로 장기간 유지 보관할 수 있는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유교사상에 따른 관습으로 장묘문화가 발전해 왔으며, 이러한 장묘문화는 선조의 시신을 온전한 상태로 보관하여 풍수지리에 따른 명당자리를 찾아 분묘와 묘비를 최대한 근사하게 하는 것이 고인이 되신 선조들에 대한 예의를 다하는 것이고, 그렇게 함으로써 자손들이 복을 받아 번창한다고 믿어 왔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에 비례하여 인구밀도가 높아 국토를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는 면에서 분묘형의 장묘문화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도출시키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 장묘문화는 분묘형의 장묘문화에서 점차적으로 화장형의 장묘문화로 변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화장형의 장묘문화는 고인의 시신을 화장한 후 그 유골을 분말화하여 납골함에 담아 납골당에 안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납골당은 수많은 납골함을 보관할 수 있도록 건설되는 건축물로서 주변환경을 공원화하여 도시 근교에 건설되어 있어 적은 비용으로 고인의 유골을 보관할 수 있으며, 고인의 유족들이나 그 주변사람들은 고인의 기일 또는 한식이나 추석 때와 같이 조상에 예를 지내는 시기에 쉽게 찾아가 예를 다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납골당에 보관되는 납골함은 통상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유골을 담을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된 단지부재와, 상기 단지부재의 상부에 결 합되어 상기 단지부재를 밀폐시키는 뚜껑부재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상기 단지부재와 단지부재를 밀폐시키는 뚜껑부재는 주로 옥이나 화강암 또는 도자기 등과 같은 천연석재를 사용하여 제조되어 있으나 이러한 납골함은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해 내, 외부의 온도차 및 납골함 내의 습도 등에 의한 결로 현상으로 납골함의 내부에 수분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수분에 의해 납골함에 보관중인 유골분이 변질되면서 벌레와 악취가 발생하게 되어 납골당을 찾는 참배객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납골당 자체가 혐오 대상이 되기도 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납골함에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봉함재를 사용하기도 하나, 이 또한 밀폐된 납골함에 단순히 봉함재가 내장되는 구조로 납골함에 흡입된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는 못하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납골함은 내부에 단순한 수용공간을 갖는 사기 또는 목재 등의 용기로 구성되어 있어서 내부의 항습과 항균 및 살균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아 수납된 유골이 쉽게 부패되거나 변색되어 유족들의 마음을 슬프게 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되도록 일정 공간을 구비한 이중구조로 납골함을 제작하고, 내부용기의 내부에 항균부직포를 내장함으로써 항균기능이 있는 활성탄이나 세라믹에 의해 미생물 번식이 억제되어 최적의 조건에서 안치시킬 수 있는 납 골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용기가 단열재로 성형되어 제작이 간편함과 동시에 단열기능을 향상시켜 유골분을 초기의 양호한 상태로 장기간 유지 보관할 수 있는 납골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유골분이 내장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내부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내부용기로 구성된 납골함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덮개가 개폐되는 부위에 외측결합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외측결합부의 상부에 일정깊이로 절개된 복수개의 환기공이 형성되고, 하부면 중심부에는 내부와 외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공기유입공이 더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공의 상부에 부착되어 미생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공기유입공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방충망이 구비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부용기는 단열재로 성형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내부덮개의 상부에 습기를 제거하고 유골분의 부패를 방지하도록 활성탄과 세라믹이 도포된 항균부직포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용기의 내부에 내장되는 유골분의 상부와 하부에는 유골분의 부패를 방지하도록 항균부직포가 각각 더 구비되어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호 유통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내부용기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내부용기의 저부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다리부를 각각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덮개의 내측에는 밀폐덮개가 구비되되, 상기 내부용기의 내측결합부 외주연을 따라 일정깊이로 파여진 체결턱과 체결되도록 상기 밀폐덮개 의 내주연으로 돌출되게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항균부직포에는 강력한 살균력으로 유해물질을 흡수 차단하는 은이 더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납골함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납골함의 분리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납골함의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납골함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납골함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유골분이 내장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내부덮개(40)에 의해 밀폐되는 내부용기(3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덮개(20)가 개폐되는 부위에 외측결합부(12)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외측결합부(12)의 상부에 일정깊이로 절개된 복수개의 환기공(13)이 형성되고, 하부면 중심부에는 내부와 외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공기유입공(14)이 더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공(14)의 상부에 부착되어 미생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공기유입공(14)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방충망(16)이 구비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30)는 단열재로 성형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내부덮개(40)의 상부에 습기를 제거하고 유골분의 부패를 방지하도록 활성탄과 세라믹이 도 포된 항균부직포(50)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용기(30)의 내부에 내장되는 유골분의 상부와 하부에는 유골분의 부패를 방지하도록 항균부직포(50)가 각각 더 구비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납골함은 상기 공기유입공(1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호 유통되도록 상기 본체(10)와 상기 내부용기(3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60)와, 상기 본체(10)와 상기 내부용기(30)의 저부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다리부(L)를 각각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납골함은 전체적으로 백자나 청자의 형태로 제작하며, 일반적인 재료로 제작된 용기는 찰흙에 나뭇잎이 썩어 만들어지는 부엽토와 재를 썩혀 만든 잿물을 입혀 구워내어 공기를 정화해 주고, 통기성이 우수하여 내,외측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특성이 있다.
한편, 용기의 기본재료인 태토는 작은 모래알갱이나 작은 돌덩이 등을 포함하여 이러한 작은 알갱이들이 소성을 통하여 용기 내부에 미세한 공간을 만들어 습기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내,외측의 공기는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방충망(16)은 상기 공기유입공(14)을 통해 들어오는 공기는 유통되게 하고, 미생물의 유입은 방지하도록 간격을 좁게 형성시키되 상기 공기유입공(14)의 내경보다 적어도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게 한다.
상기 내부용기(30)는 단열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열재로 성형되고, 유골분이 수납되도록 일정 공간이 형성된 용기 형상으로 구비하며 내주면을 매끄럽게 처리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감 처리한다.
상기 내부덮개(4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항균부직포(5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발생되는 습기를 제거하게 하고, 상기 내부용기(30)의 내부에 구비되는 항균부직포(50)는 유골분의 부패를 방지하도록 상기 내부용기(30)에 내장되는 유골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의 개구부에 상기 내부용기(30)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본체(10)의 외측결합부(12)에 형성된 복수개의 환기공(13)으로 공기가 통과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분이 발생되어 모아지게 되므로 이는 상기 항균부직포(50)에 의해 흡수되게 된다.
상기 항균부직포(50)에 도포된 세라믹은 상온에서의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탁월하여 광물질로서는 드물게 강력한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탈취효과와 무독성 및 음이온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진 일라이트 세라믹인 것으로, 활성탄과 함께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공기정화기능이 있어 상기 환기공(13)을 통하여 이동되는 습기를 흡수함과 동시에 공기를 정화시켜 줌으로써 상기 내부용기(30)에 수납되는 유골분의 부패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항균부직포(50)에는 강력한 살균력으로 유해물질을 흡수 차단하는 은이 더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은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함과 동시에 은(Ag+)이온을 방출하여 모든 유해 세균을 살균할 뿐만 아니라 전자파나 수맥파 등의 유해한 파장을 완벽하게 흡수 차단하는 기능이 있다. 특히 일반 항생물질보다 탁월한 살균효과를 가지고 있어 살균 소독이나 오염 물질 제거에 사용되며, 최근들어 정수기 등의 생활용품에 접목시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상기 공간부(60)는 상기 공기유입공(1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호 유통되어 상기 내부용기(30)의 전면에 골고루 접촉되도록 상기 본체(10)의 내주면에 이격되게 상기 내부용기(30)를 삽입하여 일정거리의 공간이 형성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와 상기 내부용기(30)의 저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다리부(L)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본체(10)의 다리부(L)는 상기 공기유입공(14)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10)를 지면으로 부터 이격되게 하는 것이고, 상기 내부용기(30)의 다리부(L)는 상기 공기유입공(14)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10)와 상기 내부용기(3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60)로 유동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부덮개(40)의 내측에는 밀폐덮개(42)가 구비되되 상기 내부용기(30)의 내측결합부(32) 외주연에 일정깊이로 파여진 체결턱(33)과 체결되도록 상기 밀폐덮개(42)의 내주연으로 돌출되게 체결돌기(43)를 형성되게 하여 상기 체결턱(33)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내부용기(30)가 밀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내부용기(30)로 부터 내부덮개(40)를 분리시키고, 내부덮개(40)의 내측에 구비된 밀폐덮개(42)를 상기 내부용기(30)로 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내부용기(30)의 내측 하부에 활성탄과 세라믹이 도포된 항균부직포(50)를 위치시키고, 유골분을 상기 내부용기(30)에 투입시킨 다음 상부에 상기 항균부직포(50)를 한번더 위치시키고 상기 밀폐덮개(42)의 체결돌기(43)가 상기 내부용기(30)의 체결턱(33)에 걸리도록 힘을 가하여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밀폐덮개(42)의 외측에는 단열재로 제작된 상기 내부덮개(40)를 이용하여 한번더 결합시켜 밀폐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내부용기(30)를 본체(10)의 내부에 내장시키기 위하여 본체(10)로 부터 덮개(20)를 분리시키고, 본체(10)의 하부면 중심부에 형성된 공기유입공(14)의 상부면에 방충망(16)를 부착한 다음 단열재로 제작된 상기 내부용기(30)를 상기 본체(10) 내부로 삽입한다.
그 후, 상기 본체(10)의 내주면과 상기 내부용기(30)의 외주면이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이격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내부덮개(40)의 상부에 항균부직포(50)를 위치시킨 다음 상기 덮개(20)로 상기 본체(10)의 외측결합부(12)에 결합하여 밀폐한다.
이때, 상기 덮개(20)와 상기 밀폐덮개(42)의 내경은 상기 내,외측결합부(12)의 외경에 비하여 크게 제작되고, 상기 외측결합부(12)에는 복수개의 환기공(13)이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내부덮개(40)는 상기 밀폐덮개(42)에 비하여 크게 제작되되 상기 밀폐덮개(42)를 완전히 감싸안을 수 있도록 밀착되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유골분을 상기 납골함에 내장시켜 보관하게 되면, 상기 외측결합부(12)에 형성된 환기공(13)과 상기 본체(10)의 하부면에 형성된 공기유입공(14)을 통해 통풍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습기가 1차적으로 제거되며, 상기 항균부직포(50)의 수분 흡착기능으로 인하여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결로 현상이나 부패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되며, 활성탄과 세라믹에 의해 미생물 번식이 억제되어 유골분을 최적의 조건에서 안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항균부직포(50)에 의해 흡수되지 못하는 극소량의 수분은 상기 내부용기(30)의 내부로 스며들지 못하며, 상기 내부용기(30)의 하부와 유골분의 상부에는 각각 항균부직포(50)가 구비되어 습기를 방지하고 유골분의 부패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항균부직포(50)에는 은이 더 도포되어 있어 강력한 살균력으로 유해한 세균을 흡수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납골함은 매우 간편한 방법으로 이중밀폐 구조로 제작할 수 있으며, 수분 흡수기능과 항균기능이 더욱 향상되어 유골분이 쉽게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되도록 일정 공간을 구비한 이중구조로 제작하고, 내부용기의 내부에 항균부직포를 내장함으로써 항균기능이 있는 활성탄이나 세라믹에 의해 미생물 번식이 억제되어 최적의 조건에서 안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부용기가 단열재로 성형되어 제작이 간편함과 동시에 단열기능을 향상시켜 유골분을 초기의 양호한 상태로 장기간 유지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유골분이 내장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내부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내부용기로 구성된 납골함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덮개(20)가 개폐되는 부위에 외측결합부(12)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외측결합부(12)의 상부에 일정깊이로 절개된 복수개의 환기공(13)이 형성되고, 하부면 중심부에는 내부와 외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공기유입공(14)이 더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공(14)의 상부에 부착되어 미생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공기유입공(14)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방충망(16)이 구비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부용기(30)는, 단열재로 성형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내부덮개(40)의 상부에 습기를 제거하고 유골분의 부패를 방지하도록 활성탄과 세라믹이 도포된 항균부직포(50)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용기(30)의 내부에 내장되는 유골분의 상부와 하부에는 유골분의 부패를 방지하도록 항균부직포(50)가 각각 더 구비되어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공(1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호 유통되도록 상기 본체(10)와 상기 내부용기(3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60)와, 상기 본체(10)와 상기 내부용기(30)의 저부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다리부(L)를 각각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내부덮개(40)의 내측에는 밀폐덮개(42)가 구비되되, 상기 내부용기(30)의 내측결합부(32) 외주연을 따라 일정깊이로 파여진 체결턱(33)과 체결되도록 상기 밀폐덮개(42)의 내주연으로 돌출되게 체결돌기(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3. 삭제
KR1020040111681A 2004-12-24 2004-12-24 납골함 KR100643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681A KR100643734B1 (ko) 2004-12-24 2004-12-24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681A KR100643734B1 (ko) 2004-12-24 2004-12-24 납골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912A KR20060072912A (ko) 2006-06-28
KR100643734B1 true KR100643734B1 (ko) 2006-11-10

Family

ID=37166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681A KR100643734B1 (ko) 2004-12-24 2004-12-24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3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319B1 (ko) * 2007-01-31 2008-04-02 백상훈 진공 납골함
KR101844115B1 (ko) 2015-07-02 2018-03-30 장찬범 유골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912A (ko)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734B1 (ko) 납골함
KR200389651Y1 (ko) 납골함
KR101844504B1 (ko) 납골함
KR20120101960A (ko) 가족 납골함
KR200418291Y1 (ko) 납골함
KR200399690Y1 (ko)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JP2021167710A (ja) 空気浄化ユニットとその構成部材
KR101844115B1 (ko) 유골함
KR200395140Y1 (ko) 은나노 유골항아리
JP4871998B2 (ja) 通気性を有する二重蓋納骨箱
KR200433886Y1 (ko) 유골항아리
KR200361313Y1 (ko) 납골함
KR20080000626U (ko) 황토석을 이용한 유골함
KR200312500Y1 (ko) 납골함
KR200359908Y1 (ko) 맥반석과 게르마늄을 이용한 납골함
KR200366063Y1 (ko) 납골함
KR200328050Y1 (ko) 탄소성형체 구조의 납골함
KR200211374Y1 (ko) 제오라이트 납골함
KR20190012693A (ko) 핵 방사능 방지를 위한 농산물 저장시스템
KR200246450Y1 (ko) 공기 순환 및 방부 기능을 지닌 납골단지
KR200301215Y1 (ko) 납골함
KR200360067Y1 (ko) 납골함
KR200442396Y1 (ko) 멸균기능을 갖춘 납골함
KR20160118503A (ko) 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가족묘
KR200394573Y1 (ko) 맥반석과 숯을 이용한 납골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