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500Y1 - 납골함 - Google Patents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500Y1
KR200312500Y1 KR20-2003-0005216U KR20030005216U KR200312500Y1 KR 200312500 Y1 KR200312500 Y1 KR 200312500Y1 KR 20030005216 U KR20030005216 U KR 20030005216U KR 200312500 Y1 KR200312500 Y1 KR 2003125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lid
ashes
present
j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2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인달
Original Assignee
노인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인달 filed Critical 노인달
Priority to KR20-2003-00052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5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5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된 유골을 보곤하는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내부에는 유골이 장입되는 몸체(110), 상기 몸체에 덮여지는 뚜껑(12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110)는 하단이 막혀 있고, 상단이 뚫려있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상단의 둘레에는 몸체 수나사(1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120)의 외주 기둥(122)에는 뚜껑 암나사(123)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 수나사(114)와 회전하여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납골함의 몸체와 뚜껑이 나사 결합하여 완전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납골함 내부에 설치되는 수납부에 제습제, 방충제, 방향제, 방취제, 소독제 등의 약품을 넣어 유골을 청결하게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납골함을 외부의 충격 및 열에 강한 특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하되, 상기 특수 합성수지에 게르마늄, 황도, 바이오 세라믹, 옥 등의 성분을 첨가하여 항온, 항습, 살균 등의 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납골함{Ashes Pot}
본 고안은 화장된 유골이 보관되는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는 납곱함의 몸체 상단부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뚜껑에는 몸체의 수나사와 회전하여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되, 뚜껑의 중심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내주 기둥이 있고, 내주 기둥의 수나사에 방습제, 방충제, 방향제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암나사가 형성된 수납부가 회전하여 결합되는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로부터 널리 행해지는 장례 문화는 망자의 시신을 관에 넣고 봉분을 세우는 매장 방식과 망자의 시신을 화장하고 남은 유골을 납골함에 담아 납골당이나 납골묘에 안치하는 화장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통적인 우리의 장례 문화를 볼 때, 대다수가 매장 방식을 선호하고 있는데, 이는 고인은 물론 후손들 역시 시신이 훼손되기를 원하지 않고, 조상을 공경하는 유교와 풍수 지리에 따른 도교의 영향을 받아 오랜 전통적인 문화로 자리 잡은 데 반하여 화장 제도는 한정적인 범위에 머물러 있음이 현실이다. 그러나, 매장식 장묘 제도는 긍정적 측면보다는 불합리한 요소를 보다 많이 내재하고 있어 점차 화장식 장례 문화, 이중에서도 특히 납골식 장묘 제도를 선호하는 경향이 확산되어 가고 있고, 국가적으로도 이러한 제도의 활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화장식 장례 문화는 본래 불교의 다비식에서 전래되어온 것으로 인도를 포함한 많은 불교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구미 각국에서도 자국의 산야를 보호하거나, 공원화를 조성하기 위해 화장식 장묘 제도 중 하나인 납골묘나 납골당으로 대체하고 있다.
한편, 현재 납골묘나 납골당에 사용되는 납골함은 통상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유골을 담을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된 단지부재와 단지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단지부재를 밀폐시키는 뚜껑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단지부재와 단지부재를 밀폐시키기 위한 뚜껑부재는 주로 옥이나 대리석 등과 같은 천연석재를 사용하고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현재 납골함의 단지부재와 뚜껑부재는 뚜껑부재가 단순히 단지부재에 얹혀지거나 끼워지는 구조이거나 완전히 밀봉되어 다시 개봉하기가 힘든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단지부재와 뚜껑부재가 얹혀지거나 끼워지는 구조의 경우 단지부재 내부로 공기나 수분 등이 유입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유골함을 모시거나 옮기다가 실수로 떨어뜨리는 경우 단지부재에 장입된 유골이 쏟아져 신성한 유골의 일부가 분실되거나 더렵혀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단지부재와 뚜껑부재가 밀봉되는 납골함은 단지부재에 장입된 유골이 외부로 유출될 염려는 없지만, 유골함을 다시 개봉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후손이 유골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밀봉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단지부재 내외부의 기온차, 습도 등에 의해 단지부재 내부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여 유골이 변질되고,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는 납곱함의 몸체 상단부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뚜껑에는 몸체의 수나사와 회전하여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되, 뚜껑의 중심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내주 기둥이 있고 내주 기둥의 수나사에 방습제, 방충제, 방향제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암나사가 형성된 수납부가 회전하여 결합되는 납골함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의 평면 분해 사시도 및 뚜껑의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몸체 114 : 몸체 수나사
120 : 뚜껑 122 : 외주 기둥
123 : 뚜껑 암나사 126 : 내주 기둥
127 : 뚜껑 수나사 130 : 수납부
132 : 수납부 암나사 134 : 수납망
200, 300 : 납골함 210, 220 : 결합 부분
230 : 약품 310 : 납골 항아리
320 : 고정부 330 : 유골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화장된 유골을 보관하는 납골함에 있어서, 내부에는 유골이 장입되는 몸체(110), 상기 몸체에 덮여지는 뚜껑(12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110)는 하단이 막혀 있고, 상단이 뚫려있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상단의 둘레에는 몸체 수나사(1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120)의 외주 기둥(122)에는 뚜껑 암나사(123)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 수나사(114)와 회전하여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의 평면 분해 사시도 및 뚜껑(120)의 저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은 몸체(110), 몸체(110)에 나사 결합되어 덮여지는 뚜껑(120) 및 뚜껑(120)에 나사 결합되는 수납부(130)로 구성된다.
유골이 담겨지는 몸체(110)는 대략 밑면이 막힌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몸체(110)의 외주면(112) 상단부에는 몸체 수나사(11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몸체(110)와 결합되는 뚜껑(120)은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직경의 원통 모양의 내주 기둥(126)이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주 기둥(126)의 외부에는 내주 기둥(126)보다 직경이 큰 외주 기둥(1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주 기둥(126)의 외주면에는 뚜껑 수나사(127)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 기둥(122)의 내주면에는 뚜껑 암나사(123)가 형성되어 있다. 외주 기둥(122)에 형성된 뚜껑 암나사(123)는 뚜껑(120)이 몸체(114)와 결합할 때, 회전에 의해 몸체 수나사(114)와 나사 결합한다.
또한, 도 1a에는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몸체(110)와 뚜껑(120)이 나사 결합할 때, 수분이나 공기의 유입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천연고무, 합성고무, 피혁, 석면 등의 비강체(非剛體) 물질로 제조된 패킹(Packing)(미도시)을 이용하여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내주 기둥(126)에 형성된 뚜껑 수나사(127)는 수납부(1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수납부 암나사(132)와 나사 결합한다. 수납부(130)는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소정의 수납망(134)으로 덮여 있는 비교적 높이가 낮은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수납망(134)은 그물처럼 비교적 촘촘하게 엮어져 있으며, 다수의 작은 홈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도 1a의 수납망(134)은 다수의 작은 홈을 갖는 그물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여하한 형상도 가능할 것이다. 수납망(134)에는 몸체(110)에 장입되는 유골의 제습, 방충, 방향, 방취 및 미생물의 번식 억제를 위해 제습제, 방충제, 방향제, 방취제 및 소독제가 놓여진다. 따라서, 유골에 습기가 차거나 벌레나 미생물의 영양분으로 유골이 식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유골함에서 향기가 발산되므로 조문객들은 보다 깨끗한 환경에서 조문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200)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의 몸체(110)에 뚜껑(120)이 나사 결합되어 밀봉된 상태이다. 도 2의 몸체(110)와 뚜껑(120)의 결합 부분(210) 및 뚜껑(120)과 수납부(130)의 결합 부분(220)의 부분 확대도에서 알 수 있듯이, 각각의 결합 부분(210, 220)은 암나사 및 수나사의 나사 결합 구조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수납부(130)의 내부에는 도 1에서 설명한 제습제, 방충제, 방향제, 방취제, 소독제 등의 약품(230)이 수납망(134) 위에 놓여질 수 있다. 이러한 약품(220)은 대개 고체 상태로 기화되어 수납망(134)의 홈을 통해 몸체(110)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납골함(200)의 몸체(110), 뚜껑(120) 및 수납부(130)는 납골함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특수 합성수지의 일종인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ABS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과 부타디엔의 혼성 중합체 및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혼성 중합체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수지로 가공하기 쉽고, 내충격성이 크고, 내열성이 좋은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납골함(200)을 제작할 때, ABS수지에 게르마늄(Germanium), 바이오 세라믹(Bio-Ceramics), 황토, 옥 등의 성분을첨가한다. 따라서, 게르마늄, 바이오 세라믹, 황토, 옥 등의 성분이 첨가된 납골함(200)은 항온, 항습, 살균 등의 기능을 가지게 되어 유골을 보다 청결한 상태로 장기간 보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300)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300)은 본 고안의 납골함(200)에 기존에 사용하던 일반적인 납골 항아리(310)를 넣어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에 사용하던 유골(330)이 보관되어 있는 납골 항아리(310)를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200)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해 몸체(110) 내부에 레일 또는 홈 형상의 고정부(320)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320)는 납골 항아리(310)에 밀착되게 끼워져 납골함(300)이 움직이게 되는 경우 납골 항아리(310)을 안전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300)은 안에 내장되는 납골 항아리(310)의 외관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몸체(110)를 소정의 투명한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납골 항아리(310)에 식별을 위해 부착되어 있거나 걸려 있는 명패나 장신구 등을 조문객 등이 납골 항아리(310)를 꺼내지 않고도 납골함(300)을 통해 바로 확인하여 조문을 할 수 있도록 몸체(110) 등을 투명하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300)도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수납부(130)가 뚜껑(120)과 나사 결합되고, 뚜껑(120)은 몸체(110)와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300)을 이용하면 종래 제습, 방취, 방향, 살균 등의 기능이 거의 없던 납골 항아리(310)를 사용하여 유골(330)을 제대로 보존하지 못했던 후손들도 유골을 거의 완벽하게 처음 상태로 장기간 보존할 수 있어 조상에 대한 예를 한층 더 지킬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종래 납골함은 습기, 온도, 벌레, 미생물 등에 취약하기 때문에 유골을 원상태로 장기간 보존하기가 어려웠지만, 본 고안에 따르면 납골함의 몸체와 뚜껑이 서로 나사 결합하게 되므로 완전 밀봉 및 개폐가 용이하여 유골을 원상태로 오랜 시간동안 청결하게 보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뚜껑 내면쪽으로 제습제, 방취제, 방향제, 소독제 등의 약품을 놓을 수 있는 수납부를 뚜껑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유골의 원상 보존 및 조문객에게 불쾌한 냄새를 주지 않도록 하였고, 외부 충격에 강한 특수 합성수지에 게르마늄, 세라믹, 옥, 황토 등의 성분을 첨가하여 납골함을 제작하여 납골함의 파손 방지 및 유골의 청결한 보존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다.

Claims (12)

  1. 화장된 유골을 보관하는 납골함에 있어서,
    내부에는 유골이 장입되는 몸체(110), 상기 몸체에 덮여지는 뚜껑(12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110)는 하단이 막혀 있고, 상단이 뚫려있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상단의 둘레에는 몸체 수나사(1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120)의 외주 기둥(122)에는 뚜껑 암나사(123)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 수나사(114)와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20)의 중심부에는 상기 외주 기둥(122)보다 직경이 작고, 뚜껑 수나사(127)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내주 기둥(12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은 납작한 원통 형상이고, 상기 원통 형상의 내주면에는 수납부 암나사(132)가 형성된 수납부(1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납부 암나사(132)는 상기 뚜껑 수나사(127)와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30)의 하단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홈을 가진 수납망(13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망(134)은 하나 이상이 홈이 촘촘하게 배열된 그물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30)에는 납골함 내부의 습기 제거를 위한 제습제, 냄새 제거를 위한 방취제, 향기 발산을 위한 방향제, 벌레 퇴치를 위한 방충제 및 세균 증식 억제를 위한 소독제 중 전부나 일부가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은 충격 및 열에 강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BS수지에는 항온, 항습 및 살균의 효과를 갖는 게르마늄(Germanium), 황토, 바이오 세라믹(Bio-Ceramics) 및 옥 성분 중 전부나 일부가 첨가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에는 상기 몸체(110) 내부의 바닥에 고정부(3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20)는 레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유골(330)이 장입되어 있는 소정의 납골 항아리(310)가 내장되어 상기 고정부(320)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 항아리(310)가 내장되는 상기 몸체(110)는 외부에서 상기 몸체(110)를 통해 상기 납골 항아리(310)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KR20-2003-0005216U 2003-02-21 2003-02-21 납골함 KR200312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216U KR200312500Y1 (ko) 2003-02-21 2003-02-21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216U KR200312500Y1 (ko) 2003-02-21 2003-02-21 납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500Y1 true KR200312500Y1 (ko) 2003-05-12

Family

ID=4940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216U KR200312500Y1 (ko) 2003-02-21 2003-02-21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5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776B1 (ko) 2013-10-16 2013-11-29 김수진 항균 기능을 갖는 봉안단
KR101844115B1 (ko) * 2015-07-02 2018-03-30 장찬범 유골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776B1 (ko) 2013-10-16 2013-11-29 김수진 항균 기능을 갖는 봉안단
KR101844115B1 (ko) * 2015-07-02 2018-03-30 장찬범 유골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64869A1 (en) Urn and planter assembly
US11701284B2 (en) Coffin in particular for burial in the ground
KR200312500Y1 (ko) 납골함
KR101414452B1 (ko)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진 침대용 매트리스
KR200418291Y1 (ko) 납골함
KR20120101960A (ko) 가족 납골함
KR200399690Y1 (ko)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KR200337594Y1 (ko) 납골함
KR101844115B1 (ko) 유골함
KR200173781Y1 (ko) 유골함
RU6252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зодорации и ароматизации воздуха
KR200420011Y1 (ko) 납골함
KR200301215Y1 (ko) 납골함
JP3208912U (ja) 消臭剤
KR200429899Y1 (ko) 납골단지
KR20200088660A (ko) 이중용기 구조의 납골함
KR200250706Y1 (ko) 봉분식 납골묘의 유골함 보관 장치
KR100643734B1 (ko) 납골함
KR20050100040A (ko) 납골단지
KR200442396Y1 (ko) 멸균기능을 갖춘 납골함
KR20040035355A (ko) 납골함
KR20060090371A (ko) 기능성 납골단지
KR200328050Y1 (ko) 탄소성형체 구조의 납골함
KR200395140Y1 (ko) 은나노 유골항아리
KR200361313Y1 (ko) 납골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