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690Y1 -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 Google Patents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690Y1
KR200399690Y1 KR20-2005-0023926U KR20050023926U KR200399690Y1 KR 200399690 Y1 KR200399690 Y1 KR 200399690Y1 KR 20050023926 U KR20050023926 U KR 20050023926U KR 200399690 Y1 KR200399690 Y1 KR 200399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id
jade
charcoal
ossu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택
Original Assignee
이근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택 filed Critical 이근택
Priority to KR20-2005-0023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6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6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평평한 바닥부에 외벽과 통기공을 다수개 형성한 내벽이 모두 일체된 옥납골함이 구성되어, 상기 내벽의 내부로 목초액 성분이 함유된 목초액한지를 다수 겹 부착하고, 내벽과 외벽 사이에 숯알갱이를 채운 본체부와, 통기공을 다수개 형성한 뚜껑으로 구성된 옥 납골함을 구성하여, 이에 한지로 싼 유골을 보관함에 따라, 통기 및 자동 습도 조절로 유골의 변질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크게 본체부(10) 및 뚜껑(20)으로 구성되며, 그 구조를 대략 설명하면, 평평한 바닥부(11)에 수직으로 외벽(12) 및 내벽(13)이 일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가 비고 상부가 트인 본체부(10)를 형성하되, 외벽(12)의 내부로는 관통된 통기공(13')이 다수개 형성된 내벽(13)이 외벽(12)보다 높게 형성하고, 이 내벽(13)의 내부로는 목초액 성분이 함유된 목초액한지(14)를 다수 겹 부착하며, 상기 외벽(12)과 내벽(13) 사이에 숯알갱이(15)를 채우고, 이에 한지상자(16a)에 숯알갱이(16b)를 넣어 밀봉한 숯수용편(16)으로 끼워 막은 본체부(10)를 구성하고, 뚜껑(20)을 구성하되, 하부 가장자리 내측을 따라 일정깊이의 조립홈(21)을 형성하며, 그 측면에는 상기 조립홈(21)으로 관통된 통기공(22)을 형성한 뚜껑(20)이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10)에 뚜껑(20)이 조립되어 납골함(30)을 구성하는 대략적인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납골함은, 안치할 유골을 한지에 싸서 본체부에 담고 뚜껑을 닫아, 납골당, 납골묘 등에 안치하며, 이는 내부에 다수 겹으로 형성한 목초액 한지에 의해 곰팡이의 발생 및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고, 옥으로 형성된 납골함, 본체부 및 뚜껑에 형성된 통기공에 의한 통풍과, 숯의 특성인 습도 조절 기능 및 탈취 기능으로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는 특성이 있다.

Description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 the jade funeral urn with holes for ventilation }
본 고안은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평평한 바닥부에 외벽과 통기공을 다수개 형성한 내벽이 모두 일체된 옥납골함이 구성되어, 상기 내벽의 내부로 목초액 성분이 함유된 목초액한지를 다수 겹 부착하고, 내벽과 외벽 사이에 숯알갱이를 채운 본체부와, 통기공을 다수개 형성한 뚜껑으로 구성된 옥 납골함을 구성하여, 이에 한지로 싼 유골을 보관함에 따라, 통기 및 자동 습도 조절로 유골의 변질을 방지하는 것이다.
최근의 장묘문화는 매장보다 화장을 장려하는 추세로, 이는 고인의 유골이나 분골을 납골함에 넣어, 납골당 및 납골묘에 안치하며, 상기 납골함은 유골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고, 냄새 발생의 방지 및 발생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항온, 항습, 항곰팡이, 항균, 방충, 통풍, 탈취 기능이 있어야 하며, 내구성이 좋고, 불연성으로 제작되어, 안치 기간에 구애받지 않고, 화재 및 재난에 의한 소실이 없도록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또한, 국내등록실용실안 제36606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납골함에 직접 통기공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별도로 마련된 공간에 탈취제를 구비한 납골함에 관한 내용이 고안되었으나, 이는 통풍공에 의해 외관의 심미성이 떨어지며, 외부와 연결된 통풍공으로 해충이 침입할 우려가 크고, 부패된 유골의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기 쉬우며, 탈취제의 교환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평평한 바닥부에 수직으로 외벽을 형성하고, 그 내부로 일정 간격으로 통기공을 다수개 형성된 내벽을 일체로 형성되어, 내벽의 내부에 목초액 성분이 함유된 목초액한지를 다수 겹 부착하고, 내벽과 외벽 사이에 숯알갱이가 채워진 본체부와, 관통된 통기공을 다수개 형성한 뚜껑으로 이루어진 옥 납골함을 구성하여, 이에 한지로 싼 유골을 보관함에 따라, 결로를 방지하고, 통기 및 자동 습도 조절로 유골의 변질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평평한 바닥부에 외벽과 통기공을 다수개 형성한 내벽이 모두 일체된 옥납골함이 구성되어, 상기 내벽의 내부로 목초액 성분이 함유된 목초액한지를 다수 겹 부착하고, 내벽과 외벽 사이에 숯알갱이를 채운 본체부와, 통기공을 다수개 형성한 뚜껑으로 구성된 옥 납골함을 구성하여, 이에 한지로 싼 유골을 보관함에 따라, 통기 및 자동 습도 조절로 유골의 변질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크게 본체부(10) 및 뚜껑(20)으로 구성되며, 그 구조를 대략 설명하면, 평평한 바닥부(11)에 수직으로 외벽(12) 및 내벽(13)이 일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가 비고 상부가 트인 본체부(10)를 형성하되, 외벽(12)의 내부로는 관통된 통기공(13')이 다수개 형성된 내벽(13)이 외벽(12)보다 높게 형성하고, 이 내벽(13)의 내부로는 목초액 성분이 함유된 목초액한지(14)를 다수 겹 부착하며, 상기 외벽(12)과 내벽(13) 사이에 숯알갱이(15)를 채우고, 이에 한지상자(16a)에 숯알갱이(16b)를 넣어 밀봉한 숯수용편(16)으로 끼워 막은 본체부(10)를 구성하고, 뚜껑(20)을 구성하되, 하부 가장자리 내측을 따라 일정깊이로 파인 조립홈(21)을 형성하며, 그 측면에는 상기 조립홈(21)으로 관통된 통기공(22)을 형성한 뚜껑(20)이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10)에 뚜껑(20)이 조립되어 납골함(30)을 구성하는 대략적인 구조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본체부(10)는 평평한 바닥부(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두께의 외벽(12)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이 외벽(12)의 내부로는 일정 거리를 두고 내벽(13)을 형성하되, 이 내벽(13)은 외벽(12)보다 높게 형성하고, 내벽(13) 전체에는 일정 간격으로 관통된 통기공(13')을 다수개 형성하며, 상기 바닥부(11)와 외벽(12) 및 내벽(13)이 옥납골함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가 비고 상부가 트인 용기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내벽(13)의 내부로는 목초액에 침지하여 자연 건조한 목초액한지(14)를 접착제로 세 겹 이상의 다수 겹으로 부착하되, 이 목초액한지(14)를 부착하는 접착제는 숯가루를 천연접착제와 혼합한 것으로 부착하며, 외벽(12)과 내벽(13) 사이의 틈에는 숯알갱이(15)가 채워지고, 다수개의 숯수용편(16)으로 긴밀히 끼워 숯알갱이(15)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데, 상기 숯수용편(16)은 한지, 또는, 목초액한지로 만든 한지상자(16a)에 숯알갱이(16b)를 넣어 밀봉한 것으로, 외벽(12)과 내벽(13) 사이의 단면 형상에 따라 그 틈을 메울 수 있도록 숯수용편(16)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뚜껑(20)은 일정 두께를 가지고 본체부(10)를 덮을 수 있는 것으로, 하부의 가장자리 내측에 일정 깊이 및 폭으로 파인 조립홈(21)을 형성하며, 이 뚜껑(20)의 측면으로는 상기 조립홈(21)과 관통되는 통기공(22)을 다수개 형성하되, 이는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20)에 형성하는 통기공(22)은 본체부(10)의 내벽(13)에 형성된 통기공(22)과 일치되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본체부(10)와 뚜껑(20)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에 형성된 조립홈(21)을 상기 본체부(10)의 내벽(13)에 끼움되게 덮어 납골함(30)을 구성하며, 이 납골함(30)의 사용 방법을 살펴보면, 이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할 유골을 한지(31)에 싸서 본체부(10)에 담고 뚜껑(20)을 닫아 납골당, 납골묘 등에 안치한다.
따라서, 이는 내부에 다수 겹으로 형성한 목초액한지에 의해 곰팡이의 발생 및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고, 또, 외벽 및 내벽의 이중구조와 그 사이에 형성된 숯알갱이로 인해, 외기가 직접 내벽에 닿지 않으므로, 납골함 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옥으로 형성된 납골함, 본체부 및 뚜껑에 형성된 각 통기공에 의한 통풍과, 숯의 특성인 습도 조절 기능 및 탈취 기능으로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는 특성이 있다.
또한, 상기 납골함에 구성하는 재료에 관해 참고로 설명하면, 먼저, 숯은 목재를 가열하되, 공기를 차단, 또는, 희박하게 공급하면서 발생한 고체 생성물로, 가열로 발생한 많은 세공으로 단위 부피당 차지하는 표면적이 넓어져,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습도조절이 가능한데, 주로 참나무, 소나무, 대나무를 소재로 한 숯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목초액(木醋液)은 나무를 숯으로 만들 때 발생하는 연기가 외부 공기와 접촉하면서 액화하는 것을 채취한 것으로, 강력한 살균효과와 균 성장 억제 기능이 있고, 또,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으며, 한지(韓紙)는 한국 고유의 기법으로 뜬 종이로, 주로 닥나무나 삼지닥나무 껍질을 원료로 뜨며, 이는 질겨서 잘 찢어지지 않고, 우수한 제습 능력과 통풍성이 좋은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평평한 바닥부에 수직으로 외벽을 형성하고, 그 내부로 일정 간격으로 통기공을 다수개 형성된 내벽을 일체로 형성되어, 내벽의 내부에 목초액 성분이 함유된 목초액한지를 다수 겹 부착하고, 내벽과 외벽 사이에 숯가루가 채워진 본체부와, 관통된 통기공을 다수개 형성한 뚜껑으로 이루어진 옥 납골함을 구성하여, 이에 한지로 싼 유골을 보관함에 따라, 통기 및 자동 습도 조절로 유골의 변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부 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4의 A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부 11 : 바닥부 12 : 외벽
13 : 내벽 14 : 목초액한지 15 : 숯알갱이
16 : 숯수용편 21 : 조립홈 30 : 납골함

Claims (6)

  1. 옥으로 바닥부(11)와 외벽(12) 및 내벽(13)을 일체로 형성하되, 평평한 바닥부(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으로 외벽(12)을 형성하고, 관통된 통기공(13')을 다수개 형성한 내벽(13)을 외벽(12)의 내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내벽(13)의 내부에 목초액 성분이 함유된 목초액한지(14)를 접착제로 다수 겹 부착하고, 외벽(12)과 내벽(13) 사이에 숯알갱이(15)를 채우고, 이를 한지로 만든 한지상자(16a)에 숯알갱이(16b)가 밀봉된 숯수용편(16)으로 막은 본체부(10)와, 본체부(10)를 덮는 옥 뚜껑(20)으로 이루어진 납골함(30)을 구성하여,
    이에 유골이 안치되어 유골의 변질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은, 그 하부에 일정 깊이로 파인 조립홈(21)을 형성하고, 뚜껑(13)의 측면에 조립홈(21)과 관통된 통기공(22)을 다수개 형성하여, 통풍이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통기공(22)은, 본체부(10)의 내벽(13)에 형성된 통기공(13')과 일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초액한지(14)를 붙이는 접착제로는, 천연접착제에 숯가루를 혼합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습도 조절 기능을 높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관되는 유골은 한지(31)에 싸여 납골함(30)에 안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부(11)와 뚜껑(20)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납골함(30)이 실린더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KR20-2005-0023926U 2005-08-17 2005-08-17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KR200399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926U KR200399690Y1 (ko) 2005-08-17 2005-08-17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926U KR200399690Y1 (ko) 2005-08-17 2005-08-17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690Y1 true KR200399690Y1 (ko) 2005-10-26

Family

ID=43700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926U KR200399690Y1 (ko) 2005-08-17 2005-08-17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6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970B1 (ko) 2021-10-06 2022-02-08 (주)에스에이치산업 유골함
KR102355971B1 (ko) 2021-10-06 2022-02-08 (주)에스에이치산업 유골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970B1 (ko) 2021-10-06 2022-02-08 (주)에스에이치산업 유골함
KR102355971B1 (ko) 2021-10-06 2022-02-08 (주)에스에이치산업 유골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9690Y1 (ko)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KR200386000Y1 (ko) 통기공을 형성한 도자기 납골함
KR200398685Y1 (ko) 항습재의 교환이 용이한 납골함
JPH07155090A (ja) 昆虫飼育箱の構造
KR101844504B1 (ko) 납골함
KR20120101960A (ko) 가족 납골함
KR102368952B1 (ko) 반려 동물용 유골함
KR200418291Y1 (ko) 납골함
KR200433886Y1 (ko) 유골항아리
KR200380182Y1 (ko) 단지형 유골함
KR200442396Y1 (ko) 멸균기능을 갖춘 납골함
KR100945572B1 (ko) 매장용 명당관
KR200433174Y1 (ko) 장식물이 배치된 납골함 안치단의 구조
KR200337594Y1 (ko) 납골함
KR20200088660A (ko) 이중용기 구조의 납골함
KR200173781Y1 (ko) 유골함
KR200256261Y1 (ko) 유골함
KR200360067Y1 (ko) 납골함
KR200301215Y1 (ko) 납골함
KR200182270Y1 (ko) 본초의 효과를 제공하는 가구
KR200395146Y1 (ko) 납골함
KR200312500Y1 (ko) 납골함
KR101420316B1 (ko) 납골함과 그 제조방법
KR200389611Y1 (ko) 납골함
JP3281356B2 (ja) 甲虫の飼育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