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572B1 - 매장용 명당관 - Google Patents

매장용 명당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572B1
KR100945572B1 KR1020080002273A KR20080002273A KR100945572B1 KR 100945572 B1 KR100945572 B1 KR 100945572B1 KR 1020080002273 A KR1020080002273 A KR 1020080002273A KR 20080002273 A KR20080002273 A KR 20080002273A KR 100945572 B1 KR100945572 B1 KR 100945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ver
hall
myeongdang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367A (ko
Inventor
윤재관
Original Assignee
윤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관 filed Critical 윤재관
Priority to KR1020080002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572B1/ko
Publication of KR20090076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A61G17/048Adaptation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decomposing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장용 명당관(明堂棺)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매장된 토양 조건에 관계없이 명당관(明堂棺)의 내부 환경(습도나 온도 등)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해충이나 나무뿌리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며, 유해의 뼈가 황골(黃骨)이 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된 바닥판(11)의 둘레에서 벽판(13)이 상향 입설된 명당관 본체(10)와, 상기 명당관 본체를 덮을 수 있도록 상판(21)의 둘레에서 측판(23)이 하향 설치된 커버(20)와, 상기 커버(20) 내에 전분 또는 숯이 내장되도록 하나 이상의 공간이 형성되고, 커버(20) 내부가 외부 및 명당관 본체 내부와 각각 연통하도록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되, 커버(20)의 각 통기공을 폐쇄하도록 내면에 한지(P)가 부착되고, 상기 명당관 본체(10)의 바닥판(11) 상면 또는 벽판(13) 내면에 숯(31)이 저장된 패드(30)가 설치된 매장용 명당관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매장용 명당관{A PROPITIOUS COFFIN FOR BURIAL}
본 발명은 매장용 명당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시신이 보관된 명당관 내부의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시신의 골이 누런 색의 황골(黃骨)이 되게 하는 매장용 명당관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매장문화는 땅 속에 유해를 묻어 묘지를 만드는 형태가 주류를 이루어 왔으며, 묘지는 국토 면적에 비해 인구밀집도가 높은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묘지 면적 증가로 인해서 국토의 이용 가능한 면적이 감소하는 문제와 아울러 묘지를 만들기 위한 산림 훼손 문제 등이 대두함에 따라 최근에는 유해를 화장한 뒤 납골당에 모시는 등의 납골 문화가 부각되고 있기는 하나, 아직까지 대부분의 사람은 고유한 전통적인 묘지 매장을 선호하고 있다.
묘지 매장은 나무 등으로 제작된 관 속에 시신을 안치한 다음 땅 속에 묻는 형태로, 이는 유해가 잘 분해되어 흙 속에 묻힘으로써 자연으로 복귀하기를 기원하는 염원이 담겨 있다 할 것인데, 관이 묻힌 토양에 수분이 지나치게 많거나 혹은 부족한 경우 유해가 정상적으로 분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토지의 온도가 낮으면 유해가 어는 등의 냉해를 입어서 탈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 이 있다.
또한, 관 내부로 해충이 유입하기 쉽기 때문에 해충에 의해서 유해가 훼손됨은 물론, 아카시아 나무와 같이 뿌리의 성장이 왕성한 나무가 주변에 있는 경우 나무뿌리가 시신을 감싸서 양분을 흡수하는 경우도 있으며, 우리의 풍습에 의하면 이와 같이 유해가 정상적으로 분해되지 않게 되면, 후손이 좋지 않다는 인식이 팽배해 있어서,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유족들은 묘 자리를 잘 살피는 등, 명당자리를 선호한 나머지 이장을 하는 경우도 흔히 볼 수 있다.
또한, 국내 풍습의 하나인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무덤 속에서 누렇게 된 해골을 황골(黃骨)이라 칭하는데, 이는 토지의 온도와 습도가 적당하여 유해가 정상적으로 분해됨에 따라 유골이 누런 색으로 변한 것이며, 그런 무덤을 길혈(吉穴)이라 하며 후손들에게 복이 온다고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관 내부로의 해충 유입과 나무뿌리가 시신을 감싸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고, 관 내부의 습도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통기성을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시신이 자연 분해되고 뼈는 황골(黃骨)이 될 수 있게 하는 매장용 명당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매장용 명당관은, 바닥판(11)의 둘레에서 벽판(13)이 상향 입설된 명당관 본체(10)와, 상기 명당관 본체를 덮을 수 있도록 상판(21)의 둘레에서 측판(23)이 하향 연결된 커버(20)와, 상기 커버(20) 내에 전분 또는 숯이 내장되도록 하나 이상의 공간이 형성되고, 커버(20) 내부가 외부 및 명당관 본체 내부와 각각 연통하도록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커버 내의 공간은, 상판(21)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하나 이상의 통기공(26)이 구비된 격판(25)과, 상기 격판(25)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하나 이상의 통기공(28)이 형성된 하판(27)에 의해 2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커버(20)의 각 통기공을 폐쇄하도록 내면에 한지(P)가 부착되고, 상판(21)과 격판(25) 사이에 전분이 저장되며, 격판(25)과 하 판(27) 사이에 숯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명당관 본체(10)의 바닥판(11) 상면 또는 벽판(13) 내면에 숯(31) 저장된 패드(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패드(30)는 직물지로 되고, 그 내부에 저장된 숯(31)이 복수 개의 공간에 분산 저장되도록 하는 재봉부(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패드(30) 가장자리에 테두리부(33)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33)가 바닥판(11)과 벽판(13) 사이의 이음부(15) 또는 각 벽판(13) 사이의 이음부(16)에 개재된 상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각 이음부(15)(16)는 상호 경사지게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벽판(13) 및 측판(23)의 각 외면에 각 벽판(13) 및 측판(23)의 길이와 대응하는 장신용 조각판이 부착되되, 상기 명당관 본체(10) 및 커버(20)의 각 모서리부는 각 조각판의 단부가 경사지게 접촉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매장용 명당관에 의하면, 명당관 본체 및 커버 내에 설치된 숯에 의해서 명당관 내부로 해충이나 벌레 등이 침입하는 것과 미생물이 번식하지 않게 되고, 또한 나무뿌리가 명당관 내부로 침입하여 시신을 감싸는 것이 방지되어 시신이 분해되기까지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내에 저장된 전분과 명당관 바닥과 커버 부분에 형성된 통기공에 의해서 명당관 내부의 통기성과 습도 및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유해가 분해될 때, 전분과 함께 혼합, 분해되므로 탈골이 되지 않는 등의 현상이나 냉해를 입는 등의 문제점 없이 자연 분해되어 뼈가 황골이 되어 유족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명당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명당관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절개하여 보인 명당관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매장용 명당관(明堂棺)은, 크게 시신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관 본체(10)와 상기 명당관 본체(10)의 상단 개방면을 덮을 수 있는 커버(20)로 대별된다.
상기 명당관 본체(10)는 대략 직사각 형태 혹은 그와 유사한 형태로서 유해가 누운 상태로 안치될 수 있는 형태 및 크기를 가진 바닥판(11)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1)의 둘레에는 벽판(13)이 수직하게 상향 설치되어 상단이 개방된 일종의 상자 형태로 되며, 상기 바닥판(1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12)이 형성되어 명당관 본체(10) 내부와 외부가 서로 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20)는 명당관 본체(10)와 거의 대응하는 형태와 크기로 된 상 판(21)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21)의 둘레에서 수직하게 하향 설치된 측판(23)이 구비되며, 커버(20) 내부에는 전분이나 숯이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중공(中空) 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커버(20) 내부와 외부 그리고, 커버 내부와 상기 명당관 본체(10) 내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적절한 위치에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1)의 하측에는 상판(21)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측판(23) 내면에 고정 설치된 격판(25)이 형성되어 상판(21)과 격판(25)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한 다음 여기에 전분을 저장하고, 또한 격판(25)의 하측에는 격판(25)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측판(23) 내면에 고정 설치된 하판(27)을 마련하여 격판(25)과 하판(27)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한 다음 숯 분말 혹은 알갱이를 저장하는 형태로 하여, 커버(20) 내에 공간을 2층으로 형성함으로써 2가지 물질을 저장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로 하면 커버(20) 내에 3층 이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각각의 내부에 다른 물질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판(21) 혹은 측판(23)에는 각각 상판 통기공(22)과 측판 통기공(24)을 형성하여 커버 내부가 명당관의 외부와 연통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통기공(22)(24)들은 도면의 실시예로 제한됨 없이 그 수량이나 위치 및 크기 등은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커버(20) 내에 저장된 전분이나 숯 분말이 각 통기공을 통해 쉽게 유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도 3과 같이 전분이나 숯을 넣기 전에 각 통기공에 통기성이 양호한 한지(P)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지(P)는 통기성이 있고, 수분과 접촉되면 쉽게 분해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커버(20) 내에 전분 혹은 숯을 저장할 때, 먼저 한지로 통기공을 막을 상태에서 전분 혹은 숯을 저장하면, 숯이나 전분이 통기공을 통해서 유출되지 않게 되고, 이후 명당관을 땅 속에 묻으면, 땅 속의 습기에 의해서 한지(P)가 제일 먼저 분해되므로 숯이나 전분이 유해가 안치된 명당관 본체(10) 내부로 유입됨은 물론, 외부 흙과도 섞이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당관 본체(10)의 벽판(13) 외면과 커버(20)의 측판(23) 외면에는 여러 가지 모양이나 조각이 가미된 조각판(부호 미표시)이 부착, 고정되어 명당관의 외관을 장식할 수 있는데, 상기 조각판은 명당관의 외측 길이 변과 동일한 크기로 되고, 명당관의 각 모서리 부분, 즉 길이가 긴 벽판(13)과 길이가 짧은 벽판(13)이 상호 연접하는 부위에는 각 조각판의 끈 부분 측면을 45도 경사지게 하여 상호 접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흡사 나무로 제조된 사진틀의 모서리 부분을 45도로 경사지게 하여 서로 연결한 것과 같은 형태이다(후술하는 도 6에 관한 설명 참조).
도 1 및 도 3과 같이 명당관 본체(10) 내의 바닥판(11) 상단에는 숯 패드(30)가 설치되며, 이 경우 유해(미도시)는 상기 숯 패드(30) 상에 안치된다.
상기 숯 패드(30)는 직물지, 바람직하게는 삼베나 면과 같은 천연 소재로 제조된 것이 좋으나, 이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직물지를 포개어 내부에 숯(31)이 저장되도록 하되, 숯(31)이 한 곳에 뭉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바느질과 같은 재봉부(32)를 형성하여 패드(30)를 여러 개의 구획된 방으로 분리한 다음, 각 방에 숯(31)을 넣는 형태로 제조한다.
또한 상기 패드(30)의 가장자리에 숯이 저장되지 않은 테두리부(33)를 형성하고, 이 테두리부(33)를 이용하여 명당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바닥판(11) 상에 테두리부(33)가 형성된 패드(30)를 안착시킨 다음, 바닥판(11)의 각 선단 측면에 테두리부(33)를 물린 상태에서 벽판(13)의 하단을 바닥판(11) 테두리에 부착 고정하면, 테두리부(33)는 바닥판(11)과 벽판(13) 사이의 각 이음부(15)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므로, 숯 패드(3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앞서 명당관의 외부에 부착되는 조각판 고정 방식을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바닥판(11)과 벽판(13)의 각 이음부(15)를 45도 정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경사면이 상호 접촉,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명당관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 상태의 명당관의 결합 구조를 보이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상기 숯 패드(30)는 바닥판(11)의 상단뿐만 아니라, 벽판(13)의 내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즉, 길이가 긴 벽판(13)의 내면에 그것과 거의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가지는 제1 패드(30a)가 부착될 수 있고, 길이가 짧은 벽판(13)의 내면에도 그것과 거의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가지는 제2 패드(30b)가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각 패드(30a)(30b)의 내부에도 숯(31)이 저장되며, 역시 재봉부(32)에 의해서 여러 구획으로 분리되어 숯(31)이 패드의 어느 한 부분으로 몰리거나 뭉치지 않게 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각 숯 패드(30a)(30b)의 가장자리에는 테두리 부(33)를 형성하여, 각 벽판(13)(13)이 상호 연결되는 이음부(16) 사이에 테두리부(33)를 끼워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각 벽판(13)(13)의 이음부(16)를 경사지게 하여 경사면이 상호 연접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각 벽판(13)(13) 외면에 조각판이 부착되는 경우에도, 각 이음부(16)가 경사지게 연접하여 고정된 형태와 같이 각 조각판의 끝단에도 경사면이 형성된 상태로 하여 상호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매장용 명당관의 작용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숯은 공기를 정화하는 한편, 항균 기능을 가지며, 또한 내부에 무수히 많은 미세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부의 습도가 높으면 미세공 내에 습기를 저장하고, 건조하면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수분을 배출함으로써 습도 조절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커버(20) 내부와 명당관 본체(10) 바닥판(11) 및/또는 벽판(13) 내면에 각각 숯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해충이나 미생물을 비롯하여 나무뿌리가 명당관으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여 명당관 내부로 벌레나 나무뿌리가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명당관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유해가 묻힌 땅 속의 온도 혹은 수분 함량에 관계없이 명당관 내부는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므로, 유해가 최적의 환경에서 분해된다.
또한, 전분은 수분과 접촉될 때 발효되는 특성으로 인해, 땅 속에서 발효되고,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한지 등이 먼저 분해되어 통기공이 개방되면, 커버(20) 내의 전분이 명당관 본체(10) 내에 유입되어 유해와 함께 섞이므로 유해가 전체적 으로 균일한 상태로 자연 분해될 수 있다. 이때 분해 과정에서 본체(10) 및 커버(20)에 마련된 통기공으로부터 공기가 공급되고, 또한 분해된 흙은 본체(10)의 통기공(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명당관 본체(10) 내에는 황골만이 존재하게 되어 유족들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며, 그러한 변경 및 타 실시예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됨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명당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명당관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절개하여 보인 명당관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명당관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 상태의 명당관의 결합 구조를 보이기 위한 평단면도.
< 도면의 부호 설명 >
10 : 명당관 본체 11 : 바닥판
12 : 통기공 13 : 벽판
20 : 커버 21 : 상판
22 : 상판 통기공 23 : 측판
24 : 측판 통기공 25 : 격판
27 : 하판 30 : 패드
31 : 숯 P : 한지

Claims (8)

  1. 하나 이상의 통기공(12)이 형성된 바닥판(11)의 둘레에서 벽판(13)이 상향 입설된 명당관 본체(10)와,
    상기 명당관 본체를 덮을 수 있도록 상판(21)의 둘레에서 측판(23)이 하향 연결된 커버(20)와,
    상기 커버(20) 내에 전분 또는 숯이 내장되도록 하나 이상의 공간이 형성되고, 커버(20) 내부가 외부 및 명당관 본체 내부와 연통하도록 하나 이상의 상판 통기공(22)과 측판 통기공(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명당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내의 공간은, 상판(21)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하나 이상의 통기공(26)이 구비된 격판(25)과, 상기 격판(25)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하나 이상의 통기공(28)이 형성된 하판(27)에 의해 2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명당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의 각 통기공(22, 24, 26, 28)을 폐쇄하도록 내면에 한지(P)가 부착되고, 상판(21)과 격판(25) 사이에 전분이 저장되며, 격판(25)과 하판(27) 사이에 숯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명당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당관 본체(10)의 바닥판(11) 상면 또는 벽판(13) 내면에 숯(31)이 저장된 패드(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명당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30)는 통기성이 있는 직물지로 되고, 숯(31)이 복수 개의 공간에 분산 저장되게 하는 재봉부(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명당관.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30) 가장자리에 테두리부(33)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33)가 바닥판(11)과 벽판(13) 사이의 이음부(15) 또는 각 벽판(13) 사이의 이음부(16)에 개재된 상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명당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음부(15)(16)는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여 경사면이 상호 경사지게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명당관.
  8.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판(13) 및 측판(23)의 각 외면에 각 벽판(13) 및 측판(23)의 길이와 대응하는 장신용 조각판이 부착되되, 상기 명당관 본체(10) 및 커버(20)의 각 모서리부에서 각 조각판의 끝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경사면이 상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명당관.
KR1020080002273A 2008-01-08 2008-01-08 매장용 명당관 KR100945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273A KR100945572B1 (ko) 2008-01-08 2008-01-08 매장용 명당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273A KR100945572B1 (ko) 2008-01-08 2008-01-08 매장용 명당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367A KR20090076367A (ko) 2009-07-13
KR100945572B1 true KR100945572B1 (ko) 2010-03-08

Family

ID=4133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273A KR100945572B1 (ko) 2008-01-08 2008-01-08 매장용 명당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5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7647B1 (fr) * 2018-10-31 2020-10-16 Mansour Hasnaoui Cercueil notamment pour l’inhumation en pleine ter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4753A (ko) * 1999-06-29 2001-01-15 서해병 시신 매장용 관
KR200266871Y1 (ko) 1998-08-26 2002-06-24 재 인 고 관안치함
KR200306348Y1 (ko) 2002-12-10 2003-03-04 박상원 시신 안치 매장용 관
JP2005152320A (ja) 2003-11-26 2005-06-16 Takasu Shoji:K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871Y1 (ko) 1998-08-26 2002-06-24 재 인 고 관안치함
KR20010004753A (ko) * 1999-06-29 2001-01-15 서해병 시신 매장용 관
KR200306348Y1 (ko) 2002-12-10 2003-03-04 박상원 시신 안치 매장용 관
JP2005152320A (ja) 2003-11-26 2005-06-16 Takasu Shoji:K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367A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65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cological burial
US20180160631A1 (en) Urn and planter combination
JP3136630U (ja) ホタルを飼育する観察ケース
KR100945572B1 (ko) 매장용 명당관
JP3193921U (ja) ペットメモリアルプランター
KR200416299Y1 (ko) 수목장례용 분해성 투각형 분골함
ES2231295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el tratamiento de materia organica.
US6427630B1 (en) Kit for the construction of a subterranean shelter for animals
KR200399690Y1 (ko)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KR200437150Y1 (ko) 수목장용 납골함
JP2006068235A (ja) 樹木葬用仏壇及び位牌
JP3823252B2 (ja) 動植物類の育成兼飼育観察用容器
KR200433886Y1 (ko) 유골항아리
CN207531425U (zh) 富氧滋兰盆
KR200433174Y1 (ko) 장식물이 배치된 납골함 안치단의 구조
JP3281356B2 (ja) 甲虫の飼育容器
KR100709697B1 (ko) 플라스틱제 재배용기와 황토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장치
US126112A (en) Improvement in flower-pots
JPH0313158Y2 (ko)
KR200173781Y1 (ko) 유골함
KR200230305Y1 (ko) 화분용 급수판
KR20080006547U (ko) 곤충 애벌레 사육 및 (야)생화 가꾸기 일체형 장치
KR200390533Y1 (ko) 플라스틱제 재배용기와 황토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장치
WO2008147293A1 (en) Container
KR20230171116A (ko) 휴대형 식물재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