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305Y1 - 화분용 급수판 - Google Patents

화분용 급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305Y1
KR200230305Y1 KR2020010003779U KR20010003779U KR200230305Y1 KR 200230305 Y1 KR200230305 Y1 KR 200230305Y1 KR 2020010003779 U KR2020010003779 U KR 2020010003779U KR 20010003779 U KR20010003779 U KR 20010003779U KR 200230305 Y1 KR200230305 Y1 KR 200230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late
pot
water suppl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영
Original Assignee
권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영 filed Critical 권오영
Priority to KR2020010003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3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305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의 급수판에 관한 것으로 피트모스나 코코넛 입자 등의 섬유질 인조토양(1a)을 사용하고 저면에 통수공(1b)이 형성된 화분(1)에 있어서, 화분 (1)을 올려놓는 지지판(2)의 상부에 섬유재(纖維材)(3a)의 흡수층(吸水層)(3)을 적층하여 흡수층(3)에 흡수된 물의 증발억제 및 이끼의 번식을 억제하는 차광성(遮光性) 흑색 비닐막(4a)에 지름 0.5∼0.8㎜ 크기의 통공(4b)이 배열밀도 약 5∼10개/㎠ 정도의 망상배열로 천공된 커버(4)를 피복하고 지지판(2)의 저면에는 공지한 흡수심지(6)를 하방으로 늘어지게 형성하여 급수판(5)을 구성하여서 물이 담긴 수조 (7) 위에 재치하여 그 위에 화분을 올려놓으면 화분에 흡수심지 없이도 가급태의 물이 자동 급수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화분용 급수판{A WATER SUPPLY PLATE FOR FLOWER POT}
본 고안은 화분용 급수판에 관한 것으로 급수판에 화분을 올려놓기만 하면 인조토양의 화분에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가급태(可給態) 물이 자동 급수하게 된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초는 토양에서 생육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토양조건에 적응하는 뿌리와 생리작용을 갖고 있다. 식물이 사용되는 가급태의 물은 토양조건에 따라 일정하지 않으나 대략 토양의 13%∼26% 정도이며, 토양 수분이 12.5%이하의 위조점(萎調点)에서는 식물이 시들게 된다. 따라서 식물에게는 뿌리에서 흡수 할 수 있는 가급태의 수분이 존재해야 하며 지나치게 건조하면 식물이 시들고 지나치게 장시간 토양에 물이 많으면 토양의 통기불량으로 뿌리가 약하게 되거나 썩는 경우가 있다.
화분의 재배시에도 이러한 식물의 생육조건을 충족하기 위해서 식물의 종류에 따라 매일 또는 며칠씩 간격을 두고 물을 주어야 한다. 이러한 급수노동은 화초의 재배자나 취미로 화초를 기르는 자에게 노력(勞力)의 부담이 클 뿐 아니라 장시간 여행중 화초에 물을 주지 못할 경우 화초가 시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화분의 배수공에 물의 흡수(吸水)심지를 길게 형성하여 화분을 수조 위에 올려놓고 심지를 통하여 화분 토양으로 수조의 물이 흡수 공급되게 하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화초에 물을 직접 주지 않고 수조에 채워진 물을 공급하는 것이므로 급수빈도가 비교적 길게되어 그만큼 급수노력(勞力)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화분마다 흡수심지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화분의 재배자에게는 흙가리의 불편과 품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화분을 들어내면 심지에서 물이 흘러나와 화분을 놓은 바닥이 불결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분의 토양에서 혐오생물인 지렁이가 나와 불쾌감을 주기도 하고 또 환경에 의한 토양의 오염이 심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주로 인조토양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피토모스, 또는 코코넛 섬유질 입자로 된 인조토양을 화분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한 화분의 배수공에 흡수심지를 형성하여 수조의 물을 인조토양에 직접 급수되게 할 수는 있으나 화분마다 흡수심지를 형성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취급 관리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특히 인조토양은 물의 흡수력이 크기 때문에 화분 내에 장기간 과량의 물이 차여 있게 되면 통기불량으로 식물 뿌리가 약하게 되어 식물이 건강하게 생육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이 담긴 수조에 장기간 햇빛이 투사되면 녹색의 이끼가 끼어 수조에 첨가된 식물이 소비할 영양소를 이끼가 소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인조토양을 사용하는 화분에 있어서, 화분의 저면에 흡수심지를 형성하지 않고 화분을 급수판에 올려놓기만 하면 양호한 통기성과 가급태(可給態)의 물이 급수판으로부터 화분으로 자동 급수되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급수판은 수조의 상부에 재치할 수 있고 화분을 놓게 된 견고한 지지판의 상부에 화분에 공급할 물을 흡수 유지하는 섬유재(纖維材)의 흡수층(吸水層)을 적층하고 차광성(遮光性) 흑색 비닐막에 토양의 모세관 작용과 수분증발의 2가지 점을 고려하여 작은 핀공으로 된 다수의 통공이 소정의 밀도로 배열 천공된커버를 피복하여 부착수단으로 부착하고 지지판의 저면에는 수조의 물을 흡수하는 공지한 흡수심지를 하방으로 늘어지게 형성하여 급수판을 구성하여서, 물이 담긴 수조 위에 급수판을 재치하고 복수개의 화분을 급수판 위에 올려놓게 된 것이다.
그리하면, 상기 급수판에는 흡수심지의 모세관작용에 의하여 수조의 물이 흡수되어 흡수층의 섬유재에 포장용수(圃場用水)의 형태로 유지된다. 이때, 급수판에 화분을 올려놓으면, 화분의 자중에 의하여 화분이 접촉된 급수판의 섬유재의 흡수층이 약간의 압착으로 요입되면서 요입부에는 흡수층의 수위 차이가 생기어 흡수층의 물이 요입부로 침출되면서 화분의 저면에 형성된 통수공과 커버의 통공간에 인조토양의 모세관 작용에 의하여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가급태(可給態)의 물이 공급된다.
따라서 화분에는 종래와 같은 개별적 흡수심지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화분 갈이의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그만큼 노력(勞力)이 절감되고 화분의 취급 관리가 간편 용이하다. 그리고 화분이 접촉되지 아니한 급수판의 표면은 눌림이 없기 때문에 통공 외부로 물의 침출이 없으며 커버의 비닐막에 의하여 물의 증발이 억제되고 수조의 물은 급수판의 덮개작용에 의하여 증발이 억제되므로 수조의 물에 첨가된 식물 영양액의 농도가 급수판에서나 수조에서나 일정하게 유지되어 안전하게 식물에 공급될 수 있다.
또 수조 및 급수판의 흡수층은 흑색의 차광성 커버에 의해서 차광되므로 이끼의 생성되는 것이 방지되어 식물에게 공급하기 위하여 수조에 첨가된 영양소의허실이 없고 화분에 적절한 수분 공급과 통기작용에 의하여 화초를 건강하게 기를 수 있다.
또한 화초에 물을 주는 급수노력이 절감되고 장시간 집을 비워도 수조에 물이 담겨 있는 한, 화초가 시들 염려가 없으며 아파트나 도시미화용 화분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급수판을 큰 면적으로 형성하여 산업적인 대량농업 등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게 안출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3은 도2 A선 부분의 급수판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급수판 커버의 통공의 배열상태를 보인 평면 예시도
도5는 본 고안의 급수판에 놓인 화분에 급수작용을 보인 종단면도
도6은 도5의 B선부분의 단면 확대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화분, 1a : 인조토양, 1b : 통수공, 2 : 지지판,
2a : 측판, 2b : 요입홈, 2c : 부착링, 2d : 심지 삽입공,
3 : 흡수층, 3a : 섬유재, 4 : 커버, 4a : 비닐막,
4b : 통공, 5 : 급수판, 6 : 심지, 7 : 수조이다.
도1 및 도4에 표시된 바와 같이, 피트모스나 코코넛 입자 등의 섬유질 인조토양(1a)을 사용하고 통수공(1b)이 저면에 형성된 화분(1)에 있어서, 측판(2a)의 하단 주연부에 요입홈(2b)가 형성된 지지판(2)의 상부에 소정 두께의 섬유재(纖維材)(3a)를 적층하여 흡수층(吸水層)(3)을 형성하고, 차광성(遮光性) 흑색 비닐막 (4a)에 작은 핀공으로 된 다수의 통공(4b)이 소정밀도의 망상배열로 천공된 커버 (4)를 상기 흡수층(3)의 외부에 피복하여 커버(4)의 사방 주연부를 상기 지지판(2)의 측판(2a)을 둘러 요입홈(2b)으로 걸쳐지게 한 다음 요입홈(2b)에 고무와 같은 탄성질의 부착링(2c)을 커버(4)의 주연부와 함께 요입홈(2b)에 끼워 부착하고 지지판(2)에 형성된 심지 삽입공(2d)에 복수개의 공지한 흡수심지(6)를 아래로 늘어지게 삽입하여 급수판(5)을 구성하고 물이 담긴 수조(7) 위에 상기 심지(6)가 잠기도록 급수판(5)을 재치한 다음 급수판(5) 위에 임의 화분(1)을 올려놓게 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에서 도4에 표시된 바와 같이 급수판(5)을 피복한 커버(4)의차광성 비닐막(4a)에 형성된 통공(4b)은 화분 토양의 원활한 모세관 작용 및 급수판에서의 수분 증발의 억제의 2가지 점을 고려할때 지름을 0.5∼0.8㎜로 작게 형성하여 5∼10개/㎠ 정도의 밀도로 선상(線狀)이나 망상(網狀) 배열로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통공(4b)을 지나치게 크게 형성하면 통공(4b)을 통한 수분의 증발량이 크게 되어 좋지 않다. 또 상기 통공(4b)을 핀공이 아닌 좁다란 직선형으로 절결한 것은 급수판의 소제시 커버(4)의 비닐막(4a)이 찢어지기 쉬운 폐단이 있다. 또한 도면에는 통공(4b)이 망상 배열로 표시되어 있으나 직사각형 배열이나 다른 형태의 배열도 가능하다. 통공의 배열밀도를 5∼10개/㎠ 정도로 한 것은 특별히 수치한정은 아니며, 재배할 식물의 종류와 급수조건에 따라 배열밀도를 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수조(7)에 담긴 물(w)이 급수판(5)의 흡수심지(6)의 모세관작용에 의하여 급수판(5)의 지지판(2)에 형성된 사방의 측판(2a)내에서 외부로 누수 됨이 없이 흡수층(3)의 섬유재(3a)에 흡수 유지된다.
또한 급수판(5)에 화분을 올려놓지 않은 상태에서는 급수판(5)의 섬유질의 흡수층(3)이 눌리지 않고 또 흡수층의 내외의 압력차이가 없기 때문에 급수판(5)의 흡수층(3)의 물이 통공(4b)을 통하여 외부로 침출되지 않으며 또한 통공(4b)의 지름이 작기 때문에 커버(4)의 비닐막(4a)에 의하여 수분 증발이 거의 억제된다.
또한 급수판(5)이 수조(7)를 덮고 있기 때문에 수조에 담긴 물의 자연증발이 억제되어 수조(7)의 물에 첨가된 식물 영양액의 농도가 급수판(5)에서나 수조(7)에서나 일정하게 유지되어 안전하게 식물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급수판(5)에 인조토양(1a)을 사용한 화분(1)을 올려놓으면, 도5 및 도6에 표시된 바와 같이, 화분(1)의 무게에 의하여 화분(1)의 저면과 접촉된 부분의 급수판(2)의 흡수층(3)이 약간 압착되면서 요입된다. 이 요입부(g)에는 흡수층의 표면과의 수위 차이가 생기고 또 섬유재(3a)의 압착된 부분은 밀도가 크기 때문에 모세관작용이 양호하여 섬유재(3a) 내부에서의 물의 가로방향 이동이 용이하여 흡수층(3)의 물이 커버(4)의 통공(4b)을 통하여 요입부(g)로 침출되어 모인다. 따라서 화분(1)의 저면에 형성된 통수공(1b)과 커버(4)에 형성된 통공(4b)을 통한 인조토양(1a)의 모세관 작용에 의하여 화분(1)에 심은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적정한 량의 가급태의 물이 급수판으로부터 화분에 공급된다.
또한 식물의 뿌리에서 가급태의 물이 흡수되어 화분(1)의 인조토양(1a)의 수분량이 감소되면 그에 상응하게 급수판(5)에서 물이 공급됨으로 화분(1)의 인조토양(1a)에는 통기성이 양호하면서 적정의 가급태의 물이 항상 존재하게 되어 화초 등의 식물의 생육 성장에 유효한 조건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지판과 섬유재의 흡수층과 통공이 배열형성된 비닐막의 커버로 적층피복하여 급수판을 구성하였기 때문에 화분에는 종래와 같은 개별적 흡수심지를 형성하지 않아도 급수판에 화분을 놀려놓기만 하면 자동 급수되어 그만큼 화분의 취급 관리가 간편 용이하다.
또한 화분이 놓이지 않은 부분의 급수판의 면은 눌림이 없기 때문에 커버의 통공 외부로 물이 침출되지 않으며 또한 커버의 비닐막에 의하여 수조의 물이나 급수판의 물의 증발이 억제되어 수조에 첨가된 영양액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규정농도의 영양분을 모두 식물에 공급할 수 있다.
또 급수판의 차광성 커버에 의해 수조 및 급수판에 장기간 햇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수조나 급수판에 이끼가 생성하는 것이 방지되어 수조에 첨가된 식물영양소의 허실의 우려가 없다.
화분에 과잉수가 없이 항상 가급태의 물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화분의 통기성과 적절한 수분공급에 의하여 화초 등의 식물을 보다 건강하게 생육할 수 있다.
또한 화초에 물을 주는 번거로움과 급수노력이 절감되고 장시간 집을 비워도 수조에 물이 담겨 있는 한, 화초가 시들 염려가 없어, 아파트나 도시미화용 화분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급수판을 큰 면적으로 형성하여 산업적인 대량농업 등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피트모스나 코코넛 입자 등의 섬유질 인조토양(1a)을 사용하고 통수공(1b)이 저면에 형성된 화분(1)에 있어서, 측판(2a)의 하방 주연부에 요입홈(2b)가 형성된 지지판(2)의 상부에 섬유재(纖維材)(3a)를 적층하여 흡수층(吸水層)(3)을 형성하고, 차광성(遮光性) 흑색 비닐막(4a)에 작은 핀공으로 된 다수의 통공(4b)이 소정의 밀도로 배열 천공된 커버(4)를 상기 흡수층(3)을 피복하고 지지판(2)에 형성된 심지 삽입공(2d)에 공지한 흡수심지(6)를 아래로 늘어지게 삽입하여 급수판(5)을 구성하여서 수조 위에 심지가 물에 잠기도록 급수판을 재치한 다음 급수판 위에 화분을 올려놓으면 자동 급수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판.
  2. 제1항에 있어서, 급수판(5)의 커버(4)의 비닐막(4a)에 천공된 통공(4b)의 크기는 지름 0.5∼0.8㎜ 정도, 통공(4b)의 배열밀도는 약 5∼10개/㎠ 정도의 망상배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판.
  3. 제1항에 있어서, 급수판(4)의 흡수층(3)을 피복한 커버(4)의 부착수단은 지지판(2)의 하연부에 형성된 요입홈(2b)에 커버(4)의 주연부와 함께 고무와 같은 탄성질부착링(2c)을 끼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판.
KR2020010003779U 2001-02-15 2001-02-15 화분용 급수판 KR200230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779U KR200230305Y1 (ko) 2001-02-15 2001-02-15 화분용 급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779U KR200230305Y1 (ko) 2001-02-15 2001-02-15 화분용 급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305Y1 true KR200230305Y1 (ko) 2001-07-03

Family

ID=73053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779U KR200230305Y1 (ko) 2001-02-15 2001-02-15 화분용 급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3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454B1 (ko) 2009-07-14 2012-06-27 대한민국 옥상 텃밭용 작물 재배상자
KR101838545B1 (ko) * 2016-05-26 2018-03-15 (주)시대에코텍 코이어식생포트용 저면관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454B1 (ko) 2009-07-14 2012-06-27 대한민국 옥상 텃밭용 작물 재배상자
KR101838545B1 (ko) * 2016-05-26 2018-03-15 (주)시대에코텍 코이어식생포트용 저면관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6444B2 (ja) 植物の栽培状態を改善するための成形体
KR101354307B1 (ko) 피동식 급수 화분체
US20020017058A1 (en) Lower feed type flowerpot having ventilation maintaining function
JP2000093004A (ja) 自然潅水植生装置
KR200230305Y1 (ko) 화분용 급수판
KR200207920Y1 (ko) 통기 유지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CN2234692Y (zh) 自动吸水式植物栽培盆
JP2006223298A (ja) 植木鉢
JP2006174829A (ja) 簡易式養液栽培容器
CN108566843A (zh) 透气储水控水花盆
CN208317578U (zh) 一种新型透气储水控水花盆
CN208300424U (zh) 自动吸水花盆
TWM532149U (zh) 儲水型栽培容器及其容槽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JP2004121103A (ja) 給水板を備えた植木鉢用給水装置及びその給水方法
JP2003235360A (ja) 水面上に空間のある底面給水の植木鉢
KR200251469Y1 (ko) 저수조가 내장된 화분
JPH0276522A (ja) 植木鉢
CN220965718U (zh) 一种组合式花盆
CN210959795U (zh) 一种辅助浇花装置
KR880003504Y1 (ko) 화분
KR20010099373A (ko) 통기 유지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JP3135440U (ja) 苔玉栽培セット
JPH0525407Y2 (ko)
JPH041075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