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116A - 휴대형 식물재배기 - Google Patents

휴대형 식물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116A
KR20230171116A KR1020220071270A KR20220071270A KR20230171116A KR 20230171116 A KR20230171116 A KR 20230171116A KR 1020220071270 A KR1020220071270 A KR 1020220071270A KR 20220071270 A KR20220071270 A KR 20220071270A KR 20230171116 A KR20230171116 A KR 20230171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woven
plant
main body
pl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창육
Original Assignee
지창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창육 filed Critical 지창육
Priority to KR1020220071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1116A/ko
Priority to PCT/KR2023/005174 priority patent/WO2023243843A2/ko
Publication of KR2023017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11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06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 A01G13/0212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06Labels or label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lan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3Devices for setting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5Devices for setting seed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Abstract

본 발명은 꽃, 채소, 나무 등의 식물(반려식물, 웰빙식물, 치료식물 등을 포함한다)이나 식물 씨앗이 심어진 부직포 화분을 테이크아웃 용기와 같이 휴대가능한 용기에 수납시켜 휴대하거나 곁에 두고 관리하면서 특별한 관심과 애정을 쏟을 수 있도록 한 테이크아웃 용기 등을 활용한 휴대형 식물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소정 형상으로 성형되는 투명이나 반투명의 용기 본체와, 본체 상부에 형성되는 개방부에 결합 및 분리되고 중앙에 통기공이 형성되는 투명이나 반투명의 뚜껑과,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공간부에 수납되고 손잡이끈을 가진 부직포 화분과, 부직포 화분에 심어지는 식물이나 파종되는 식물 씨앗을 포함한다.
상기 부직포 화분은, 바닥과 측벽이 고정화되면서 상향 개방형의 재배실이 형성되고, 상기 재배실에 소정 높이의 마사토가 투입되고, 상기 마사토 위에 소정 높이의 배양토가 투입되고, 상기 배양토의 상부면에 배양토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가 위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형 식물재배기{Portable plant cultivation}
본 발명은 테이크아웃 용기 등을 활용한 휴대형 식물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꽃, 채소, 나무 등의 식물(반려식물, 웰빙식물, 치료식물 등을 포함한다)이나 식물 씨앗이 심어진 부직포 화분을 테이크아웃 용기와 같이 휴대가능한 용기에 수납시켜 휴대하거나 곁에 두고 관리하면서 특별한 관심과 애정을 쏟을 수 있어 정서적 안정과 더불어 자연의 정서를 만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은 고정된 토양에 뿌리를 내리고 생장하는 것으로 토양에 식재하거나 배양토가 채워진 화분 등에 식재하여 실내나 정원 등에 두고 관상(觀賞)토록하는 것으로 휴대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한편, 반려식물은 관상용, 공기정화 등의 기능 뿐 아니라 식물을 키우는 것만으로 치매예방 정서적 안정 등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과 같은 정서적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알려져 반려식물을 키우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식물의 성장조건에 따라서 식물이 자라는 토양의 수분, 생장 온도, 광합성 정도 등을 수시로 적절히 조절하는 등 보살피면서 관리해 주어야 한다.
상기 '반려식물'이란 정서적으로 의지하기 위해 가까이 두고 기르는 식물을 의미하는 신조어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및 1인 가구의 증가와 맞물려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반려식물은 반려동물에 비해 적은 면적에서 재배가 가능하고, 초기 비용과 유지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어 재배자의 주거 및 활동 공간에 보다 밀착될 수 있는 반면, 반려동물과 달리 재배자인 사람과의 감정적인 교감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예컨대, 반려동물은 사람의 말이나 행동에 반응을 할 뿐 아니라, 반려동물의 상태를 청각이나 시각으로 사람이 확인할 수 있어 이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상호간의 감정적인 교감이 가능하다.
그러나, 반려식물의 경우 재배자에게 심적 안정감은 줄 수 있으나, 재배자의 감정 상태에 따라 반응하는 것과 같이, 반려동물에서 기대할 수 있는 감정적인 교감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곁에 두고 관리할 수 없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2335호(발명의 명칭: 삽목용 화분, 2012. 04. 05. 특허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08389호(발명의 명칭: 반려식물 재배장치, 2021. 10. 05. 특허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5763호(발명의 명칭: 반려식물케어시스템, 2020. 09. 09. 특허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식물(반려식물, 웰빙식물, 치료식물 등을 포함한다)이나 식물 씨앗이 심어진 부직포 화분을 휴대가능한 식물재배용기에 수납시켜 배양토와 수분 이탈을 방지하고 접촉이나 충격 등에 의해 식물 손상을 방지하고, 식물을 휴대하거나 곁에 두고 관리하면서 특별한 관심과 애정을 쏟을 수 있는 휴대형 식물재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휴대형 식물재배기는, 소정 형상으로 성형되는 투명이나 반투명의 용기 본체와, 본체 상부에 형성되는 개방부에 결합 및 분리되고 중앙에 통기공이 형성되는 투명이나 반투명의 뚜껑과,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공간부에 수납되고 손잡이끈을 가진 부직포 화분과, 부직포 화분에 심어지는 식물이나 (파종되는) 식물 씨앗을 포함한다.
상기 부직포 화분은, 바닥과 측벽 및 상향 개방형의 재배실이 형성되고, 상기 재배실에 소정 높이의 마사토가 투입되고, 상기 마사토 위에 소정 높이의 배양토가 투입되고, 상기 배양토의 상부면에 배양토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가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직포 화분은, 바닥과 측벽 및 상향 개방형의 재배실이 형성되고, 상기 재배실에 소정 높이의 마사토가 투입되고, 상기 마사토 위에 소정 높이의 용토가 투입되고, 상기 용토 위에 소정 높이의 배양토가 투입되고, 상기 배양토의 상부면에 배양토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가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 외면에 끼워지는 소정 높이의 홀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홀더는 본체와 같은 형상과 모양을 갖도록 위는 넓고 아래가 좁은 삽입부가 형성되고 표면에 표기부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직포 화분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손잡이끈 및 손잡이끈 단부에 부착되는 태그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부직포 화분의 외면에 부착되거나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라벨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상향 할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 상단부에 외향 돌출형 테두리부가 구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에는 뚜껑 하단부에 형성되는 내향홈이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턱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턱부는 본체의 가로방향 외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에 형성되는 상향 만곡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덮개는, 소정 뚜께를 갖는 스펀지, 두꺼운 부직포, 우레탄폼 중 어느 하나 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는, 좌우로 분리 구성하되 직선부 중앙에 반원형 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는, 원형 덮개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결합 및 분리되는 마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반려식물, 웰빙식물, 치료식물 등을 휴대하거나 곁에 두고 관리하면서 특별한 관심과 애정을 쏟을 수 있어 정서적 안정과 더불어 자연의 정서를 만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식물(9)이나 식물 씨앗(10)이 심어진 부직포 화분(8)을 테이크아웃 용기 등의 휴대형 식물재배기에 수납시킨 다음 통기공(4)이 형성된 뚜껑(5)을 결합함으로써 배양토(24)와 수분 이탈이 방지되고, 접촉이나 충격 등에 의한 식물(9) 손상이 방지되며, 식물(9)을 휴대하거나 곁에 두면서 생장을 상시 관찰하거나 관리할 수 있어(돌볼 수 있어), 특별한 관심과 애정을 쏟을 수 있고 정서적 안정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부직포 화분(8)이 수납(수용)되는 용기 본체(2)는 커피 등의 음료 또는 음식물을 담아 테이크아웃(take out)할 수 있는 용기의 재활용으로 식물(9)을 쉽고 간편하게 기를 수 있어 테이크아웃용 용기의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으므로 자원 낭비가 방지되고, 주변 환경오염이 방지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부직포 화분(8)에 포함되는 덮개(25)(31)에 의해 배양토(24)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깨끗하면서 청결하게 휴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휴대 식물(9)을 시간 제약없이 곁에 두고 특별한 관심과 애정을 쏟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부직포 화분(8)에 구성되는 라벨부(17)를 통해 로고나 기타 사진을 통한 광고, 판촉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형 식물재배기(1)에 식재된 식물(9)은 투명이나 반투명의 본체(2)와 뚜껑(5)을 통하여 감상할 수 있어 감상에 따른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식물(9)이 식재된 휴대형 식물재배기(1)를 인테리어 용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선물용, 판촉물, 사은품, 이벤트 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정면도.
도 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 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부직포 화분의 외관 사시도.
도 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부직포 화분 덮개 분해 사시도.
도 5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홀더 외관 사시도.
도 6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정면도.
도 7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정면도.
도 8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부직포 화분 덮개 분해 사시도.
도 9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단면도.
도 10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단면도.
도 11 : 본 발명 일 예로 제시한 사용 상태 사진.
도 12 : 본 발명 일 예로 제시한 사용 상태 사진으로, 뚜껑을 제거한 상태.
도 13 : 본 발명 다른 예로 제시한 사용 상태 사진.
도 14 : 본 발명 다른 예로 제시한 사용 상태 사진으로, 뚜껑을 제거한 상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테이크아웃용 용기는 PP(PolyPropylene), PE(PolyCarbon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재질로 성형되어 커피와 같은 음료를 담는 용도로 사용되며, 가볍고 깨지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일회용이므로 사용 후 폐기 처분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수거하고 있으나, 대부분이 수거되지 못한 체 버려져 방치되거나 소각되고 있어 자원낭비 뿐 아니라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다.
본 발명에 게시되는 휴대형 식물재배기는 꽃, 채소, 나무 등의 식물(반려식물, 웰빙식물, 치료식물 등을 포함한다)이나 식물 씨앗이 심어진 부직포 화분을 사용후 버려지는 테이크아웃 용기와 같이 휴대 가능한 용기에 수납시켜 휴대하거나 곁에 두고 관리하면서 특별한 관심과 애정을 쏟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정서적 안정과 더불어 자연의 정서를 만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휴대형 식물재배기(1)의 정면도이고, 도 2는 그 단면도이며, 도 3은 부직포 화분의 사시도를 예시한 것으로, 소정 형상으로 성형되는 투명이나 반투명의 용기 본체(2)와, 본체(2) 상부에 형성되는 개방부(3)에 결합 및 분리되고 중앙에 통기공(4)이 형성되는 투명이나 반투명의 뚜껑(5)과, 본체(2) 내부에 마련되는 공간부(6)에 수납되고 손잡이끈(7)을 가진 부직포 화분(8)과, 부직포 화분(8)에 식재되는 식물(9), 또는 부직포 화분(8)에 파종되는 식물 씨앗(1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2)는 원형 바닥(11)과 원통형 측벽(12)으로 둘러싸인 소정 용적의 공간부(6)가 형성되며, 상부 개방부(3)를 통하여 식물(9)이 식재되거나 식물 씨앗(10)이 파종된 부직포 화분(4)을 투입시켜 공간부(6)에 안착시키거나, 손잡이끈(7)을 이용하여 부직포 화분(8)을 본체(2)로부터 분리시켜 관리하거나, 도 6과 같이 개방부(3)에 뒤집어 얹거나 결합시킨 뚜껑(5) 위에 부직포 화분(8)을 얹어 관상하거나, 새로운 식물(9)이 심어진 부직포 화분(8)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2)는 상부로 향 할수록 내경이나 크기가 커지도록 구성하여 안정감이 있도록 구성하고, 상단부는 반원형이나, 반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테두리부(13)를 외향 돌출되게 구성하여 개방부(3)의 강도가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테두리부(13)에는 뚜껑(5)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반원형이나, 반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내향홈(14)을 결합시켜 본체(2)와 뚜껑(5)이 비의도적인 외력(外力)등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2)와 뚜껑(5) 및 테두리부(13)와 내향홈(14)은 자체 탄성을 가지면서 사용자의 의도적인 힘에 의해 본체(2)와 뚜껑(5)이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테두리부(13)는 본체(2)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내향홈(14) 또한 뚜껑(5)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본체(2)는 본체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로 단턱부(15)를 구성하거나, 상기 가로 단턱부(15)와 세로 보강 돌조 또는 세로 보강 요철을 소정 간격으로 구성하여 본체(2) 전체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본체(2)의 평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일 수 있으며, 본체(2)에 결합되는 뚜껑(5) 또한 원형, 타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일 수 있다.
상기 손잡이끈(7)의 단부에는 손가락으로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압지편이나 태그(16)가 부착된다.
상기 손잡이끈(7)과 태그(16)는 부직포 화분(8)과 식물(9)의 전체 무게를 고려하여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강도를 부여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 화분(8)의 외면에 부착되거나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라벨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벨부(17)는 로고, 문자 및/또는 도형, 사진이 표기되거나 인쇄된 별도의 라벨을 재봉이나 접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키거나, 부직포 화분(8)에 음각이나 양각, 또는 음각과 양각을 혼용한 형태로 열압착시켜 이들 로고, 문자 및/또는 도형, 사진이 표시되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라벨부(34)를 통해 로고, 문자 및/또는 도형, 사진을 통한 광고, 판촉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뚜껑(5)은 식물(9)이나 식물 씨앗(10)의 생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중앙부분에 소정 내경의 통기공(4)이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충분히 통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뚜껑(5)은 상향 만곡부(18)가 구성되어 식물(9)이 자연스럽게 생장 또는 성장할 수 있는 용적의 공간이 부가 형성된다.
상기 만곡부(18)는 반원형상이거나, 반타원형상이거나, 반나선형이거나, 반포물형상일 수 있다.
상기 뚜껑(5)을 도 6과 같이 개방부(3)에 뒤집어 얹어 놓거나 결합시킬 경우 만곡부(18)의 외측면이 테두리부(13)에 걸쳐 얹히도록 함으로써 부직포 화분(8)을 만곡부(18)에 얹어 식물(9)이 다량의 공기와 접촉할 수 있게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부직포 화분(8)은 바닥(19)과 측벽(20)이 실(21)이나 와이어 등으로 재봉 또는 열접합 등의 방법으로 고정화되면서 상향 개방형의 재배실(8a)이 형성되며, 물론 바닥(19)과 측벽(20)이 일체형으로 성형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화분(8)은 일반 섬유제품 처럼 플렉시블하면서 형상이 유지되는 특성이 있으며, 무수한 다공에 의해 통기(通氣) 및 배수(排水) 또한 우수하다.
상기 부직포 화분(8)의 재배실(8a)에는 소정 높이 또는 소정 용적의 마사토(22)가 투입되고, 그 위에는 소정 높이 또는 소정 용적의 용토(23)가 투입되고, 그 위에는 소정 높이 또는 소정 용적의 배양토(24)가 투입되고, 상기 배양토(24)의 상부면에는 배양토(24)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25)가 위치한다.
상기 덮개(25)는 휴대하는 식물재배기(1)가 외부 충격이나 낙하 등에 의해 심하게 기울어지거나 추락하더라도 배양토(24) 상부면을 덮고 있는 소정 두께의 덮개(25) 작용에 의해 배양토(24)가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된다.
상기 덮개(25)는 도 4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갖는 스펀지, 두꺼운 부직포, 우레탄폼과 같이 다공이 형성되어 재배실(8a)로 물을 공급할 때 쉽게 통과하며 관수가 잘 이루어지면서 배양토(24)로 원활한 물(水)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25)는 수지 계열의 재질에 의해 부폐, 오염 등이 방지되며 세척 또한 용이하다.
상기 덮개(25)는 도 4와 같이 좌우로 분리 구성하되 직선부 중앙에 반원형의 통공(26)을 형성함으로써 좌우 덮개(25)를 접촉시키면 중앙에 원형 통공이 형성되면서 배양토(24)에 식물(9)을 쉽게 심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통공(26)을 통하여 식물(9)의 줄기 부분이 지나면서 생육 및 성장하게 된다.
상기 식물(9)은 천냥금과 같이 열매를 보기 위해 키우는 관상식물이나, 인테리어 효과가 우수한 식물이나, 공기를 깨끗하게 정화하는 식물이나, 식물에서 발산되는 향으로 스트레스와 질병을 치료해주는 아로마테라피 식물, 몸과 마음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인생을 풍요롭고 아름답게 영위하고자 하는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웰빙식물(Well-Being), 심신을 안정시키는 아로마 테라피-라이트 테라피 식물, 국화, 허브, 파슬리(parsley), 라벤더(lavender), 바질(basil), 백리향(thyme), 로즈메리(rosemary), 맨드라미(계관화, 鷄冠花), 인동덩굴(금은화, 金銀花), 금불초(金佛花), 목련 꽃봉오리(신이, 辛夷), 회화나무 꽃봉오리(괴화, 槐花), 국화(菊花), 꿀풀(하고초, 夏枯草), 카바(Piper methysticum), 사프란(번홍화, 番紅花) 등과 같이 우울증이나 스트레스 해소 등에 유용한 의료용 식물, 몰약(Commiphora myrrha), 유향(Boswellia 종), 바질, 툴시(Ocimum tenuiflorum) 등과 같이 종교의식용 식물, 달콤하고 상쾌한 향을 발산하는 식물, 곁에 둠으로써 신경을 안정시시키고 두통, 불면증, 스트레스 해소 등에 도움이 되며 살균·소독 작용, 외상 치료, 세정, 방충 등에 효과가 있는 식물 등일 수 있다.
도 8은 상기 덮개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또 다른 덮개(31)의 분해 사시도로, 원형 덮개(31)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구멍(32)을 형성하되 도 9와 같이 마개(33)로 결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식물 씨앗(10)으로 공급될 수 있는 수분과 공기의 공급을 늦추거나 차단함으로써 배양토(24)에 파종된 식물 씨앗(10)의 발아 시기를 늦출 수 있으며, 또한 도 10과 같이 마개(33)를 분리시켜 구멍(32)이 개방되게 함으로써 통기공(4) 또는 개방부(3)와 구멍(32)을 통하여 배양토(24)에 파종된 식물 씨앗(10)으로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고 공기가 자연스럽게 유통되게 함으로써 식물 씨앗(10)의 발아 시기가 빨라지게 조절할 수 있어 본 발명 휴대형 식물재배기(1)가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홀더(28) 부분 사시도로, 용기 본체(2)와 같은 형상과 모양을 갖도록 위는 넓고 아래가 좁은 삽입부(27)를 형성하되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도 7과 같이 본 발명 휴대형 식물재배기(1)의 본체(2) 외면에 씌워 본체(2)를 보강하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잡아 휴대할 수 있도록 예시한 것이다.
상기 홀더(28)의 표면에 표기부(29)를 마련하여 도형 및/문자 등을 포함하는 명언, 상품명, 취급요령이나 안내문, 광고문 등을 기재할 수 있어, 광고, 판촉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홀더(28)는 단열재/완충재/포장재 등으로 사용되는 시트지, 골판지, P.E 폼일 수 있다.
본 발명 휴대형 식물재배기(1)의 본체(2)와 뚜껑(5)은 커피 등의 음료 또는 음식물을 담아 테이크아웃(take out)할 수 있는 테이크아웃 용기를 포함하거나 재활용할 수 있다.
상기 테이크아웃 용기는 음료나 음식을 식음 한 후 버려지는 1회용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자원 낭비가 방지되고, 주변 환경오염 등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 1, 2와 같이 식물(9)이 식재된 상태에서 소비자에게 제공되거나, 또는 도 9와 같이 배양토(24)에 식물 씨앗(10)이 심어진 상태(파종)에서 소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9와 같이 배양토(24)에 식물 씨앗(10)이 심어지되 휴면 상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되고, 소비자는 휴면 상태의 식물 씨앗(10)에 물을 주고 공기를 공급하는 등의 방법으로 발아(發芽)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식물 씨앗(10)의 발아 시기를 어느 정도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마사토(22)는 유기물은 거의 없고 병충해에도 노출되지 않은 흙으로 입자가 커서 배수에 도움을 주지만 물을 흡수하고 있는 시간은 거의 없으며, 배수 이외도 통기성을 위해 부직포 화분(8)의 바닥면에 소정 높이로 깔아, 그 위에 용토(23) 및/또는 배양토(24)를 복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사토(22)는 화강암이 부식되거나 마모되어 생긴 단립구조의 토양 알갱이로서, 이물질 및 병균이 없고 배수력이 뛰어나 오염도가 낮으며, 흙이나 토양과의 흡착력을 증대시키는 등의 기본 특성을 지닌 토양 알갱이로 무균 상태이고, 양호한 이화학적 특성을 지니며, 무기양분의 흡착과 용출이 없으며, 값이 저렴하고 환경오염을 야기하지 않는 등의 특성을 지닌 원예작물재배용 소재일 수 있으며,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토(23)는 식물(9) 재배 시 보습력, 통기성, 배수성, 산도 등을 향상시켜 식물(9)의 재배 효율이 최적화된다.
상기 용토(23)는 가공 처리된 펄라이트, 에스라이트, 훈탄, 적옥토, 산야초, 녹소토를 식물(9)의 특성에 따라 상호 보완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혼합함으로써, 특히 식물(9) 뿌리 부분의 습기가 오래 머무르지 않도록 배수성의 향상 및 무균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수분의 흡수력과 통기성을 두루 구비하고 있는 물질이다.
상기 펄라이트는 토탄이라고도 하며, 흑요석 진주암 승지암 등의 광물을 1,000도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 팽창시킨 인공 용토로, 무수한 기공이 있어 배수에 도움을 주며, 가볍고 흡수성 보습력 통기성이 좋음과 동시에 무균토이며, 강한 산성을 띄다.
상기 에스라이트는, 제올라이트의 주원료로, 보수력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배수력을 유지하는 다공성 인공토양이며, 식물(9) 생육 필수조건을 갖추어 적절한 ph, 통기성, 보수성, 배수성이 탁월한 세라믹용토이다.
상기 훈탄은, 왕겨를 300도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해 태워서 만듭니다. 80% 이상이 탄소질이며 기공이 형성되어 있어 병충해가 없고 통기성과 보수성이 띄어나며, 흙배합시 함께 사용하면 용토가 굳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적옥토는, 화산재가 쌓여 생긴 것으로, 철분을 머금고 있어 붉은색을 띄며, 뿌리생육에 필요한 통기성 배수성 보수성을 갖춘 토양이다.
상기 산야초는, 보수력 통기성 배수성이 우수한 흙으로, 제오라이트가 들어있어 화분내 가스발생을 중화 흡수하므로 다육식물에 적합하다.
상기 녹소토는, 화산분출물로 가볍고 다공질이며, 보습력과 보수력이 좋아 잘 마르지 않는 특성이 있고 뿌리를 굵게 뻗게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용토(23)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사용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배양토(24)는 원예작물재배용 흙이나, 화분용 흙, 밭이나 야산의 흙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배양토(24)에는 소량의 미강을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미강(米糠, Rice bran, 쌀겨)은 현미를 백미로 도정할 때 발생되는 외피와 배아의 분쇄혼합물로, 지방이나 단백질이 풍부하며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E, 철분, 인, 미네랄 등 다양한 영양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영양소에 의한 비료 효과로 배양토(24)가 비옥해진다. 물론 액상이나 분말상의 영양제를 따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화분(8)은 부직포로 구성되며, 본체(2)의 공간부(6)의 중간 부분이나 하부에 걸쳐진 상태로 수납 유지될 수 있도록 본체(2)와 같은 형상 모양이 바람직하며, 부직포의 밀도는 50~250g/㎡일 수 있으며, 두께는 0.3~5㎜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물(9)이 식재되는 부직포 화분(8)의 지름과 높이는 150~400㎜ 크기로 작게 구성함으로써 부직포 화분(8)에 생육되는 식물(9)의 줄기와 가지와 잎과 꽃을 포함한 전체의 평면적 또는 외경이 작게 성장하면서 왜성 식물(9)로 재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화분(8)의 바닥(19)와 측벽(20)은 동일한 중량의 부직포 원단일 수 있으나 서로 다른 종류의 부직포 원단일 수도 있다. 이를테면 직하중을 많이 받고 재배수가 보다 많이 배수되는 바닥(19)의 경우 원단 부직포의 중량을 무겁게 하거나 두꺼운 부직포를 사용하고, 측하중(측방향 압력)을 많이 받는 측벽(20)의 경우 부직포 원단의 중량을 가볍게 하거나 얇은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화분(8)은 크기, 형태, 색상(검정색, 분홍색, 초록색 등) 및 모양 등은 본체(2)의 크기 및 형상 모양 등을 감안하여 얼마든지 가변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부직포(non-woven fabric , 不織布)는 섬유를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전기방사 또는 압출되는 미세한 실을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시키면서(Web 형태) 엠보싱 롤러를 이용하여 소정 간격으로 열압착시켜 무수한 기공이 형성되면서 수분과 공기가 자연스럽게 유통되는 내구성이 우수한 스판본드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통기 및 배수되면서 식물(9)의 잔뿌리가 통과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식물(9) 뿌리의 과도한 성장이 억제되며, 또한 식물(9)의 과도한 성장을 방지함으로써 반려식물로 휴대하면서 관상할 수 있는 작은 크기(왜성)로 재배된다.
상기 식물(9)의 주(主)뿌리와 잔뿌리는 배양토(24)에 의해 활착 생육되면서 부직포 화분(8)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재배된다.
상기 식물(9)의 종류에 따라 잔뿌리의 끝 부분은 부직포 화분(8)의 미세 기공(다공)으로 일부 침투하여 활착되면서 주 뿌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도 있다.
상기 부직포의 두께가 필요 이상 두꺼우면 공기의 투과 부족으로 수분증발이 잘 안되므로 배양토(24)의 지나친 수분 때문에 식물(9)의 주 뿌리 및 잔뿌리가 썩는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으며, 반대로 부직포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부직포 화분(8)의 형태 유지가 어렵거나 적절한 수분이 유지되지 않아 식물(9)이 가뭄에 의해 성장 피해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직포 화분(8)을 이용함으로써 경제적일 뿐 아니라, 도 1, 도 3과 같이 상부 일측에 구성되는 손잡이끈(7)을 이용하여 본체(2)의 공간부(6)로 쉽게 집어 넣거나 끄집어낼 수 있어 급수 및 관리 등이 용이하며, 도 6과 같이 본체(2)의 개방부(3)에 뒤집어 결합시킨 뚜껑(5)의 만곡부(18)에 얹어 식물(9)이 보다 효과적인 탄소동화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다량의 물을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끈(7)을 이용하여 부직포 화분(8)을 수중에 소정 시간 침투시켜 다량의 물을 한꺼번에 공급한 다음 공간부(6)에 투입시켜 휴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 화분(8)은 식물(9)을 옮겨 심기도 용이하며, 일반 화분(7)보다 가벼우면서 두께가 얇아 공간을 적게 차지하며, 기공이 무수히 형성되어 통기와 배수가 우수하여 식물(9)의 왜성 재배에 안성맞춤이며, 또한 공기투과도와 투습도가 적절하게 유지되고, 내후성도 좋고 무독성이기 때문에 식물(9)이 더욱 튼튼하게 자라면서 결실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부직포는 배양토(24)에 적절한 수분을 유지하므로 식물(9)의 성장에 지장이 없고 공급되는 물의 과도한 증발이나 지나친 수분을 막아 적절한 수분이 유지되므로 식물(9)의 생육이 최적화 된다.
상기 부직포 화분(8)은 부직포에 의해 친환경적이고 숨쉬는 기능이 부여되며, 폐기처분 시에는 분리 폐기 및 소각처리할 수 있으며, 넘어뜨리거나 떨어뜨려도 깨지지 않는 등의 장점이 있다.
상기 식물(9)의 재배 기간 동안 시비 또는 영양제를 보충할 수 있으며, 병해 또는 병충해를 예방 및/또는 살충 소독을 시행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통기 및 배수되면서 식물(9)의 주 뿌리가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억제하며, 통기 기능에 의해 부직포 화분(8)이 숨을 쉬게되며, 배양토(24)와 식물(9)의 잔뿌리로 다량의 공기가 공급되므로 주 뿌리 및 잔뿌리의 발육 또한 좋아진다.
본 발명에서 식물(9) 또는 부직포 화분(8)으로 공급한 물(재배수)(30)은 배양토(24)에 흡수되면서 식물(9) 성장에 도움을 주며, 용토(23)에 머금었다가 배출되면서 배양토(24)의 적정 수분이 유지되며, 잔여 물을 마사토(44)를 지나 부직포 화분(8) 밑으로 낙하하여 본체(2) 바닥(11)에 고이게 된다.
상기 본체(2) 바닥(11)에 고인 물(30)은 뚜껑(5)과 부직포 화분(8)을 본체(2)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쏟아 비우는 방법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9)이 식재된 휴대형 식물재배기(1)를 인테리어 용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선물용, 판촉물, 사은품, 이벤트 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부직포 화분(8)에 구성되는 라벨부(17)를 통해 로고나 기타 사진을 통한 광고, 판촉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휴대형 식물재배기 (2)--본체
(3)--개방부 (4)--통기공
(5)--뚜껑 (6)--공간부
(7)--손잡이끈 (8)--부직포 화분
(9)--식물 (10)--식물 씨앗
(11)(19)--바닥 (12)(20)--측벽
(21)--실 (22)--마사토
(23)--용토 (24)--배양토
(25)(31)--덮개 (26)--통공
(27)--삽입부 (28)--홀더
(29)--표기부 (30)--물
(32)--구멍 (33)--마개

Claims (12)

  1. 소정 형상으로 성형되는 투명이나 반투명 용기 본체;
    본체 상부에 형성되는 개방부에 결합 및 분리되고 중앙에 통기공이 형성되는 투명이나 반투명의 뚜껑;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공간부에 수납되고 손잡이끈을 가진 부직포 화분; 및
    부직포 화분에 심어지는 식물이나 식물 씨앗;
    을 포함하는 휴대형 식물재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
    상기 부직포 화분은;
    바닥과 측벽 및 상향 개방형의 재배실이 형성되고, 상기 재배실에 소정 높이의 마사토가 투입되고, 상기 마사토 위에 소정 높이의 배양토가 투입되고, 상기 배양토의 상부면에 배양토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가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식물재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
    상기 부직포 화분은;
    바닥과 측벽 및 상향 개방형의 재배실이 형성되고, 상기 재배실에 소정 높이의 마사토가 투입되고, 상기 마사토 위에 소정 높이의 용토가 투입되고, 상기 용토 위에 소정 높이의 배양토가 투입되고, 상기 배양토의 상부면에 배양토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가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식물재배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본체 외면에 끼워지는 소정 높이의 홀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홀더는, 본체와 같은 형상과 모양을 갖도록 위는 넓고 아래가 좁은 삽입부가 형성되고 표면에 표기부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식물재배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상기 부직포 화분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손잡이끈; 및
    손잡이끈 단부에 부착되는 태그;
    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식물재배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상기 부직포 화분의 외면에 구성되는 라벨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식물재배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상기 본체는 상향 할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 상단부에 외향 돌출형 테두리부가 구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에는 뚜껑 하단부에 형성되는 내향홈이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식물재배기.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턱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식물재배기.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상기 뚜껑에 형성되는 상향 만곡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식물재배기.
  10.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
    상기 덮개는, 소정 두께를 갖는 스펀지, 두꺼운 부직포, 우레탄폼 중 어느 하나 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식물재배기.
  1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
    상기 덮개는, 좌우로 분리 구성하되 직선부 중앙에 반원형 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식물재배기.
  12.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
    상기 덮개는, 원형 덮개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결합 및 분리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식물재배기.
KR1020220071270A 2022-06-13 2022-06-13 휴대형 식물재배기 KR20230171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270A KR20230171116A (ko) 2022-06-13 2022-06-13 휴대형 식물재배기
PCT/KR2023/005174 WO2023243843A2 (ko) 2022-06-13 2023-04-17 휴대형 식물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270A KR20230171116A (ko) 2022-06-13 2022-06-13 휴대형 식물재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116A true KR20230171116A (ko) 2023-12-20

Family

ID=8919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270A KR20230171116A (ko) 2022-06-13 2022-06-13 휴대형 식물재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71116A (ko)
WO (1) WO2023243843A2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2335A (ko) 2010-09-28 2012-04-05 심이성 삽목용 화분
KR20200105763A (ko) 2020-08-21 2020-09-09 김다정 반려식물케어시스템
KR102308389B1 (ko) 2021-06-01 2021-10-05 전요한 반려식물 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2335A (ko) 2010-09-28 2012-04-05 심이성 삽목용 화분
KR20200105763A (ko) 2020-08-21 2020-09-09 김다정 반려식물케어시스템
KR102308389B1 (ko) 2021-06-01 2021-10-05 전요한 반려식물 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3843A2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14020B (zh) 植物生长系统以及采用所述系统的方法
KR20230171116A (ko) 휴대형 식물재배기
JP4249797B1 (ja) コチョウラン又はフウランの栽培方法およびコチョウランとフウラン
KR101798946B1 (ko) 화분용 발효 유닛 및 상기 화분용 발효 유닛을 포함하는 발효 장수 화분
JP3121457U (ja) 弱光環境下での長期植物水又は溶液栽培セット
KR200370417Y1 (ko) 가정용 식물 재배화분
US8112936B1 (en) Container-based plant husbandry apparatus and controlled horticultural environment for using same
KR200493570Y1 (ko) 새싹채소 재배용 1회용 콤팩트 용기
JP2018027038A (ja) 水耕栽培用容器及び水耕栽培キット
KR200461692Y1 (ko)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분받침대
JP3129796U (ja) ビオト−プ設備付き植物フロ−ト栽培装置
JP2004267181A (ja) 植物自在棒固定鉢
JP2014000066A (ja) 植物育成容器
US20060150498A1 (en) Airtight container for culturing flowers
JP3947816B2 (ja) 植物育成床
KR200365120Y1 (ko) 수조가 구비된 화분
KR100709697B1 (ko) 플라스틱제 재배용기와 황토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장치
KR200364363Y1 (ko) 향발산 캔 화분
JP2004121066A (ja) 鉢植栽培方法と栽培容器
KR20160093268A (ko) 소형 무동력 버섯 재배기
KR200362222Y1 (ko) 새싹채소 배양기
JPH09294463A (ja) 植物の植え込み材料および植物栽培方法
KR20040075677A (ko) 풍란재배 화병 및 그 제조방법
JP3150530U (ja) 植物栽培セット
KR20160001113U (ko) 테이크아웃 컵을 이용한 미니 화분 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