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570Y1 - 새싹채소 재배용 1회용 콤팩트 용기 - Google Patents

새싹채소 재배용 1회용 콤팩트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570Y1
KR200493570Y1 KR2020180003689U KR20180003689U KR200493570Y1 KR 200493570 Y1 KR200493570 Y1 KR 200493570Y1 KR 2020180003689 U KR2020180003689 U KR 2020180003689U KR 20180003689 U KR20180003689 U KR 20180003689U KR 200493570 Y1 KR200493570 Y1 KR 2004935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s
light
seed
container
vinyl chl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382U (ko
Inventor
이재홍
Original Assignee
이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홍 filed Critical 이재홍
Priority to KR2020180003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570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3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3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5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5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에서 새싹채소를 재배할 때 사용되는 부력과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씨앗이 든 새싹채소 재배용 1회용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유통과 포장, 보관이 용이하고 무게가 매우 가볍고 크기가 작은 일회용 새싹용기를 이용하여 적정 용량의 새싹채소를 부력과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간단한 방법으로 재배하여 가정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새싹채소를 직접 키워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부력과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씨앗이 든 새싹채소 재배용 1회용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유통과 구입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콤팩트형 1회용 용기로 제작하여 개당 가격이 수백원에 불과하도록 용기의 제작 단가와 부피를 줄인다.
이러한 용기의 본체는 물에 띄울 수 있고, 가벼운 스치로폼이며, 본체위에 결합되는 솜 또는 부직포 등 물을 잘 흡수하는 소재의 패드가 물을 흡수 할 수 있도록 중앙에 구멍이 뚫린 원형의 형태이다. 이러한 스치로폼 본체 위에 물을 잘 흡수하는 소재인 솜 또는 부직포를 결합하고 그 위에 씨앗을 담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스치로폼의 부력을 이용하여 물위에 띄우면 솜 또는 부직포가 모세관현상으로 인해 물을 흡수하여 그 위에 담긴 씨앗에 수분이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씨앗이 담긴 솜 또는 부직포는 검정색의 충분한 길이를 가진 아주 얇은 염화비닐로 덮여있어 콩나물과 같이 빛을 차단해야 하는 경우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씨앗이 자라는 힘에 의해 얇은 염화비닐을 밀고 올라가며 자라도록 한다. 이 염화비닐은 공기구멍을 타공하여 씨앗이 발아하는데 공기가 효율적으로 작용하도록 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보리와 같이 빛이 차단되면 안되는 경우에는 빛이 통과하는 투명한 염화비닐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덮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닐로 이루어진 스티커 형식의 비닐캡으로 불투명하여, 유통과정에서 씨앗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과 제품의 명칭과 유통기한 및 사용법등을 기재할 수 있도록 하며, 발아 이후 빛이 차단되면 안되는 경우 씨앗발아 과정에서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씨앗이 발아하고 빛이 유입돼야하는 경우 비닐캡 형태의 덮개를 떼어내서 빛을 유입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새싹채소 재배용 1회용 콤팩트 용기 {Disposable compact containers with seed for growing sprout vegetable}
본 고안은 가정에서 새싹채소를 재배할 때 사용되는 부력과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씨앗이 든 새싹채소 재배용 1회용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유통과 포장, 보관이 용이하고 무게가 매우 가볍고 크기가 작은 일회용 새싹용기를 이용하여 적정 용량의 새싹채소를 부력과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간단한 방법으로 재배하여 가정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새싹채소를 직접 키워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부력과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씨앗이 든 새싹채소 재배용 1회용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건강에 이로운 새싹채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새싹채소와 어린잎 채소는 신선하고 부드러우며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웰빙식품으로 좋고, 건강 기능면에서도 매우 우수하다.
특히, 샐러드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새싹 등과 같이 가공하지 않고 바로 섭취하는 채소의 경우, 잔류 농약의 유해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면서, 일반 가정에서 식생활에 필요한 채소를 직접 재배하여 먹고자 하는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새싹을 직접 재배하여 섭취하는 것은 번거로운 문제가 있으며, 이를 대량으로 생산하여 배달하는 경우 종실을 발아시켜 새싹을 섭취하기 적당한 크기로 성장시키고 이를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배송하는 등의 복잡한 과정을 수반하게 되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생산라인을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새싹이 수요자에게 배달되는 시간 동안 새싹의 신선도를 보장할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따라, 근래에는 가정에서 직접 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수경재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경재배기는 용기에 물을 채워 놓는 간단한 방법으로 씨앗을 발아시켜서 돋아난 새싹을 수확하는 것으로, 주로 겨자, 배추, 브루컬리, 순무, 붉은무, 아마, 콩, 완두, 보리, 밀, 해바라기 등이 수경재배가 가능한 새싹채소들이다.
이와 같은 새싹채소를 재배하는 방법으로는 바구니 같은 곳에 씨앗을 담고 그 위에 빛을 차단하는 커버를 덮어씌운 후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씨앗을 발아시켜서 재배하는 방법과, 육묘상자에 솜이나 스펀지 등을 일정한 두께로 깔고 물을 공급한 후 그 위에 씨앗을 뿌려 재배하는 방법과, 비닐하우스 내부에 상토와 모래 또는 흙 등을 골고루 뿌린 후 그 위에 씨앗을 조밀하게 뿌려 물을 공급하여서 재배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어 왔다.
근래에는 가정에서 수경재배를 통해 직접 새싹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새싹 재배장치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에 개발된 새싹 재배장치들은 용기, 격자무늬 모판, 뚜껑 형태 등으로 구성되어, 부피가 크고 불필요한 공간의 낭비를 발생시킬 뿐 아니라, 대부분 복잡하고 무게가 무겁고, 비용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이동과 그 보관이 어려운 것들이 많다.
또한, 최근 1인가구가 매우 증가하였는데, 1인 가구에서는 한번 먹을 적정 양을 구매하기가 힘들어 남은 채소를 버리는 경우가 많다. 종래의 재배장치들로 가정에서 직접 재배를 하여도 한번 먹을 적정양만을 재배하기가 힘들며, 씨앗을 따로 구매하거나, 구매할 때 과도한 양을 구매해야하는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06734호(모세현상을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1996년 3월 13일 공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9562호(재활용 용기와 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 유니트 및 수경재배방법)(1994년 8월 25일 공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정에서 가족이 원하는 새싹씨앗이 들어있는 1회용 콤팩트 용기를 저렴한 가격으로 적정 용량의 제품을 구입하여 부력을 이용하여 기존의 수경재배기처럼 동력 또는 수동으로 주기적 물주기 없이 물에 띄어 놓는 것으로 손쉽게 가정에서 새싹채소를 키울 수 있도록 하여 성장과 동시에 취식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유통과 구입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콤팩트형 1회용 용기로 제작하여 개당 가격이 수백원에 불과하도록 용기의 제작 단가와 부피를 줄인다. 이러한 용기의 본체는 물에 띄울 수 있고, 가벼운 스치로폼 소재이며, 본체위에 결합되는 솜 또는 부직포 등 물을 잘 흡수하는 소재의 패드가 물을 흡수 할 수 있도록 중앙에 구멍이 뚫린 원형의 형태이다. 이러한 스치로폼 본체 위에 물을 잘 흡수하는 소재인 솜 또는 부직포를 결합하고 그 위에 씨앗을 담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스치로폼의 부력을 이용하여 물위에 띄우면 솜 또는 부직포가 모세관현상으로 인해 물을 흡수하여 그 위에 담긴 씨앗에 수분이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씨앗이 담긴 솜 또는 부직포는 검정색의 충분한 길이를 가진 아주 얇은 염화비닐로 덮여있어 콩나물과 같이 빛을 차단해야 하는 경우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새싹이 옆으로 퍼져서 자라지 않고 위로 자라게 하여 씨앗이 자라는 힘에 의해 얇은 염화비닐을 밀고 올라가며 자라도록 한다. 이 염화비닐은 공기구멍을 타공하여 씨앗이 발아하는데 공기가 효율적으로 작용하도록 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보리와 같이 빛이 차단되면 안되는 경우에는 빛이 통하는 아주 얇은 투명한 염화비닐로 덮는다.
본 고안의 덮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닐로 이루어진 스티커 형식의 비닐캡으로 불투명하여, 유통과정에서 씨앗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과 제품의 명칭과 유통기한 및 사용법등을 기재할 수 있도록 하며, 발아 이후 빛이 차단되면 안되는 경우 씨앗발아 과정에서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씨앗이 발아하고 빛이 유입돼야하는 경우 비닐캡 형태의 덮개를 떼어내서 빛을 유입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유통과 구입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콤팩트형 1회용 용기로 제작하여 제작 단가와 부피가 줄어드는 것은 물론, 유통과 보관 및 포장 등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용기 안에는 씨앗을 미리 담아 유통함으로써 1인 가구 또는 1회 조리용량에 맞는 적정용량의 새싹채소를 키울 수 있도록 하여 많은 양으로 인해 채소가 남아 썩거나 버리는 일이 생기지 않고, 씨앗을 따로 구매하는 번거로움과 과도한 양을 구매해야하는 낭비가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부력과 모세관방식은 별도의 물 공급 없이 물통에 띄어놓기만 하면 씨앗이 발아하고 성장하면서 씨앗을 덮고 있는 염화비닐을 헤치고 자라게 되어 염화비닐의 솟아오른 정도를 보고 수확시기를 가늠할 수 있어서 종래의 가정에서 물 공급의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복잡한 시설이나 구성요소로 인한 어려움을 없애고, 이로 인한 불필요한 비용과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 : 분해도
도2 : 결합사시도
도3 : 결합평면도
도4 : 결합배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분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상기 분해도를 결합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상기 분해도를 결합한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상기 분해도를 결합한 용기의 배면도이다.
도1인 분해도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은 씨앗이 유통과정에서 쏟아지는걸 방지하고, 제품명, 유통기한, 사용법 등을 표기하는 역할과, 발아시기에 빛을 차단하는 역할과 포장을 용이하게 하는 본체덮개(10)와; 씨앗의 발아를 위해 빛을 차단하고, 공기가 잘 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공(300)을 포함하고 있는 염화비닐(30)과; 하부로부터 물이 통할 수 있는 구멍인 흡수공(200)을 포함한 본체(20)와; 상기 흡수공을 통하여 물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패드(40)와; 상기 패드위에 위치하며, 본 고안의 용기에 포함되어 있는 씨앗(10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덮개(10)의 소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닐로 된 상호 및 제품명, 유통기한 사용법 등이 인쇄된 스티커 형식의 불투명한 비닐캡으로 포장이 용이하고, 유통과정에서 씨앗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과 검정색 염화비닐 없이 씨앗만 담겨있는 경우 씨앗발아 과정에서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씨앗이 발아하고 빛이 유입돼야 하는 경우 비닐캡 형태의 덮개를 떼어내서 빛을 유입시키는 것이다.
상기 염화비닐(30)의 소재는 아주 얇고, 빛을 차단할 수 있는 검정색의 염화비닐이며, 새싹이 충분히 자랄 수 있도록 길이가 충분하며 한쪽 면이 뚫린 형태의 원통형상이며, 공기가 잘 통하도록 통공(3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20)의 소재는 가볍고 물에 띄울 수 있는 스치로폼이며, 패드(40)에 물이 공급되기 위해 하단에 흡수공(200)을 포함한다.
상기 패드(40)의 소재는 모세관현상이 잘 일어나는, 물을 잘 흡수하는 소재인 솜이나 부직포이다.
상기 도1의 분해도를 결합하면 콤팩트형태의 용기가 된다.
도2인 결합사시도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상기 본체(20)위에 패드(40)가 결합되며 이 패드(40)는 흡수공(200)을 통하여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패드(40)위에는 씨앗(100)이 담겨있으며 씨앗(100)을 염화비닐(30)이 덮고있는 것이다. 이 염화비닐(30)은 뚫린면이 본체(20) 안쪽면에 접착되며, 얇은 비닐소재인 이 염화비닐(30)을 본체에 밀어넣어 결합하면 씨앗(100)을 덮게 되는 것이다.
그 후 상기 덮개(10)를 본체(20)의 상단면에 접착하여 결합하면 본 고안의 콤팩트형태의 용기가 된다.
상기 도2의 염화비닐(30) 및 덮개(10)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반투명한 소재로 표현됐지만 실제로는 빛을 차단하기위한 검정색 소재이다.
도3은 본 고안의 분해도를 결합한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분해도를 결합한 용기의 배면도이며, 결합배면도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체(20)하단에는 흡수공(200)이 뚫려 있으며, 흡수공(200)에는 패드(40)가 채워져 있는 것이다.
이러한 씨앗을 포함하여 콤팩트 형태로 조립된 용기는 1회용 용기로 제작하여 제작 단가와 부피가 줄어드는 것은 물론, 유통과 보관 및 포장 등이 용이하다.
본 고안의 목적을 실시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자면, 본 고안에 따른 용기는 도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씨앗(100)을 포함하고 있는 원통모양의 콤팩트 용기이다.
이러한 용기는 콩나물과 같이 빛을 차단하여 성장시키는 경우와, 보리와 같이 빛에 노출시켜 성장시키는 경우에 따라 달라지는데, 빛을 차단하여 성장시키는 경우는 상기 도면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듯이 검정색 염화비닐(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용기의 씨앗 성장방법은 덮개(10)를 벗겨내고 부력을 가진 스치로폼 소재의 본체(20)를 물통 혹은 물위에 띄워놓으면 본체(20) 하단의 흡수공(200)을 채우고있는 패드(40)가 모세관현상으로 물을 흡수하게 되고 물이 충분하게 흡수된 패드(40)위에 놓인 씨앗(100)이 발아하여 성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씨앗(100)이 성장하면서 검정색 염화비닐(30)은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씨앗이 성장하면서 씨앗을 덮고있는 염화비닐(30)을 밀고 올라와 새싹의 성장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씨앗을 빛에 노출시켜 성장시켜야 하는 경우는 상기 분해도인 도면1에서 염화비닐(30)을 빛이 통하는 투명한 소재의 염화비닐로 결합된다. 이러한 용기의 씨앗 성장방법은 발아과정에서는 빛을 차단하여야 하므로, 불투명한 소재의 빛을 차단할 수 있는 덮개(10)를 벗겨내지 않고 그대로 부력을 가진 스치로폼 소재의 본체(20)를 물통 혹은 물위에 띄워놓고, 발아가 된 경우 상기 덮개(10)를 벗겨내어 빛에 노출되도록 하여 새싹을 성장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부력과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씨앗이 든 새싹채소 재배용 1회용 콤팩트 용기는 용기의 크기 및 씨앗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여 1회분, 2회분 등의 다양한 적정용량으로 변화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설명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덮개 20:본체 30:염화비닐 40:패드
100:씨앗 200:흡수공 300:통공

Claims (4)

  1. 삭제
  2. 물에 띄울 수 있도록 부력을 가지는 스치로폼 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에 물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공(200)이 형성된 본체(20);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결합되며, 모세관현상이 발생하도록 솜이나 부직포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수공(200)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며, 상부면에 씨앗(100)이 놓여지는 패드(40);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씨앗(100)이 성장하는 동안 상기 씨앗(100)을 감싸도록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되 상부면이 막히고 상기 본체(20)를 향하는 하부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공기가 잘 통하도록 통공(300)이 형성된 염화비닐(30); 및
    상기 씨앗(100)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20)의 상부면에 결합되거나 상기 본체(20)의 상부면으로부터 제거되며, 불투명한 비닐 소재로 이루어지는 덮개(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채소 재배용 1회용 콤팩트 용기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씨앗(100)이 성장 과정에서 빛에 노출되면 안되는 씨앗(100)인 경우, 상기 염화비닐(30)은 빛이 통하지 않는 검정색이고, 상기 덮개(10)는 상기 본체(20)로부터 벗겨내며,
    상기 씨앗(100)이 성장 과정에서 빛에 노출되어야 하는 씨앗(100)인 경우, 상기 염화비닐(30)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10)는 상기 씨앗(100)의 발아과정에서 상기 본체(20)의 상부면에 결합되었다가 상기 씨앗(100)이 발아가 된 경우 상기 본체(20)로부터 벗겨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채소 재배용 1회용 콤팩트 용기
KR2020180003689U 2018-08-09 2018-08-09 새싹채소 재배용 1회용 콤팩트 용기 KR2004935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689U KR200493570Y1 (ko) 2018-08-09 2018-08-09 새싹채소 재배용 1회용 콤팩트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689U KR200493570Y1 (ko) 2018-08-09 2018-08-09 새싹채소 재배용 1회용 콤팩트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382U KR20200000382U (ko) 2020-02-19
KR200493570Y1 true KR200493570Y1 (ko) 2021-04-22

Family

ID=6963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689U KR200493570Y1 (ko) 2018-08-09 2018-08-09 새싹채소 재배용 1회용 콤팩트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57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166B1 (ko) * 2023-02-24 2023-08-17 김병준 뿌리주머니가 있는 식물 수경재배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970Y1 (ko) 2004-11-09 2005-03-11 김영준 콩나물 재배용기용 커버
KR101475859B1 (ko) 2012-03-05 2014-12-23 서동한 부유화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808A (ja) * 1994-07-04 1996-01-16 Yasuo Shimizu 簡易水栽培用具
KR960006734U (ko) 1994-08-25 1996-03-13 양순옥 모세 현상을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0161467Y1 (en) * 1997-09-10 1999-11-15 Kwak Young Ill The apparatus for cultivating bean-sprouts
KR20110009562A (ko) 2009-07-22 2011-01-28 이주식 재활용 용기와 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 유니트 및 수경재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970Y1 (ko) 2004-11-09 2005-03-11 김영준 콩나물 재배용기용 커버
KR101475859B1 (ko) 2012-03-05 2014-12-23 서동한 부유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382U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1822B2 (en) Plant growing system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4926584A (en) Apparatus for hydroponic farming
KR100574618B1 (ko) 싹채소 재배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62925B1 (ko) 채소재배 및 새싹재배 겸용 가정용 다기능 식물재배기
KR200493570Y1 (ko) 새싹채소 재배용 1회용 콤팩트 용기
US20070283622A1 (en) Method for hydroponic plant culture and container for same
JP2017029126A (ja) 栽培シート
JP3173159U (ja) 簡易栽培用具
KR20130003824A (ko) 식물재배용기
WO2011140650A1 (en) Cup and removable seed tab combination device
KR200482741Y1 (ko) 새싹 재배용 키트
KR20100105977A (ko) 인삼 육묘방법
KR20200000381U (ko) 부력과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씨앗이 든 새싹채소 재배용 1회용 콤팩트 용기
JPH07289103A (ja) 芽物野菜の栽培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6386426A (zh) 一种育苗基质及盛放该育苗基质的装置
JPH01108926A (ja) パック入り清浄野菜及び茸類の生産法及び装置
CN205611371U (zh) 一种杯土一体育苗盘
CN2323574Y (zh) 一种可观赏植物生长全过程的花盆
KR200349560Y1 (ko) 새싹채소 배양기
KR101776260B1 (ko) 채소재배용기
CN220422682U (zh) 一种内置内膜纸或生物炭棉的种植包
KR20190100600A (ko) 씨앗이 든 새싹채소 재배용 1회용 콤팩트 용기
KR200420720Y1 (ko) 수경재배기
JP2017127221A (ja) スプラウト栽培方法及びスプラウト栽培キット
KR100459631B1 (ko) 수경식물 재배장치 및 재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