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824A - 식물재배용기 - Google Patents
식물재배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3824A KR20130003824A KR1020110065424A KR20110065424A KR20130003824A KR 20130003824 A KR20130003824 A KR 20130003824A KR 1020110065424 A KR1020110065424 A KR 1020110065424A KR 20110065424 A KR20110065424 A KR 20110065424A KR 20130003824 A KR20130003824 A KR 201300038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ltivation container
- support
- plant
- cultivation
- vesse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5899 viabil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331 s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905 Brassica oleracea var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08822 Lactu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228 Lactuc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42 wellbe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재배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종된 씨앗의 생존 가능성을 높여 일반인도 손쉽게 파종할 수 있고 모종을 옮겨 심을 때에 뿌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식물재배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식물에게 필요한 물이나 양액을 담는 제1 재배용기, 상기 제1 재배용기의 개방된 윗면 또는 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삽입구에 고정되어 제1 재배용기의 내부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에 배치되는 소형의 제2 재배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식물에게 필요한 물이나 양액을 담는 제1 재배용기, 상기 제1 재배용기의 개방된 윗면 또는 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삽입구에 고정되어 제1 재배용기의 내부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에 배치되는 소형의 제2 재배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물재배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종된 씨앗의 생존 가능성을 높여 일반인도 손쉽게 파종할 수 있고 모종을 옮겨 심을 때에 뿌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식물재배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추, 케일 등의 채소는 우선 모판에 씨앗을 뿌려 어느 정도 싹을 틔운 후에 모종을 밭으로 옮겨 심어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토양 또는 칼집을 낸 스펀지에 씨앗을 파종한 다음에 물을 뿌려주고 며칠이 지나면 씨앗에 싹을 틔우게 된다. 싹을 틔운 모종은 토양 등의 모판에서 분리하여 밭에 옮겨 심어 재배하게 된다.
채소 재배는 이와 같이 파종과 정식을 거치게 되는데 싹을 틔운 모종을 모판에서 분리하는 때에는 작업자가 아무리 조심해도 뿌리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웰빙 먹을거리에 대한 관심이 많은 현재에 이르러서는 일반 가정에서 채소를 직접 재배하여 먹는 경우, 예를 들어 텃밭용 화분이나 형광등 또는 LED 조명을 이용한 식물재배기를 이용하여 실내에서 재배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농사 경험이 거의 없는 일반인이 파종하여 싹을 틔우고 옮겨 심는 과정이 쉽지 않고 대부분의 씨앗에서 싹을 틔우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씨앗을 구입하여 파종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자란 모종을 구입하여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 경우에는 가정에서 씨앗을 뿌리는 단계부터 직접 시행하고 관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파종된 씨앗의 생존 가능성을 높여 일반인도 손쉽게 파종할 수 있고 모종을 옮겨 심을 때에 뿌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식물재배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과제 해결 수단과 관련하여,
본 발명은 식물에게 필요한 물이나 양액을 담는 제1 재배용기, 상기 제 1 재배용기의 개방된 윗면 또는 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삽입구에 고정되어 제1 재배용기의 내부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에 배치되는 소형의 제2 재배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재배용기는 내부에 다공질 배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재배용기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재배용기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높이 방향으로 긴 막대형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재배용기는 측면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면서 외부로 수평 돌출된 돌출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는 높이에 따라 단면적이 증가하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의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는 지지면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면서 외부로 만곡 돌출된 만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재배용기와 지지대는 물의 수위와 뿌리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2 재배용기를 사용하여 직접 파종하여 정식함으로서 채소 재배의 전 과정을 직접 관리할 수 있고 모종을 옮겨 심을 때에 다공질 배지에서 모종을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뿌리가 손상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재배용기의 측면에 긴 막대형 구멍을 구비하여 파종 직후에 뿌리가 짧은 초기 단계에서부터 뿌리가 제2 재배용기의 외부로 성장하여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받을 수 있고 이 후에는 뿌리 성장에 따라 막대형 구멍의 적당한 위치에서 뿌리가 제2 재배용기의 외부로 성장할 수 있게 하여 파종된 식물의 생존 가능성을 높여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다양한 화분이나 테이크 아웃 컵 등 다양한 컵을 제1 재배용기로 활용하여 별도 제작된 제2 재배용기에 결합될 수 있게 하여 정식, 분갈이 또는 모종 판매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지지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지지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기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지지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용기(10)는 제1 재배용기(100), 상기 제1 재배용기(100)의 개방된 윗면 또는 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대(200), 및 상기 지지대(200)에 형성된 삽입구(220)에 고정되어 제1 재배용기(100)의 내부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에 배치되는 소형의 제2 재배용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재배용기(100)는 화분용으로 제작된 그릇을 포함하여 음료용 컵, 테이크아웃 컵 등 식물에게 필요한 물이나 양액 또는 흙을 담을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그릇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재배용기(100)는 도 1 또는 도 2에서 원형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재배용기(100)는 외부에서 물의 수위와 식물 뿌리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200)는 높이에 따라 단면적이 증가하는 지지면(210) 및 상기 지지면(2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면(210)은 지지대(200)의 측면을 형성하면서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수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면적이 증가하고 하단 중심부에 삽입구(220)가 형성된 깔때기 형상을 가진다.
상기 삽입구(220)는 제2 재배용기(30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멍을 형성하고,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나 원형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200)는 지지면(210)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외부로 만곡 돌출된 만곡부(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20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재배용기(300)는 내부에 다공질 배지(3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재배용기(300)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재배용기(300)가 소형이라는 것은 제1 재배용기(100)와 비교하여 크기가 작다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제2 재배용기(30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높이 방향으로 긴 막대형 구멍(33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재배용기(300)의 측면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재배용기(300)는 측면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면서 외부로 수평 돌출된 돌출테(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질 배지(310)는 물 또는 양액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고 식물의 뿌리가 잘 뻗어나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공질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다공질 배지(310)는 흙을 사용하지 않고 스펀지, 우레탄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인공배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기(10)는 제2 재배용기(300)와 함께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테이크아웃 컵을 이용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즉, 테이크아웃 컵은 제1 재배용기(100), 테이크아웃 컵의 뚜껑은 지지대(200)로 활용하고, 테이크아웃 컵의 뚜껑에 형성된 빨대구멍은 삽입구(220)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재배용기를 일반적인 그릇 형태에서 변형시키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용기는 제2 재배용기, 상기 제2 재배용기가 결합되는 단턱이 구비된 기둥 형상의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가 착탈 가능한 지지부가 구비된 제1 재배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기(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추, 케일 등의 채소 씨앗을 제2 재배용기(300)의 내부 공간을 채우는 다공질 배지(310)에 파종하고 제2 재배용기(300)를 양액에 담그거나 다공질배지(310)에 직접 양액을 뿌려 싹을 틔우게 한다. 이 경우에 제2 재배용기(300)는 지지대(200)를 통해 제1 재배용기(100)에 결합된 상태이거나 제1 재배용기(100)에서 제2 재배용기(300)가 분리된 상태일 수 있다.
씨앗에서 싹이 틔고 성장하게 되면 채소 뿌리는 그 길이가 짧은 상태에서는 제2 재배용기(300)의 측면에 형성된 막대형 구멍(330)의 상단을 통해 외부로 뻗어나가고 그 길이가 길어질수록 막대형 구멍(330)의 하단에 근접한 부분을 통해 외부로 뻗어나갈 수 있게 된다.
모종이 어느 정도 자라게 되면 모종이 뿌리 내린 제2 재배용기(300) 자체를 제1 재배용기(100)에 결합된 지지대(200)의 삽입구(220)에 삽입 고정한 후에 제1 재배용기에 양액 또는 흙을 채워 선택적으로 수경재배 또는 토양재배를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1 재배용기(100)와 지지대(200)는 지지대(200)의 지지면(210) 또는 만곡부(230)가 제1 재배용기(100)의 개방된 윗면이나 내부 측면에 접촉하여 결합되고, 지지대(200)와 제2 재배용기(300)는 제2 재배용기(300)의 테이퍼 형상 측면 또는 돌출테(340)가 지지대(200)의 삽입구(220)에 접촉하여 결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식물재배용기
100 : 제1 재배용기
200 : 지지대
210 : 지지면
220 : 삽입구
230 : 만곡부
300 : 제2 재배용기
310 : 다공질 배지
320 : 구멍
330 : 막대형 구멍
340 : 돌출테
100 : 제1 재배용기
200 : 지지대
210 : 지지면
220 : 삽입구
230 : 만곡부
300 : 제2 재배용기
310 : 다공질 배지
320 : 구멍
330 : 막대형 구멍
340 : 돌출테
Claims (7)
- 식물에게 필요한 물이나 양액을 담는 제1 재배용기;
상기 제1 재배용기의 개방된 윗면 또는 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삽입구에 고정되어 제1 재배용기의 내부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에 배치되는 소형의 제2 재배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배용기는 내부에 다공질 배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재배용기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배용기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높이 방향으로 긴 막대형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배용기는 측면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면서 외부로 수평 돌출된 돌출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높이에 따라 단면적이 증가하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의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지지면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면서 외부로 만곡 돌출된 만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배용기와 지지대는 물의 수위와 뿌리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5424A KR20130003824A (ko) | 2011-07-01 | 2011-07-01 | 식물재배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5424A KR20130003824A (ko) | 2011-07-01 | 2011-07-01 | 식물재배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3824A true KR20130003824A (ko) | 2013-01-09 |
Family
ID=4783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5424A KR20130003824A (ko) | 2011-07-01 | 2011-07-01 | 식물재배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03824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83359A (ko) * | 2014-01-09 | 2015-07-17 | 조태인 | 수경식물 재배용 화분 키트 및 이를 사용한 식물 재배 장치 |
KR101646638B1 (ko) * | 2015-12-14 | 2016-08-08 | 김서연 | 아쿠아포닉스 화분 |
CN107027612A (zh) * | 2016-02-04 | 2017-08-11 | 辽东学院 | 单体组合可变形式水培花卉定植篮 |
CN109349087A (zh) * | 2018-12-10 | 2019-02-19 | 河南中医药大学 | 一种方便观测植物形态的无土生长装置 |
CN110063250A (zh) * | 2019-06-04 | 2019-07-30 | 北京中农俊景科技有限公司 | 一种气雾栽培植株固定装置 |
-
2011
- 2011-07-01 KR KR1020110065424A patent/KR2013000382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83359A (ko) * | 2014-01-09 | 2015-07-17 | 조태인 | 수경식물 재배용 화분 키트 및 이를 사용한 식물 재배 장치 |
KR101646638B1 (ko) * | 2015-12-14 | 2016-08-08 | 김서연 | 아쿠아포닉스 화분 |
CN107027612A (zh) * | 2016-02-04 | 2017-08-11 | 辽东学院 | 单体组合可变形式水培花卉定植篮 |
CN109349087A (zh) * | 2018-12-10 | 2019-02-19 | 河南中医药大学 | 一种方便观测植物形态的无土生长装置 |
CN110063250A (zh) * | 2019-06-04 | 2019-07-30 | 北京中农俊景科技有限公司 | 一种气雾栽培植株固定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69435B2 (ja) | 植物栽培装置 | |
JP6437721B2 (ja) | 休眠打破ズイナ種およびズイナの栽培法 | |
KR20130003824A (ko) | 식물재배용기 | |
KR100653373B1 (ko) | 원예다농재배용 조립식 화분 | |
KR101360222B1 (ko) | 수경재배용 연결포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방법 | |
US20210345568A1 (en) | Hydroponic System for Bulb Horticulture | |
KR101362925B1 (ko) | 채소재배 및 새싹재배 겸용 가정용 다기능 식물재배기 | |
KR101811871B1 (ko) | 인삼을 재배하기 위한 화분 및 화분 받침대 | |
JP2007300805A (ja) | 根菜類の筒栽培法及び根菜類栽培体 | |
ES2732843T3 (es) | Métodos y composiciones para la producción de frutos de sandía | |
RU142988U1 (ru) | Многоярус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 |
KR101498983B1 (ko) | 육묘용 생분해성 용기 | |
KR20160056026A (ko) | 식물 재배키트 | |
KR200416035Y1 (ko) | 관상용 식물재배 화분 | |
JP2019176811A (ja) | 育苗方法 | |
CN107278672A (zh) | 逆重力栽培装置以及逆重力栽培植物的方法 | |
KR200420720Y1 (ko) | 수경재배기 | |
US20180146635A1 (en)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oduction of watermelon fruit | |
KR200364363Y1 (ko) | 향발산 캔 화분 | |
KR101851156B1 (ko) | 씨감자 재배 장치 | |
KR200483887Y1 (ko) | 화분 | |
KR200201409Y1 (ko) | 수족관용 수초 육묘 포트 | |
JP2007166973A (ja) | 接木苗用の育苗トレイとそれを用いた栽培方法 | |
KR200375536Y1 (ko) | 가정용 새싹채소 재배 용기 | |
JP2008187998A (ja) | スプラウトの栽培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