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887Y1 - 화분 - Google Patents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887Y1
KR200483887Y1 KR2020150007962U KR20150007962U KR200483887Y1 KR 200483887 Y1 KR200483887 Y1 KR 200483887Y1 KR 2020150007962 U KR2020150007962 U KR 2020150007962U KR 20150007962 U KR20150007962 U KR 20150007962U KR 200483887 Y1 KR200483887 Y1 KR 2004838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hole
plant
space
pla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093U (ko
Inventor
남지우
Original Assignee
남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지우 filed Critical 남지우
Priority to KR2020150007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887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0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0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8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8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3Devices for setting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식재할 수 있고, 식물의 모종을 지지함과 성장에 따라 식물을 식재하는 식재부를 교체하지 않고 식재할 수 있는 화분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관부가 구비된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내설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내부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식재공간부에 식물을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도록 반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서로 대응되는 이면의 양측면에는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형성되어 체결결합된 식재부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는 식물을 보호할 수 있는 덮개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화분{Flowerpot}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식재할 수 있고, 식물의 모종을 지지함과 성장에 따라 식물을 식재하는 식재부를 교체하지 않고 식재할 수 있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생활수준이 개선되고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주거형태의 공급이 급증하면서 베란다나 실내공간을 친환경적이면서도 자연미를 느낄 수 있도록 꾸미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도시에서는 자연을 접하기가 쉽지 않아 지면서 이러한 욕구는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베란다나 실내 인테리어의 경우 친환경적인 요소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이에 이용되는 것이 화초나 채소류 등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화분이다.
화분은 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친환경적으로 주거요소를 개선 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실내정화작용 및 실내수분공급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실내 조형물로 이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식물을 식재하는 통상의 화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훼류 장식용 화분에 있어서,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에서 재배된 화훼작물을 개별적으로 심을 수 있는 식재구(11)가 형성된 원형의 다수 식재셀(12)로 구성되며, 상기 식재셀(12)은 상부가 상호 연결된 일체형의 모듈로 구성되어 단일의 식물용 화분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분은 그 형태가 화분의 제작 당시 정해진 것이기 때문에 식물의 성장에 따라 변경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식물의 모종을 식재시 뿌리가 안착되지 않은 모종 또는 식물의 줄기가 약한 식물은 충격에 의해 쉽게 흔들려 뿌리가 손상되거나 식재된 식물이 이탈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631300호.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화분에 식재되는 식물의 모종을 지지하여 충격에 의해 식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식물의 성장에 따라 식재되는 화분을 변경 및 다양한 형태로 식재할 수 있는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관부가 구비된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내설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내부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식재공간부에 식물을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도록 반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서로 대응되는 이면의 양측면에는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형성되어 체결결합된 식재부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는 식물을 보호할 수 있는 덮개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식재부의 상부와 하부면에 형성된 통공의 내경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재부의 식재공간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부의 걸림턱에 안착되어 식재된 식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관통공 내주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체결결합되도록 외주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보조지지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재부의 상부면에는 유도가이드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유도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가이드돌기가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식재부의 상부면에 통공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는 내경조절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분은 식물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식재할 수 있고, 식물의 성장에 따라 식재된 식재부를 교체하지 않고 식재할 수 있으며, 식물의 모종을 지지할 수 있어 충격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화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화분을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식재부를 나타내 분해사시도.
도 5a, 5b는 본 고안의 화분을 나타내 실시예.
도 6a는 본 고안의 식재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b, 6c는 도 6a에 대한 사용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의 식재부를 나타내 다른 실시예.
도 8은 도 7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9a는 본 고안의 화분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9b는 도 9a에 대한 실시예.
도 10a, 10b, 10c는 본 고안의 화분을 나타낸 사용실시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분(1)은 내부에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2)의 중심부에는 관통공(14-2)이 형성된 관부(14)가 구비된 본체 하우징(10)과 상기 본체 하우징(10)에 내설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통공(22)이 형성되고 내부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부(24)가 형성되되 상기 식재공간부(24)에 식물을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도록 반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서로 대응되는 이면의 양측면에는 체결돌기(25)와 체결홈(26)이 형성되어 체결결합된 식재부(20)와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식물을 보호할 수 있는 덮개부(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본체 하우징(10), 식재부(20), 덮개부(30)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내부에 식재된 식물을 관찰 및 빛이 내부로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재부(20)는 상부면과 하부면에 통공(22)이 형성되고 내부에 식물이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부(24)가 형성되므로써, 상기 식재공간부(24)에 식물이 식재시 상기 통공(22)으로 돌출되는 식물의 줄기부분을 지지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식재된 식물이 흔들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식재부(20)의 식재공간부(24)에 식재되는 식물은 다양한 종류의 식물중 식물의 모종, 난, 선인장 등과 같이 줄기가 가늘고, 뿌리가 짧게 형성된 식물을 식재시 그 효과가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식재부(20)의 내부에 식재되는 식물이 성장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식재부(20)는 반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서로 대응되는 이면의 양측면에는 체결돌기(25)와 체결홈(26)이 형성되어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식물의 성장에 따라 상기 식재부(20)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식재부(20)는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공간부(12) 및 관부(14)에 형성되는 관통공(14-2)에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부(20)가 내설되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식재부(20)의 통공(22)은 식물의 성장에 따라 상기 식재부(20)를 교체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부(20)의 상부와 하부면에 형성된 통공(22)의 내경(D1,D2)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b,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부(20)의 상부면에 형성된 통공(22)의 내경(D1)보다 하부면에 형성되는 통공(22)의 내경(D2)이 크게 형성되어 식물의 성장에 따라 상기 식재부(20)를 상부면에 형성된 통공(22)과 하부면에 형성된 통공(22)을 나누어 설치할 수 있어 상기 식재부(20)를 교체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식재부(20)의 통공(22)에 의해 식물을 지지함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더욱더 식물을 지지함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다양한 식물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부(20)의 식재공간부(24)에 걸림턱(24-2)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부(20)의 걸림턱(24-2)에 안착되어 식재된 식물의 지지할 수 있도록 중심부에 관통공(42)이 형성된 지지대(4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대(40)의 관통공(42) 내경(D3)은 상기 식재부(20)의 통공(22) 내경(D1,D2)보다 작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식재부(20)의 통공(D1,D2)보다 직경(D3)이 작게 형성되어 식물의 모종을 더욱더 다양하게 적용되어 식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지지대(40)는 더욱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40)의 관통공(42) 내주면에 결합홈(42-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42-2)에 체결결합되도록 외주면에는 결합돌기(52)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관통공(54)이 형성된 보조지지대(5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대(40)에 탈부착할 수 있는 보조지지대(50)가 구비되어 식물의 모종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식재부(20)에 식재되는 식물을 더욱더 다양하게 적용함과 식물의 성장에 따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부(20)의 상부면에는 유도가이드부(22-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유도가이드부(22-2)에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가이드돌기(62)가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식재부(20)의 상부면에 통공(22)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는 내경조절부(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부(20)에 식재된 식물의 성장에 따라 상기 내경조절부(60)를 좌, 우로 이동시켜 상기 식재부(20)를 교체하지 않고 식물을 지지함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식물용 화분(1)은 도 10a, 10b,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로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통공(22)이 형성되고 내부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부(24)가 형성되되 상기 식재공간부(24)에 식물을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도록 반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서로 대응되는 이면의 양측면에는 체결돌기(25)와 체결홈(26)이 형성되어 체결결합된 식재부(20)를 분리하여 상기 식재공간부(24)에 식물을 모종을 식재시킨 후 내부에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2)의 중심부에는 관통공(14-2)이 형성된 관부(14)가 구비된 본체 하우징(10)의 관통공(14-2)에 내설결합시키고,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공간부(12)에는 식물의 모종이 성장에 의해 번식할 수 있도록 배양토를 충진 시킨 후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식물을 보호할 수 있는 덮개부(30)를 체결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화분은 식물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식재할 수 있고, 식물의 성장에 따라 식재된 식재부를 교체하지 않고 식재할 수 있으며, 식물의 모종을 지지할 수 있어 충격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화분
10 : 본체 하우징 12 : 공간부
14 : 관부 14-2 : 관통공
20 : 식재부 22 : 통공
22-2 : 유도가이드부 24 : 식재공간부
24-2 : 걸림턱 25 : 체결돌기
26 : 체결홈 30 : 덮개부
40 : 지지대 42 : 관통공
42-2 : 결합홈 50 : 보조지지대
52 : 결합돌기 54 : 관통공
62 : 가이드돌기 60 : 내경조절부

Claims (5)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관부가 구비된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내설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내부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식재공간부에 식물을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도록 반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서로 대응되는 이면의 양측면에는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형성되어 체결결합된 식재부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는 식물을 보호할 수 있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식재부의 식재공간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부의 걸림턱에 안착되어 식재된 식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부의 상부와 하부면에 형성된 통공의 내경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관통공 내주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체결결합되도록 외주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관통공가 형성된 보조지지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부의 상부면에는 유도가이드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유도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가이드돌기가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식재부의 상부면에 통공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는 내경조절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KR2020150007962U 2015-12-04 2015-12-04 화분 KR2004838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962U KR200483887Y1 (ko) 2015-12-04 2015-12-04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962U KR200483887Y1 (ko) 2015-12-04 2015-12-04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093U KR20170002093U (ko) 2017-06-14
KR200483887Y1 true KR200483887Y1 (ko) 2017-07-06

Family

ID=5909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962U KR200483887Y1 (ko) 2015-12-04 2015-12-04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88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1129A (ja) * 2002-10-04 2004-04-22 Chie Sakakita 組合わせ植栽鉢
KR200449819Y1 (ko) * 2008-04-10 2010-08-12 김진범 악세사리용 미니화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300B1 (ko) 2004-05-13 2006-10-04 경기도(농업기술원)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1129A (ja) * 2002-10-04 2004-04-22 Chie Sakakita 組合わせ植栽鉢
KR200449819Y1 (ko) * 2008-04-10 2010-08-12 김진범 악세사리용 미니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093U (ko)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04196S1 (en) Indoor gardening appliance
KR20160027725A (ko) 수경재배용 조립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화분
CN201430804Y (zh) 植栽组合花盆
KR20130003824A (ko) 식물재배용기
KR200483887Y1 (ko) 화분
KR200390125Y1 (ko) 관상용 식물 배양의 장식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관상용식물 배양용기
JP7182293B2 (ja) 観賞用植物の給水鉢
KR20120056185A (ko) 다단 화분
KR101811871B1 (ko) 인삼을 재배하기 위한 화분 및 화분 받침대
KR200416035Y1 (ko) 관상용 식물재배 화분
KR200291872Y1 (ko) 투명커버를 가진 화분
JP4544905B2 (ja) 苔玉及び苔玉栽培用器具並びに苔玉栽培方法
KR200339586Y1 (ko) 착생란 재배용 아파트형 화분
TWM542932U (zh) 旋轉花盆結構
CN110537482A (zh) 带护水圈、种托盘家植水培器
CN203457583U (zh) 一种具有保水吸水功能的植物种植盆
KR200395445Y1 (ko) 어항용 받침분이 구비된 농작물재배화분
JP3069514U (ja) 花植ポットの飾り台
JP3213867U (ja) 植物栽培プランター
KR101555671B1 (ko) 식물 재배기
KR20240022367A (ko) 공기 흐름을 개선한 난초 화분
KR200399046Y1 (ko) 숯으로 만든 화분
KR200192094Y1 (ko) 씨앗과 배양토를 일체로 상품화하기 위한 화분
CN203851537U (zh) 一种花盆
KR200186526Y1 (ko) 식물 재배용 화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