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819Y1 - 악세사리용 미니화분 - Google Patents

악세사리용 미니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819Y1
KR200449819Y1 KR2020080004705U KR20080004705U KR200449819Y1 KR 200449819 Y1 KR200449819 Y1 KR 200449819Y1 KR 2020080004705 U KR2020080004705 U KR 2020080004705U KR 20080004705 U KR20080004705 U KR 20080004705U KR 200449819 Y1 KR200449819 Y1 KR 2004498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ies
mini
plants
container body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0435U (ko
Inventor
김진범
Original Assignee
김진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범 filed Critical 김진범
Priority to KR2020080004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819Y1/ko
Publication of KR200900104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4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8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8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 가방, 핸드백, 열쇠고리 등에 메달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귀걸이, 목걸이 등의 각종 장신구로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악세사리용 미니화분의 구조를 개선하여 뿌리가 내린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식물의 발근시간 단축과 더불어 발근효율을 증대시키면서도 식물의 손실을 줄이고, 상품가치가 충분한 상태로 성장된 식물을 사용할 수 있어 제품성의 향상과 동시에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식물의 성장이 이루어진 후에는 이식이 가능토록 하는 악세사리용 미니화분에 관한 것이다.
이는 투명체로 이루어지면서 상부에는 연결끈을 연결할 수 있는 걸고리(11)가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는 개구되는 원통형의 용기체(10)와; 상기 용기체(10)의 개구부를 통하여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고, 상면에는 상향 돌출되는 다수개의 지지구(21)가 형성됨과 동시에 내부에는 다수의 공기유통공(22)이 형성되는 캡(20)과; 상기 캡(20)의 내부에 삽입체결되고, 원통관이 양분되어 결합 및 분리되는 한 쌍으로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배양토(B)가 충진되는 충진공간(31)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에는 식물(P)이 식재되는 식재공(3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산소와 수분이 공급되는 다수의 공급공(33)이 형성되며, 상호 접하는 부분에는 결합공(34)과 결합핀(35)이 각각 엇갈리게 형성되어 결합되는 원통형의 화분체(30);로 구성된 것이다.
미니화분, 악세사리용 미니화분, 악세사리, 다육식물

Description

악세사리용 미니화분{Mini a flowerpot for accessory}
본 고안은 핸드폰, 가방, 핸드백, 열쇠고리 등에 메달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귀걸이, 목걸이 등의 각종 장신구로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악세사리용 미니화분의 구조를 개선하여 뿌리가 내린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식물의 발근시간 단축과 더불어 발근효율을 증대시키면서도 식물의 손실을 줄이고, 상품가치가 충분한 상태로 성장된 식물을 사용할 수 있어 제품성의 향상과 동시에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식물의 성장이 이루어진 후에는 이식이 가능토록 하는 악세사리용 미니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외에서 관상용으로 재배되는 식물들은 대부분 화분에 식재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즉 일정한 크기의 화분에는 식물에 영양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토록 하는 배양토가 채워져 형성됨과 동시에 이의 배양토에 화초가 식재되어 관상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일반적인 화분은 구조적인 특성상 휴대가 불가능한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근래에는 살아있는 식물을 휴대가 가능토록 구성하면서도 꾸준히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 악세사리용 미니화분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미니화분은 여러 가지 악조건이나 이동에도 불구하고 원활하게 생장하는 난과식물이나 선인장 등과 같은 다육식물을 캡슐 형태의 작은 투명용기 내에 식재하여 이를 가방, 핸드백, 핸드폰 등의 여러 제품에 부착하여 악세사리용으로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는 살아있는 식물을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닐 수 있다는 것과 더불어 지속적인 관리와 애정을 쏟을 수 있다는 특징으로 인하여 장식성 및 유희성은 물론이고 어린이들의 교육적인 측면이나 정서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종래 미니화분의 구조를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우선 인공적인 토양(배지)을 형성하여 매우 작은 크기의 다육식물을 투명체의 용기내에서 생육시키도록 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내부가 투시되는 투명체로 이루어지는 용기를 갖추어 구성됨과 동시에, 이의 상단 개구부에는 외부로부터 산소의 공급은 허용되는 반면에 식물에 해로운 균의 침투는 허용되지 않는 필터가 체결되고, 또한 용기의 내부에는 미생물을 배양하는데 사용되는 겔 상태의 배지(培地:배양기)가 충진됨과 동시에, 배지에는 매우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식물이 식재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용기의 내부에 인공적으로 형성되는 배지를 직접 충진시킴과 동시에 이 배지에 식물의 씨앗을 발아시키거나 매우 작은 크기의 식물을 식재하는 구성임으로써 식물의 생육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 만 아니라 식재할 수 있는 식물도 매우 한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원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20-0415102호의 악세사리용 미니화분을 제안한 바 있으며, 이는 캡슐형태의 용기 내부에 충진되는 겔 상태의 배지를 안정되게 지지함과 동시에 연질의 겔 상태의 배지를 충만시켜 식물의 발아, 발근과 생장을 용이토록 함과 더불어, 식재된 식물을 직립상태로 안정되게 지지토록 함으로써 제품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선등록고안은 상부가 개구되면서 내부가 투시되는 투명체의 원통형 용기와, 이의 개구부를 개폐토록 하면서 고리를 가지는 덮개와, 상기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배지가 충진되어 식물이 식재되는 지지체와,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토록 하는 필터부재를 갖추어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선등록고안은 개선된 구조로 인하여 요구되는 여러 가지 장점을 충분히 가질지라도 구조가 다소 복잡할 뿐만 아니라, 역시 인공적으로 제조되는 토양의 배지를 살균하여 사용하는 방식임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은 남게 되는 것이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식과는 달리 근자에는 미니화분의 내부에 살균된 인공적인 토양의 배지를 사용하지 않고, 자연적인 토양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여러 가지 다육식물을 식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형태의 악세사리용 미니화분도 제안된 바 있다.
이는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263942호를 들수 있는데, 그 대체적인 구성은 투명체의 돔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커버에 상부커버가 걸림턱 등에 의해 체결되도 록 구성되고, 하부커버의 내부에는 톱밥, 마른 황토와 퇴비, 모래 등이 적절히 혼합된 배양토가 충진됨과 동시에 상부에는 망사판이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배양토에는 각종 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살균된 배양토를 사용하지 않고 자연적인 토양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특징은 있으나, 배양토에 씨앗을 심어서 발아토록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발아율이 저조할 뿐만 아니라 발아하는데 따른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결국 양산하는데 중대한 차질을 보이게 됨으로써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었고, 이러한 경우 별도의 장소에서 발아되어 일정한 크기로 성장된 식물을 미니화분에 식재할 수도 있겠으나, 이 역시 구조적인 특성상 발아되어 일부 성장된 식물을 미니화분에 옮겨심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힘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식물을 다른 장소에서 일정한 크기로 성장시켜 화분으로 옮길 경우, 화분 상부의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배양토를 충진시킨 다음 식물의 뿌리만을 식재하여야 하고, 이러한 작업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배양토가 미니화분으로 부터 쏟아지지 않도록 별도의 덮개 등을 개구부에 체결하여야만 하는 등 작업과정이 매우 까다롭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덮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화분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가 매우 작기 때문에 이를 통하여 배양토를 충진하거나 식물의 뿌리를 식재하기가 어려운 등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요인으로 인하여 양산의 어려움이 있어 생산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와 더불어 작업과정에서 연약한 식물의 뿌리를 지나치게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화분의 내부에 토양을 충분히 충진시키기도 어려운 등 식물의 생육율을 현저히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악세사리용 미니화분의 구조를 개선하여 뿌리가 내린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식물의 발근을 별도의 장소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발근시간의 단축과 더불어 출하효율을 증대시키고, 식물의 성장이 이루어진 후에는 이식이 가능토록 하는 악세사리용 미니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투명체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부에는 별도의 연결끈이 체결될 수 있는 걸고리를 가지는 용기체와,
상기 용기체의 저면에서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고 식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산소를 공급토록 하는 공기유통공이 형성되는 캡과,
상기 캡의 내부에 삽입체결되고 두 개가 양분되어 상호 결합 및 분리토록 구성되고 내부에는 배양토가 충진됨과 동시에 식물이 식재되는 화분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용기체의 저면에서 캡에 의해 체결되는 화분체를 절반으로 분리하여 상호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발근이 이루어져 상품가치가 충분한 상태로 성장된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은 식물을 별도의 씨앗판이나 발아판 등의 장소에서 안전하고 용이하게 대량으로 발아시켜 발근이 충분히 이루어진 상태로 성장시킨 다음, 악세사리용 미니화분에 식재할 수가 있게 됨으로써 여러 가지 작업성의 향상과 더불어 식물의 손실을 줄이면서도 생산성을 월등히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본 고안을 오랜기간 사용하여 식물을 충분히 성장시킨 후에는 별도의 장소에 이식이 편리한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다른 식물을 교체사용할 수도 있는 등 사용의 호환성과 더불어 상품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사용에 따른 단면도, 도3 내지 도5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구성도, 도6 이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이며,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본 고 안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내부가 훤히 투시되는 투명체로 이루어지면서 하부가 개구되는 원통형의 용기체(10)와, 상기 용기체(10)의 개구부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는 캡(20)과, 상기 캡(20)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분리 및 결합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내부에는 배양토가 충진되어 식물이 식재되는 화분체(3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용기체(10)는 합성수지 또는 유리 등의 재질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하부가 개구되면서 내부가 투시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가방이나 핸드백, 핸드폰 등을 비롯하여 휴대 가능한 각종 제품에 메달아 사용할 있도록 비교적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또 용기체(10)의 상단에는 본체(100)를 각종 제품에 용이하게 메달아 사용할 수 있도록 걸고리(11)가 형성되고, 이의 걸고리(11)에는 별도의 연결끈(12)이나 또는 기타 공지된 여러 가지 연결부재가 연결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캡(20)은 역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면서 원판체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용기체(10)의 하부 개구부를 통하여 그 내경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다 수개의 지지구(21)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다수의 공기유통공(22)이 형성된다.
이의 공기유통공(22)은 캡(20)의 용기체(10)와 결합시 내부와 연통됨으로써 식물에 필요한 산소를 원활하고도 충분하게 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됨과 동시에 식물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할 시 공급통로의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캡(20)의 내부에 삽입체결되는 화분체(3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면서 원통형의 부재가 양분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토록 형성된다.
즉, 상기 화분체(30)는 상호 대향되는 한 쌍으로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배양토(B)가 충진되는 충진공간(31)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에는 식물(P)이 식재되는 식재공(3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식물(P)에 필요한 산소와 수분이 공급되는 공급공(33)이 형성되며, 또한 양측 화분체(30)의 접하는 부분에는 결합공(34)과 결합핀(35)이 각각 엇갈리게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공(34)과 결합핀(35)은 서로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화분체(30)가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핀과 구멍 형태가 아니라 돌출되는 턱과 홈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그 위치 역시 달리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소형의 투명용기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여 각종 악세사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용기체(10)의 내부에 캡(20)으로서 설치되는 화분체(30)에 각종 다육식물(P)을 식재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식물(P)은 별도의 씨앗판, 발아판 등을 포함한 다른 장소에서 대량으로 발아시켜 발근이 이루어진, 즉 상품가치가 충분한 상태로 성장시킨 상태에서 본 고안의 미니화분에 이식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화분체(30)를 분리하여 그 충진 공간(31)내에 배양토(B)를 충진시킴과 동시에 이의 배양토(B)에 식물(P)의 뿌리를 식재하여 다시 결합시킨다.
이때, 양측의 화분체(30)는 결합공(34)과 결합핀(35)의 상호 결합력에 의해 유동없이 결합되고, 식물(P)은 식재공(32)을 통하여 수직 직립상태로 안정되게 식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식물(P)이 식재된 화분체(30)는 캡(20)의 내부에 삽입 체결하고, 이의 캡(20)을 용기체(10)의 하부 개구부를 통하여 억지끼움식으로 체결함으로써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태는 악세사리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용기체(10)의 상부에 형성된 걸고리(11)를 이용하여 별도의 연결끈(12)을 연결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러 가지 제품의 악세사리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본 고안의 미니화분(100)은 캡(20)의 저면 공기유통공(22)과 화분체(30)의 저면 공급공(33)을 통하여 외부의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는 것이고, 이와 아울러 본체를 물속에 담겨 두었을 경우 이들을 통하여 수분이 충분히 공급될 수 있음으로써 식물(P)의 성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의 도6 내지 도8에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캡과 화분체를 일체로 성형한 것과 같이 하나의 부재로 형성한 것으로, 즉 용기체(10)의 저면에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화분체(40)를 결합토록 구성한 것이며, 상기 화분체(40)는 상호 결합 및 분리되는 한 쌍으로 형성하고, 이들의 내부 에는 배양토(B)가 충진되는 충진공간(41)을 가지면서 상,하부에는 식재공(42)과 공기유통공(43)이 각각 형성된다.
또 한 쌍의 화분체(40)가 상호 접면되는 부분에는 이들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44) 및 결합핀(45)이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외주연상에는 지지구(46)가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실시예는 캡의 기능과 화분의 기능을 하나의 화분체(40)로 수행토록 구성함으로써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기대하면서도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결합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인 화분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단면하여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 화분체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도6에서 화분체의 정단면구성도
도 8은 본 고안 도6에서 화분체의 측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체 10:용기체
11:걸고리 12:연결끈
20:캡 21:지지구
22:공기유통공 30:화분체
31:충진공간 32:식재공
33:공급공 34:결합공
35:결합핀 B:배양토
P:식물

Claims (2)

  1. 투명체로 이루어지면서 상부에는 연결끈을 연결할 수 있는 걸고리(11)가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는 개구되는 원통형의 용기체(10)와;
    상기 용기체(10)의 개구부를 통하여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고, 상면에는 상향 돌출되는 다수개의 지지구(21)가 형성됨과 동시에 내부에는 다수의 공기유통공(22)이 형성되는 캡(20)과;
    상기 캡(20)의 내부에 삽입체결되고, 원통관이 양분되어 결합 및 분리되는 한 쌍으로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배양토(B)가 충진되는 충진공간(31)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에는 식물(P)이 식재되는 식재공(3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산소와 수분이 공급되는 다수의 공급공(33)이 형성되며, 상호 접하는 부분에는 결합공(34)과 결합핀(35)이 각각 엇갈리게 형성되어 결합되는 원통형의 화분체(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용 미니화분.
  2. 투명체로 이루어지면서 상부에는 연결끈을 연결할 수 있는 걸고리(11)가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는 개구되는 원통형의 용기체(10)와;
    상기 용기체(10)의 개구부를 통하여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면서 상호 결합 및 분리되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배양토(B)가 충진되는 충진공간(41)을 가지면서 상,하부에는 식재공(42)과 공기유통공(43)이 각각 형성되며, 상호 접면되 는 부분에는 결합공(44) 및 결합핀(45)이 엇갈리는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됨과 동시에 외주연상에는 지지구(46)가 일체로 형성되는 화분체(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용 미니화분.
KR2020080004705U 2008-04-10 2008-04-10 악세사리용 미니화분 KR2004498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705U KR200449819Y1 (ko) 2008-04-10 2008-04-10 악세사리용 미니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705U KR200449819Y1 (ko) 2008-04-10 2008-04-10 악세사리용 미니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435U KR20090010435U (ko) 2009-10-14
KR200449819Y1 true KR200449819Y1 (ko) 2010-08-12

Family

ID=4155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705U KR200449819Y1 (ko) 2008-04-10 2008-04-10 악세사리용 미니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8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093U (ko) * 2015-12-04 2017-06-14 남지우 화분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942Y1 (ko) 2001-11-12 2002-02-19 김영학 악세사리용 미니 화분
KR20020063942A (ko) * 2001-01-31 2002-08-07 원철희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누룽지 제품
KR200288931Y1 (ko) 2002-06-26 2002-09-10 김영학 휴대용 선인장 재배기
KR20020088931A (ko) * 2001-05-22 2002-1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식각저지막을 갖는 에스오아이 기판, 그 제조방법, 그위에 제작된 에스오아이 집적회로 및 그것을 사용하여에스오아이 집적회로를 제조하는 방법
KR20030038802A (ko) * 2000-10-27 2003-05-16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저장 매체 위에 기록된 비트스트림의 일부를 예비적으로삭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해당 저장 매체
KR20030077697A (ko) * 2002-03-26 2003-10-04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이동통신 시스템 제어국에서 에스에스 7 엠티피2 링크유지 방법
KR200338802Y1 (ko) 2003-09-09 2004-01-24 김효진 휴대용 화분
KR200377697Y1 (ko) 2004-12-03 2005-03-11 (주)스타씨엔에이 액세서리를 겸하는 휴대용 식물재배용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802A (ko) * 2000-10-27 2003-05-16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저장 매체 위에 기록된 비트스트림의 일부를 예비적으로삭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해당 저장 매체
KR20020063942A (ko) * 2001-01-31 2002-08-07 원철희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누룽지 제품
KR20020088931A (ko) * 2001-05-22 2002-1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식각저지막을 갖는 에스오아이 기판, 그 제조방법, 그위에 제작된 에스오아이 집적회로 및 그것을 사용하여에스오아이 집적회로를 제조하는 방법
KR200263942Y1 (ko) 2001-11-12 2002-02-19 김영학 악세사리용 미니 화분
KR20030077697A (ko) * 2002-03-26 2003-10-04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이동통신 시스템 제어국에서 에스에스 7 엠티피2 링크유지 방법
KR200288931Y1 (ko) 2002-06-26 2002-09-10 김영학 휴대용 선인장 재배기
KR200338802Y1 (ko) 2003-09-09 2004-01-24 김효진 휴대용 화분
KR200377697Y1 (ko) 2004-12-03 2005-03-11 (주)스타씨엔에이 액세서리를 겸하는 휴대용 식물재배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093U (ko) * 2015-12-04 2017-06-14 남지우 화분
KR200483887Y1 (ko) * 2015-12-04 2017-07-06 남지우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435U (ko) 200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69941Y (zh) 一种新型水培花盆
CN201430804Y (zh) 植栽组合花盆
CN105165589B (zh) 水培植物用容器
CN206227105U (zh) 一种花盆
CN102884971B (zh) 一种鹿角蕨的倒垂栽培方法
KR200449819Y1 (ko) 악세사리용 미니화분
KR200392343Y1 (ko) 식물재배용 비닐팩 화분
CN205922211U (zh) 一种党参育苗移栽培育架
CN212259917U (zh) 一种核桃苗的种植装置
CN210868958U (zh) 一种适用于花卉育苗的育苗盆
KR20120074429A (ko) 식물재배용기
CN206851479U (zh) 逆重力栽培装置
CN204811224U (zh) 一种花盆
CN2323574Y (zh) 一种可观赏植物生长全过程的花盆
KR200288931Y1 (ko) 휴대용 선인장 재배기
CN206423217U (zh) 一种嵌套式花盆
KR200363021Y1 (ko) 식물 재배용 인형 화분
CN200980271Y (zh) 活体植物装饰面砖
JP2003325055A (ja) 植物育生用培地及びその製造方法
CN203219747U (zh) 一种栽培容器及栽培装置
CN215992062U (zh) 一种植物纤维环保花盆
CN2857456Y (zh) 一种植物培养容器
KR200274673Y1 (ko) 활엽수 육묘용 포트
CN210840799U (zh) 一种兰花种植盆
KR200365118Y1 (ko) 연꽃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