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673Y1 - 활엽수 육묘용 포트 - Google Patents

활엽수 육묘용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673Y1
KR200274673Y1 KR2020020003102U KR20020003102U KR200274673Y1 KR 200274673 Y1 KR200274673 Y1 KR 200274673Y1 KR 2020020003102 U KR2020020003102 U KR 2020020003102U KR 20020003102 U KR20020003102 U KR 20020003102U KR 200274673 Y1 KR200274673 Y1 KR 2002746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hardwood
unit
seedling
seedl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광우
Original Assignee
고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광우 filed Critical 고광우
Priority to KR2020020003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6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6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673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활엽수 묘목을 기르기 위한 활엽수 육묘용 포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활엽수 육묘용 포트는 내부에 상토가 채워지는 다수의 단위 포트가 격자형으로 배열된 통상의 육묘용 포트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포트(11)는 상토(15)가 주입되는 상단 인입공(12)과 물의 배수가 이루어지는 하단 배수공(13)이 관통 형성되고 상단 인입공(12)에서 하단 배수공(13)을 향하여 점차 좁아드는 형태의 콘(corn)형으로 구성되어 내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조(14)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 활엽수 육묘용 포트는 각 단위 포트에 채워진 상토의 손쉽게 분리되는 이점이 있으며, 상기 단위 포트의 상하부가 관통 형성되어 포트의 상단 입입공 직경과 하단 배수공 직경의 비가 대략 1 : 0.5의 비율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져 활엽수 묘목의 생장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활엽수 육묘용 포트{Port for raising seedlings a broadleaf tree}
본 고안은 활엽수 묘목을 기르기 위한 육묘용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육묘용 포트를 구성하는 각 단위 포트가 콘(corn)형으로 구성되어 내주면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다수 돌조가 형성되고 상기 각 단위 포트가 상하 관통 형성되어 상단 인입공의 직경과 하단 배수공 직경의 비가 대략 1:0.5의 비율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각 단위 포트의 돌조를 따라 상토의 분리가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묘목 뿌리의 생장 및 공기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활엽수 육묘용 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림이나 조경등의 관상용 또는 녹화용으로 묘목을 공급하거나 모자리에 이식될 모를 파종 후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 묘포로 공급하기 위하여 육모 또는 육묘 포트를 사용하게 되는 데, 주로 일반적인 농사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육모 포트에 묘목(苗木)의 구분없이 종자를 파종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통상의 육모용 포트는 다수개의 단위 포트가 종횡으로 나란하게 일렬 배치된 구조로써 종래의 육모용 포트 구조가 도시된 도1과 도2를 통해 간략한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은 종래의 육모용 포트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2는 종래 육모용 포트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육모용 포트(1)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다수개의 단위 포트(2)가 종과 횡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각 단위 포트(2) 저면 중앙부에 배수구멍(3)이 형성됨과 아울러 배수구멍(3) 주위로 다수개의 지지돌기(4)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단위 포트(2)의 인입부측과 그 저면은 대략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 네 변을 연결하는 빗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위 포트(2)의 저면을 인입구보다 작게 형성하여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빗면이 구성되도록 함은 모가 심어져 있는 상토를 손쉽게 분리해내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 육모용 포트(1)는 각 단위 포트(2)에 상토를 채우고 그 내부에 기르고자 하는 묘목의 종자를 삽입한 후에 온도나 비료등의 생장조건을 맞추고 일정 기간이 지나게 되면 묘목을 생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육모용 포트(1)는 일반적인 농가에서 모를 파종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모 이외의 묘목을 재배하고자 할 때에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종래의 육모용 포트(1)는 각 단위 포트(2)에 파종되어 재배되는 묘목(침엽수 또는 활엽수)의 특성상 뿌리 생장의 방향이나 뿌리 생장 폭에 비하여 각 단위 포트의 깊이가 얕게 형성되고 배수구멍의 크기가 작아 활엽수용으로는 사용하기가 부적절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육모용 포트는 침엽수용으로 사용될 때는 단위 포트 면적이 뿌리의 생장 형태에 비해 불필요하게 크게 형성되고 포트 전체 크기에 비해 단위 포트의 숫자가 적기 때문에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인이 2001.01.26.자로 실용신안등록 출원(제01-1867호)하여 2001.04.04.자로 등록(제227662호)된 실용신안건(고안의 명칭:육묘용 포트)에 의하여 침엽수에 대한 상기 단점이 해소되기는 하지만 종래 육묘용 포트의 각 단위 포트 구조에서는 활엽수 묘목의 뿌리 생장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 만 아니라 활엽수 묘목에 충분한 영양이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육모용 포트 및 육묘용 포트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육묘용 포트를 구성하는 각 단위 포트가 콘(corn)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다수의 돌조가 구비됨으로써 상토의 손쉬운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단위 포트의 상하부가 관통 형성되어 포트의 상단 입입공 직경과 하단 배수공 직경의 비가 대략 1:0.5의 비율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져 활엽수 묘목의 생장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활엽수 육모용 포트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육모용 포트가 도시된 사시도.
도2는 종래 육모용 포트의 평면도.
도3은 본 고안 육묘용 포트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 육묘용 포트의 평면도.
도5는 본 고안 육묘용 포트의 측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육묘용 포트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단위 포트 12. 인입공
13. 배수공 14. 돌조
15. 상토 16. 활엽수 묘목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상하부가 관통 형성되고 원형의 상부 인입공과 하부 배수공으로 구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드는 콘(corn)형의 다수 단위 포트가 종횡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각 단위 포트 내주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돌조가일정간격을 이루어 다수 형성된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고안 활엽수 육묘용 포트의 각 단위 포트는 상단의 상토 인입공과 하단 배수공이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드는 콘 형태로 구성되며, 각 단위 포트의 내주면 전길이에 걸쳐서 다수의 돌조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각 단위 포트에 채워지는 상토에 파종되어 일정기간동안 자라게 되는 활엽수 묘목의 뿌리 생장 형태에 적합하도록 상단 인입공의 직경과 포트 상하부 길이의 비가 대략 1 : 1.7 내지 1 : 2 정도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원뿌리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자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 활엽수 육묘용 포트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3은 본 고안 육묘용 포트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 육묘용 포트의 평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 육묘용 포트의 측면도이고,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육묘용 포트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활엽수 육묘용 포트(10)는 종과 횡방향으로 다수의 단위 포트(11)가 나란히 배열되고 각 단위 포트(11)가 상단 인입공(12)에서 하단 배수공(13)을 향하여 점차 좁아드는 형태의 콘형으로 구성되어 내주면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돌조(14)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각 단위 포트(11)는 상토가 주입되는 상단 인입공(12)과 물의 배수가 이루어지는 하단 배수공(13)이 원형으로 구성되어 상단 입인공(12) 직경(D)과 하단 배수공(13) 직경(d)의 비가 1 : 0.3 ∼1 : 0.5의 비율을 이루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직경의 비가 1 : 0.3 이하로 구성되면 배수공의 직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물의 원할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묘목의 뿌리 생장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직경의 비가 1 : 0.5 이상을 이루게 되면 상단 인입공(12)을 통해 채워지는 상토가 다져지지 않은 채로 배수공(13)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단위 포트(11)는 상단부에서 하단부에 이르는 길이 방향으로 내주면을 따라 볼록한 돌조(14)가 수직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돌조(14)에 의해서 상토(15)내에서 충분히 자란 묘목(16)을 분리할 때 상토(15)가 단위 포트(11)로부터 쉽게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위 포트(11) 하단부에 형성된 배수공(13)은 종래의 육모용 포트의 배수구에 비교하여 단위면적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단위 포트(11)내에 채워진 상토(15)에 공급되는 물의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토(15)내에서 자라는 활엽수의 뿌리가 배수공(1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분의 원할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각 단위 포트(11)는 단위 포트를 구성하는 상단 인입공(12)의 직경(D)과 수직한 길이 방향의 깊이(L)의 비가 1 : 1 정도로 구성된 종래의 육모용 포트에 비해 1 : 1.7 ∼ 1 : 2 정도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다른 식물에 비해 깊고 넓은 방사형으로 자라는 활엽수 뿌리 생장 특성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인입공(12) 직경(D)과 깊이(L)의 비가 1 : 1.7 이하로 형성되면일정기간동안 배양되는 묘목의 뿌리가 배수공(13)을 통해 포트 외부로 자라게 되고, 직경(D)과 깊이(L)의 비가 1 : 2 이상이 되면 묘목 뿌리의 생장속도에 비해 포트 길이가 길어져 상토를 통한 영양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 활엽수 육묘용 포트(10)는 각 단위 포트(11)에 상토를 채우고 난 후 활엽수 묘목의 종자를 파종하여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고 온도 및 습도를 맞추어 모표에 옮겨 심을 때까지 일정 기간 배양할 때 사용된다.
본 고안 활엽수 육모용 포트(10)의 제작 공정은 판형의 합성수지판을 적절한 온도로 가열된 프레스 압착 성형에 의해서 내주면에 돌조(14)가 형성된 다수개의 콘형 단위 포트가 형성되도록 하고 각 단위 포트의 하단부를 절개하여 원형의 배수공(13)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활엽수 육묘용 포트는 육묘용 포트를 구성하는 각 단위 포트가 상토가 채워지는 원형의 상단 인입공에서 하단 배수콘을 향해 좁아드는 콘(corn)형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다수의 돌조가 구비됨으로써 상토의 손쉽게 분리되는 이점이 있으며, 상기 단위 포트의 상하부가 관통 형성되어 포트의 상단 입입공 직경과 하단 배수공 직경의 비가 대략 1 : 0.5의 비율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져 활엽수 묘목의 생장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내부에 상토가 채워지는 다수의 단위 포트가 격자형으로 배열된 통상의 육묘용 포트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포트(11)는 상토(15)가 주입되는 상단 인입공(12)과 물의 배수가 이루어지는 하단 배수공(13)이 관통 형성되고 상단 인입공(12)에서 하단 배수공(13)을 향하여 점차 좁아드는 형태의 콘(corn)형으로 구성되어 내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조(14)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활엽수 육묘용 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포트(11)의 상단 인입공(12)과 하단 배수공(13)이 원형으로 구성되어 상단 입인공(12) 직경(D)과 하단 배수공(13) 직경(d)의 비가 1 : 0.3 ∼1 : 0.5의 비율을 이루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활엽수 육묘용 포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포트(11)의 상단 인입공(12) 직경(D)과 수직한 길이 방향의 깊이(L)의 비가 1 : 1.7 ∼ 1 : 2 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활엽수 육묘용 포트.
KR2020020003102U 2002-01-31 2002-01-31 활엽수 육묘용 포트 KR2002746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102U KR200274673Y1 (ko) 2002-01-31 2002-01-31 활엽수 육묘용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102U KR200274673Y1 (ko) 2002-01-31 2002-01-31 활엽수 육묘용 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673Y1 true KR200274673Y1 (ko) 2002-05-04

Family

ID=73085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102U KR200274673Y1 (ko) 2002-01-31 2002-01-31 활엽수 육묘용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6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417A (ko) 2015-06-01 2016-12-09 주식회사 범농 육묘용 포트
KR20200000575U (ko) 2018-09-05 2020-03-13 주식회사 범농 육묘용 연결 포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417A (ko) 2015-06-01 2016-12-09 주식회사 범농 육묘용 포트
KR20200000575U (ko) 2018-09-05 2020-03-13 주식회사 범농 육묘용 연결 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724B1 (ko) 점적관수식 육묘용 장치
CN206791106U (zh) 一种组合式花盆
CN102986431A (zh) 一种异形西瓜大棚盆钵无土栽培方法
KR101768555B1 (ko)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및 딸기 육묘 시스템
CN201282675Y (zh) 上钵下毯式钵形毯状秧苗育秧盘及钵形毯状秧苗
KR200274673Y1 (ko) 활엽수 육묘용 포트
KR101498983B1 (ko) 육묘용 생분해성 용기
CN210868958U (zh) 一种适用于花卉育苗的育苗盆
KR200359219Y1 (ko) 활엽수용 양묘 포트
CN206851479U (zh) 逆重力栽培装置
KR100235227B1 (ko) 화분과 그 제조방법
KR200227662Y1 (ko) 육묘용 포트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CN204811224U (zh) 一种花盆
KR20050109825A (ko) 침엽수용 양묘 포트
KR200191189Y1 (ko) 화분용 관수육묘상자
KR200359218Y1 (ko) 침엽수용 양묘 포트
KR200432606Y1 (ko) 육묘포트
CN107278672A (zh) 逆重力栽培装置以及逆重力栽培植物的方法
CN208143948U (zh) 苗木培育容器
JP2000262151A (ja) 植木鉢・プランター
JP3038472U (ja) 植木ポット
KR200183234Y1 (ko) 배수돌편이 구비된 육묘상자
JP3022696U (ja) 野菜用育苗トレイ
KR20160141417A (ko) 육묘용 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