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9825A - 침엽수용 양묘 포트 - Google Patents
침엽수용 양묘 포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109825A KR20050109825A KR1020040034849A KR20040034849A KR20050109825A KR 20050109825 A KR20050109825 A KR 20050109825A KR 1020040034849 A KR1020040034849 A KR 1020040034849A KR 20040034849 A KR20040034849 A KR 20040034849A KR 20050109825 A KR20050109825 A KR 200501098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
- nursery
- unit
- corner
- seedling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23—Details of rails
- E01F15/043—Details of rails with multiple superimposed members; Rails provided with ski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53—Rails of materials other than metal or concrete, e.g. wood, plastics; Rails of different materials, e.g. rubber-faced metal profiles, concrete-filled steel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엽수 묘목을 재배하기 위한 양묘 포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침엽수용 양묘 포트는 종횡으로 나란하게 연속 배열되고 상부의 인입구에 비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각 단면을 이루는 다수개의 단위포트로 구성된 양묘 포트(10)에 있어서, 상기 단위포트(11)는 인입구(12)에 비해 좁아진 폭의 바닥부(13)상에 십(+)자 구획부(13a)로 구성된 배수구멍(14)이 형성되고 정사각형의 단위포트(11)를 구성하는 네 모서리의 길이방향으로 모서리관통공(15)이 절개 형성되며 양측 모서리관통공(15)의 중앙부 즉, 단위포트(11)를 구성하는 사방 내측면상에 일자 형상의 수직돌조(16)가 돌출 형성된 구조이다.
본 발명의 침엽수용 양묘 포트는 상토내에서 생장하는 뿌리의 돌림 현상이 모서리관통공과 수직돌조에 의해서 이중으로 방지되도록 하여 세근(細根) 발달에 의한 묘목의 원활한 성장 재배가 이루어지도록 한 장점이 있음과 아울러 양묘 포트를 통한 장기간의 양모에서 발생되는 묘목의 동해 및 건조의 피해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침엽수 묘목을 얻기 위한 양묘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사각단면을 갖는 사각통 형상의 단위 포트가 격자형을 이루도록 상·하·좌·우로 밀집하여 배열되고 각 단위포트의 각 내면 폭 방향 중앙 상부에서 하부까지 일자형 수직돌조가 돌출 형성되며, 각 포트의 네 모서리 상부에서 하부까지 일자형 모서리관통공이 구비된 구조로써, 상기 각 단위포트를 통해 생육되는 침엽수 양묘의 뿌리 돌림현상이 방지됨과 아울러 세근(細根)의 발달에 의한 건강한 묘목이 재배될 수 있도록 한 침엽수용 양묘 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림이나 조경등의 관상용 또는 녹화용으로 묘목을 공급하거나 모자리에 이식될 모를 파종 후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 묘포로 공급하기 위하여 육모 또는 육묘 포트를 사용하게 되는 데, 주로 일반적인 농사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육모 포트에 묘목(苗木)의 구분없이 종자를 파종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통상의 육묘용 포트는 다수개의 단위 포트가 종횡으로 나란하게 일렬 배치된 구조로써 종래의 육모용 포트 구조가 도시된 도1과 도2를 통해 간략한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은 종래의 육묘용 포트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2는 종래 육묘용 포트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육모용 포트(1)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다수개의 단위 포트(2)가 종과 횡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각 단위 포트(2) 저면 중앙부에 배수구멍(3)이 형성됨과 아울러 배수구멍(3) 주위로 다수개의 지지돌기(4)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단위 포트(2)의 인입부측과 그 저면은 대략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 네 변을 연결하는 빗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위 포트(2)의 저면을 인입구보다 작게 형성하여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빗면이 구성되도록 함은 모가 심어져 있는 상토를 손쉽게 분리해내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 육모용 포트(1)는 각 단위 포트(2)에 상토를 채우고 그 내부에 기르고자 하는 묘목의 종자를 삽입한 후에 온도나 비료등의 생장조건을 맞추고 일정 기간이 지나게 되면 묘목을 생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육모용 포트(1)는 일반적인 농가에서 모를 파종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모 이외의 묘목을 재배하고자 할 때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침엽수 묘목에 있어서는 줄기와 뿌리가 길게 자라는 침엽수의 특성상 종래 육모용 포트의 단위 포트(2)에 파종하여 재배하는 데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육묘용 포트(1)는 각 단위 포트(2)에 파종되어 재배되는 침엽수 묘목의 뿌리 생장의 방향이나 뿌리 생장 폭에 비하여 단위 포트 면적이 불필요하게 크게 형성됨으로써 전체 크기에 비례한 단위 포트의 숫자가 적기 때문에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각 단위 포트(2)는 상토가 투입되는 인입구 한 변의 길이와 깊이의 비가 대략 1 : 1.5 정도로 형성됨으로써 침염수 묘목 뿌리의 충분한 생장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과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 단위 포트의 인입구 면적을 절반 이하로 줄이고 저면을 향해 원추형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그 하단부에 배수구멍이 구비된 구조의 침엽수 묘목용 포트가 사용되고 있기는 하나 상기 포트도 인입구 한 변의 길이와 깊이의 비가 1 : 2 정도로 깊이가 깊지 않을 뿐 만 아니라 각 단위 포트 바닥면상에 원형의 배수구멍만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구멍을 통해서 뿌리의 생장이 이루어지지 않아 묘목에 충분한 영양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육묘용 포트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사각단면을 갖는 사각통 형상의 단위 포트가 격자형을 이루도록 상·하·좌·우로 밀집하여 배열되고 각 단위포트의 내측면 중앙부에 수직하여 일자형의 돌조가 돌출 형성되며, 각 포트의 네 모서리 상부에서 하부까지 일자형 모서리관통공이 구비된 구조로써, 상기 단위포트에서 생육되는 침엽수 양묘의 뿌리가 뿌리돌림방지돌기를 따라 직하방으로 곧게 자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모서리관통공을 통해 단위포트 외부로 자란 뿌리의 고사(枯死)에 의해서 단위포트 내부의 세근(細根)이 발달됨에 의해서 건강한 묘목 생장이 가능하도록 한 침엽수용 양묘 포트가 제공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감소되는 사각형의 인입구와 바닥면으로 구성된 다수의 단위포트가 종횡의 격자형으로 밀집하여 배열되고 각 단위포트의 사방 내측면 중앙부에 일자형 수직돌조가 돌출 형성되며, 각 단위포트의 네 모서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모서리관통공이 절개 형성된 침엽수용 양묘 포트의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양묘 포트의 각 단위포트는 인입구와 바닥부가 정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인입구가 바닥부보다 큰 면적으로 이루어진 사각의 콘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바닥부상에는 십(十)자 구획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단위포트의 각 모서리부에는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외부로 묘목의 뿌리가 자랄 수 있도록 충분한 넓이의 모서리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관통공을 통해 뿌리중의 일부가 외부로 자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묘목의 생장에 방해가 되는 나선형 뿌리 성장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단위포트의 내부 깊이가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인입구 한 변의 길이에 대하여 1 : 4 내지는 1 : 5 정도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침엽수 묘목의 뿌리가 각 단위포트의 직하방으로 충분히 생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 침엽수용 양묘 포트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3은 본 발명 침엽수용 양묘 포트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 침엽수용 양묘 포트의 평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 침엽수용 양묘 포트의 측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 침엽수용 양묘 포트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 침엽수용 양묘 포트는 종횡으로 나란하게 연속 배열되고 상부의 인입구에 비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각 단면을 이루는 다수개의 단위포트로 구성된 양묘 포트(10)에 있어서, 상기 단위포트(11)는 인입구(12)에 비해 좁아진 폭의 바닥부(13)상에 십(+)자 구획부(13a)로 구성된 배수구멍(14)이 형성되고 정사각형의 단위포트(11)를 구성하는 네 모서리의 길이방향으로 모서리관통공(15)이 절개 형성되며 양측 모서리관통공(15)의 중앙부 즉, 단위포트(11)를 구성하는 사방 내측면상에 일자 형상의 수직 돌조(16)가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포트(11)는 침엽수의 생장 형태에 적합하도록 인입구(12)와 바닥부(13)가 정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고 인입구(12)에서 바닥부(13)로 향할수록 점차 그 내주면 폭이 좁아지는 사각의 콘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단위포트(11)를 구성하는 사면(四面)의 각 모서리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모서리관통공(15)이 절개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관통공(15)은 단위포트(11) 내부에서 수직하방으로 생장되는 묘목의 뿌리가 단위포트(11) 외부로 자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묘목의 뿌리돌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위포트(11)에서 재배되는 묘목의 뿌리돌림 현상이란, 단위포트 내부에서 생장하는 침엽수 뿌리의 직진성에 의해서 단위포트 내벽면을 따라 자라게 되고 내벽면에 밀착되어 자라면서 다수의 나선형 뿌리가 엉켜 세근(細根)이 발달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결국 제대로 영양 공급을 받지 못해 미성숙 묘목이 되거나 죽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모서리관통공(15)은 단위포트(11) 내부에서 생장하는 뿌리가 관통공(15)을 통해 외부로 돌출 생장되도록 함으로써 단위포트(11)의 상토 내부에서 세근(細根)이 발달될 수 있도록 하여 묘목에 원할한 영양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모서리관통공(15) 사이의 단위포트(11) 내측의 각 벽면 중앙부에는 모서리관통공(15)과 평행하게 수직의 돌조(16)가 돌출 형성되는 바, 상기 수직돌조(16)는 모서리관통공(15)을 통해 방지되는 뿌리돌림현상이 이중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됨과 동시에 단위포트(11)상에서 충분히 자란 묘목이 분리될 때 묘목이 심어진 상토가 단위 포트(11)로부터 쉽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단위포트(11)의 바닥부(13)상에는 인입구(12)로 공급되는 물의 용이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배수구멍(14)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멍(14)은 십자 형태의 십자 구획부(13)에 의해서 일정한 크기로 나뉘어진 구조이다.
상기 배수구멍(14)은 종래의 배수구멍과 비교하여 단위면적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단위포트(11) 내의 상토에 공급되는 물의 배수가 더 용이해짐과 아울러 하부로 자라는 침엽수 묘목의 잔뿌리가 배구구멍(14)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분의 공급이 원활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위포트(11)는 단위포트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인입구(12)의 한 변의 길이(T)와 바닥면까지의 깊이(L)의 비가 대략 1 : 4 내지 1 : 5 정도로 형성됨으로써 뿌리가 단위포트(11)의 상토 내부에서 바닥부(13)를 향해 하부로 길게 자라는 침엽수의 생장 특성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 침엽수용 양묘 포트(10)를 구성하는 사방 모서리부의 단위포트(11) 상단 외측부에는 외부로 돌출되어 절곡 형성된 턱받침부(17)가 구비되는 데, 이는 양묘 포트(10)를 적층 보관하거나 하나씩 분리하여 사용할 때 포트간의 겹침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본 발명 양묘 포트(10)는 주로 소나무등의 침엽수 묘목의 재배에 적합하도록 제작된 것으로서, 각 단위포트(11)에 상토를 채우고 난 후 묘목의 종자를 파종하여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고 온도 및 습도를 맞추어 모표에 옮겨 심을 때까지 일정 기간 배양할 때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침엽수용 양묘 포트는 인입구에서 바닥부에 이르기까지 점차 그 폭이 좁아지는 사각 콘 형상으로 구성되고 각 단위포트의 네 모서리부에 모서리관통공이 절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 모서리관통공의 중앙부인 단위포트의 내측면상에 수직의 돌조가 돌출 형성된 구조로써, 상토내에서 생장하는 뿌리의 돌림 현상이 모서리관통공과 수직돌조에 의해서 이중으로 방지되도록 하여 세근(細根) 발달에 의한 묘목의 원활한 성장 재배가 이루어지도록 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 침엽수용 양묘 포트의 또 다른 장점은 각 단위포트의 모서리마다 구비된 길이방향의 모서리관통공이 단위포트내의 상토를 지지할 수 있는 한도내에서 최대한 넓은 단면적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양묘 포트를 통한 장기간의 양모에서 발생되는 묘목의 동해 및 건조의 피해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1은 종래의 육모용 포트가 도시된 사시도.
도2는 종래 육모용 포트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 침엽수용 양묘 포트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 침엽수용 양묘 포트의 평면도.
도5는 본 발명 침엽수용 양묘 포트의 측면도.
도6은 본 발명 침엽수용 양묘 포트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단위포트 12. 인입구
13. 바닥부 14. 십자 구획부
15. 모서리관통공 16. 수직돌조
Claims (4)
- 종횡으로 나란하게 연속 배열되고 상부의 인입구에 비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각 단면을 이루는 다수개의 단위포트로 구성된 양묘 포트(10)에 있어서, 상기 단위포트(11)는 인입구(12)에 비해 좁아진 폭의 바닥부(13)상에 십(+)자 구획부(13a)로 구성된 배수구멍(14)이 형성되고 정사각형의 단위포트(11)를 구성하는 네 모서리의 길이방향으로 모서리관통공(15)이 절개 형성되며 양측 모서리관통공(15)의 중앙부 즉, 단위포트(11)를 구성하는 사방 내측면상에 일자 형상의 수직돌조(16)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엽수용 양묘 포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관통공(15)은 단위포트(11) 네 모서리의 인입구(12)에서 바닥부(13)를 향해 수직하방으로 절개되고 단위포트(11)의 사면(四面)이 상토를 지지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그 폭이 3㎜ 이상 절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엽수용 양묘 포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돌조(16)는 단위포트(11)의 사방의 각 내측면 중앙부상에 상호 대응되게 평행을 이루어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엽수용 양묘 포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포트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인입구(12)의 한 변의 길이(T)와 바닥면까지의 깊이(L)의 비가 1 : 4 내지 1 : 5 의 비율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엽수용 양묘 포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4849A KR20050109825A (ko) | 2004-05-17 | 2004-05-17 | 침엽수용 양묘 포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4849A KR20050109825A (ko) | 2004-05-17 | 2004-05-17 | 침엽수용 양묘 포트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13630U Division KR200359218Y1 (ko) | 2004-05-17 | 2004-05-17 | 침엽수용 양묘 포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09825A true KR20050109825A (ko) | 2005-11-22 |
Family
ID=3728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34849A KR20050109825A (ko) | 2004-05-17 | 2004-05-17 | 침엽수용 양묘 포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50109825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3711B1 (ko) * | 2011-06-16 | 2013-03-13 | 오창준 | 4립 파종이 가능한 양파 육묘용 4분할 트레이 |
CN103262763A (zh) * | 2012-12-15 | 2013-08-28 | 石河子大学 | 一种穴盘育苗基质及利用该基质的穴盘育苗技术 |
CN103598031A (zh) * | 2013-10-10 | 2014-02-26 | 平湖市三久塑料有限公司 | 一种育苗穴盘 |
-
2004
- 2004-05-17 KR KR1020040034849A patent/KR2005010982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3711B1 (ko) * | 2011-06-16 | 2013-03-13 | 오창준 | 4립 파종이 가능한 양파 육묘용 4분할 트레이 |
CN103262763A (zh) * | 2012-12-15 | 2013-08-28 | 石河子大学 | 一种穴盘育苗基质及利用该基质的穴盘育苗技术 |
CN103598031A (zh) * | 2013-10-10 | 2014-02-26 | 平湖市三久塑料有限公司 | 一种育苗穴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68987B2 (ja) | 栽培具及び植木鉢 | |
US5339566A (en) | Seedling container | |
KR101498983B1 (ko) | 육묘용 생분해성 용기 | |
KR200359219Y1 (ko) | 활엽수용 양묘 포트 | |
KR20050109825A (ko) | 침엽수용 양묘 포트 | |
KR200359218Y1 (ko) | 침엽수용 양묘 포트 | |
KR20180079237A (ko) | 식물재배용 화분 | |
JP2006174829A (ja) | 簡易式養液栽培容器 | |
KR101698112B1 (ko) | 격자형 셀이 형성된 육묘 상자 및 블록매트형 상토를 포함하는 육묘 장치 | |
KR200227662Y1 (ko) | 육묘용 포트 | |
JPH11155369A (ja) | マット栽培トレー及び植物栽培方法 | |
JPH11253054A (ja) | 植物栽培用二重鉢 | |
KR200229272Y1 (ko) | 산파모용 볍씨 육묘상자 | |
KR20100004168U (ko) | 공기통공을 구비한 육묘용 연결포트 | |
KR200274673Y1 (ko) | 활엽수 육묘용 포트 | |
KR200493718Y1 (ko) |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 |
JP2004236554A (ja) |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方法 | |
KR200183234Y1 (ko) | 배수돌편이 구비된 육묘상자 | |
KR200170451Y1 (ko) | 작물재배용 팩 | |
JP3136390U (ja) | 寄せ植え用容器 | |
KR200180136Y1 (ko) | 꺽꽂이묘 재배용 상자 | |
KR200274709Y1 (ko) | 모판 | |
KR960001059Y1 (ko) | 육묘상자(포트) | |
KR101204488B1 (ko) | 나무 재배용 포트 | |
JP3022696U (ja) | 野菜用育苗トレ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