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189Y1 - 화분용 관수육묘상자 - Google Patents

화분용 관수육묘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189Y1
KR200191189Y1 KR2019980003084U KR19980003084U KR200191189Y1 KR 200191189 Y1 KR200191189 Y1 KR 200191189Y1 KR 2019980003084 U KR2019980003084 U KR 2019980003084U KR 19980003084 U KR19980003084 U KR 19980003084U KR 200191189 Y1 KR200191189 Y1 KR 2001911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water supply
water
supply pipe
nurs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4302U (ko
Inventor
왕희지
Original Assignee
왕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희지 filed Critical 왕희지
Priority to KR2019980003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189Y1/ko
Publication of KR19980014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3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1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1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용 관수육묘상자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개별 화분을 담아 필요에 따라 대규모적으로 관수하거나 소규모적으로도 간편 용이하게 관수할 수 있도록 관수육묘상자 본체에 화분을 삽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화분 삽입부가 형성되고, 물 또는 양액 공급용 급수관을 결합하기 위한 급수관 결합홈이 상기 관수육묘상자 본체에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관수육묘상자 본체의 중간부 또는 일측변부에 상기 급수관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 결합홈과 그에 인접한 화분 삽입부 사이에는 상기 급수관에서 배출되는 물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만곡 안내홈이 각각 형성되며, 각 화분 삽입부는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홈으로 각각 연결되어, 급수되는 물이 각 화분 삽입부에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흘러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수육묘상자 본체의 각 화분 삽입부는 하측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각 화분 삽입부의 저면에는 화분의 바닥부가 접촉 지지되는 받침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각 화분 삽입부의 상측부 주면에는 서로 깊이가 다른 복수개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요홈의 저면 및/또는 각 화분 삽입부의 저면에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품질이 우수한 다량의 묘종을 빠른 기일안에 생산할 수 있고, 인건비 및 관리비를 포함한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분용 관수육묘상자(TRAY TO GROW SEEDLING AND TO SUPPLY WATER FOR FLOWERPOT)
본 고안은 화분용 관수육묘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개의 개별 화분을 담아 필요에 따라 대규모 집단적으로 관수하거나 소규모적으로도 간편 용이하게 저면 관수할 수 있도록 한 화분용 관수육묘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육묘시에 합성수지재 화분과 같은 개별 육묘용기를 이용하여 육묘용기에 흙을 채우고, 파종을 하여 묘종을 재배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 바, 종래에 개별 육묘용기를 이용하여 육묘를 함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인력으로 물을 위에서 살포하고 있기 때문에 관수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인건비가 증가될 뿐아니라, 균일하게 관수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적합하고 효율적인 관수하기가 어려워 다량의 묘종을 생산하기도 어렵고, 묘종의 품질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프링 클러를 이용하여 자동관수하기 위해서는 시설비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생산원가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살수 범위가 중첩되거나, 살수되지 않는 부분이 있게 되어 균일 관수를 행하기 어렵게 되고, 이에 따라 균일한 묘종을 얻기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복수개의 개별 화분을 담아 필요에 따라 대규모 집단적으로 관수하거나 소규모적으로도 간편 용이하게 관수할 수 있게 되는 화분용 관수육묘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관수육묘상자 본체에 화분을 삽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화분 삽입부가 형성되고, 물 또는 양액 공급용 급수관을 결합하기 위한 급수관 결합홈이 상기 관수육묘상자 본체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급수관 결합홈은 관수육묘상자 본체의 중간부 또는 일측변부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 결합홈과 그에 인접한 화분 삽입부 사이에는 상기 급수관에서 배출되는 물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만곡 안내홈이 각각 형성되며, 각 화분 삽입부는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홈으로 각각 연결되어, 급수되는 물이 각 화분 삽입부에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흘러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관수육묘상자 본체의 각 화분 삽입부는 하측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각 화분 삽입부의 저면에는 화분의 바닥부가 접촉 지지되는 받침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각 화분 삽입부의 상측부 주면에는 서로 깊이가 다른 복수개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요홈의 저면 및/또는 각 화분 삽입부의 저면에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관수육묘상자 본체의 상면판에는 복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수육묘상자 본체 저부의 돌출부에는 재배대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 화분 삽입부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돌조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관수육묘상자 본체의 상면판 주연부에는 상기 만곡 안내홈의 물 유입부를 제외하고 물 유출방지 및 보강을 위한 보강돌조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관수육묘상자와 급수관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관수육묘상자의 저면 부분사시도.
도 3은 관수육묘상자에 급수관이 결합된 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관수육묘상자의 정면도.
도 5는 관수육묘상자의 측면도.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7은 관수육묘상자와 급수관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8은 관수육묘상자에 급수관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관수육묘상자의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이용되는 급수 조절구의 결합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요부인 화분 삽입부의 변형예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관수육묘상자 본체 101 : 상면판
102 : 통기공 120 : 화분 삽입부
121 : 받침돌기 122 : 요홈
122a,122b,122c : 요홈 A,B,C 130 : 급수관 결합홈
140 : 만곡 안내홈 150 : 연결홈
160 : 돌출부 161 : 재배대 결합홈
170 : 배수공 170a,170b,170c : 배수공 A,B,C
180 : 돌조 190 : 보강돌조
200 : 급수관 300 : 화분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에는 관수육묘상자와 급수관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관수육묘상자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관수육묘상자에 급수관이 결합된 형태를 보인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및 도 5에는 관수육묘상자의 정면도 및 측면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6에는 도 3의 A-A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100은 관수육묘상자 본체를 보인 것이고, 200은 급수관을 보인 것으로, 관수육묘상자 본체(100)는 상면판(101)의 주연부에 보강 테두리부(110)가 형성되고, 화분(300)을 삽입하여 육묘시, 그리고 운반시에 위치를 안정하게 지지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도면에서 6개)의 화분 삽입부(120)가 요입형성되어 있으며, 급수관(200)을 결합 지지시키기 위한 급수관 결합홈(130)이 중간부에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급수관(200)은 원형 파이프의 주벽에 연결구(210)를 개재하여 급수 조절구(220)가 연결되어 있어, 급수관(200)의 일측 단부에서 공급되는 물(또는 수경재배인 경우에는 양액)이 급수 조절구(220)를 통하여 각각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 결합홈(130)과 그에 인접한 화분 삽입부(120) 사이에는 급수관(200)에서 배출되는 물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만곡 안내홈(140)이 각각 연결되고, 각 화분 삽입부(120)는 그의 내주면과 화분(300)의 외주면 사이에 여유간격이 생기도록 크게 형성되고, 각 화분 삽입부(120)는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홈(150)으로 각각 연결되어 급수되는 물이 각 화분 삽입부(120)에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흘러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의 보강 테두리부(110)는 상면판(101)의 주연부에서 경사부(111)가 하측 경사방향으로 절곡되고, 경사부(111)의 하단 주연부에서 날개부(112)가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의 상면판(101) 주연부에 상기 만곡 안내홈(140)의 물 유입부를 제외하고 물 유출방지 및 보강을 위한 보강돌조(190)가 형성되어 관수육묘상자(100)가 경사진 바닥부에 기울어지게 올려진 경우에도 급수되는 물이 외부로 유치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의 각 화분 삽입부(120)는 하측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각 화분 삽입부(120)의 저면에는 화분(300)의 바닥부가 접촉 지지되는 받침돌기(12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각 화분 삽입부(120)의 상측부 주면에는 화분(300)을 삽입하거나 들어낼 때에 손가락 또는 도구 등을 삽입하여 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요홈(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요홈(122)에는 배수공(170)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각 화분 삽입부(120)의 요홈(122)은 서로 깊이가 다른 요홈 A,B,C(122a,122b,122c), 예를 들어 요홈 A(122a)가 제일 깊고, 요홈 C(122c)가 제일 얕으며, 요홈 B(122b)가 중간 깊이로 형성된다. 또, 상기 배수공(170)은 각 요홈 A,B,C(122a,122b,122c)의 어느 한 곳, 또는 한 곳 이상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요홈 A(122a)는 화분 삽입부(120)와 같은 바닥면을 갖도록 깊게 형성된다.
상기 각 화분 삽입부(120)의 주면에 형성되는 요홈 A,B,C(122a,122b,122c)는 3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요홈 A(122a)에 배수공 A(170a)을 형성하면 수위가 제일 낮게 되고, 요홈 C(122c)에 배수공 C(173c)를 형성하면 수위가 제일 높게 되며, 요홈 B(122b)에 배수공 B(172b)를 형성하면 중간 수위가 되므로 제작시 또는 사용할 때에 재배 식물의 적합한 환경에 따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각 화분 삽입부(120)에 형성되는 배수공(170)은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에 요구되는 적합한 환경에 따라 위치와 크기 및 숫자를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의 상면판(101)에는 복수개의 통기공(102)이 형성되고,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의 저부에는 재배대 결합홈(161)이 형성되며, 이 재배대 결합홈(161)은 도 2와 같이 관수육묘상자 본체(100)를 저면에서 보면 각 화분 삽입부(120)를 연결하는 연결홈(150)이 외부로 돌출되므로 이 돌출부(160)에 형성된다.
상기 화분 삽입부(120)와 요홈(122)의 저면에 형성되는 배수공(170)은 급수관(200)의 급수 조절구(220)에서 공급되는 양 보다 훨씬 적게 배출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의 급수관 결합홈(130)에는 급수관(200)이 결합되고, 급수관(200)에 연결구(210)로 연결된 급수 조절구(220)는 만곡 안내홈(140)에 각각 삽입되어 급수관(200)에서 공급되는 물이 각 화분 삽입부(120)에 안정하게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며, 요홈(122)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공(170)에는 배수호스(230)의 상단부가 연결구(210)로 연결되고 배수호스(230)의 하단부는 집수관(240)에 연결되어 있다.
도 10은 본 고안에 이용되는 급수 조절구의 결합형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급수관(200)의 급수공(201)에 연결구(210)로 연결되는 급수 조절구(220)는 연질합성수지 튜브의 배출측 단부의 중간부에 고주파 열용착에 의해 접합부(221)가 형성됨과 아울러 수개의 절결홈(222)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관수육묘상자 본체(100)는 재배장의 바닥면 또는 재배대위에 종횡으로 다수개가 배치되고, 각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의 급수관 결합홈(130)에 급수관(200)이 결합되어 배관되며, 급수관(200)을 통하여 물이 공급된다. 상기 재배대는 합성수지 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재배장 위에 소정 폭과 길이 및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급수관(200)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은 급수관(200)에 결합된 각 급수 조절구(220)를 통하여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의 각 화분 삽입부(120)에 매우 안정되게 공급된다. 만일 급수관(200)에 급수 조절구(220)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급수관(200)의 급수공(201)에서 배출되는 물이 수압에 의해 튕기면서 화분(300) 내측의 흙이 유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생길 것이나, 상기 급수 조절구(220)는 연질합성수지 튜브로 형성되고, 배출측 단부에 접합부(221)와 절결홈(222)이 형성되어 있어, 급수관(200)에서 급수 조절구(220) 내측으로 물이 공급되면 평상시 밀착되어 있던 급수 조절구(220)가 팽팽하게 펴지면서 절결홈(222) 사이를 통해 배출되므로 물이 삐치거나 튕기는 일이 없이 안정하게 배출된다.
이와 같이 급수되는 물은 각 화분 삽입부(120)를 연결하는 연결홈(150)을 통하여 각 화분 삽입부(120)에 고르게 퍼져 고이게 되며, 이와 같이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에 담기게 되는 물은 각 화분 삽입부(120)에 삽입된 화분(300)의 저면에 형성된 통수공을 통해 화분(300) 내측의 흙속으로 흡수되고, 묘종이 이를 섭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에 형성되는 배수공(170)은 급수되는 양 보다 배수되는 양이 훨씬 적게 되도록 배수공(170)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수상자 본체(100)에 공급되는 물은 급수가 중단되는 경우에도 즉시 배출되지 않고 화분 삽입부(120)에 소정시간 동안 지체되어 머물러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급수를 중단할 때에도 묘종이 소정시간 동안 계속 섭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요홈 B(122b) 또는 요홈 C(122c)의 저면에만 배수공 B,C(170b,c)를 형성하고 급수를 행하게 되면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에 요홈 B,C(122b,122c)의 높이 이상으로 공급된 물은 배수공 B,D(170b,c)을 통하여 오버 플로우되므로 화분 삽입부(120)에 항상 일정 높이로 담기게 되며, 급수를 중단하는 경우 화분 삽입부(120)에 담겨있는 물은 배수공(170)으로 배출되지 않고 화분(300)에 흡수되어 묘종이 계속 섭취하게 된다.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의 최하측부, 즉 요홈 C(122c)의 저면에만 배수공 C(170c)을 형성하고 급수를 행하게 되면 공급되는 물이 배수공 C(170c)을 통하여 계속 배출되며, 급수를 중단하는 경우 화분 삽입부(120)에 남아 있는 물은 배수공 C(170c)을 통하여 보다 쉽게 배출된다.
따라서, 요홈 B,C(122b,122c) 저면에만 배수공 B,C(170b,170c)을 형성하고 급수하는 것은 지속적으로 길게 급수하는 점적식 관수에 보다 적합하고, 요홈 C(122c)의 저면에만 배수공 A(170a)을 형성하고 급수하는 것은 일시에 물을 흠뻑주고 중단하는 에브 엔 플로우식(ebb and flow type) 관수에 보다 적합하다.
상기 각 요홈(122a,122b,122c)의 모든 저면에 배수공(170a),(170b),(170c)을 형성하여 절충형의 관수를 행할 수도 있으며, 배수공(170)을 형성하는 위치와 숫자 및 크기는 육묘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와 재배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의 상면판(101)에는 다수개의 통기공(10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화분 삽입부(120)에 삽입되는 각 화분(300)에 통기가 원활하게 된다.
또한,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의 급수관 결합홈(130)에 급수관(200)이 연결되고, 급수관(200)의 급수공(201)에 연결된 급수 조절구(220)를 만곡 안내홈(140)에 삽입하여 급수관(200)에서 공급되는 물이 연질 합성수지재 급수 조절구(220)의 배출측 단부에 형성된 절결홈(222)를 비집고 배출되어 화분 삽입부(120)에 부드럽게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물이 길게 뻐치거나 튕기지 않게 되어 화분(300)의 흙이 유실되는 일이 방지된다.
화분용 관수육묘상자의 화분 삽입부(120)에 화분(300)을 삽입하거나, 묘종이 소정의 크기로 성장된 후 화분 삽입부(120)에서 화분(300)을 들어 내는 경우에는 화분 삽입부(120)에 형성된 각 요홈 A,B,C(122a,122b,122c)에 손가락 또는 공구를 삽입하여 화분(300)을 쉽게 들어낼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7에는 관수육묘상자와 급수관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8에는 관수육묘상자에 급수관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관수육묘상자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다른 실시예의 화분용 관수육묘상자는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의 일측단부에 급수관 결합홈(130)이 형성되고, 이 급수관 결합홈(130)에 급수관(200)이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그외 구성 및 작용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1은 본 고안의 요부인 화분 삽입부의 변형예를 보인 부분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에 구비되는 각 화분 삽입부(120)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돌조(180)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화분 삽입부(120)의 변형예는 화분 삽입부(120)의 내주면과 화분(300)의 외주면 사이에 돌조(180)에 의하여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통기가 보다 원활하게 되고, 화분(300)을 화분 삽입부(120)에 삽입하거나 들어낼 때에 쉽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화분용 관수육묘상자에 일반재배 또는 수경재배 등을 위하여 물 또는 양액 등을 공급 및 배수하는 관수작업은 수동으로 행할 수 있을 뿐아니라 자동 제어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200) 및 급수 조절구(220)를 통하여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에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은 배수호스(230) 및 집수관(240)을 통하여 배수되며, 상기 집수관(240)에 모여진 물은 필요에 따라 필터링 단계 및 양분 등의 첨가단계를 거친후 급수관(200)으로 다시 공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순환공급을 행하면 물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화분용 관수육묘상자는 합성수지 진공성형재, 합성수지재 사출성형재로 형성되는 것이나, 제조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개별 화분과 같은 육묘용기에 파종을 하여 다량의 묘종을 재배하면서 육묘용기를 화분용 관수육묘상자에 결합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주기적으로 관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넓은 재배장에서 다량의 묘종을 재배하거나 또 소량으로 묘종을 재배하는 경우에도 관수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 관수용 급수관으로서 점적 테이프 뿐아니라, 통상의 합성수지관을 이용하여 급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급수시 화분용 관수육묘상자의 내부에 물이 원활하게 공급되고, 배수량이 공급량 보다 훨씬 적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묘종이 물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 화분용 관수육묘상자의 상면판에 복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기성이 좋으며, 또한 화분 삽입부의 내주면에 복수개의 요홈 및/또는 돌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뿐아니라, 화분 삽입부의 내주면에 요홈 및/또는 돌조가 형성되어 있고, 육묘용기를 화분용 관수육묘상자의 바닥면에 의해 지면과 격리시켜 묘종의 뿌리가 지면으로 침투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묘종이 성장된후 화분용 관수육묘상자와 육묘용기를 분리시킬 때에 간편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화분용 관수육묘상자는 화분 삽입부 및 요홈의 저면에 배수공을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수위 및 배수량을 대, 중, 소 및 최하위 등, 여러단계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재배 식물에 따라 점적관수, 에브 엔 플로우식 관수 및 절충형 관수 등을 적합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품질이 우수한 다량의 묘종을 빠른 기일안에 생산할 수 있고, 인건비 및 관리비를 포함한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되고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안에서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여러가지 실시형태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에 화분(300)을 삽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화분 삽입부(120)가 형성되고, 물 또는 양액 공급용 급수관(200)을 결합하기 위한 급수관 결합홈(130)이 상기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에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관수육묘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의 중간부 또는 일측변부에 상기 급수관 결합홈(130)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 결합홈(130)과 그에 인접한 화분 삽입부(120) 사이에는 상기 급수관(200)에서 배출되는 물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만곡 안내홈(140)이 각각 형성되며, 각 화분 삽입부(120)는 화분(300)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각 화분 삽입부(120)가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홈(150)으로 각각 연결되어, 급수되는 물이 각 화분 삽입부(120)에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흘러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관수육묘상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의 각 화분 삽입부(120)는 하측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각 화분 삽입부(120)의 저면에는 화분(300)의 바닥부가 접촉 지지되는 받침돌기(121)가 각각 형성되며, 각 화분 삽입부(120)의 상측부 주면에는 서로 깊이가 다른 복수개의 요홈 A,B,C(122a,122b,122c)이 형성되고, 상기 각 요홈 A,B,C(122a,122b,122c)의 저면 및/또는 각 화분 삽입부(120)의 저면에는 배수공(170)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관수육묘상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의 상면판(101)에 복수개의 통기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관수육묘상자 본체(100) 저부의 돌출부(160)에는 재배대 결합홈(161)이 형성되며, 상기 각 화분 삽입부(120)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돌조(180)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관수육묘상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육묘상자 본체(100)의 상면판(101) 주연부에 상기 만곡 안내홈(140)의 물 유입부를 제외하고 물 유출방지 및 보강을 위한 보강돌조(190)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관수육묘상자.
KR2019980003084U 1998-03-04 1998-03-04 화분용 관수육묘상자 KR2001911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084U KR200191189Y1 (ko) 1998-03-04 1998-03-04 화분용 관수육묘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084U KR200191189Y1 (ko) 1998-03-04 1998-03-04 화분용 관수육묘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302U KR19980014302U (ko) 1998-06-05
KR200191189Y1 true KR200191189Y1 (ko) 2000-09-01

Family

ID=19532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084U KR200191189Y1 (ko) 1998-03-04 1998-03-04 화분용 관수육묘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1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048B1 (ko) * 2007-08-06 2008-12-26 경상남도 딸기 육묘용 트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822B1 (ko) * 2003-11-03 2006-02-20 황화정 육묘용 트레이를 사용한 묘의 재배방법.
KR102570699B1 (ko) * 2020-08-28 2023-08-28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케어팜 식물 재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048B1 (ko) * 2007-08-06 2008-12-26 경상남도 딸기 육묘용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302U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4984B2 (ja) 育苗装置
KR100245336B1 (ko)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
JP4415132B2 (ja) 種苗の育苗装置
KR200191189Y1 (ko) 화분용 관수육묘상자
KR200224362Y1 (ko) 딸기육묘용 포트상자
KR101845228B1 (ko) 버티컬식 수경재배장치
KR20210085862A (ko) 심지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JP2008220266A (ja) 底面潅水用給水パネル及び同パネル用の栽培ポット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栽培システム
KR20100127144A (ko) 모종 재배용 급수장치
KR200329599Y1 (ko) 점적관수 화분
CN210094111U (zh) 一种富贵子种植用育苗装置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KR100235227B1 (ko) 화분과 그 제조방법
KR102300685B1 (ko)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CN209861875U (zh) 容器苗滴灌装置
KR200274673Y1 (ko) 활엽수 육묘용 포트
KR200369220Y1 (ko) 콩나물 재배기의 재배상자 재치장치
CN216292288U (zh) 一种防穿根花盆
CN214709171U (zh) 一种文冠果苗木扦插苗床
CN217160552U (zh) 一种便于运输、统计的育苗穴盘
CN218042727U (zh) 一种便于滴灌的引插专用草莓育苗盘
CN221554058U (zh) 一种侧面浇水型种植盆
KR200183234Y1 (ko) 배수돌편이 구비된 육묘상자
CN218007248U (zh) 储水花盆
CN218042726U (zh) 一种分离式草莓育苗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