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048B1 - 딸기 육묘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딸기 육묘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048B1
KR100876048B1 KR1020070078352A KR20070078352A KR100876048B1 KR 100876048 B1 KR100876048 B1 KR 100876048B1 KR 1020070078352 A KR1020070078352 A KR 1020070078352A KR 20070078352 A KR20070078352 A KR 20070078352A KR 100876048 B1 KR100876048 B1 KR 100876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eedlings
water
ports
see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혜숙
황연현
황해준
안철근
심재석
서종분
김정근
강호종
이화성
Original Assignee
경상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남도 filed Critical 경상남도
Priority to KR1020070078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딸기 육묘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육묘기간 중 탄저병이 발병하면 고온다습의 환경 조건에서 급속히 확산되어 상당량의 자묘가 고사하거나, 잠재되었다가 정식 후 고사하여 농가가 생산을 포기하는 등 그 피해는 심각하다. 딸기 탄저병은 잠재감염주와 토양이 제 1차 감염원이 되고, 이것이 빗물 또는 관수 등의 물방울과 함께 비산하여 2차 감염원이 된다. 딸기 육묘에서 자묘의 관수용으로 흔히 스프링클러 등의 두상관수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때 물방울은 탄저병균 비산의 수단이 될 뿐 아니라, 고온다습조건을 만들어 병원균 발아에 유리한 환경조건을 만들기도 한다.
본 발명은 트레이의 상면에 메인 관수로를 형성하고, 그 위에 점적호스를 설치하여 뿌리가 위치한 상토에 직접적으로 물과 비료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작물의 지상부에 물방울이 날리지 않도록 하였다. 점적호스가 설치되는 메인 관수로에 월류방지턱과 물구배를 형성하고, 포트 내부에는 경사진 타원형의 달팽이식 물길을 형성하여 포트당 관수량이 균일해지도록 하였으며, 자묘의 생장량과 환경조건에 따라 자동펌프와 타이머로 물의 공급량과 횟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자묘의 초장, 잎크기, 크라운 직경 등을 생산자가 의도하는 대로 콘트롤 할 수 있고, 대량육묘생산에서도 우량하고 균일한 자묘 생산이 가능하다.
관행으로 1,000㎡ 육묘면적에 약 60,000주의 자묘를 생산하는데 있어 자묘관수에 소요되는 물량은 스프링클러 등의 두상관수 방법일 경우, 맑은 날 기준 16.8 톤 정도이나, 본 발명의 육묘용 트레이를 이용한 관수방법의 경우 47%의 지하수를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산출된다.
딸기, 육묘, 트레이, 균일관수, 지저부관수, 점적호스

Description

딸기 육묘용 트레이 {Whorl seedling tray for young strawberry plants}
본 발명은 딸기 자묘를 위한 관수방법으로 기존의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두상관수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관수방법을 위한 딸기 육묘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딸기 육묘트레이에 관수를 위한 점적호스를 설치하여 점적호스로부터 뿌리가 위치한 상토에 직접적으로 물과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육묘트레이의 폿트당 관수량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메인 관수로와 분기로 및 월류방지턱과 포트 내부에 경사진 타원형의 물턱을 형성하였다. 자동펌프와 타이머로 물의 공급량과 횟수를 조절하여 자묘의 초장, 잎크기, 크라운 직경 등을 생산자가 의도하는 대로 콘트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묘소질과 높은 양묘획득율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딸기 재배면적은 2006년 통계로 6,813ha, 년간 생산량 205,307톤에 이르러 세계 3, 4위의 생산량에 달하는데, 딸기 재배면적으로 볼 때 약 1100ha의 육묘면적에 68천만주의 자묘를 양묘해야 한다.
딸기의 육묘 시기는 계절적으로 여름철 고온이고 화아분화 촉진을 위하여 근 권용량이 적은 폿트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어 하루에도 빈번한 관수가 요구된다. 여기에 자묘의 관수를 위해 설치한 스프링클러등의 물방울은 탄저병균을 비산시키는 수단이 될 뿐아니라, 고온다습조건을 만들어 탄저병을 급속하게 확산시킨다.
딸기 생산면적 1ha를 위해서는 겨울을 지낸 모주 3000본을 봄에 정식하여 런너를 발생시킨 다음, 5월 하순부터 약 10만주 이상의 우량한 자묘를 확보한 다음 2개월 이상의 양묘기간을 거쳐야 하므로 상당한 비용과 노력이 투자된다. 딸기의 자묘는 독립한 후 60일 이상의 양묘 기간을 경과하여야 과실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므로, 육묘 도중에 어떤 원인으로 자묘확보를 실패를 할 경우 조속한 자묘 공급이 어려워 생산을 포기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이른다. 육묘기간 중 자묘 확보를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은 탄저병 발생에 의한 자묘의 손실과 생육불량 자묘이다.
도 1은 스프링클러를 사용하는 기존의 두상관수법을 사용하고 있는 딸기의 육묘방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대부분의 딸기 육묘에서 이용되고 있는 이와 같은 스프링클러 등의 두상관수방법은 물방울이 탄저병균 비산의 수단이 될 뿐 아니라, 고온다습조건을 만들어 병원균 발아에 유리한 환경을 만들기도 한다.
딸기 탄저병은 잠재감염주인 모주와 토양이 제 1차 감염원이 되므로, 토양과 격리하고 비가림 시설을 이용하는 등 경종적 방법과 화학적 방제로 병원균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일단 탄저병균이 도입이 되면, 자묘의 관수를 위해 설치한 스프링클러에서 파생되는 물방울이 탄저병균 비산의 수단이 되고, 여름철의 고온과 더불어 병원균이 잘 발아할 수 있는 고온다습환경을 만든다. 이러 한 이유 때문에 작물의 지상부에 물방울이 날리지 않는 저면관수방법이 개발되어 일부 시도되었지만 설치가 조잡하거나 비용이 고가이고, 관수의 정밀도가 떨어져 실용화 단계로 발전하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현재 대부분 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32공, 30공 트레이는 육묘면적 ㎡당 200-150주의 자묘를 생산할 수 있어 좁은 면적에서도 대량집약적으로 생산할 수는 있지만, 좁은 면적에서 개체간 과도한 경합으로 자묘는 엽면적을 늘리기 보다는 도장이 되기 쉽고, 크라운도 적어 자묘소질이 불량할 뿐 아니라 균일하지 못하다.
한편, 본 출원인이 기존의 딸기 육묘트레이 32공 또는 30공을 사용하여 딸기 모종을 육묘한 결과, 재식밀도는 204주/㎡와 156주/㎡ 로 획득 자묘의 수는 많으나, 엽면적, 생체중 및 크라운 직경이 적어 묘소질이 불량하였고, 개체간에 균일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표 1 참조). 또한 크라운 직경이 8mm 이상인 것을 우량묘로 하였을 경우 우량묘 획득율은 50% 이하에 불과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육묘용 트레이는 10cm(100본/㎡)의 24공 트레이를 사용하여 시험 재배한 결과, 묘소질도 우수하고 양묘획득율도 92.6~100%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참조).
[표 1] 육묘재식 밀도별 묘소질 (2006년 경남농업기술원)
품 종 재식밀도 (주/㎡) 초장 (cm) 엽수 (매/주) 엽면적 (㎠/주) 생체중 (g/주) 크라운 직경 (mm)
매 향 204 26.6 aZ 4.3 b 168.2 cZ 6.5 b 0.72 c
156 27.3 a 4.8 b 223.4 bc 10.2 ab 0.86 b
100 28.5 a 4.8 b 266.0 ab 12.6 ab 1.00 a
50 25.5 a 5.9 a 310.5 a 15.7 a 1.09 a
설 향 204 27.5 a 5.7 ab 232.0 b 13.4 a 0.70 b
156 26.2 a 5.8 ab 268.2 b 13.3 a 0.94 a
100 26.3 a 5.4 b 293.4 b 14.0 a 0.94 a
50 29.3 a 6.6 a 385.5 a 14.9 a 1.10 a
* Z 품종간 DMRT 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두상관수가 아닌 방법으로 각각의 자묘에 대해 뿌리가 위치한 상토 부분에 양분과 수분을 균일하게 공급하는 방법에 착안하였으며, 대량집약생산에만 의존한 기존의 육묘방식에서 벗어나, 자묘 개개의 소질이 충실하고, 개체간 차이가 없는 균일한 묘 생산이 가능한 육묘트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육묘에서 대부분 이용하고 있는 스프링클러 등의 두상관수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육묘 트레이에 직접 점적호스를 설치하여 뿌리가 위치한 상토에 확실하게 물과 액비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물의 지상부에 물방울이 날리지 않음으로 탄저병균의 비산과 발아조건이 되는 것 을 효율적으로 억제하고, 자동펌프와 타이머로 물과 액비의 공급량과 횟수를 조절할 수 있어 자묘의 초장, 잎크기, 크라운 직경 등을 생산자가 의도하는 대로 콘트롤할 수 있도록 고안한 딸기 육묘용 트레이를 제공한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관행의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두상관수방법은 위치에 따라 살수범위가 중첩되거나 살수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균일한 관수가 어려워 자묘를 균일하게 양성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묘의 주간 간격이 10cm인데, 이와 일치하는 10cm 간격의 점적호스를 이용하고, 점적 구멍밑에는 각각 우물을 설치하여 점적이 된 물이 모이도록 하고, 여기에 물이 가득차면 물구배에 의해 두 개의 포트에 물과 액비가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하였다.
또, 포트의 내부에는 유입된 물과 액비가 곧바로 밑으로 흘러나가지 않고 포토 내의 상토 전체에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달팽이의 나선형을 본떠 경사진 타원형의 물길을 형성하였다.
또한, 육묘용 트레이가 수평으로 설치되지 않고 기울어져 있을 경우, 낮은 곳에 있는 우물에 물이 많아지고, 높은 곳에 있는 우물에는 물이 적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우물과 우물사이에 월류방지턱을 형성하여 전체 포트에 대해 균일한 관수와 관비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점적호스는 24공 트레이에 3본을 배치하고, 자동펌프와 타이머로 물의 공급량과 횟수를 조절하여 자묘의 초장, 잎크기, 크라운 직경 등을 생산자가 의도하는 대로 콘트롤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여름철에는 고온으로 인해 점적호스 늘어나 관수홈을 이탈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중간에 점적호스 고정용 클립을 꼽을 수 있게 홈을 설치하였다.
본 발명의 육묘용 트레이는 기존의 두상관수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관수방법에 적용할 수 있으며, 시험재배결과에서 양묘획득율이 우수했던 자묘의 재식본수 100본/㎡인 24공 트레이에 관수를 위한 점적호스를 설치하여 이 점적호스로부터 뿌리가 위치한 상토에 직접적으로 물과 액비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기존의 두상관수방법에서 심각한 문제였던 탄저병의 발병 및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점적호스에서 물이 떨어지는 점적구멍 밑에 우물과 월류방지턱을 형성하고, 포트 내부에 달팽이식 물길을 설치하여 포트당 관수량이 균일해지도록 함과 아울러 물과 액비가 뿌리에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였고, 자동펌프와 타이머로 물의 공급량과 횟수를 조절하여 자묘의 초장, 잎크기, 크라운 직경 등을 생산자가 의도하는 대로 콘트롤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한편 관행 1,000㎡ 육묘면적에 약 60,000주의 자묘를 생산하는데 있어 자묘관수에 소요되는 물량은 스프링클러 등의 두상관수 방법일 경우, 맑은 날 기준 16.8톤 정도이나, 자묘에 직접 관수되는 양보다는 공기중 증발, 통로, 시설물 등에 떨어지는 물량이 현저히 많아 허실이 많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육묘용 트레이를 이용한 관수방법의 경우, 1일 관수량은 60,000주 x 150cc = 9ton으로도 충분한 관수가 가능함으로 47%의 지하수를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산출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육묘용 트레이를 사용하여 딸기 모종을 육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육묘용 트레이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육묘용 트레이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의 정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5의 A - A선 및 B - B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트레이(10)의 상면(11)에 종횡으로 자묘가 심겨지는 복수의 포트(12a,12b)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좌우로 인접한 포트(12) 사이에는 요홈 형태로 이루어진 메인 관수로(14)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메인 관수로(14)의 좌우 양측으로는 각 포트(12a,12b)로 물과 양액이 흘러들어가는 요홈 형태의 분기로(16a,16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트레이(10)의 규격은 재식본수 100본/㎡가 될 수 있도록 자묘의 주간 간격을 10cm로 한 24공 트레이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트레이의 규격은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자묘의 주간 간격을 10cm가 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자묘 개개의 소질이 충실하고, 개체간 차이가 없는 균일한 묘 생산이 가능하다는 위 실험결과에서 비추어 트레이의 설계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상기 메인 관수로(14)는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위에 점적호스(20)가 설치되며, 이 점적호스(20)에는 관수탱크(T)에서 물과 양액이 공급되도록 배관(P)이 연결되어 있고, 이 배관(P)에는 제어기(E)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밸브(V)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전후의 포트 사이에 균일한 관수 및 관비가 가능하도록 즉, 트레이가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더라도 어느 한 쪽의 포트로만 관수와 관비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월류방지턱(14a)이 형성되어 메인 관수로(14)가 각각 분할된 우물의 형태를 이루도록 되어 있고, 각 메인 관수로(14)의 중간 부분에 좌,우 양측으로 분기로(16a,16b)가 형성되며, 이 분기로(16a,16b)가 형성된 중간 부분으로 물이 흘러 내려올 수 있도록 메인 관수로(14)의 바닥이 물구배를 이루고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분기로(16a,16b)에서 공급되는 물과 양액은 포트(12a,12b)의 상토(도시안됨) 표면으로 유입되는 것이 아니고 포트(12a,12b)의 내부로 직접 유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포트(12a,12b)의 내부로 유입된 물과 양액이 포트(12a12b)의 내벽을 따라 곧바로 배수되지 않고 포트의 전 둘레를 거쳐 포트 내부의 상토를 균일하게 적실 수 있도록 포트(12a,12b)의 내벽 중간부분에 경사진 타원 형태의 물길(13)을 형성함으로써 물과 양액의 허실을 방지하고 육묘 뿌리가 이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메인 관수로(12) 위에 설치되는 점적호스(20)는 10cm 간격으로 점적구멍이 형성된 것을 이용하며, 이 점적호스(20)는 고정클립(30)에 의해 트레이(10)의 상면에 고정되는데, 트레이(10)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메인 관수로(12)의 측부에는 상기 고정클립(30)이 끼워지는 클립 고정홈(15)이 형성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점적호스로 공급되는 물과 양액은 도시안된 자동펌프와 타이머에 의해 공급량과 횟수를 조절하여 자묘의 초장, 잎크기, 크라운 직경 등을 생산자가 의도하는 대로 콘트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3에서와 같이 겨울을 지낸 모주(M)를 정식하여 런너(R)를 발생시킨 다음 트레이(10)의 일측에 배치하여 트레이(10)의 각 포트(12a,12b)를 따라 자묘(S)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면 되는 것이며, 자묘의 생장과정에서 포트 내부로 직접 관수와 관비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지상부에 물방울이 날리지 않아 다습조건이 형성되지 않아 기존의 두상관수방법에서 흔히 발생하게 되었던 탄저병의 발병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임은 물론 물과 양액의 손실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두상관수법에 의한 딸기 육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육묘기간 재식밀도별 우량묘 획득율에 대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육묘용 트레이를 사용하여 딸기 육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육묘용 트레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육묘용 트레이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의한 육묘용 트레이의 정면도,
도 7은 도 5의 A - A선 단면도,
도 8은 도 5의 B - 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트레이
11 : 상면
12a,12b : 포트
13 : 물턱
14 : 메인 관수로
14a : 월류방지턱
15 : 클립고정홈
16a,16b : 분기로
20 : 점적호스
30 : 고정용 클립
E : 제어기
M : 딸기 모주
P : 배관
R : 런너
S : 자묘
T : 관수탱크
V : 밸브

Claims (5)

  1. 트레이(10)의 상면(11)에 종횡으로 육묘가 심겨지는 복수의 포트(12a,12b)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좌우로 인접한 포트(12) 사이에는 요홈 형태로 이루어진 메인 관수로(14)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메인 관수로(14)의 좌우 양측으로는 각 포트(12a,12b)로 물과 양액이 흘러들어가는 요홈 형태의 분기로(16a,16b)가 형성된 딸기 육묘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메인 관수로(14)는 트레이(10)가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더라도 어느 한 쪽의 포트로만 관수와 관비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월류방지턱(14a)이 형성되어 메인 관수로(14)가 각각 분할된 우물의 형태를 이루고, 각 메인 관수로(14)의 중간 부분에 좌,우 양측으로 분기로(16a,16b)가 형성되며, 이 분기로(16a,16b)가 형성된 중간 부분으로 물이 흘러 내려올 수 있도록 메인 관수로(14)의 바닥이 물구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육묘용 트레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10)의 규격은 재식본수 100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육묘용 트레이.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기로(16a,16b)에서 공급되는 물과 양액은 포트(12a,12b)의 내부로 직접 유입되되 포트(12a12b)의 내벽을 따라 곧바로 밑으로 배수되지 않고 포트의 전 둘레를 거쳐 포트 내부의 상토를 균일하게 적실 수 있도록 포트(12a,12b)의 내벽 중간부분에 경사진 타원 형태의 물턱(13)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육묘용 트레이.
  5. 삭제
KR1020070078352A 2007-08-06 2007-08-06 딸기 육묘용 트레이 KR100876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352A KR100876048B1 (ko) 2007-08-06 2007-08-06 딸기 육묘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352A KR100876048B1 (ko) 2007-08-06 2007-08-06 딸기 육묘용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6048B1 true KR100876048B1 (ko) 2008-12-26

Family

ID=4037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352A KR100876048B1 (ko) 2007-08-06 2007-08-06 딸기 육묘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048B1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591Y1 (ko) * 2010-07-05 2011-03-07 박규남 점적관수식 육묘 포트
KR101200848B1 (ko) 2009-07-16 2012-11-14 농업회사 법인 주식회사 농모두 모종포트
KR101303247B1 (ko) 2011-10-19 2013-09-04 조덕준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
KR101402563B1 (ko) * 2012-06-27 2014-06-02 이화성 육묘 포트용 관수장치
CN103975791A (zh) * 2014-05-15 2014-08-13 新疆石河子蔬菜研究所 农作物穴盘滴灌育苗配套装置
KR101591241B1 (ko) 2015-03-16 2016-02-11 박경민 점적관수식 육묘 트레이
KR20170001241A (ko) 2015-06-26 2017-01-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조이팜 딸기육묘용 포트
KR20170001993A (ko) 2015-06-29 2017-01-06 박규남 딸기 육묘 설비
KR101699854B1 (ko) * 2016-05-31 2017-01-25 경상남도 딸기 수경재배용 멀티컵베드
CN106613490A (zh) * 2017-02-16 2017-05-10 马玉荣 一种用于花卉种子栽培的育苗穴盘装置
CN107278696A (zh) * 2017-08-15 2017-10-24 合肥市好旺养殖科技有限公司 一种石斛苗床
KR101870813B1 (ko) 2018-02-20 2018-06-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두상 또는 안개 관수방법을 이용한 하절기 '매향' 딸기 삽목묘의 발근율 및 생육 향상 방법
KR101926988B1 (ko) * 2017-07-12 2018-12-07 박경일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KR102071287B1 (ko) * 2018-08-08 2020-01-3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정식 전 양액 공급 시기 조절을 통한 딸기의 조기개화 유도 및 과실 수확량 향상 방법
KR20200001932U (ko) * 2019-02-25 2020-09-02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딸기 육묘용 트레이
KR102206187B1 (ko) 2020-07-23 2021-01-25 박경민 육묘용 분할 트레이
KR20210107379A (ko) 2020-02-24 2021-09-01 강진군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
KR20220101454A (ko) 2021-01-11 2022-07-19 나미희 개별 점적관수식 육묘 포트 세트
KR102446876B1 (ko) 2022-02-25 2022-09-26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딸기재배용 런너 일소 방지구조 및 포트 냉각구조를 갖는 딸기 육묘포트
KR20230016115A (ko) 2021-07-23 2023-02-01 이화성 지피포트를 이용한 저면관수식 육묘방법 및 저면관수장치
KR102513719B1 (ko) 2022-04-19 2023-03-23 나미희 딸기 육묘 포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336B1 (ko) 1998-02-18 2000-02-15 왕희지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
KR200191189Y1 (ko) * 1998-03-04 2000-09-01 왕희지 화분용 관수육묘상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336B1 (ko) 1998-02-18 2000-02-15 왕희지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
KR200191189Y1 (ko) * 1998-03-04 2000-09-01 왕희지 화분용 관수육묘상자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848B1 (ko) 2009-07-16 2012-11-14 농업회사 법인 주식회사 농모두 모종포트
KR200452591Y1 (ko) * 2010-07-05 2011-03-07 박규남 점적관수식 육묘 포트
KR101303247B1 (ko) 2011-10-19 2013-09-04 조덕준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
KR101402563B1 (ko) * 2012-06-27 2014-06-02 이화성 육묘 포트용 관수장치
CN103975791A (zh) * 2014-05-15 2014-08-13 新疆石河子蔬菜研究所 农作物穴盘滴灌育苗配套装置
KR101591241B1 (ko) 2015-03-16 2016-02-11 박경민 점적관수식 육묘 트레이
KR20170001241A (ko) 2015-06-26 2017-01-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조이팜 딸기육묘용 포트
KR20170001993A (ko) 2015-06-29 2017-01-06 박규남 딸기 육묘 설비
KR101699854B1 (ko) * 2016-05-31 2017-01-25 경상남도 딸기 수경재배용 멀티컵베드
CN106613490A (zh) * 2017-02-16 2017-05-10 马玉荣 一种用于花卉种子栽培的育苗穴盘装置
KR101926988B1 (ko) * 2017-07-12 2018-12-07 박경일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CN107278696A (zh) * 2017-08-15 2017-10-24 合肥市好旺养殖科技有限公司 一种石斛苗床
KR101870813B1 (ko) 2018-02-20 2018-06-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두상 또는 안개 관수방법을 이용한 하절기 '매향' 딸기 삽목묘의 발근율 및 생육 향상 방법
KR102071287B1 (ko) * 2018-08-08 2020-01-3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정식 전 양액 공급 시기 조절을 통한 딸기의 조기개화 유도 및 과실 수확량 향상 방법
KR20200001932U (ko) * 2019-02-25 2020-09-02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딸기 육묘용 트레이
KR200492939Y1 (ko) 2019-02-25 2021-01-06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딸기 육묘용 트레이
KR20210107379A (ko) 2020-02-24 2021-09-01 강진군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
KR102206187B1 (ko) 2020-07-23 2021-01-25 박경민 육묘용 분할 트레이
KR20220101454A (ko) 2021-01-11 2022-07-19 나미희 개별 점적관수식 육묘 포트 세트
KR20230016115A (ko) 2021-07-23 2023-02-01 이화성 지피포트를 이용한 저면관수식 육묘방법 및 저면관수장치
KR102446876B1 (ko) 2022-02-25 2022-09-26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딸기재배용 런너 일소 방지구조 및 포트 냉각구조를 갖는 딸기 육묘포트
KR102513719B1 (ko) 2022-04-19 2023-03-23 나미희 딸기 육묘 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048B1 (ko) 딸기 육묘용 트레이
KR101269814B1 (ko) 수경 인삼재배방법 및 장치
KR20100001774A (ko) 청정수삼 및 인삼 엽 생산방법
KR20100003389A (ko) 육묘용 트레이 및 관수장치
CN201430825Y (zh) 圆拱形立体种植体的喷雾式立体栽培系统
CN108094143A (zh) 一种果树节水调质双源立体灌溉方法
CN106986690A (zh) 一种切花月季无土栽培方法
CN110063176A (zh) 一种双层拱棚栽培大棚及蔬菜的栽培方法
CN110073940A (zh) 一种桂花移植复壮方法
CN104718946A (zh) 亮剑尖椒的周年栽培方法
Gul et al. Accelerating the growth of Araucaria heterophylla seedlings through different gibberellic acid concentrations and nitrogen levels
CN105706724B (zh) 矮牵牛盆花的生产方法
KR20120109044A (ko) 토마토 재배장치 및 그 방법
JP2020171210A (ja) 高麗人参の栽培方法
CN104982177A (zh) 一种紫罗兰的种植方法
CN110352736B (zh) 一种蓝莓专用控根器及其与地栽苗套种使用方法
KR101845060B1 (ko) 딸기 육묘 설비
CN106508367A (zh) 黄瓜栽培方法
KR20200030220A (ko) 뿌리식물 수경재배용 시트
CN108703024A (zh) 在大棚中的黄瓜栽培方法
KR100434015B1 (ko) 가정용 배지경 재배기
CN104604408B (zh) 用于烤烟育苗大棚作物栽培的明水渗透灌溉方法
CN104920009B (zh) 一种提高甘蓝制种产量的栽培方法
KR20180054239A (ko) 스마트팜 인삼 재배 시스템
KR20220053114A (ko) 탄화코르크 재배체가 구비된 수경재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