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187B1 - 육묘용 분할 트레이 - Google Patents

육묘용 분할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187B1
KR102206187B1 KR1020200091673A KR20200091673A KR102206187B1 KR 102206187 B1 KR102206187 B1 KR 102206187B1 KR 1020200091673 A KR1020200091673 A KR 1020200091673A KR 20200091673 A KR20200091673 A KR 20200091673A KR 102206187 B1 KR102206187 B1 KR 102206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ded
seedlings
coupling
protrusion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민
Original Assignee
박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민 filed Critical 박경민
Priority to KR1020200091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육묘용 분할 트레이가 제공된다. 상기 육묘용 분할 트레이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육묘용 분할부;를 포함하고, 상기 육묘용 분할부는, 상기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의 연결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육묘용 분할 트레이{DIVIDED SEEDLING TRAY}
본 발명은 육묘용 분할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포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 배치하여 작물들간에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육묘용 분할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육묘장이나 시설하우스 내에서 실행되는 종래의 육묘트레이에의 관수는 스프링쿨러를 사용하여 뿌리는 방식의 두상관수법을 이용하고 있었으나, 이는 물이나 양액이 공중에서 분무됨으로 인해 분무 영역이 중첩될 뿐만 아니라 고루 도달되지 못하였다. 그로 인해, 모종의 생육상태가 고르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육묘트레이에 충분한 양의 관수를 하기 위해 과도한 양의 물과 양액을 분무하게 됨으로써 물과 양액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트레이에 다수의 모종이 식재됨으로써, 다수의 모종이 서로 완전히 분리되지 않으므로, 소수의 모종에 병해충가 유입되는 경우 급속하게 확산되어 다른 건강한 모종이 쉽게 감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배수로를 공유하는 트레이에 의해 감염된 모종이 발생한 트레이의 상토를 모두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병충해가 발생한 상토를 매번 교체하는데 상당한 비용과 노력이 투자될 수밖에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411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604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256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259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육묘용 분할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분할 트레이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육묘용 분할부;를 포함하고, 상기 육묘용 분할부는, 상기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의 연결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육묘용 분할부는, 상기 몸체부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오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돌출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는, 하부에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는 서로 크기가 상이한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 하부면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거치홈을 구비하는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오목부에 배치되는 관수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양측 끝단에 위치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와 이웃하는 이웃 몸체부의 타측 끝단의 이웃 연결부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고정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트레이를 복수개로 분할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고, 이상징후가 발생한 포트의 식재된 작물 및 상토만을 처리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포트방식으로 복수개의 포트를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할함으로써, 각종 작물 모종을 병충해로부터 안전하게 성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포트를 분할하여 포트들간의 공간을 확보하여 각각 식재된 작물들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관수로를 구비함으로써, 각 개별 포트에 물과 양액이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적으로 분리된 분할포트에 구비된 개별 배수로에 의해 병충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분할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분할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분할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분할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관수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분할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분할 트레이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분할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육묘용 분할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육묘용 분할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3은 육묘용 분할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및 상면도이고, 도 4는 육묘용 분할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관수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분할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분할 트레이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묘용 분할 트레이(1)는 몸체부(10),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12), 포트분할부(14), 연결부(16) 및 거치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 육묘용 분할 트레이(1)는 4개의 육묘용 분할포트(12)를 구비하는 것으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4개 이상 또는 이하의 육묘용 분할포트(1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는 성형 또는 가공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 등의 단단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0)의 길이가 60cm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특히, 몸체부(10)는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12)은 몸체부(10)의 하부에 배치되며, 4개의 육묘용 분할포트(12)는 각각 일정 간격으로 서로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육묘용 분할포트(12)는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콘(corn)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육묘용 분할포트(10)가 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작물 모종이 심어져 있는 상토를 육묘용 분할포트(10)로부터 쉽게 빼낼 수 있다.
육묘용 분할포트(12)는 하부에 배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크기가 상이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부(120)는 2개의 배출공을 포함하되, 서로의 배출공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총 60cm의 길이를 갖는 육묘용 분할포트(12)의 각각에 2L의 상토가 담겨지고, 2L의 상토에 2모의 2개의 모종이 식재되는 것으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60cm의 길이를 갖는 트레이에 약 14L의 상토가 담겨지므로, 상토량이 절감될 수 있다. 즉, 동일한 크기의 트레이를 동일한 모종의 개수를 적은 상토양으로 모종을 식재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성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포트분할부(14)는 몸체부(1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몸체부(10)는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12)가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1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포트분할부(14)는 4개의 육묘용 분할포트(12) 사이에서 3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트분할부(14)는 육묘용 분할포트(12)의 크기에 대응하여 육묘용 분할포트(12)와 육묘용 분할포트(12)사이에 일정한 간격의 판 형상으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돌출부(14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오목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돌출부(140)의 돌출되는 높이는 몸체부(10)의 상부면의 최대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게 형성될 수 있다.
포트분할부(1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돌출부(14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오목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12)의 연결방향과 교차되는 진행 방향으로 제1 분할돌출부(1400)-제1 분할오목부(1420)-제2 분할돌출부(1402)-제2 분할오목부(1422)-제3 분할돌출부(1404)-제3 분할오목부(1424)-제4 분할돌출부(1406)의 순서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4 분할돌출부(1400, 1406)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1 및 제3 분할오목부(1420, 1424)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2 및 제3의 분할돌출부(1402, 1404)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돌출부(140) 사이에 형성된 분할오목부(142)에 관수로(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수로(20)는 점적호수(미도시)가 지나가는 관로임과 동시에 양액 또는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고하면, 관수로(20)는 제1 분할돌출부(1400)-제1 분할오목부(1420)-제2 분할돌출부(1402) 사이 또는 제3 분할돌출부(1404)-제3 분할오목부(1424)-제4 분할돌출부(140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관수로(20)는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12)의 연결방향으로 포트분할부(14)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관수로(20)는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12) 각각에 대응하여 배출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로는 관수로(20)의 위치방향에 따라 식재된 작물을 향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육묘용 분할 트레이(1)가 관수로(20)를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12)별로 균일하게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육묘용 분할포트(12)에 식재된 상토에 직접적으로 물 또는 양액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연결부(16)는 몸체부(10)와, 몸체부(10)와 이웃하여 위치하는 몸체부(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몸체부(10)의 양측 끝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16)는 제1 몸체부(11)와 제1 몸체부(11)와 동일하게 형성된 제2 몸체부(12)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6)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출부(16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오목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12)의 연결방향과 교차되는 진행 방향으로 제1 결합돌출부(1600)-제1 결합오목부(1620)-제2 결합돌출부(1602)-제2 결합오목부(1622)-제3 결합돌출부(1604)-제3 결합오목부(1624)-제4 결합돌출부(1606)의 순서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4 결합돌출부(1600, 1606)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1 및 제3 결합오목부(1620, 1624)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2 및 제3의 결합돌출부(1602, 1604)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연결부(16)의 결합돌출부(160) 및 결합오목부(162)는 분할돌출부(140) 및 분할오목부(142)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몸체부(11)의 제1 연결부(16A)와 제2 몸체부(12)의 제2 연결부(16B)는 서로 대칭되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고하면, 제1 몸체부(11)의 제1 연결부(16A)에 제1 연결부(16A)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 몸체부(12)의 제2 연결부(16B)가 끼움 결합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몸체부(11)의 일측 끝단과 제2 몸체부(12)의 타측 끝단이 연결부(16)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16)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출부(16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오목부(162)의 중심부에 각각의 고정홀(H)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 형성되는 고정홀(H)에 별도의 결합장치(미도시)를 결합하여 제1 몸체부(11)와 제2 몸체부(12)가 결합된 경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16)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부(10)를 서로 결합하여 육묘장이나 시설하우스 내부 구조에 맞추어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다.
거치부(18)는 몸체부(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거치부(18)는 몸체부(10)의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12)에 대응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육묘용 분할포트(12)에 대응하여 4개의 거치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4개의 거치부(18)는 배출부(120)에 대응하여 거치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부(120)에 의해 물 또는 양액이 배출되는 경우 막힘없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부(120)는 4개의 육묘용 분할포트(12)의 하부면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부(120)가 4개의 육묘용 분할포트(12) 각각에 형성됨으로써, 배수로를 공유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4개의 육묘용 분할포트(12) 중 하나의 육묘용 분할포트에 병충해가 유입되더라도 나머지 육묘용 분할포트에는 병충해가 유입되지 않아 병충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거치부(18)는 지면으로부터 육묘용 분할 트레이(1)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거치부(18)는 몸체부(10)의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12) 중 외측면 또는 외측면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부(18)는 4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거치부(18)는 몸체부(10)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육묘용 분할포트(12)의 하부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부(18)가 육묘용 분할 트레이(1)에 포함된 상토의 무게를 분산시켜 더욱 안정감 있게 거치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치부(18)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육묘용 분할 트레이(1)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배출부(120)를 통해 배출되는 물 또는 양액을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육묘용 분할 트레이(1)는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12)가 포트분할부(14)에 의해 물리적으로 분할되어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12) 중 하나의 육묘용 분할포트(12)에 병충해가 발생하더라도 주변의 육묘용 분할포트(12)에 감염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12)가 물리적으로 분할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병충해가 발생된 육묘용 분할포트(12)에 식재된 작물 및 상토만을 처리할 수 있어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60cm의 길이를 갖는 트레이에 8개의 모종과 14L의 상토가 필요할 수 있다. 즉, 트레이에 식재된 8개의 모종 중 적어도 하나의 모종에 병충해가 발생한 경우 8개의 모종이 물리적으로 각각 분리되어 위치하지 않으므로, 8개의 모종과 14L의 상토를 모두 처리해야만 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물리적으로 분할되어 배수로를 공유하지 않는 각각의 육묘용 분할포트(12)에 2L의 상토에 2개의 모종을 각각 식재함으로써, 병충해가 발생하더라도 병충해가 발생한 해당 육묘용 분할포트(12)의 2개의 모종과 2L의 상토만을 처리하여 병충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기존 대비 약 57%의 상토량을 절감하여 제조원가를 더욱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2 : 육묘용 분할 트레이
10 : 몸체부 12 :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
14 : 포트분할부 16 : 연결부
18 : 거치부

Claims (8)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 사이에 상기 육묘용 분할포트의 연결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육묘용 분할부;를 포함하고,
    상기 육묘용 분할부는,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분할돌출부와, 상기 제1 내지 제4 분할돌출부와 교차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분할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의 연결방향과 교차되는 진행방향으로 상기 제1 분할돌출부, 상기 제1 분할오목부, 상기 제2 분할돌출부, 상기 제2 분할오목부, 상기 제3 분할돌출부, 상기 제3 분할오목부 및 상기 제4 분할돌출부 순서대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양측 끝단에 위치하며 제1 내지 제4 결합돌출부와, 상기 제1 내지 제4 결합돌출부와 교차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결합오목부를 구비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육묘용 분할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분할돌출부는,
    상기 몸체부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육묘용 분할 트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돌출부 및 상기 제4 분할돌출부의 크기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분할돌출부 및 상기 제3 분할돌출부의 크기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분할오목부 및 상기 제3 분할오목부의 크기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육묘용 분할 트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는,
    하부에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는 서로 크기가 상이한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포함하는, 육묘용 분할 트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 하부면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거치홈을 구비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육묘용 분할 트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돌출부와 상기 제2 분할돌출부 사이의 상기 제1 분할오목부, 상기 제2 분할돌출부와 상기 제3 분할돌출부 사이의 상기 제2 분할오목부 및 상기 제3 분할돌출부와 상기 제4 분할돌출부 사이의 상기 제3 분할오목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의 연결방향으로 배치되는 관수로;를 더 포함하는, 육묘용 분할 트레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육묘용 분할포트의 연결방향과 교차되는 진행방향으로 상기 제1 결합돌출부, 상기 제1 결합오목부, 상기 제2 결합돌출부, 상기 제2 결합오목부, 상기 제3 결합돌출부, 상기 제3 결합오목부 및 상기 제4 결합돌출부의 순서대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돌출부 및 상기 제4 결합돌출부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오목부 및 상기 제3 결합오목부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돌출부 및 상기 제3의 결합돌출부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1 내지 제4 결합돌출부와, 상기 제1 내지 제4 결합돌출부와 교차로 형성되는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오목부는 상기 몸체부와 이웃하는 이웃 몸체부의 타측 끝단의 이웃 연결부의 제1 내지 제4 이웃결합돌출부와, 상기 제1 내지 제4 이웃결합돌출부와 교차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이웃결합오목부와 맞대응하여 끼움 결합되는, 육묘용 분할 트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결합장치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고정홀;을 더 포함하는, 육묘용 분할 트레이.
KR1020200091673A 2020-07-23 2020-07-23 육묘용 분할 트레이 KR102206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673A KR102206187B1 (ko) 2020-07-23 2020-07-23 육묘용 분할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673A KR102206187B1 (ko) 2020-07-23 2020-07-23 육묘용 분할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187B1 true KR102206187B1 (ko) 2021-01-25

Family

ID=74237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673A KR102206187B1 (ko) 2020-07-23 2020-07-23 육묘용 분할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1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636B1 (ko) 2021-06-24 2021-12-01 나미희 딸기 재배용 멀티 컵 베드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7920A (ja) * 2001-02-26 2002-09-03 Tokai Kasei Corp 鉢物収容ケース及び鉢物収容トレー
JP2002305963A (ja) * 2001-04-06 2002-10-22 Ebara Corp 連結プラグ及び葉菜類の軽石栽培方法
JP3119619U (ja) * 2005-12-19 2006-03-02 ヒノマル株式会社 育苗用プランター
JP2008099663A (ja) * 2006-09-22 2008-05-01 Tokuno Shubyo Kk 潅水樋と育苗装置
KR100876048B1 (ko) 2007-08-06 2008-12-26 경상남도 딸기 육묘용 트레이
KR200452591Y1 (ko) 2010-07-05 2011-03-07 박규남 점적관수식 육묘 포트
KR101224110B1 (ko) 2010-07-09 2013-01-24 대한민국 딸기 육묘용 장치
KR101402563B1 (ko) 2012-06-27 2014-06-02 이화성 육묘 포트용 관수장치
KR200474371Y1 (ko) * 2014-07-31 2014-09-12 주경환 딸기 육묘용 연결 포트
KR101866555B1 (ko) * 2016-12-20 2018-07-04 박경민 지그재그 육묘트레이
KR101899724B1 (ko) * 2017-05-15 2018-09-17 김현정 점적관수식 육묘용 장치
KR20200001932U (ko) * 2019-02-25 2020-09-02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딸기 육묘용 트레이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7920A (ja) * 2001-02-26 2002-09-03 Tokai Kasei Corp 鉢物収容ケース及び鉢物収容トレー
JP2002305963A (ja) * 2001-04-06 2002-10-22 Ebara Corp 連結プラグ及び葉菜類の軽石栽培方法
JP3119619U (ja) * 2005-12-19 2006-03-02 ヒノマル株式会社 育苗用プランター
JP2008099663A (ja) * 2006-09-22 2008-05-01 Tokuno Shubyo Kk 潅水樋と育苗装置
KR100876048B1 (ko) 2007-08-06 2008-12-26 경상남도 딸기 육묘용 트레이
KR200452591Y1 (ko) 2010-07-05 2011-03-07 박규남 점적관수식 육묘 포트
KR101224110B1 (ko) 2010-07-09 2013-01-24 대한민국 딸기 육묘용 장치
KR101402563B1 (ko) 2012-06-27 2014-06-02 이화성 육묘 포트용 관수장치
KR200474371Y1 (ko) * 2014-07-31 2014-09-12 주경환 딸기 육묘용 연결 포트
KR101866555B1 (ko) * 2016-12-20 2018-07-04 박경민 지그재그 육묘트레이
KR101899724B1 (ko) * 2017-05-15 2018-09-17 김현정 점적관수식 육묘용 장치
KR20200001932U (ko) * 2019-02-25 2020-09-02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딸기 육묘용 트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636B1 (ko) 2021-06-24 2021-12-01 나미희 딸기 재배용 멀티 컵 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93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EP3332631B1 (en) Planting system for optimization of plant growth
KR101899724B1 (ko) 점적관수식 육묘용 장치
KR200472972Y1 (ko) 딸기 수경재배용 베드
US5327679A (en) Plant root growth training device
KR101905401B1 (ko) 육묘 트레이
KR101866555B1 (ko) 지그재그 육묘트레이
AU2020220136B2 (en) Planting System for Optimization of Plant Growth
JP4564984B2 (ja) 育苗装置
KR102206187B1 (ko) 육묘용 분할 트레이
KR101831294B1 (ko) 딸기 육묘용 장치
US20180132433A1 (en) Planting system for optimization of plant growth
KR102175155B1 (ko) 식물재배베드
US11304389B2 (en) Sub-irrigation bed and cultivation apparatus
IL154938A (en) Culture tray for the rooting of young plants
KR101915125B1 (ko) 수경재배용 베드
KR101591241B1 (ko) 점적관수식 육묘 트레이
US20100083573A1 (en) System for growing plants
KR200469008Y1 (ko) 소형 분화 유통트레이
KR20100004168U (ko) 공기통공을 구비한 육묘용 연결포트
KR102523214B1 (ko) 육묘용 포트를 그대로 이용하는 식물 재배 방법
EP0669798B1 (en) Plant pot
KR200309864Y1 (ko) 육묘 트레이
CN211210843U (zh) 一种微喷带
KR200483157Y1 (ko) 다단식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