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401B1 - 육묘 트레이 - Google Patents

육묘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401B1
KR101905401B1 KR1020160008773A KR20160008773A KR101905401B1 KR 101905401 B1 KR101905401 B1 KR 101905401B1 KR 1020160008773 A KR1020160008773 A KR 1020160008773A KR 20160008773 A KR20160008773 A KR 20160008773A KR 101905401 B1 KR101905401 B1 KR 101905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ports
tray body
irrigation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8639A (ko
Inventor
박경민
유완근
박지용
Original Assignee
박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민 filed Critical 박경민
Priority to KR1020160008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401B1/ko
Priority to PCT/KR2016/005712 priority patent/WO2017131297A1/ko
Publication of KR20170088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묘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육묘 트레이는 트레이 몸체, 트레이 몸체의 상부면에 점적 호스가 설치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메인 관수로, 메인 관수로의 양측에 형성되며, 메인 관수로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포트, 메인 관수로에 형성되며, 각각의 포트 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관수 공급부 및 적어도 2개의 거치봉에 거치되도록 복수의 포트 중 적어도 4개의 포트 하부에 상기 거치봉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거치홈이 형성된 거치부를 포함하되, 복수의 포트는 관수 공급부와 연결되도록 메인 관수로측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구비하며, 관수 공급부는 상기 절개부와 연결되는 측이 반대측보다 더 낮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육묘 트레이{SEEDLING POTS}
본 발명은 육묘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물들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포트들에 균일하게 물과 양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육묘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점적관수식 육묘 트레이는 포트들이 균일하게 배열되므로, 작물이 성장하면서, 작물의 줄기가 인접한 포트에 식재된 작물에 영향을 끼치거나 간섭하게 되어, 작물의 균일한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작물들 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작물들 서로 간에 성장을 위한 경쟁이 발생되므로, 작물이 원하는 형태로 성장하지 않게 되고, 작물의 줄기가 일측으로만 성장하여 길어지거나 키가 높아지는 등 작물의 몸이 약해지는 현상이 빈번하다.
또 점적관수식 육묘 트레이를 논이나 밭 등의 장소에 설치하면, 한 쪽이 기울어져서 점적 호스에서 공급되는 물과 양액이 각 포트로 균일하게 공급하지 않게 되어, 각 포트들의 작물의 성장에 악영향을 끼지게 된다.
또한 점적관수식 육묘 트레이는 작물이 성장하면서 메인 관수로에 설치된 점적 호스의 표면에 접촉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는 점적관수식 육묘 트레이가 비닐하우스, 온실 등에 설치되거나 환경적으로 기온이 높은 계절 즉, 여름의 경우, 점적 호수에 공급되는 물과 양액의 온도가 상승되므로, 작물의 줄기가 점적 호수의 표면에 접촉되어 작물의 줄기가 타게 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는 작물의 줄기가 타게 되어 작물 전체로 균일한 영향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작물에 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24110호(공고일 2013년 01월 24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76048호(공고일 2008년 12월 26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02563호(공고일 2014년 06월 02일)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2591호(공고일 2011년 03월 07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물들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작물을 균일하게 성장하도록 하기 위하여 메인 관수로의 양측에 엇갈리게 복수의 포트를 배치한 육묘 트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메인 관수로에 관수 공급부를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포트측으로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할 수 있는 육묘 트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레이 몸체; 상기 트레이 몸체의 상부면에 점적 호스가 설치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메인 관수로; 상기 메인 관수로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 관수로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포트; 상기 메인 관수로에 형성되며, 각각의 포트 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관수 공급부; 및 적어도 2개의 거치봉에 거치되도록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적어도 4개의 포트 하부에 상기 거치봉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거치홈이 형성된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포트는 상기 관수 공급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관수로측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수 공급부는 상기 절개부와 연결되는 측이 반대측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육묘 트레이는 상기 관수 공급부의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점적 호스에서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이 인접한 관수 공급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관수 공급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육묘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 몸체의 상부면 상기 복수의 포트들을 구분짓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격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육묘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 몸체의 외각에 인접하는 다른 육묘 트레이와 결합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번하여 형성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몸체의 외각면에 내측으로 절개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육묘 트레이는 하나의 메인 관수로를 이용하여 양측에 형성된 포트에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면적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보조 관수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포트에 식재된 작물이 점적 호스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육묘 트레이는 관수 공급부 내에 관수 공급홈이 더 형성되어 육묘 트레이에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이 인접한 다른 포트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포트별로 균일하게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가 부착되어 적재된 상태의 육묘 트레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육묘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육묘 트레이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육묘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육묘 트레이 2장이 적층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육묘 트레이의 I-I'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육묘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육묘 트레이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육묘 트레이는 트레이 몸체(100), 복수의 메인 관수로(110), 복수의 포트(120), 연결부(130) 및 거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 몸체(100)는 상면에 복수의 메인 관수로(110)와 복수의 포트(120) 들이 성형될 수 있다. 트레이 몸체(100)는 성형 또는 가공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복수의 메인 관수로(110)는 점적 호스(미도시)가 지나는 관로임과 동시에 복수의 포트(120)에 양액 또는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3개의 메인 관수로(110a, 110b, 110c)가 구비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내지 제3 메인 관수로(110a, 110b, 110c)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메인 관수로(110) 각각은 내에 복수의 관수 공급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관수 공급부(112)는 포트(120)에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포트(120)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관수 공급부(112)는 메인 관수로(110)의 양측에 형성된 포트(120)로 물 또는 양액이 공급되도록 포트(120)측으로 경사지게 지그재그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관수 공급부(112)는 인접하는 관수 공급부들이 서로 포트 방향으로 경사지므로 관수 공급부(112)의 중간 부분이 전체적으로 트레이 몸체(100)에 상부면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관수 공급부(112)는 트레이 몸체(100)의 상부면에서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하부에 배치되므로 점적 호스가 메인 관수로(110)에 위치할 경우 식물의 줄기가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포트(120)는 트레이 몸체(100)의 상면이 개방되고, 상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통의 형태를 가진다. 포트(120) 각각에는 식물이 식재된다.
포트(120)는 메인 관수로(110)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인 관수로(110)의 우측과 좌측에 포트(120)들이 형성되며, 제1 메인 관수로(110)의 우측에 형성된 포트와 좌측에 형성된 포트는 엇갈리도록 형성된다.
포트(120)들 중 외각에 위치하는 포트의 하단에는 거치봉에 거치를 위한 거치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거치부(140)는 같이 트레이 몸체(100)의 외각 양단에 위치하는 포트의 하부면에 설치된다. 특히, 거치부(140)는 트레이 몸체(100) 외각 모서리측에 위치하는 4개의 포트들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치부(140)는 트레이 몸체(100)의 가운데 영역에 위치하는 포트들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육묘 트레이가 거치봉에 거치될 때 거치봉에 가해지는 무게를 분산시켜 안정감 있도록 거치되게 한다.
한편, 거치부(140)는 거치봉의 외형에 상응하는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부(140)는 거치홈이 구비되어 거치봉의 일부가 내삽되도록 한다. 이러한 거치홈을 통해 거치봉에서 육묘 트레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육묘 트레이와 결합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오목부(134)와 볼록부(132)가 교번하여 형성되는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134)와 볼록부(132)가 교번하여 형성되며, 메인 관수로(110)의 끝단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34)가 형성된 영역에는 다른 육묘 트레이의 볼록부(132)가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반대로 볼록부(132)가 형성된 영역에는 다른 육묘 트레이의 오목부(134)가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도 1에서는 오목부(134)가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볼록부(132)도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오목부(134)의 반대편에 볼록부(132)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육묘 트레이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손잡이(도 3의 21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다시 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육묘 트레이는 하나의 메인 관수로(110)를 이용하여 양측에 형성된 포트(120)에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면적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보조 관수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포트(120)에 식재된 작물이 점적 호스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육묘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육묘 트레이 2장이 적층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육묘 트레이의 I-I'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육묘 트레이는 트레이 몸체(100), 복수의 메인 관수로(110), 복수의 포트(120), 연결부(130), 거치부(140), 관수 공급홈(114), 손잡이(210) 및 격벽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트레이 몸체(100), 복수의 메인 관수로(110), 복수의 포트(120), 연결부(130) 및 거치부(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관수 공급홈(114)은 관수 공급부(112)의 내측에 관수 공급부(112)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이되, 더 작은 크기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관수 공급홈(114)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점적 호스에서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이 인접한 관수 공급부(112)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수 공급홈(11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120)의 절개부(122)까지 오목하게 형성되어 점적 호스에서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이 포트(120)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관수 공급홈(114)은 관수 공급부(112)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손잡이(210)는 연결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측면에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10)는 여러 개의 육묘 트레이가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다가 사용을 위하여 사용자가 이를 분리할 경우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10)는 트레이 본체(100)의 일부분이 절개되고, 절개된 영역의 내측은 상부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트레이 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격벽부(200)는 트레이 몸체(100)의 상부면에 약 1 내지 2mm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격벽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포트의 영역을 구분짓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격벽부(200)는 어느 하나의 포트(120)에서 유출된 물 또는 양액이 다른 포트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격벽부(200)의 높이가 2mm 이상 돌출될 경우 포트(120) 내에 식재된 식물의 줄기가 닿거나, 인근 포트로 식물 줄기가 넘어갈 경우, 격벽부(200)에 의해 식물 줄기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격벽부(200)의 높이는 2m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격벽부(200)의 상부면은 일정한 너비를 가지며, 특히 뾰족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육묘 트레이는 관수 공급부 내에 관수 공급홈이 더 형성되어 육묘 트레이에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이 인접한 다른 포트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포트별로 균일하게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가 부착되어 적재된 상태의 육묘 트레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트레이 몸체
110: 메인 관수로
112: 관수 공급부
114: 관수 공급홈
120: 포트
122: 절개부
130: 연결부
132: 볼록부
134: 오목부
140: 거치부
200: 격벽부
210: 손잡이

Claims (5)

  1. 트레이 몸체;
    상기 트레이 몸체의 상부면에 점적 호스가 설치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메인 관수로;
    상기 메인 관수로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 관수로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포트;
    상기 메인 관수로에 형성되며, 각각의 포트 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관수 공급부; 및
    적어도 2개의 거치봉에 거치되도록 상기 복수의 포트 중 트레이 몸체의 외각 양단에 위치하는 적어도 4개의 포트 하부에 상기 거치봉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거치홈이 형성된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포트는 상기 관수 공급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관수로측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수 공급부는 상기 절개부와 연결되는 측이 반대측보다 더 낮게 형성되며,
    상기 관수 공급부의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점적 호스에서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이 인접한 관수 공급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관수 공급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트레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몸체의 상부면 상기 복수의 포트들을 구분짓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격벽부를 더 포함하는 육묘 트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몸체의 외각에 인접하는 다른 육묘 트레이와 결합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번하여 형성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육묘 트레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몸체의 외각면에 내측으로 절개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육묘 트레이.
KR1020160008773A 2016-01-25 2016-01-25 육묘 트레이 KR101905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773A KR101905401B1 (ko) 2016-01-25 2016-01-25 육묘 트레이
PCT/KR2016/005712 WO2017131297A1 (ko) 2016-01-25 2016-05-30 육묘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773A KR101905401B1 (ko) 2016-01-25 2016-01-25 육묘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639A KR20170088639A (ko) 2017-08-02
KR101905401B1 true KR101905401B1 (ko) 2018-10-08

Family

ID=59398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773A KR101905401B1 (ko) 2016-01-25 2016-01-25 육묘 트레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5401B1 (ko)
WO (1) WO20171312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46426A (zh) * 2017-11-08 2018-02-02 海南大学 一种盆栽托盘、盆栽灌溉系统及盆栽灌溉方法
CN108401752B (zh) * 2018-04-08 2020-06-23 安徽小荷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环形育苗床
CN110366989B (zh) * 2019-07-19 2021-09-07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草莓种苗穴盘
KR102184907B1 (ko) * 2020-04-29 2020-12-01 변종기 고설재배용 포트 및 이를 이용한 고설재배 베드
CN113892370A (zh) * 2021-11-23 2022-01-07 张秀秀 一种林业育苗栽培方法
CN114451170A (zh) * 2022-02-23 2022-05-10 金华职业技术学院 一种园林灌木快速种植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9663A (ja) * 2006-09-22 2008-05-01 Tokuno Shubyo Kk 潅水樋と育苗装置
JP2014155442A (ja) * 2013-02-14 2014-08-28 Inoac Corp 水耕栽培用育苗マット
KR200474371Y1 (ko) * 2014-07-31 2014-09-12 주경환 딸기 육묘용 연결 포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389A (ko) * 2008-07-01 2010-01-11 이화성 육묘용 트레이 및 관수장치
KR200452591Y1 (ko) * 2010-07-05 2011-03-07 박규남 점적관수식 육묘 포트
KR101698112B1 (ko) * 2014-04-10 2017-02-01 주식회사 내쇼널아그로 격자형 셀이 형성된 육묘 상자 및 블록매트형 상토를 포함하는 육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9663A (ja) * 2006-09-22 2008-05-01 Tokuno Shubyo Kk 潅水樋と育苗装置
JP2014155442A (ja) * 2013-02-14 2014-08-28 Inoac Corp 水耕栽培用育苗マット
KR200474371Y1 (ko) * 2014-07-31 2014-09-12 주경환 딸기 육묘용 연결 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1297A1 (ko) 2017-08-03
KR20170088639A (ko)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401B1 (ko) 육묘 트레이
US10524434B2 (en) Hyrdoponics
US4887388A (en) Irrigation system for commercial plant cultivation
US94393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US20180255712A1 (en) Plant tr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lant tray
KR101899724B1 (ko) 점적관수식 육묘용 장치
KR200472972Y1 (ko) 딸기 수경재배용 베드
JP4564984B2 (ja) 育苗装置
US20180000021A1 (en) Garden layout growing system
KR101591241B1 (ko) 점적관수식 육묘 트레이
KR102206187B1 (ko) 육묘용 분할 트레이
KR101785550B1 (ko) 식물 재배기
KR20160109298A (ko) 딸기 모종용 포트
KR200359219Y1 (ko) 활엽수용 양묘 포트
TWM479011U (zh) 具多孔式栽培杯的穴盤
CA2975206C (en) Facility for hydroponic cultivation
KR200486793Y1 (ko) 농작물 재배용 베드
KR101158252B1 (ko) 식생 공간이 구비된 적층형 파티션
US20130025198A1 (en) Planting device
KR20170027033A (ko) 버섯 재배기
KR20220126102A (ko) 점적 및 저면관수 겸용 육묘포트 및 이 육묘포트를 이용한 육묘방법
KR20220136726A (ko) 딸기 재배용 멀티컵 베드
KR20150002269U (ko) 높이조절기능을 가지는 육묘상자
KR20120008692U (ko) 모판
OA18399A (en) Facility for hydroponic cul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