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298A - 딸기 모종용 포트 - Google Patents

딸기 모종용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298A
KR20160109298A KR1020150033430A KR20150033430A KR20160109298A KR 20160109298 A KR20160109298 A KR 20160109298A KR 1020150033430 A KR1020150033430 A KR 1020150033430A KR 20150033430 A KR20150033430 A KR 20150033430A KR 20160109298 A KR20160109298 A KR 20160109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up portion
water supply
cu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금채
Original Assignee
최금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금채 filed Critical 최금채
Priority to KR1020150033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9298A/ko
Publication of KR20160109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60Apparatus for preparing growth substrates or culture med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Abstract

본 발명은 딸기 모종용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측벽을 포함하는 판체와; 상기 판체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단위포트와; 상기 단위포트에 물을 공급하도록 단위포트들 사이로 연장된 물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포트는 상기 판체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내측에는 모종을 식재할 수 있도록 식재공간이 형성된 컵부와,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컵부 주변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컵부 주변을 따라 인입 형성된 유도부와, 상기 유도부로 유입된 물을 상기 컵부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딸기 모종용 포트는 물공급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도부로부터 컵부 내부로 물을 흘려보내기 위한 유입부를 다수의 슬릿 및 관통홀로 형성하고, 다수의 슬릿들 깊이와 관통홀들의 높낮이 차이를 주도록 하여 물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종에 물의 공급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고른 성장을 갖는 모종을 생산할 수 있는 딸기 모종 포트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딸기 모종용 포트{Strawberry seedlings pot}
본 발명은 딸기 모종용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모종에 물을 균일하게 공급함으로써 모종의 성장률을 고르게 할 수 있는 딸기 모종용 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딸기 모종을 비롯한 각종 농작물이나 원예용 모종은 시설 하우스 내부에서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두상 관수법 또는 점적 호스를 이용한 점적 관수법 등을 이용하여 육묘하고 있다.
종래의 두상 관수법 또는 점적 관수법은 물과 양액의 낭비가 심한 단점이 있고, 스프링클러 설비 및 점적 호스의 설치에 상당한 시간과 재료 및 비용과 인력을 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두상 관수법이나 점적 관수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저면 관수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저면 관수법에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0245336호의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 국내공개특허 제10-2012-62464호의 저면 관수법을 이용한 딸기 육묘방법,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220370호의 원예작물 재배용 저면 관수방법 및 그 시스템,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254409호의 저면 관수용 육묘 트레이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개시된 저면 관수 시스템에 있어서는 일정한 시간 동안 충분한 물과 양액을 공급한 후 완벽한 배수를 시행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공급되는 물이 균등하거나 충분하지 못해 육묘의 성장이 고르지 못하고 충실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공급 및 배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종에 물의 공급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고른 성장을 갖는 모종을 생산할 수 있는 딸기 모종 포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딸기 모종용 포트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측벽을 포함하는 판체와; 상기 판체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단위포트와; 상기 단위포트에 물을 공급하도록 단위포트들 사이로 연장된 물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포트는 상기 판체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내측에는 모종을 식재할 수 있도록 식재공간이 형성된 컵부와,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컵부 주변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컵부 주변을 따라 인입 형성된 유도부와, 상기 유도부로 유입된 물을 상기 컵부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부는 상기 유도부와 상기 컵부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컵부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되고, 상기 컵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된 다수의 절개슬릿들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슬릿들은 상기 물공급부를 향하는 일 측으로부터 상기 물공급부와 멀어지는 타 측으로 갈수록 더 깊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부는 상기 유도부와 상기 컵부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컵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고, 상기 컵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며, 상기 컵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들은 상기 물공급부를 향하는 일 측으로부터 상기 물공급부와 멀어지는 타 측으로 갈수록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체의 상면에는 상기 컵부에 식재된 모종이 상기 판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 필름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체에 결합되어 상기 판체를 프레임에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브라켓;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판체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연장된 바닥지지부와, 상기 바닥지지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판체의 양 측벽을 각각 지지하는 제1측벽지지부 및 제2측벽지지부와, 상기 제1측벽지지부 또는 상기 제2측벽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시켜 놓을 수 있도록 절곡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딸기 모종용 포트는 물공급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도부로부터 컵부 내부로 물을 흘려보내기 위한 유입부를 다수의 슬릿 및 관통홀로 형성하고, 다수의 슬릿들 깊이와 관통홀들의 높낮이 차이를 주도록 하여 물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종에 물의 공급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고른 성장을 갖는 모종을 생산할 수 있는 딸기 모종 포트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딸기 모종용 포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딸기 모종용 포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딸기 모종용 포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딸기 모종용 포트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딸기 모종용 포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딸기 모종용 포트의 물공급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딸기 모종용 포트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딸기 모종용 포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딸기 모종용 포트(1)는 판체(10)와; 상기 판체(10)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단위포트(20)와; 상기 단위포트(20)에 물을 공급하도록 단위포트(20)들 사이로 연장된 물공급부(30);를 포함한다.
상기 판체(10)는 일 측 변의 길이가 인접하는 타 측 변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11)와, 측벽(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1)는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길이와 너비 방향을 따라 다수의 단위포트(20)들이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12)은 상기 베이스(1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11)를 지지한다.
상기 판체(10)에는 상기 단위포트(2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공급부(30)는 상기 물공급부(30)는 상기 판체(1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되고, 상기 판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제1유로(31)를 형성한다.
상기 판체(1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다수의 단위포트(20)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포트(20)들에 인접하는 각 부분에는 공급파이프(35) 또는 공급호스(미도시)를 통해 물공급부(30)를 따라 흐르는 물이 단위포트(20)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더욱 상세하게는 유도부(22)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판체(1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깊이 절개한 절개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부(30)는 공급파이프(35) 또는 공급호스를 통해 내부로 공급된 물이 후술하는 유도부(22)로 모두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바닥부분이 상기 유도부(22)의 바닥부분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절개부(32) 또한 물공급부(30)의 바닥부분까지 연장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공급부(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한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으나, 이와 다르게 상기 판체(1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한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단위포트(20)는 상기 판체(1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내측에는 모종을 식재할 수 있도록 식재공간(21a)이 형성된 컵부(21)와, 상기 물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컵부(21) 주변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컵부(21) 주변을 따라 인입 형성된 유도부(22)와, 상기 유도부(22)로 유입된 물을 상기 컵부(21)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컵부(21)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하부는 폐쇄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식재공간(21a)의 횡방향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컵부(21)의 하부에는 물 빠짐을 위한 배수구멍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컵부(21)는 상기 판체(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후술하는 유입부(23)를 통해 의해 판체(10)와 연결되어 판체(10)에 지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유도부(22)는 상기 물공급부(30)로부터 즉, 제1유로(31)를 따라 흐르는 물을 컵부(21) 주변으로 유도하기 위한 제2유로(22a)를 형성한다. 상기 유도부(22)는 상부가 넓고 하부는 좁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부(23)는 상기 유도부(22)와 상기 컵부(21)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컵부(21)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되고, 상기 컵부(21)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된 다수의 절개슬릿들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슬릿들은 상기 물공급부(30)를 향하는 일 측으로부터 상기 물공급부(30)와 멀어지는 타 측으로 갈수록 더 깊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절개슬릿은 총 4개가 형성된 것을 적용하였으며, 총 4개의 절개슬릿들 중 물공급부(30)와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은 제1절개슬릿(23a), 물공급부(30)와 먼 위치에 형성된 것은 제2절개슬릿(23b)이라 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총 4개의 절개슬릿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더 많은 수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딸기 모종용 포트(1)는 총 28개가 형성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7개, 세로 방향으로 4개의 단위포트(20)들이 형성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의 개수를 절반으로 감소시켜 총 14개의 단위포트(20)를 형성한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르게 다양한 개수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딸기 모종용 포트(1)는 제1절개슬릿(23a)과 제2절개슬릿(23b)이 서로 다른 깊이로 인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물공급부(30)로부터 상기 유도부(22)로 흘러들어온 물이 제2절개슬릿(23b)에 도달할 때까지 물공급부(30)와 근접한 부분에 형성된 제1절개슬릿(23a)으로 즉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물이 유도부(22)를 따라 제2절개슬릿(23b)으로 물이 도달하거나 및 제2절개슬릿(23b)을 통해 컵부(21) 내부로 유입될 즈음에 물공급부(30)와 인접한 유도부(22) 측의 수위 또한 제1절개슬릿(23a)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는 수위가 되므로 제1절개슬릿(23a)과 제2절개슬릿(23b)으로 거의 동시에 물이 흘러들어 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균일하게 물공급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유입부(23)는 도시된 예와 다르게 관통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23)는 상기 유도부(22)와 상기 컵부(21)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컵부(21)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고, 상기 컵부(21)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컵부(21)를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들을 포함하여 형성한다. 상기 관통홀들은 상기 물공급부(30)를 향하는 일 측으로부터 상기 물공급부(30)와 멀어지는 타 측으로 갈수록 더 낮은 위치에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딸기 모종용 포트(1)는 상기 컵부(21)에 식재된 모종이 상기 판체(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판체(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차단필름(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단필름(60)은 모종의 잎 등이 판체(10)의 상면에 접촉되면서 판체(10)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열전도도가 낮은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딸기 모종용 포트(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체(10)에 결합되어 상기 판체(10)를 지지프레임(50)에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브라켓(4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지지브라켓(40)은 상기 판체(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연장된 바닥지지부(41)와, 상기 바닥지지부(41)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판체(10)의 양 측벽(12)을 각각 지지하는 제1측벽지지부(42) 및 제2측벽지지부(43)와, 상기 제1측벽지지부(42) 또는 상기 제2측벽지지부(4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50)에 장착시켜 놓을 수 있도록 절곡된 장착부(44)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지지부(41)는 상기 판체(10)의 측벽(12) 하단에 상면이 접촉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판체(1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1측벽지지부(42)와 제2측벽지지부(43)는 상기 바닥지지부(41)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상기 바닥지지부(4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지지부(41)에 대하여 상기 판체(10)가 상기 바닥지지부(41)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1측벽지지부(42)와 제2측벽지지부(43)의 상단에는 상기 바닥지지부(41)와의 사이에 상기 판체(10)의 가장자리 일부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절곡된 절곡리브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4)는 상기 바닥지지부(41)와, 상기 제1측벽지지부(42) 및 제2측벽지지부(43)에 안착 및 지지된 판체(10)를 지지프레임(50)에 거치 또는 매달이 놓을 수 있도록 형성한 것으로서, 지지프레임(50)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되, 지지프레임(50)을 내측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일 측이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44)는 개방된 부분을 통해 지지프레임(50)을 삽입할 시 개방된 측이 벌어졌다가 지지프레임(50)이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레임(5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판체(10) 및 단위포트(20)들의 하중 때문에 지지브라켓(40)의 일 측 즉, 장착부(44)에 대하여 바닥지지부(41)가 회전하는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장착부(44)의 형상 또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한 구조를 적용하였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딸기 모종용 포트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나타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딸기 모종용 포트는 공급파이프(35) 또는 공급호스로부터 제1유로(31)로 배출되는 물이나 양액이 판체(10)에 형성된 절개부(32)를 통해 제2유로(22a)로 용이하게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사부(7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경사부(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절개부(32)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산과 골이 반복되는 삼각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골에 대응하는 부분이 상기 절개부(32)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부(70)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면(71, 72)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71, 72)을 통해 공급파이프(35)나 공급호스에서 배출되는 물이나 양액을 절개부(32)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경사부(70)는 공급파이프(35)나 공급호스에서 배출되는 물이나 양액이 절개부(32)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배출되지 않고 절개부(32)와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배출되더라도 경사면(71, 72)에 의해 절개부(32)를 향하도록 안내되므로 물이나 양액을 제1유로(31)에 남기지 않고 단위포트(20)로 공급할 수 있어 물이나 양액의 낭비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위포트(20)에 균일한 양의 물이나 양액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딸기 모종용 포트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딸기 모종용 포트
10 : 판체
11 : 베이스
12 : 측벽
20 : 단위포트
21 : 컵부
22 : 유도부
23 : 유입부
30 : 물공급부
40 : 지지브라켓
50 : 지지프레임
60 : 차단필름
70 : 경사부

Claims (5)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측벽을 포함하는 판체와;
    상기 판체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단위포트와;
    상기 단위포트에 물을 공급하도록 단위포트들 사이로 연장된 물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포트는 상기 판체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내측에는 모종을 식재할 수 있도록 식재공간이 형성된 컵부와,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컵부 주변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컵부 주변을 따라 인입 형성된 유도부와, 상기 유도부로 유입된 물을 상기 컵부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모종용 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유도부와 상기 컵부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컵부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되고, 상기 컵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된 다수의 절개슬릿들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슬릿들은 상기 물공급부를 향하는 일 측으로부터 상기 물공급부와 멀어지는 타 측으로 갈수록 더 깊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모종용 포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유도부와 상기 컵부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컵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고, 상기 컵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며, 상기 컵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들은 상기 물공급부를 향하는 일 측으로부터 상기 물공급부와 멀어지는 타 측으로 갈수록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모종용 포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의 상면에는 상기 컵부에 식재된 모종이 상기 판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 필름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모종용 포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에 결합되어 상기 판체를 프레임에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브라켓;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판체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연장된 바닥지지부와, 상기 바닥지지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판체의 양 측벽을 각각 지지하는 제1측벽지지부 및 제2측벽지지부와, 상기 제1측벽지지부 또는 상기 제2측벽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시켜 놓을 수 있도록 절곡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모종용 포트.
KR1020150033430A 2015-03-10 2015-03-10 딸기 모종용 포트 KR20160109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430A KR20160109298A (ko) 2015-03-10 2015-03-10 딸기 모종용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430A KR20160109298A (ko) 2015-03-10 2015-03-10 딸기 모종용 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298A true KR20160109298A (ko) 2016-09-21

Family

ID=57080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430A KR20160109298A (ko) 2015-03-10 2015-03-10 딸기 모종용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92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907B1 (ko) * 2020-04-29 2020-12-01 변종기 고설재배용 포트 및 이를 이용한 고설재배 베드
WO2021182963A1 (en) * 2020-03-13 2021-09-16 Gege Machinebouw B.V. Cultivation tr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2963A1 (en) * 2020-03-13 2021-09-16 Gege Machinebouw B.V. Cultivation tray
KR102184907B1 (ko) * 2020-04-29 2020-12-01 변종기 고설재배용 포트 및 이를 이용한 고설재배 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4984B2 (ja) 育苗装置
JP6412136B2 (ja) 無土壌植物栽培コンテナ
KR200472972Y1 (ko) 딸기 수경재배용 베드
KR101866555B1 (ko) 지그재그 육묘트레이
KR101899724B1 (ko) 점적관수식 육묘용 장치
KR101555226B1 (ko) 모듈타입 실내용 수경재배장치
KR101402563B1 (ko) 육묘 포트용 관수장치
KR101926988B1 (ko)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KR20160109298A (ko) 딸기 모종용 포트
JP4722729B2 (ja) 隔離床栽培用プランター
KR20140105355A (ko) 양액 재배용 베드
KR101591241B1 (ko) 점적관수식 육묘 트레이
JP4948034B2 (ja) トマトの栽培方法とその装置
JP2006288392A (ja) 種苗の育苗装置
JP2011167157A (ja) 植物栽培用容器
JP2008220266A (ja) 底面潅水用給水パネル及び同パネル用の栽培ポット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栽培システム
KR20100127144A (ko) 모종 재배용 급수장치
KR101507309B1 (ko) 식물의 육묘 재배장치
KR101056180B1 (ko) 벽면부착형 식물재배기
KR20100004168U (ko) 공기통공을 구비한 육묘용 연결포트
KR101812550B1 (ko) 재배 상자
JP7300959B2 (ja) 水槽接続部材とこれを用いた水耕栽培用水槽構造
JP2020099298A (ja) 養液栽培装置、養液栽培方法及び養液栽培システム
KR200486793Y1 (ko) 농작물 재배용 베드
CN219352499U (zh) 一种节水型育苗穴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