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555B1 - 지그재그 육묘트레이 - Google Patents

지그재그 육묘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555B1
KR101866555B1 KR1020160174302A KR20160174302A KR101866555B1 KR 101866555 B1 KR101866555 B1 KR 101866555B1 KR 1020160174302 A KR1020160174302 A KR 1020160174302A KR 20160174302 A KR20160174302 A KR 20160174302A KR 101866555 B1 KR101866555 B1 KR 101866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s
irrigation
water
zigzag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민
박지용
유완근
Original Assignee
박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민 filed Critical 박경민
Priority to KR1020160174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는 포트판; 점적 호스가 설치되도록 상기 포트판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관수로; 상기 포트판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관수로 양측으로 일측과 타측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복수의 포트; 적어도 2개의 거치봉에 거치되도록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적어도 4개의 포트 하부에 상기 거치봉의 외주면과 상응하는 거치홈이 형성된 거치부 및 점적 호스를 통해 흐르는 물 또는 양액이 포트 안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관수로 양측에 형성되며, 각 포트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관수홀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포트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며, 마주보는 2개의 지지판이 대칭되어 형성되는 분할판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할판 결합부에 분할판을 삽입하여 각 포트를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그재그 육묘트레이{ZIGZAG SEEDLING TRAY}
본 발명은 육묘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물들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포트들에 균일하게 물과 양액이 공급되도록 하며, 포트간 결합이 가능한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육묘장이나 시설하우스 내에서 실행되는 종래의 육묘트레이에의 관수는 스프링쿨러를 사용하여 뿌리는 방식의 두상관수법을 이용하고 있었으나, 이는 물이나 양액이 공중에서 분무됨으로 인해 분무 영역이 중첩될 뿐만 아니라 고루 도달되지 못하였다. 그로 인해, 모종의 생육상태가 고르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육묘트레이에 충분한 양의 관수를 하기 위해 과도한 양의 물과 양액을 분무하게 됨으로써 물과 양액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트레이의 상면에 관수로를 형성하고, 그 위에 점적호스를 설치하여 뿌리가 위치한 상토에 직접적으로 물과 양액을 공급하도록 하는 '점적관수식 육묘트레이'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점적관수식 육묘트레이는 포트들이 균일하게 배열되므로, 작물이 성장하면서, 작물의 줄기가 인접한 포트에 식재된 작물에 영향을 끼치거나 간섭하게 되어, 작물의 균일한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작물들 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작물들 서로 간에 성장을 위한 경쟁이 발생되므로, 작물이 원하는 형태로 성장하지 않게 되고, 작물의 줄기가 일측으로만 성장하여 길어지거나 키가 높아지는 등 작물의 몸이 약해지는 현상이 빈번하다.
또한 점적관수식 육묘트레이를 논이나 밭 등의 장소에 설치하면, 한 쪽이 기울어져서 점적 호스에서 공급되는 물과 양액이 각 포트로 균일하게 공급하지 않게 되어, 각 포트들의 작물의 성장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작물들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작물을 균일하게 성장하도록 하기 위해 관수로의 양측에 엇갈리게 복수의 포트를 배치하고, 관수로에 점적 호스를 설치하여 물 또는 양액이 전달되도록 하는 지그재그 육묘트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의 양측에 결합장치를 구비하여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는 지그재그 육묘트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트판; 점적 호스가 설치되도록 상기 포트판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관수로; 상기 포트판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관수로 양측으로 일측과 타측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복수의 포트; 적어도 2개의 거치봉에 거치되도록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적어도 4개의 포트 하부에 상기 거치봉의 외주면과 상응하는 거치홈이 형성된 거치부 및 점적 호스를 통해 흐르는 물 또는 양액이 포트 안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관수로 양측에 형성되며, 각 포트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관수홀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포트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며, 마주보는 2개의 지지판이 대칭되어 형성되는 분할판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할판 결합부에 분할판을 삽입하여 각 포트를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재그 육묘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재그 육묘트레이는,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며, 상면 또는 하면이 서로 접하도록 위치가 다르게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단차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단차플레이트를 통해 적어도 2개를 교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단차플레이트 중 하나는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고정홀을 형성하여 상기 교합 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그재그 육묘트레이는, 일측면에 구비되는 삽입돌기 및 타측면에 상기 삽입돌기와 상응하게 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돌기 및 삽입홈을 통해 적어도 2개의 육묘트레이를 측방향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수로 양측에서 관수로의 곡선반경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는 2개의 판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관수가이드막 및 상기 복수의 관수로 각 길이방향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관수로 곡선과 기밀되게 설치되는 반원형의 관수이탈방지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포트는, 육묘의 뿌리 직근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는 하나의 관수로를 이용하여 양측에 형성된 포트에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면적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보조 관수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는 양측에 결합장치를 구비하여 육묘장이나 시설하우스 내부 구조에 맞추어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3의 (a)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의 분할판 결합부에 분할판이 결합된 도면이며, (b)는 분할판 기본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c)는 분할판 절개형태 및 분할판이 교차하여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의 사시도이며, (b)는 도 4 (a)의 측면상세도이다.
도 5의 (a)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의 사시도이며, (b)는 도 5 (a)의 측면상세도이다.
도 6의 (a)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의 사시도이며, (b)는 도 6 (a)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7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의 측면상세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의 평면도이고, 도 3의 (a)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의 분할판 결합부에 분할판이 결합된 도면이며, (b)는 분할판 기본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c)는 분할판 절개형태 및 분할판이 교차하여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의 (a)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의 사시도이며, (b)는 도 4 (a)의 측면상세도이고, 도 5의 (a)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의 사시도이며, (b)는 도 5 (a)의 측면상세도이고, 도 6의 (a)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의 사시도이며, (b)는 도 6 (a)의 후면사시도이고, 도 7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의 측면상세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1)는 포트판(100), 관수로(110), 포트(120), 거치부(130), 관수홀(140), 분할판 결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트판(100)은 상부면에 복수의 관수로(110)와 하부에 복수의 포트(120)가 성형될 수 있다. 이때, 포트판(100)은 성형 또는 가공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복수의 관수로(110)는 점적 호스(미도시)가 지나는 관로임과 동시에 복수의 포트(120)에 양액 또는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4개의 관수로(110a, 110b, 110c, 110d)가 구비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내지 제4 관수로(110a, 110b, 110c, 110d)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관수로(110a, 110b, 110c, 110d)는 포트판(100)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점적 호스가 설치되기 위함이며, 점적 호스가 오목한 부분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포트판(100) 상부면에 점적 호스를 고정하도록 하는 호스 고정홀(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호스 고정홀(미도시)은 오목한 관수로(110)를 대칭으로 형성되는 2개가 한 구조를 이루며, 상기 한 구조를 이루는 2개의 호스 고정홀(미도시)에 탄성고정체(미도시)의 일단과 타단이 결합되어 점적 호스의 고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관수로(110) 각각의 내에는 복수의 관수홀(140)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관수홀(140)은 관수로(110)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포트(120)에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포트(120)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관수홀(140)은 관수로(110)의 양측에 형성된 포트(120)로 물 또는 양액이 공급되도록 포트(120)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토에 직접적으로 물과 양액이 공급되어 포트의 작물들이 균일하게 성장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관수로(110) 각각의 내에는 관수가이드막(115)과 관수이탈방지막(116)이 형성될 수 있다.
관수가이드막(115)은 물 또는 양액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부재로써, 상기 관수로 양측에서 관수로의 곡선반경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는 2개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판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수가이드막(115)은 각 관수로(110) 내에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점적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이 관수로(110)를 따라 흐를 때 관수홀(140)로의 흐름방향을 형성하여 포트(120)내로 더 잘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관수이탈방지막(116)은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관수로(110) 길이방향의 각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물 또는 양액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관수로(110)의 곡선과 기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포트(120)는 상면이 개방되고, 포트(120)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형태를 가진다. 포트(120) 각각에는 식물이 식재된다.
또한 포트(120)는 관수로(110)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수로(110a)의 우측과 좌측에 포트(120)들이 형성되며, 제1 관수로(110)의 우측에 형성된 포트와 좌측에 형성된 포트는 엇갈리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본원발명의 하나의 특징으로써, 작물들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작물이 균일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한다.
즉,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위치한 상토에 직접적으로 물과 양액을 공급함과, 포트들이 엇갈리는 구조를 통해 균일한 영양공급과 간섭이 최소화 되어 종래의 기술을 이용한 것보다 식물이 더 풍성하고 건강하게 자라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포트(120)는, 내측에 육묘의 뿌리 직근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돌기(125)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돌기(125)는 뿌리가 중앙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4개의 돌기가 서로 대칭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직근을 형성한 육묘 뿌리는, 물과 양액의 공급을 충분하게 받을 수 있다.
한편, 포트(120)들 중 적어도 4개의 포트(120)는 거치봉에 거치를 위한 거치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거치부(130)는 포트(120)의 하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거치부(130)는 포트판(100) 외각 모서리측에 위치하는 4개의 포트들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치부(130)는 포트판(100) 가운데 영역에 위치하는 포트들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그재그 육묘트레이가 거치봉에 거치될 때 거치봉에 가해지는 무게를 분산시켜 안정감 있도록 거치되게 한다.
한편, 거치부(130)는 거치봉의 외형에 상응하는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치부(130)는 거치홈이 구비되어 거치봉의 일부가 내삽되도록 한다. 이러한 거치홈을 통해 거치봉에서 지그재그 육묘트레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분할판 결합부(150)는 포트(12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분할판 결합부(150)는 마주보는 2개의 지지판(151)이 대칭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판(151)은 포트(120)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마주보는 2개의 지지판(151)이 대칭되어 한 구조를 이루며, 마주보는 지지판(151) 사이로 기본 판 형태의 분할판(155a)이 삽입될 수 있다.
기본 판 형태의 분할판(155a)은 측면이 포트(120) 내주면의 곡률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할판 결합부(150)에는 기본 판 형태의 분할판(155a)의 상측 또는 하측 중앙에서 판 중심을 향해 절개되도록 형성된 분할판(155b)이 삽입될 수 있다.
각 분할판(155a, 155b)은 분할목적에 따라 사용되며, 포트(120)의 2분할 시에는 기본 판 형태의 분할판(155a)을 분할판 결합부(150)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포트(120)의 4분할 시에는 상측과 하측에서 절개된 분할판(155b) 2개를 사용하며, 각각의 절개된 부분을 교차시킨 뒤 분할판 결합부(150)에 삽입할 수 있다. 즉, 서로 절개방향이 반대되는 절개된 분할판(155b)이 겹쳐져 십자형태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분할판(155a, 155b)을 이용하여 포트(120) 내부를 2분할 또는 4분할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와 결합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오목부(164)와 볼록부(162)가 교번하여 형성되는 연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164)와 볼록부(162)가 교번하여 형성되며, 관수로(110)의 끝단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64)가 형성된 영역에는 다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의 볼록부(162)가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반대로 볼록부(162)가 형성된 영역에는 다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의 오목부(164)가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도 1에서는 오목부(164)가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볼록부(162)도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오목부(164)의 반대편에 볼록부(162)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2)는 다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와 결합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단차플레이트(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단차플레이트(210)는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단차플레이트(210)는 상면 또는 하면이 서로 접하도록 위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2개의 지그재그 육묘트레이를 예를 들어 자세히 설명하면, 제 1 단차플레이트(200)와 제 2 단차플레이트(210)는 각각 지면과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단차플레이트가 더 높이 형성될 경우, 2개의 지그재그 육묘트레이를 겹쳤을 때 제 1 단차플레이트(200)의 하면과 제 2 단차플레이트(210)의 상면이 접하도록 제 2 단차플레이트(210)가 위치할 수 있다.
반대로, 제 2 단차플레이트가 더 높이 형성될 경우, 제 1 단차플레이트(200)의 상면과 제 2 단차플레이트(210)의 하면이 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단차플레이트(200)와 제 2 단차플레이트(210)를 교합하여 2개 이상의 지그재그 육묘트레이를 하나처럼 사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3)는 제 1 및 제 2 단차플레이트(210) 중 하나는 고정돌기(300)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고정홀(31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고정돌기(300)를 고정홀(310)에 결합시켜 2개 이상의 지그재그 육묘트레이를 겹쳐서 사용할 때, 외부의 요인으로 인해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의 대열이 흐트러짐을 방지하여 사용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고정돌기(300)와 고정홀(31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4)는 결합구조의 다른 예로 삽입돌기(400), 삽입홈(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 2 및 3 실시예와 같은 목적을 가지나, 다른 구조이다.
즉, 삽입돌기(400)는 육묘트레이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삽입홈(410)은 타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삽입돌기(400)와 삽입홈(410)은 서로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돌기(400)와 삽입홈(410)은 지그재그 육묘트레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삽입돌기(400)를 삽입홈(410)에 삽입하여 2개 이상의 결합된 지그재그 육묘트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1)는 식물을 균일하게 자라게 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4 실시 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2, 3, 4)는 2개 이상의 지그재그 육묘트레이를 결합하여 육묘장이나 시설하우스 내부 구조에 맞추어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4 : 제 1 내지 제 4 실시 예에 따른 지그재그 육묘트레이
100 : 포트판 110 : 관수로
115 : 관수가이드막 116 : 관수이탈방지막
120 : 포트 125 : 가이드돌기
130 : 거치부 140 : 관수홀
150 : 분할판 결합부 155 : 분할판
160 : 연결부 162 : 볼록부
164 : 오목부 200 : 제 1 단차플레이트
210 : 제 2 단차플레이트 300 : 고정돌기
310 : 고정홀 400 : 삽입돌기
410 : 삽입홈

Claims (6)

  1. 포트판;
    점적 호스가 설치되도록 상기 포트판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관수로;
    상기 포트판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관수로 양측으로 일측과 타측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복수의 포트;
    적어도 2개의 거치봉에 거치되도록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적어도 4개의 포트 하부에 상기 거치봉의 외주면과 상응하는 거치홈이 형성된 거치부 및
    점적 호스를 통해 흐르는 물 또는 양액이 포트 안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관수로 양측에 형성되며, 각 포트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관수홀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포트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며, 마주보는 2개의 지지판이 대칭되어 형성되는 분할판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할판 결합부는 상기 관수홀이 양분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분할판 결합부에 분할판을 삽입하여 각 포트를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며, 상면 또는 하면이 서로 접하도록 위치가 다르게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단차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단차플레이트를 통해 적어도 2개를 교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차플레이트 중 하나는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고정홀을 형성하여 상기 교합 시 고정되며,
    일측면에 구비되는 삽입돌기 및
    타측면에 상기 삽입돌기와 상응하게 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돌기 및 삽입홈을 통해 적어도 2개의 육묘트레이를 측방향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재그 육묘트레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로 양측에서 관수로의 곡선반경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는 2개의 판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관수가이드막 및
    상기 복수의 관수로 각 길이방향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관수로 곡선과 기밀되게 설치되는 반원형의 관수이탈방지막을 더 포함하는 지그재그 육묘트레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트는,
    육묘의 뿌리 직근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재그 육묘트레이.
KR1020160174302A 2016-12-20 2016-12-20 지그재그 육묘트레이 KR101866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302A KR101866555B1 (ko) 2016-12-20 2016-12-20 지그재그 육묘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302A KR101866555B1 (ko) 2016-12-20 2016-12-20 지그재그 육묘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555B1 true KR101866555B1 (ko) 2018-07-04

Family

ID=62912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302A KR101866555B1 (ko) 2016-12-20 2016-12-20 지그재그 육묘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5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565B1 (ko) * 2020-01-29 2020-07-27 윤여신 작물 재배 또는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KR102169932B1 (ko) * 2020-05-04 2020-10-26 윤여신 작물 재배 또는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KR20200124908A (ko) * 2019-04-25 2020-11-04 라미숙 곧은 뿌리 식물 재배 시스템
KR102206187B1 (ko) * 2020-07-23 2021-01-25 박경민 육묘용 분할 트레이
WO2021153958A1 (ko) * 2020-01-29 2021-08-05 윤여신 작물 재배 또는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4793B2 (ja) * 1990-06-14 2001-01-15 ヒュンダイ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メリカ 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器
KR100995370B1 (ko) * 2010-02-02 2010-11-19 이지연 육모상자와 농산물의 재배와 수확이 가능한 운반상자
KR101591241B1 (ko) * 2015-03-16 2016-02-11 박경민 점적관수식 육묘 트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4793B2 (ja) * 1990-06-14 2001-01-15 ヒュンダイ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メリカ 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器
KR100995370B1 (ko) * 2010-02-02 2010-11-19 이지연 육모상자와 농산물의 재배와 수확이 가능한 운반상자
KR101591241B1 (ko) * 2015-03-16 2016-02-11 박경민 점적관수식 육묘 트레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908A (ko) * 2019-04-25 2020-11-04 라미숙 곧은 뿌리 식물 재배 시스템
KR102235883B1 (ko) * 2019-04-25 2021-04-05 라미숙 곧은 뿌리 식물 재배 시스템
KR102137565B1 (ko) * 2020-01-29 2020-07-27 윤여신 작물 재배 또는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WO2021153958A1 (ko) * 2020-01-29 2021-08-05 윤여신 작물 재배 또는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KR102169932B1 (ko) * 2020-05-04 2020-10-26 윤여신 작물 재배 또는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KR102206187B1 (ko) * 2020-07-23 2021-01-25 박경민 육묘용 분할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555B1 (ko) 지그재그 육묘트레이
US20210267149A1 (en) Hydroponics
US11602106B2 (en) Hydroponics
KR200472972Y1 (ko) 딸기 수경재배용 베드
KR101931862B1 (ko)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KR20170088639A (ko) 육묘 트레이
KR101402563B1 (ko) 육묘 포트용 관수장치
KR101831294B1 (ko) 딸기 육묘용 장치
KR101591241B1 (ko) 점적관수식 육묘 트레이
TWM606075U (zh) 盆栽植物栽培端盤底部灌溉系統
KR102206187B1 (ko) 육묘용 분할 트레이
KR20160109298A (ko) 딸기 모종용 포트
KR101232643B1 (ko) 수경 재배장치
TW201018390A (en) System for growing plants
CN209749393U (zh) 种植单元和种植系统
CN215074201U (zh) 一种便于浇灌的水稻育种架
KR20220126102A (ko) 점적 및 저면관수 겸용 육묘포트 및 이 육묘포트를 이용한 육묘방법
CN219628445U (zh) 一种草莓苗育苗穴盘
KR200233120Y1 (ko) 식물수경재배기
KR200483157Y1 (ko) 다단식 화분
RU269432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идропонного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KR20220101454A (ko) 개별 점적관수식 육묘 포트 세트
KR20230151404A (ko) 고설 재배 장치의 포트 트레이
KR200230312Y1 (ko) 환경친화형 분화용 포트 받침
CN112493022A (zh) 一种薄壳山核桃高效育苗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