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370B1 - 육모상자와 농산물의 재배와 수확이 가능한 운반상자 - Google Patents

육모상자와 농산물의 재배와 수확이 가능한 운반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370B1
KR100995370B1 KR1020100009656A KR20100009656A KR100995370B1 KR 100995370 B1 KR100995370 B1 KR 100995370B1 KR 1020100009656 A KR1020100009656 A KR 1020100009656A KR 20100009656 A KR20100009656 A KR 20100009656A KR 100995370 B1 KR100995370 B1 KR 100995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water supply
hairboxes
hair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제선
이지연
Original Assignee
이지연
구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연, 구제선 filed Critical 이지연
Priority to KR1020100009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서로 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육모상자에 있어서, 상기 육모상자의 네 모서리에는 'П'자형 연결체를 삽입하여 나란히 배치된 육모상자를 연결하는 연결체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상자;와, 내측에 하부와 중앙부를 향해 천공된 복수개의 급수홀이 형성된 급수관;과, 옆면이 상부로 돌출되는 구배를 형성된 하부보호상자;와, 하부 및 옆면이 개방되고 하부로 돌출되는 구배를 형성한 상부보호상자;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의 재배와 수확이 가능한 운반상자.
상기 운반상자는 돌출테두리가 요철로 결합함으로써 수직으로 적재가 가능하며,상기 하부보호상자와 상부보호상자는 옆면이 돌출된 구배를 형성하여 개별 적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의 재배와 수확이 가능한 운반상자.
하나의 육모상자를 끌어당기면 그 측면에 배치된 육모상자가 연결되어 일렬로 끌려오도록 육모상자를 연결하여 농산물의 재배와 운반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농가에서 농산물을 수확하고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유통되기까지 소모되는 인력과 에너지를 줄이고 보관이 간편해지며 농산물이 변질되지 않아 싱싱하도록 유지하여 손실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육모상자와 농산물의 재배와 수확이 가능한 운반상자{Possible seeding raising boxes for agricultural cultivation and harvesting}
본 발명은 농산물 육모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농산물의 재배와 수확이 가능한 육모상자와 운반상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농촌 인구의 고령화가 갈수록 심각해지면서 일손 부족현상이 가속화 되고 있다. 이에 적은 인력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도록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져 왔다.
일반적으로 육묘는 논이나 밭에 이식할 것을 전제로 한 작물의 어린식물인 모나 모종을 비교적 고밀도로 집약 육성시키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작물의 어린식물은 기상상태나 잡초 또는 각종 병충해와 같은 환경의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모나 모종을 논이나 밭에 직접 파종하는 대신 안전한 장소에서 일정기간 동안 육묘하여 재배하는 것이 생산적인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논이나 밭에 다른 작물이 재배되고 있을 때부터 육묘를 시작하여 그 작물의 수확 후에 육묘된 어린작물을 곧바로 이식함으로써 토지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고, 보온이나 가온방법에 의하여 일찍부터 육묘를 시작하여 논이나 밭에 생육할 수 있는 기온이 되는 즉시 이식하게 되면 조기 수확 또한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현재 대부분의 국내 농가에서는 이러한 육묘방법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이에따라 직육면체의 상자로 구성되며 규격은 대한민국 농업진흥청이 정한 가로 60cm 세로 30cm로 형성되어 왔다.
종래의 육모상자의는 한 개씩의 육모상자로 각각 분리 구성되며 가로 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높의 벽체가 구성되고 평판상의 바닥면을 구성함으로서 모수용부가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통공이 천공되어 있어서 흡배수기능과 통기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농촌의 고령화로 일손의 부족이 심각해진 최근에는,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육모상자는 운반이나 보관시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게 되고, 성장이 이루어진 작물을 유통 판매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어온 육모상자는 농경지에서 재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현대와 같은 각 가정에서는 사용할수가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채소를 재배하는 농민이 출하한 상태로 농작물을 세척하여 먹었다.
그러나 최근 소비자가 농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농산물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육모상자의 적재와 운반을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소비자가 별도의 토양을 구매하지 않고 농약에 대해 안심하고 농산물을 재배하여 소비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서로 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육모상자에 있어서, 하나의 육모상자를 끌어당기면 그 측면에 배치된 육모상자가 연결되어 일렬로 끌려오도록 육모상자를 연결하기 위하여, 육모상자의 네 모서리에는 연결체를 삽입하여 나란히 배치된 육모상자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체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체 삽입홈은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고 내측에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체는 'П'자형으로 형성되며 하부로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돌출부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육모상자의 테두리를 따라 그 상부에는 급수관이 설치되되, 상기 급수관에는 육모상자 내부를 향하여 급수되도록 복수개의 급수홀이 형성되고 급수관 하부에는 상기 급수관 삽입홈에 삽입되는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육모상자 테두리에는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어 급수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육모상자와;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 함체형상으로 모서리가 둥글고 옆면이 상부로 돌출되는 구배를 형성하고, 상부 테두리에 돌출요부가 형성되며, 상기 육모상자가 끼워져 삽입될 수 있도록 바닥면에는 장방형의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보호상자와; 상기 하부보호상자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돌출요부에 결합하며, 하부 및 옆면이 개방되고 하부로 돌출되는 구배를 형성한 장방형 함체형상으로, 상부에는 격자형상으로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보호상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반상자는 수직으로 다단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보호상자의 저면에는 하부돌출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보호상자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돌출테두리에 끼워져 결합할 수 있도록 상부돌출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보호상자 및 상부보호상자는 각각 옆면이 돌출된 구배를 형성하여 각 종류별로 적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의 재배와 수확이 가능한 운반상자.상기 하부보호상자와 상부보호상자는 옆면이 돌출된 구배를 형성하여 적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육모상자를 끌어당기면 그 측면에 배치된 육모상자가 연결되어 일렬로 끌려오도록 육모상자를 연결하여 농산물의 재배와 운반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농사를 지을수 없는 불모지에서도 재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급수관의 설치하여 농산물을 보호하고 재배에 필요한 급수를 공급함으로써 농산물의 생장을 돕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육모상자와 하부보호상자와 상부보호상자를 결합하여 운반상자를 구성함으로서, 별도의 수확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생산된 농산물의 전시와 판매가 가능해지고, 소비자에게 유통되기까지 소모되는 인력과 에너지를 줄이고 보관이 간편해지며 농산물이 변질되지 않아 싱싱하도록 유지하여 손실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시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2의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시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급수관의 개략 사시도
도 6은 도5의 저면도
도 7은 하부보호상자의 개략 사시도
도 8은 하부보호상자의 개별적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상부보호상자의 개략 사시도
도 10은 상부보호상자의 개별적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운반상자를 결합한 참고도
도 12는 도11의 적재를 나타내는 도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육모상자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접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수 중 관련된 구성요수는 동일 또는 연장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 사시도이다.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서로 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육모상자(10)에 있어서, 육모상자의 네 모서리에는 연결체(20)를 삽입하여 나란히 배치된 육모상자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체 삽입홈(11)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급수관 삽입홈(12)이 형성되고, 옆면의 외측에 상기 삽입홈(11,12)을 제외한 부분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손잡이부(13)를 형성하며, 바닥면과 옆면에 배수와 통기를 위한 천공된 복수의 바닥홀(14)을 형성하고, 길이방향 측면 외부로 래크기어(Rack Gear)(16)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체 삽입홈(11)의 내측에는 내부요철(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홈(11,12)은 육모상자(10)의 사용 환경에 의해 진흙으로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와 하부를 관통되도록 하며, 육모상자(10)가 노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저면의 모서리를 둥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시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3은 도2의 부분단면도이고, 도4는 운반시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연결체(20)는 'П'자형으로 하부로 형성된 두개의 원기둥형상의 돌출부(21)에 외부요철(22)이 형성된다.
이렇게, 연결체 삽입홈(11)에 형성된 내부요철(15)와 연결체(20)의 외부요철(22)이 소정의 이격을 두고 결합함으로써, 평행하게 적재되어 있을 경우에 육모상자의 연결과 고정을 위한 연결체(20)의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며, 운반시에 연결체(20)가 빠지는 것을 막고 차례로 이동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래크기어(Rack Gear)(16)는 길이방향의 외부 측면에 형성하여 피니언(pinion)(17)과 맞물려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구동하며 상기 육모상자(10)를 이동시킨다.
또한, 래크기어(Rack Gear)(16)의 요철로 마찰력이 증가해 기어가 형성된 피니언(pinion)(17)뿐 아니라 구동장치가 구비된 롤러에의해 상기 육모상자(10)의 이동이 가능하다.
도5는 급수관의 개략사시도이고, 도6은 도5의 저면도이다.
한편, 상기 급수관(30)은 상기 육모상자(1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그 위에 설치된다. 상기 급수관(30)에는 육모상자(10)의 내부, 즉, 육모상자(10)에 식재되어 있는 농작물에 물을 급수할 수 있도록 육모상자(10)의 내부 쪽으로 향하는 방향에 복수개의 천공된 급수홀(31)이 형성된다. 상기 급수관(30)의 모서리에는 외부로 돌출된 연결부(32)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후술하는 급수관 삽입홈(12)에 삽입되어 급수관(30)을 지지하는 지지대(3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육모상자(10)의 테두리에는 상기 지지대(33)가 삽입되어 급수관(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지지대(33)의 형상에 대응하는 위치에 급수관 삽입홈(12)이 형성된다.
상기 급수홀(31)은 육모상자(10)에 심어져 있는 농작물을 향해 물이 골고루 분사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농작물을 지향하며 비스듬히 천공되어야 농작물에 효율적인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급수하지 않을 때에는 급수관(30) 내에 잔여한 수분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33)는 급수관(30)의 하부로 돌출된 원기둥형상으로 육모상자(10)의 급수관 삽입홈(12)에 연결되며,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수관(30)은 농산물이 곧게 성장하도록 유지하며, 운반시 농산물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는 하부보호상자(40)의 개략사시도이고, 도8은 도7의 개별 적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부보호상자(40)은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 함체형상으로 모서리가 둥글고 옆면이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구배를 형성하고, 상부 테두리에 돌출요부(41)가 형성되며,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육모상자(10)가 안착되어 끼워져 삽입될 수 있도록 장방형의 함몰부(42)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 장방형의 하부돌출테두리(4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몰부(42)는 상기 육모상자(10)의 저면과 결합되어, 운반시 육모상자(10)의 진동을 방지하고 농작물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9는 상부보호상자(50)의 개략사시도이고, 도10은 도9의 개별 적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부보호상자(50)은 상기 하부보호상자(40)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돌출요부(41)에 결합되며, 하부 및 옆면이 개방되고 하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구배를 형성한 장방형 함체형상으로, 상부에는 격자형상으로 다수개의 통공(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보호상자(40)와 상부보호상자(50)은 옆면이 구배를 이루어 각각 종류별로 적재시에 포개의 효율적인 적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1은 운반상자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12는 도11의 적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반상자(100)는 육모상자(10)와, 하부보호상자(40) 및 상부보호상자(50)가 조합되어 하나의 세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운반상자(100)가 수직으로 다단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보호상자(40)의 저면에는 하부돌출테두리(41)가 형성되고, 상부보호상자(50)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돌출테두리(41)에 끼워져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돌출테두리(41)에 대응되는 상부돌출테두리(51)가 형성됨으로써, 하부보호상자(40)와 상부보호상자(50)가 요철로 결합함으로써 수직으로 다단으로 적재가 가능하도록 한다.
10: 육모상자 11: 연결체 삽입홈
12: 급수관 삽입홈 13: 손잡이부
14: 바닥홀 15: 내부요철
16: 래크기어 17: 피니언
20: 연결체 21: 돌출부
22: 외부요철 30: 급수관
31: 급수홀 32: 연결부
33: 지지대 40: 하부보호상자
41: 돌출요부 42: 함몰부
43: 하부돌출테두리 50: 상부보호상자
51: 상부돌출테두리 100: 운반상자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서로 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육모상자에 있어서,
    하나의 육모상자를 끌어당기면 그 측면에 배치된 육모상자가 연결되어 일렬로 끌려오도록 육모상자를 연결하기 위하여, 육모상자의 네 모서리에는 연결체를 삽입하여 나란히 배치된 육모상자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체 삽입홈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측면 외부로 래크기어(Rack Gear)형상의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 삽입홈은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고 내측에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체는 'П'자형으로 형성되며 하부로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돌출부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모상자의 테두리를 따라 그 상부에는 급수관이 설치되되, 상기 급수관에는 육모상자 내부를 향하여 급수되도록 복수개의 급수홀이 형성되고 급수관 하부에는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육모상자 테두리에는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어 급수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상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육모상자와,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 함체형상으로 모서리가 둥글고 옆면이 상부로 돌출되는 구배를 형성하고, 상부 테두리에 돌출요부가 형성되며, 상기 육모상자가 끼워져 삽입될 수 있도록 바닥면에는 장방형의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보호상자;와,
    상기 하부보호상자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돌출요부에 결합하며, 하부 및 옆면이 개방되고 하부로 돌출되는 구배를 형성한 장방형 함체형상으로, 상부에는 격자형상으로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보호상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의 재배와 수확이 가능한 운반상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상자가 수직으로 다단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보호상자의 저면에는 하부돌출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보호상자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돌출테두리에 끼워져 결합할 수 있도록 상부돌출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의 재배와 수확이 가능한 운반상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호상자 및 상부보호상자는 각각 옆면이 돌출된 구배를 형성하여 각 종류별로 적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의 재배와 수확이 가능한 운반상자.
KR1020100009656A 2010-02-02 2010-02-02 육모상자와 농산물의 재배와 수확이 가능한 운반상자 KR100995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656A KR100995370B1 (ko) 2010-02-02 2010-02-02 육모상자와 농산물의 재배와 수확이 가능한 운반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656A KR100995370B1 (ko) 2010-02-02 2010-02-02 육모상자와 농산물의 재배와 수확이 가능한 운반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370B1 true KR100995370B1 (ko) 2010-11-19

Family

ID=4340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656A KR100995370B1 (ko) 2010-02-02 2010-02-02 육모상자와 농산물의 재배와 수확이 가능한 운반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3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665U (ko) 2015-11-04 2017-05-12 고양시농업기술센터 선인장 수경재배 상자
KR101848710B1 (ko) * 2016-10-06 2018-04-13 김홍민 조립식 딸기육묘용 재배포트
KR101866555B1 (ko) * 2016-12-20 2018-07-04 박경민 지그재그 육묘트레이
WO2021153958A1 (ko) * 2020-01-29 2021-08-05 윤여신 작물 재배 또는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133Y1 (ko) 2002-04-08 2002-07-13 이충기 육모상자의 연결구조
KR200381382Y1 (ko) 2005-01-25 2005-04-11 서영춘 커버가 구비된 육묘운반틀
KR200447510Y1 (ko) 2007-08-20 2010-01-28 황성민 생태 옹벽축조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133Y1 (ko) 2002-04-08 2002-07-13 이충기 육모상자의 연결구조
KR200381382Y1 (ko) 2005-01-25 2005-04-11 서영춘 커버가 구비된 육묘운반틀
KR200447510Y1 (ko) 2007-08-20 2010-01-28 황성민 생태 옹벽축조블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665U (ko) 2015-11-04 2017-05-12 고양시농업기술센터 선인장 수경재배 상자
KR101848710B1 (ko) * 2016-10-06 2018-04-13 김홍민 조립식 딸기육묘용 재배포트
KR101866555B1 (ko) * 2016-12-20 2018-07-04 박경민 지그재그 육묘트레이
WO2021153958A1 (ko) * 2020-01-29 2021-08-05 윤여신 작물 재배 또는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0898A (ko) 화분식 묘목 생산용 기구
KR100995370B1 (ko) 육모상자와 농산물의 재배와 수확이 가능한 운반상자
JP2018509179A (ja) 水耕栽培器
US20210092909A1 (en) Plant care tubes and method for using plant care tubes
KR101829989B1 (ko) 잡초 성장억제용 덮개
KR102129109B1 (ko) 조립형 재배장치
KR200477741Y1 (ko) 적층식 작물재배기
CN206744131U (zh) 水耕袋
KR101685568B1 (ko) 스크린컵이 구성된 수경재배용 베드 세트
JP3577292B2 (ja) 山芋栽培器
KR101590327B1 (ko) 딸기 모종 증식방법 및 증식도구
KR101161581B1 (ko) 뱅커플랜트 재배세트 및 이를 이용한 뱅커플랜트 재배방법
KR100999284B1 (ko) 약초 재배용 상자 및 이를 이용한 약초 재배 방법
KR200359210Y1 (ko) 가정용 다단식 야채재배기
KR20210054881A (ko) 조립식 화분체
CN202722127U (zh) 多功能工厂化育苗托盘
CN110352898B (zh) 一种种养共生养殖网箱及养殖方法
JP2019170282A (ja) 自然薯栽培器及び自然薯栽培システム
KR101341841B1 (ko) 무토양 육묘포트
CN220441419U (zh) 一种用于农业种植的育苗盘
KR102193027B1 (ko) 식물 재배 장치
CN210432660U (zh) 一种种养共生养殖网箱及养殖系统
CN216701073U (zh) 一种用于桃树幼苗的培育装置
JP5431913B2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方法
CN210900528U (zh) 利于收成作物的栽种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