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741Y1 - 적층식 작물재배기 - Google Patents
적층식 작물재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7741Y1 KR200477741Y1 KR2020140001085U KR20140001085U KR200477741Y1 KR 200477741 Y1 KR200477741 Y1 KR 200477741Y1 KR 2020140001085 U KR2020140001085 U KR 2020140001085U KR 20140001085 U KR20140001085 U KR 20140001085U KR 200477741 Y1 KR200477741 Y1 KR 20047774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op
- main body
- crops
- cultivator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택이나 아파트의 베란다 또는 실내에서 각종 과채소류나 화훼류등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하 적층식 작물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는, 내부에 작물을 지탱하는 배양토가 수용되고, 둘레를 따라 상기 작물의 가지가 인출되는 가지인출공(122)이 구비된 재배기 본체(110); 상기 재배기 본체(11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 구비된 거치대연결공(124)에 연결되고, 상기 가지인출공(122)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작물의 가지가 거치되는 작물거치대(200); 및 상기 재배기 본체(110)의 밑면을 이루도록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배양토를 거친 물이 배출되는 망(網)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하로 적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는, 내부에 작물을 지탱하는 배양토가 수용되고, 둘레를 따라 상기 작물의 가지가 인출되는 가지인출공(122)이 구비된 재배기 본체(110); 상기 재배기 본체(11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 구비된 거치대연결공(124)에 연결되고, 상기 가지인출공(122)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작물의 가지가 거치되는 작물거치대(200); 및 상기 재배기 본체(110)의 밑면을 이루도록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배양토를 거친 물이 배출되는 망(網)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하로 적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작물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택이나 아파트의 베란다 또는 실내에서 각종 과채소류나 화훼류등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하 적층식 작물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재배는 토양에 심은 종자에 비료와 물을 주고, 태양광에 의해 식물 내에서 일어나는 광합성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재배 방법은 기후의 변화가 생산량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비료나 농약의 사용으로 인한 비용 문제와 환경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작물의 재배방식에는 노지에서 재배하는 방식과, 시설 내부에서 재배하는 방식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상기 시설재배 방식은 주로 비닐하우스나 유리 온실을 이용하여 작물을 시설 내부에서 재배하고 있다.
양액 재배의 경우 비닐하우스등의 보온 시설내에 암면(rock wool)이나 펄라이트(pearlite)를 이루어지는 배지시설을 구비하여 계속적인 양액 순환과정을 통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으로서 일정한 규모의 보온 시설과, 양액 순환시설을 갖춘 대규모 영농단위에서 이루어지며, 온도조건 및 양액 공급조건등이 매우 정밀하게 관리되어야 하는 까다로운 영농방법이라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이와 같은 양액 재배기법을 일반 가정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정용 수경재배 장치등이 제시됨으로써 일반 가정에서도 각종 작물을 직접 재배하여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리고 있다.
그러나 수경재배는 양액의 순환을 전제로 한 작물재배방법으로 일반가정에서는 양액의 순환을 위한 시설을 구비하는데 공간이 부족하고 시설하는데 따른 비용부담이 커지고, 양액의 조절 및 순환을 제어하는데 따른 고도의 기술을 구현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갖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는 상자 또는 화분 형태의 간편한 양액재배용기에 상기 펄라이트나 암면등을 채워 배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재배 기법 또한 작물의 성장 상태에 따른 양액의 수급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방식이 아니고 하루 또는 이틀 간격으로 양액을 부어주는 형태로 재배하고 있다.
따라서, 양액의 건조 및 과부족이 주기적으로 발생하여 작물의 성장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양호한 품질을 얻을 수 없으며, 용기의 바닥에 누적된 양액이 쉽게 부패되고, 그에 따른 병해충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택이나 아파트의 베란다 또는 실내에서 각종 과채소류나 화훼류등을 재배하는 경우 각각의 작물이 생장 과정에서 주변의 다른 작물과 간섭되어 생장이 제대로 되지 않고, 수확 또한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물의 성장 불균일이나 품질 저하가 방지되는 것이 가능한 적층식 작물재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변의 다른 작물과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수확이 용이해지는 것이 가능한 적층식 작물재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부에 작물을 지탱하는 배양토가 수용되고, 둘레를 따라 상기 작물의 가지가 인출되는 가지인출공(122)이 구비된 재배기 본체(110); 상기 재배기 본체(11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 구비된 거치대연결공(124)에 연결되고, 상기 가지인출공(122)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작물의 가지가 거치되는 작물거치대(200); 및 상기 재배기 본체(110)의 밑면을 이루도록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배양토를 거친 물이 배출되는 망(網)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하로 적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작물재배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재배기 본체(110)는, 단일 구조체이거나, 다수의 격판부재(120)가 서로 연결되어 다각 형태를 갖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가지인출공(122)을 부분적으로 가리는 형태로서 부착되어 상기 작물의 가지를 받치는 받침턱(126)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작물거치대(200)는, 상기 거치대연결공(124)에 삽입,지지되는 받침부재(210)와; 상기 받침부재(21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수평부재(220)와; 상기 수평부재(22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입설되는 수직부재(230)와; 상기 수직부재(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연결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적층식 작물재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작물이 재배기 본체 내부에서 성장하는 과정에서 양액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양액의 건조 및 과부족에 따른 작물의 성장 불균일이나 품질 저하가 방지된다.
둘째, 각각의 작물이 재배기 본체 내부에서 성장하므로 주변의 다른 작물과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함에 따라 수확이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에 있어서 재배기 본체와 망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에 있어서 격판부재 및 작물거치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에 있어서 작물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에 있어서 격판부재 상호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가 상하로 다수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에 있어서 재배기 본체와 망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에 있어서 격판부재 및 작물거치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에 있어서 작물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에 있어서 격판부재 상호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가 상하로 다수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에 있어서 재배기 본체와 망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에 있어서 격판부재 및 작물거치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에 있어서 작물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에 있어서 격판부재 상호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가 상하로 다수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100)는 크게 재배기 본체(110), 작물거치대(200), 그리고 망(網)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재배기 본체(110)는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로서 내부에는 작물을 지탱하기 위한 배양토(미도시)가 수용되고, 둘레를 따라 작물의 가지가 인출되기 위한 원형의 가지인출공(122)이 통공된다.
또한, 가지인출공(122)의 하부에는 상기 작물의 가지를 받치기 위한 받침턱(126)이 가지인출공(122)을 부분적으로 가리는 형태로서 부착된다.
상기 작물은 배양토에 가령, 대파, 풋고추, 애호박, 맞짱케일, 봄동배추, 엇갈이배추, 노랑미니배추, 양상추, 쑥갓, 시금치, 부추, 베이비당근, 상추, 방울토마토, 가지, 고추, 케일 씨앗을 파종하거나, 다년생이 아닌 묘종을 심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농작물이나 원예작물을 심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재배기 본체(110)는 6개의 격판부재(120)가 서로 연결되어 육각 형태를 이룬 것이 나타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격판부재(120)의 수에 따라 삼각, 사각, 오각, 팔각등 다각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재배기 본체(110)는 단일 구조체를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로 절곡시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격판부재(120)의 연결 방식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격판부재(120)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수갈고리(128a)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돌출 형성되고, 격판부재(120)의 타측 길이 방향을 따라 암갈고리(128b)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수갈고리(128a)는 인접한 다른 격판부재(120)의 암갈고리(128b)에 걸림결합되고, 암갈고리(128b)는 인접한 다른 격판부재(120)의 수갈고리(128a)에 걸림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지인출공(122)과 상하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격판부재(120)에 작물거치대(200)가 연결되기 위한 거치대연결공(124)이 형성된다.
한편, 각각의 작물재배기(100)는 상하로 적층이 가능하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재배기 본체(110)의 밑면 둘레를 따라 'T'자형 단면을 갖는 결합돌기(129a)가 돌출 형성되고, 재배기 본체(110)의 상면 둘레를 따라 'ㄴ'자형 단면을 갖는 결합홈(129b)이 형성되어 있어서, 각각의 결합돌기(129a)와 결합홈(129b)을 서로 연결함에 따라 작물재배기(100)는 상하로 다수개 적층이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작물재배기(100)에는 물이 배출되기 위한 망(網)부재(130)가 설치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육각 형태를 갖는 망부재(130)의 둘레가 상기 결합돌기(129a)와 결합홈(129b) 사이에 끼워져서 재배기 본체(110)의 밑면을 이루게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재배기 본체(110)의 거치대연결공(124)에 연결되어 가지인출공(122)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작물의 가지가 거치되기 위한 작물거치대(200)가 구비된다.
이때, 작물거치대(200)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H'자형 단면을 갖는 받침부재(210)가 거치대연결공(124)에 삽입, 지지되고, 수평부재(220)가 받침부재(210)의 외측면에 고정 부착되며, 수직부재(230)가 수평부재(22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입설된다.
또한, 수직부재(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연결부재(240)가 별도로 고정 부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주택이나 아파트의 베란다 또는 실내에서 물의 수납이 가능한 받침대(미도시)상에 본 고안에 따른 재배기 본체(110)를 가로로 각각 또는 세로로 2단 이상 적층하여 거치시키고, 망부재(130)상에 배양토를 넣은 후, 이 배양토에 전술한 각종 작물 씨앗을 파종하거나, 다년생이 아닌 묘종 또는 농작물, 원예작물을 심는다.
재배기 본체(110)를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 적층하는 경우(도 6 참조), 망부재(130)는 최상단 및 최하단에 설치하고, 중간 부분은 설치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재배기 본체(110)에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작물의 재배가 적당하며, 도 6에 도시된 재배기 본체(110)에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작물의 재배가 적당하다.
이후, 주기적으로 물뿌리개를 이용하여 재배기 본체(110) 내부에 물을 넣어주면서 작물을 재배한다.
작물의 성장에 따라 작물의 가지 일부는 가지인출공(122)을 통해 인출되어 받침턱(126)을 통해 받쳐짐과 아울러 작물거치대(200)의 수평부재(220), 수직부재(230), 그리고 연결부재(240)등에 의해 지지되면서 재배기 본체(110)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점차 성장한다.
상기와 같이 작물이 재배기 본체(110) 내부에서 성장하는 과정에서 양액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양액의 건조 및 과부족에 따른 작물의 성장 불균일이나 품질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각각의 작물이 재배기 본체(110) 내부에서 성장하므로 주변의 다른 작물과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함에 따라 수확이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작물재배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작물재배기 110 : 재배기 본체
120 : 격판부재 122 : 가지인출공
124 : 거치대연결공 126 : 받침턱
130 : 망부재 200 : 작물거치대
210 : 받침부재 220 : 수평부재
230 : 수직부재 240 : 연결부재
120 : 격판부재 122 : 가지인출공
124 : 거치대연결공 126 : 받침턱
130 : 망부재 200 : 작물거치대
210 : 받침부재 220 : 수평부재
230 : 수직부재 240 : 연결부재
Claims (5)
- 내부에 작물을 지탱하는 배양토가 수용되고, 둘레를 따라 상기 작물의 가지가 인출되는 가지인출공(122)이 구비된 재배기 본체(110);
상기 재배기 본체(11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 구비된 거치대연결공(124)에 연결되고, 상기 가지인출공(122)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작물의 가지가 거치되는 작물거치대(200); 및
상기 재배기 본체(110)의 밑면을 이루도록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배양토를 거친 물이 배출되는 망(網)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하로 적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작물재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기 본체(110)는,
단일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작물재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기 본체(110)는,
다수의 격판부재(120)가 서로 연결되어 다각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작물재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인출공(122)을 부분적으로 가리는 형태로서 부착되어 상기 작물의 가지를 받치는 받침턱(12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작물재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거치대(200)는,
상기 거치대연결공(124)에 삽입,지지되는 받침부재(210)와;
상기 받침부재(21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수평부재(220)와;
상기 수평부재(22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입설되는 수직부재(230)와;
상기 수직부재(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연결부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작물재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1085U KR200477741Y1 (ko) | 2014-02-14 | 2014-02-14 | 적층식 작물재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1085U KR200477741Y1 (ko) | 2014-02-14 | 2014-02-14 | 적층식 작물재배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7741Y1 true KR200477741Y1 (ko) | 2015-07-15 |
Family
ID=5379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1085U KR200477741Y1 (ko) | 2014-02-14 | 2014-02-14 | 적층식 작물재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7741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13849A (zh) * | 2018-03-13 | 2018-09-11 | 上海市园林科学规划研究院 | 一种种植乔木用多穴分层消纳固体废弃物的方法 |
CN111837945A (zh) * | 2019-04-28 | 2020-10-30 | 南宁学院 | 一种便于取放的绿萝植物组织培养架 |
CN115443830A (zh) * | 2022-09-28 | 2022-12-09 | 四川省交通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绿化构件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7453Y1 (ko) * | 1991-04-19 | 1993-10-30 | 변복구 | 적층식 화분 |
KR20030032267A (ko) * | 2001-10-17 | 2003-04-26 | 이재학 | 베란다용 입체조립식 채소재배장치 |
KR200341040Y1 (ko) * | 2003-11-21 | 2004-02-11 | 임선호 | 적층식 양액재배포트 |
-
2014
- 2014-02-14 KR KR2020140001085U patent/KR200477741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7453Y1 (ko) * | 1991-04-19 | 1993-10-30 | 변복구 | 적층식 화분 |
KR20030032267A (ko) * | 2001-10-17 | 2003-04-26 | 이재학 | 베란다용 입체조립식 채소재배장치 |
KR200341040Y1 (ko) * | 2003-11-21 | 2004-02-11 | 임선호 | 적층식 양액재배포트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13849A (zh) * | 2018-03-13 | 2018-09-11 | 上海市园林科学规划研究院 | 一种种植乔木用多穴分层消纳固体废弃物的方法 |
CN111837945A (zh) * | 2019-04-28 | 2020-10-30 | 南宁学院 | 一种便于取放的绿萝植物组织培养架 |
CN115443830A (zh) * | 2022-09-28 | 2022-12-09 | 四川省交通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绿化构件 |
CN115443830B (zh) * | 2022-09-28 | 2024-02-13 | 四川省交通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绿化构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20735B1 (en) | Vertical hydroponic tower array fixture system | |
KR101470596B1 (ko) |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 | |
US20190059240A1 (en) | Modular plant growth tray and support fencing assembly and method for supporting plant extremities during growth | |
KR101262677B1 (ko) | 식물재배장치 | |
KR200477741Y1 (ko) | 적층식 작물재배기 | |
JP2018509179A (ja) | 水耕栽培器 | |
KR102129109B1 (ko) | 조립형 재배장치 | |
KR100995370B1 (ko) | 육모상자와 농산물의 재배와 수확이 가능한 운반상자 | |
CN205266552U (zh) | 一种双向立体水培种植装置 | |
KR20140004927U (ko) | 식물 재배용기 | |
KR20130007216U (ko) | 엽채류 수경재배시 스폰지배지 육묘의 정식용 포트 | |
KR200470118Y1 (ko) | 실내 텃밭용 재배용기 | |
JP2008011729A (ja) | 栽培トレーを用いた野菜栽培方法及び装置 | |
KR101387117B1 (ko) | 식물 재배기 | |
TWM479011U (zh) | 具多孔式栽培杯的穴盤 | |
KR102169932B1 (ko) | 작물 재배 또는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 |
KR101682763B1 (ko) | 메인화분과 수조화분을 갖는 비료팩 교체용 식물재배관리기 | |
CN217117044U (zh) | 一种高丹草的育苗装置 | |
CN107624430A (zh) | 一种新型穴盘 | |
KR102193027B1 (ko) | 식물 재배 장치 | |
KR20170027033A (ko) | 버섯 재배기 | |
JP5642754B2 (ja) | 栽培容器 | |
US20230076108A1 (en) | Commercial Aeroponic Food Production Technologies | |
JP3781275B2 (ja) | 連結プラグを用いる葉菜類の軽石栽培方法 | |
KR101555671B1 (ko) | 식물 재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