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120Y1 - 식물수경재배기 - Google Patents

식물수경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120Y1
KR200233120Y1 KR2019980012767U KR19980012767U KR200233120Y1 KR 200233120 Y1 KR200233120 Y1 KR 200233120Y1 KR 2019980012767 U KR2019980012767 U KR 2019980012767U KR 19980012767 U KR19980012767 U KR 19980012767U KR 200233120 Y1 KR200233120 Y1 KR 2002331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cultivation
water
cultivation body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7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820U (ko
Inventor
영 근 연
Original Assignee
영 근 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근 연 filed Critical 영 근 연
Priority to KR20199800127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12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8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8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120Y1/ko

Links

Landscapes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양분을 용해한 물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 식물수경(水耕)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물수경재배기는 길다란 하나의 재배몸통으로 형성되었으므로 필요에 따라 길이를 길고 짧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없게되어 식물재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스폰지를 끼워 식물을 심게 된 식물재배구(3)의 구멍(301)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은 상형하광상으로 되었으므로 스폰지(12) 및 식물(10)이 화상표방향인 하방으로 미끄러져 이동하게 됨으로 식물의 자세가 안정되지못하게됨과 아울러 또한 재배몸통의 내면은 매끈한 면으로 되었으므로 물은 넓게 퍼져 흘러내리지못하고 직선으로 신속히 흘러내리게 됨으로 식물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못하게 됨으로 인하여 식물의 성장이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길다란 재배몸통(1)을 일정한 길이의 재배몸통(1-1,1-2,1-3...)으로 분할하여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식물재배구(3)의 구멍(301)은 위는 넓고 아래는 좁은 상광하협상으로 형성하여 스폰지(12) 및 식물(10)이 아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식물(10)의 성장자세를 안정된 자세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재배몸통(1-1,1-2,1-3...)의 내벽면에는 다이야몬드형돌기(2)를 형성하여 상기의 다이야몬드형돌기에 의하여 안내로(201)를 형성하여 물이 안내로(201)를 따라 벽면에 넓게 퍼져 흘러내리도록하여 식물의 뿌리에 성장에 필요한 물을 충분히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수경재배기
본 고안은 각종 양분을 용해한 물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 식물수경(水耕)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물수경재배기는 길다란 하나의 재배몸통으로 형성되었으므로 필요에 따라 길이를 길고 짧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없게되어 식물재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스폰지를 끼워 식물을 심게 된 식물재배구(3)의 구멍(301)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은 상형하광상으로 되었으므로 스폰지(12) 및 식물(10)이 화상표방향인 하방으로 미끄러져 이동하게 됨으로 식물의 자세가 안정되지못하게됨과 아울러 또한 재배몸통의 내면은 매끈한 면으로 되었으므로 물은 넓게 퍼져 흘러내리지못하고 직선으로 신속히 흘러내리게 됨으로 식물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못하게 됨으로 인하여 식물의 성장이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길다란 재배몸통(1)을 일정한 길이의 재배몸통(1-1,1-2,1-3...)으로 분할하여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식물재배구(3)의 구멍(301)은 위는 넓고 아래는 좁은 상광하협상으로 형성하여 스폰지(12) 및 식물(10)이 아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식물(10)의 성장자세를 안정된 자세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재배몸통(1-1,1-2,1-3...)의 내벽면에는 다이야몬드형돌기(2)를 형성하여 상기의 다이야몬드형돌기에 의하여 안내로(201)를 형성하여 물이 안내로(201)를 따라 벽면에 넓게 퍼져 흘러내리도록하여 식물의 뿌리에 성장에 필요한 물을 충분히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부를 생략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5는 종래 제품의 일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배몸통
1-1,1-2,1-3 : 재배몸통
2 : 다이야몬드형돌기
201 : 안내로
3 : 식물재배구
301 : 구멍
4 : 상부카버
5 : 주입관
6 : 하부카버
7 : 배출관
8 : 지지파이프
9 : 나사못
10 : 식물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로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301)을 뚫은 여러개의 식물재배구(3)를 형성한 재배몸통(1)의 상,하에는 주입관(5)을 고정한 상부카버(4)와 배출관(7)을 고정한 하부카버(6)를 고정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재배몸통(1)을 일정한 길이의 재배몸통(1-1,1-2,1-3...)으로 분할하여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식물재배구(3)의 구멍(301)은 위는 넓고 아래는 좁은 상광하협상으로 형성하여 식물(10)의 아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하며 재배몸통(1-1,1-2, 1-3...)의 내벽면에는 다이야몬드형돌기(2)에 의한 안내로(201)를 형성하여 물이 안내로(201)를 따라 넓게 퍼져 흘러내리도록하고,
주입관(5)은 걸고리형으로 형성하여 천정의 지지파이프(8) 등에 걸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식물재배구(3)는 도4와 같이 재배몸통(1)과 분리제조하여 나사못(9)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1은 망판이고
11'는 망판(10)의 구멍이며
12는 스폰지이고
13은 호스이다.
이와 같이 된 본고안은 각 재배몸통(1-1,1-2,1-3...)을 나사결합한 상하단부에 상부카버(4) 및 하부카버(6)를 결합하고, 각 식물재배구(3)의 구멍(301)은 식물(10)을 심은 스폰지(12)를 끼워 고정하여 걸고리형으로 형성한 주입관(5)을 건물내의 지지파이프(8) 등에 걸어 종으로 설치하고 주입관(5)으로 각종 영양분을 용해한 물을 주입 순환시켜 꽃이나 채소등의 각종 식물(10)을 재배하게 되는 바,
상기에 있어서 상부카버(4)의 주입관(5)으로 유입되어 망판(11)의 구멍(11')으로 유출되는 물을 다이야몬드형돌기(2)의 사이에 형성된 안내로(201)를 따라 도3과 같이 지그재그로 벽면에 넓게 퍼져 아래로 흐르게됨으로 식물(10)의 뿌리에 성장에 필요한 물을 골고루 충분히 공급시키게됨과 아울러 식물재배구(3)의 구멍(301)은 도3과 같이 위는 넓고 아래는 좁은 상광하협상으로 형성되었으므로 구멍(301)에 끼워진 스폰지(12)가 아래로 흘러내림이 방지케되어 항상 식물(10)의 성장제사가 바르게 유지케됨으로 식물(10)의 성장이 불량하게 될 염려가 없다.
그리고 재배몸통(1-1,1-2,1-3...)은 분리결합식으로 되었으므로 필요에 따라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주입관(5)은 걸고리형으로 형성하여 지지파이프(8)에 걸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종래에 주입관(5)외에 별도로 걸고리를 형성하게 됨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다.
식물재배구(3)를 나사못(9)으로 고정시키게 된 다른 실시예의 구조로서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고안은 주입관(5)으로 유입되는 물을 다이야몬드형돌기(2)의 사이의 안내로(201)를 따라 넓게 퍼져 흐르게됨으로 식물(10)의 성장에 필요한 충분한 물을 공급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식물재배구(3)의 구멍(301)은 아래부분이 좁게 형성되어 스폰지(12)가 아래는 흘러내리게 되는 일이 없게 되므로 식물(10)의 성장자세를 항상 양호한 자세로 유지시킬 수 있고,
재배몸통(1-1,1-2,1-3...)은 분리결합식으로 되었으므로 재배에 따라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구멍(301)을 뚫은 여러개의 식물재배구(3)를 형성한 재배몸통(1)의 상,하에는 주입관(5)을 고정한 상부카버(4)와 배출관(7)을 고정한 하부카버(6)를 고정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재배몸통(1)을 일정한 길이의 재배몸통(1-1,1-2,1-3...)으로 분할하여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식물재배구(3)의 구멍(301)은 위는 넓고 아래는 좁은 상광하협상으로 형성하고 제배몸통(1-1,1-2,1-3...)의 내벽면에는 다이야몬드형돌기(2)를 형성하여 상기의 다이야몬드형돌기(2)의 사이에 안내로(201)를 형성하여서 된 식물수경재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주입관(5)을""형의 걸고리형으로 형성하여서 된 식물수경재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식물재배구(3)를 별도로 제조하여 나사못(9)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식물수경재배기.
KR2019980012767U 1998-07-02 1998-07-02 식물수경재배기 KR2002331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767U KR200233120Y1 (ko) 1998-07-02 1998-07-02 식물수경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767U KR200233120Y1 (ko) 1998-07-02 1998-07-02 식물수경재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820U KR20000002820U (ko) 2000-02-07
KR200233120Y1 true KR200233120Y1 (ko) 2001-09-29

Family

ID=6951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767U KR200233120Y1 (ko) 1998-07-02 1998-07-02 식물수경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1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4600A2 (en) * 2008-07-29 2010-02-04 Conley Rose, P.C. Plant growing assembly
KR20220145571A (ko)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알앤더블유 쇼케이스형 타워조립식 수경재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748A (ko) 2021-10-25 2023-05-03 김창환 광고기능을 갖는 식물 수경재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4600A2 (en) * 2008-07-29 2010-02-04 Conley Rose, P.C. Plant growing assembly
WO2010014600A3 (en) * 2008-07-29 2010-06-17 Conley Rose, P.C. Plant growing assembly
US8234814B2 (en) 2008-07-29 2012-08-07 Malcolm Glen Kertz Plant growing assembly
KR20220145571A (ko)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알앤더블유 쇼케이스형 타워조립식 수경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820U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6375A (en) Modular planter system
US20090000189A1 (en) Modular planter system
US20110067301A1 (en) Vertical Hydroponics System
US20010047617A1 (en) Portable hydroponic garden apparatus
EP3261431B1 (en) Soilless plant cultivating container
KR101402563B1 (ko) 육묘 포트용 관수장치
KR200452591Y1 (ko) 점적관수식 육묘 포트
KR101926988B1 (ko)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KR200233120Y1 (ko) 식물수경재배기
JP2007236294A (ja) 隔離床栽培用プランター
US20200305368A1 (en) Hydroponic Growing System
JPH0532A (ja) 水耕栽培装置
US10433498B1 (en) System for improving plant yield
KR102373636B1 (ko) 심지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KR100434015B1 (ko) 가정용 배지경 재배기
CA2284389C (en) Modular planter system
KR20140002095U (ko) 수경재배를 위한 장치
CN215223659U (zh) 一种方便调节滴灌间距的滴灌管
KR100533170B1 (ko) 계단식 수경재배장치
JP2002153134A (ja) 高設栽培容器
CN209563232U (zh) 一种园林绿化砖
KR20190076385A (ko)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식물재배화분
JPH02261328A (ja) 水耕栽培装置
CN208300485U (zh) 一种适用性强的温室花卉滴灌装置
KR102414636B1 (ko) 식물재배가 용이한 주머니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