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550B1 - 재배 상자 - Google Patents

재배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550B1
KR101812550B1 KR1020150122536A KR20150122536A KR101812550B1 KR 101812550 B1 KR101812550 B1 KR 101812550B1 KR 1020150122536 A KR1020150122536 A KR 1020150122536A KR 20150122536 A KR20150122536 A KR 20150122536A KR 101812550 B1 KR101812550 B1 KR 101812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drain hole
sidewalls
side wal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707A (ko
Inventor
박경민
Original Assignee
박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민 filed Critical 박경민
Priority to KR1020150122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5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Abstract

본 발명은 재배상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재배상자는 제1 내지 제4 측벽과 제1 내지 제4 측벽들과 연결되는 하판으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된 본체,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거치봉에 거치되도록 형성되는 거치부, 하판에 형성되어 내부의 수분을 외측으로 배출하도록 제1 내지 제4 측벽측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수홀, 하판 외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하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부 및 지주가 설치되도록 거치부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주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배 상자{CULTIVATION BOX}
본 발명은 재배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수가 용이하고, 작물의 뿌리 발달을 촉진하며, 4계절 사용할 수 있는 재배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은 밭이나 논 등에 식재하여 재배하고 있으나, 노재재배의 경우 겨울철에는 재배의 어려움이 있다.
기술의 발달로 최근에는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계절에 관계없이 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비닐하우스를 통한 하우스 재배는 재배 면적에 따라 비용이 높아지므로 효율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비닐하우스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자형 식물재배블록 등이 개발되어 왔으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상자형 식물재배블록은 뿌리의 생장을 방해하여 성장촉진에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배수가 용이하게 되지 않을 경우 뿌리가 썩는 문제가 발생되며, 겨울철 혹한 재배상자 내의 토양이 얼어 냉해 피해가 발생되기도 한다.
또한, 종래 상자형 식물재배블록은 작물의 줄기 또는 열매가 상자 밖으로 생장하여 줄기의 꺽임에 따른 고사 등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열매의 낙과로 인한 손실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수가 용이하고, 작물의 뿌리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4계절 사용할 수 있는 재배상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4 측벽과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과 연결되는 하판으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된 본체;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거치봉에 거치되도록 형성되는 거치부; 상기 하판에 형성되어 내부의 수분을 외측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측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수홀; 상기 하판 외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부; 및 지주가 설치되도록 상기 거치부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주고정부;를 포함하는 재배상자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재배상자는 상기 측벽에 내측으로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에서 하판측으로 관통되어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배상자는 상기 하판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배수홀과 상기 측벽 사이에 형성되어 내부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수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배상자는 상기 제3 및 제4 측벽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형성되며, 내부로 삽입되는 지온관 또는 내부 소독을 위하여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삽입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배상자는 상기 하판에 상기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배수홀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지온관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판은 중앙에서 상기 제1 배수홀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배상자는 상기 거치부에 부착되어 식물의 줄기 또는 열매를 받치는 열매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배상자는 복수의 본체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3 측벽의 상부면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연결홈; 및 상기 제4 측벽의 상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홈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연결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배상자는 제1 및 제2 배수홀이 형성되고 하판 중앙이 융기되어 배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재배상자는 측벽에 공기공급부가 형성되어 작물의 뿌리 발달을 촉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배상자는 겨울철에 작물 성장을 용이하게 하도록 지온관이 삽입되는 관삽입홀이 형성되며, 관삽입홀을 통해 약제 또는 영양제 등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배상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배상자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재배상자를 절단하여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재배상자를 도시한 상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재배상자에 탈착되는 열매받침부를 도시한 사시도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배상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배상자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재배상자를 절단하여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재배상자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배상자는 본체(50), 거치부(110), 제1 배수홀(140), 제2 배수홀(150), 지지부(160), 지주고정부(120), 공기공급부(130) 및 관삽입홀(17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50)는 식물 또는 작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사각의 용기형태로 형성된다. 본체(50)는 제1 내지 제4 측벽(51 내지 54)과 하판(60)을 구비한다. 이때, 본체(50)의 상부는 개방되어 흙이 본체(50) 내부에 수용되도록 한다. 본체(50)는 상기 4개의 측벽(51 내지 54)과 하판(60)이 연결된다.
하판(60)은 중앙에서 제1 및 제2 측벽(51, 52)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하판(60)의 중앙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본체(50)의 내부에 공급된 물이 경사면을 따라 제1 및 제2 측벽(51, 52)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제1 및 제2 측벽(51, 52)은 제3 및 제4 측벽(53, 54)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재배상자가 직사각형 박스 형태를 형성하도록 한다.
지지부(160)는 하판(60)의 외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6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사각모양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160)는 하판(60)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본체(50)의 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며, 통기가 잘 되도록 할 수 있다.
거치부(110)는 제1 및 제2 측벽(51, 52)에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110)는 제1 및 제2 측벽(51, 52)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110)는 제1 및 제2 측벽(51, 52)의 상단에서 본체(5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거치봉(미도시)에 의해 거치되도록 하부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10)는 그 하부면이 거치봉(미도시)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이 외측으로 진행할수록 라운드 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거치부(110)는 지주(10)가 삽입되도록 지주고정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주고정부(120)는 거치부(110)의 상부면에 지주(10)에 상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때, 지주고정부(120)는 거치부(110)에 소정의 깊이로 홈이 형성되거나, 거치부(110)를 종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수홀(140)은 하판(60)에 형성되며, 본체(50) 내부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 배수홀(14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6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수홀(140)은 하판(6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이 이격 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수홀(150)은 하판(60)에 형성되며, 본체(50) 내부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2 배수홀(15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6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수홀(150)은 하판(6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이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배수홀(150)은 제1 배수홀(140)과 측벽 사이에 형성된다.
제2 배수홀(150)은 지지부(160)에도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60)의 내측에 제2 배수홀(150)이 형성되어 지지부(160)측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공기공급부(130)은 공기가 본체(50)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제1 및 제2 측벽(51, 52)에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측벽(51, 52)에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내지 제4 측벽(51 내지 54)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공기공급부(130)은 제1 및 제2 측벽(51, 52)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반원기둥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판(60)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공기공급부(130)은 제1 및 제2 측벽(51, 52)의 약 2/3 내지 3/4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본체(50) 내측에 흙이 수용되었을 때, 안쪽까지 공기를 공급하여 작물의 뿌리 발달을 촉진시키도록 할 수 있다.
관삽입홀(170)은 제3 및 제4 측벽(53, 54)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관삽입홀(170)은 내부로 삽입되어 겨울철 흙의 온도를 높이도록 설치되는 지온관(180)이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필요 시 지온관(180)을 대신 약품투입관(미도시, 내부에 약품을 투입하도록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됨)이 관삽입홀(170)을 통해 삽입되도록 하여 소독제 또는 영양제 등의 약품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관삽입홀(170)은 제3 및 제4 측벽(53, 54) 각각에 2개씩 형성되며, 제3 측벽(53)에 형성된 관삽입홀과 제4 측벽(54)에 형성된 관삽입홀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지온관(180)이 제3 측벽(53)에 형성된 관삽입홀과 제4 측벽(54)에 형성된 관삽입홀 사이에 위치하며, 양 측벽에 형성된 관삽입홀에 거치될 수 있다.
한편, 지온관(180)이 하판(60)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지온관(180)을 지지하기 위하여, 하판(60)에서 본체(50)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돌기(14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145)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수홀(140)의 주변에 형성된다. 특히, 지지돌기(145)는 제1 배수홀(14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원형태로 돌출된다. 따라서, 제1 배수홀(140)은 관삽입홀(170)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재배상자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3 측벽(53)에 형성된 연결홈(200)과 제4 측벽(54)에 형성된 연결돌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홈(200)은 제3 측벽(53)의 상부면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연결홈(200)은 연결돌기(210)가 상부에 끼워지도록 상부면이 사각형태로 절개된다.
연결돌기(210)는 제4 측벽(54)의 상부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연결돌기(210)는 연결될 재배상자의 연결홈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재배상자의 연결시 연결돌기가 인접한 재배상자의 연결홈에 끼워져 두 재배상자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배상자는 식물의 줄기 또는 열매를 받치도록 탈착되는 열매받침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매받침부(1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10)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열매받침부(190)는 식물의 줄기가 꺽여 고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열매가 재배상자 밖으로 낙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면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열매받침부(190)는 지주(10)가 삽입되도록 지주삽입홀(195)이 형성되며, 지주삽입홀(195)은 지주고정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매받침부(190)는 도 6과 같이 복수개가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별적으로 형성된 열매받침부(190)는 지주고정부(120)를 회피하여 탈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6에 도시된 열매받침부(190)보다 폭이 작게 형성되고, 각 열매받침부 사이는 그물 또는 망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4 측벽(51 내지 54)에 보온을 위한 보온재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보온재는 접착제로 부착되거나, 보온재(미도시)의 부착을 위해 'ㄱ'자 형태의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재배상자는 제1 및 제2 배수홀이 형성되고 하판 중앙이 융기되어 배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재배상자는 측벽에 공기공급부가 형성되어 작물의 뿌리 발달을 촉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배상자는 겨울철에 작물 성장을 용이하게 하도록 지온관이 삽입되는 관삽입홀이 형성되며, 관삽입홀을 통해 약제 또는 영양제 등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지주
50: 본체
51 내지 54: 제1 내지 제4 측벽
60: 하판
100: 재배상자
110: 거치부
120: 지주고정부
130: 공기공급부
140: 제1 배수홀
145: 지지돌기
150, 155: 제2 배수홀
160: 지지부
170: 관삽입홀
180: 지온관
190: 열매받침부
195: 지주삽입홀
200: 연결홈
210: 연결돌기

Claims (8)

  1. 제1 내지 제4 측벽과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과 연결되는 하판으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된 본체;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거치봉에 거치되도록 형성되는 거치부;
    상기 하판에 형성되어 내부의 수분을 외측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측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수홀;
    상기 하판 외면에서 돌기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부; 및
    지주가 설치되도록 상기 거치부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주고정부;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에 내측으로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에서 하판측으로 관통되어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에 부착되어 식물의 줄기 또는 열매를 받치는 열매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재배상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배수홀과 상기 측벽 사이에 형성되어 내부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수홀을 더 포함하는 재배상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측벽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형성되며, 내부로 삽입되는 지온관 또는 내부 소독을 위하여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삽입홀을 더 포함하는 재배상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에 상기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배수홀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지온관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재배상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중앙에서 상기 제1 배수홀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상자.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본체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3 측벽의 상부면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연결홈; 및
    상기 제4 측벽의 상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홈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하는 재배상자.
KR1020150122536A 2015-08-31 2015-08-31 재배 상자 KR101812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536A KR101812550B1 (ko) 2015-08-31 2015-08-31 재배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536A KR101812550B1 (ko) 2015-08-31 2015-08-31 재배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707A KR20170025707A (ko) 2017-03-08
KR101812550B1 true KR101812550B1 (ko) 2017-12-27

Family

ID=58404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536A KR101812550B1 (ko) 2015-08-31 2015-08-31 재배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5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713B1 (ko) * 2022-05-17 2023-01-18 파코바이오앤그린 주식회사 이끼 블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537Y1 (ko) * 2003-05-03 2003-08-25 주식회사 무진산업 양액재배용 육모상자
JP4087015B2 (ja) * 1999-07-05 2008-05-14 堅太郎 森 栽培容器及び栽培棚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7015B2 (ja) * 1999-07-05 2008-05-14 堅太郎 森 栽培容器及び栽培棚
KR200324537Y1 (ko) * 2003-05-03 2003-08-25 주식회사 무진산업 양액재배용 육모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707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1362B2 (ja) 作物の空中採苗用育苗装置
EP2595470B1 (en)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US20050274073A1 (en) Hydroponics plant cultivation assembly for diverse sizes of pots and plants
KR101637227B1 (ko) 딸기재배용 사각포트를 이용한 딸기 재배 시설 및 재배 방법
KR101262677B1 (ko) 식물재배장치
KR101812550B1 (ko) 재배 상자
EP3000314B1 (en) Body for cultivation of a plant
KR20140105355A (ko) 양액 재배용 베드
KR20090052584A (ko) 동식물사육기능이 구비된 케이스장치
KR101248356B1 (ko) 조립식 양액베드
KR20160094756A (ko) 육묘 생산용 키트
KR102144743B1 (ko) 다단 수경재배용 재배조
KR20140004927U (ko) 식물 재배용기
KR101507309B1 (ko) 식물의 육묘 재배장치
JP3071168B2 (ja) 高設栽培装置
KR101698112B1 (ko) 격자형 셀이 형성된 육묘 상자 및 블록매트형 상토를 포함하는 육묘 장치
JP2017209106A (ja) 自然薯栽培器及び自然薯栽培システム
JP7111285B2 (ja) 自然薯栽培器及び自然薯栽培システム
KR20160109298A (ko) 딸기 모종용 포트
KR20170068242A (ko)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
KR20160066576A (ko) 비닐하우스용 묘목 화분
KR20130001190U (ko) 식물 재배용기
KR200461035Y1 (ko) 다용도 재배기
JP6094264B2 (ja) 植物栽培用容器及び植物の栽培方法
KR102214012B1 (ko) 무순 재배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