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636B1 - 딸기 재배용 멀티 컵 베드 - Google Patents

딸기 재배용 멀티 컵 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636B1
KR102332636B1 KR1020210082074A KR20210082074A KR102332636B1 KR 102332636 B1 KR102332636 B1 KR 102332636B1 KR 1020210082074 A KR1020210082074 A KR 1020210082074A KR 20210082074 A KR20210082074 A KR 20210082074A KR 102332636 B1 KR102332636 B1 KR 102332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s
nutrient solution
port
rows
d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미희
Original Assignee
나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미희 filed Critical 나미희
Priority to KR1020210082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636B1/ko
Priority to JP2021203209A priority patent/JP7062127B1/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포트가 일체로 형성되되 각각의 포트는 상토와 양액이 상호 연결 및 이동이 되지 않도록 형성하여 병해의 확산을 최소화하고 양액의 낭비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복수의 포트(P1~P6)가 2열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제1열과 제2열의 포트(P1~P6)는 각각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상면(10)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2열 포트(P1,P2,P3와 P4,P5,P6) 사이의 종방향 상면(110) 중간에는 각 포트로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2줄의 점적호스(H1,H2)가 설치되도록 점적호스 거치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열과 제2열의 좌우로 인접한 포트(P1과 P2, P2와 P3, P4와 P5, P5와 P6) 사이의 횡방향 상면(120)은 좌우 측의 포트 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딸기 재배용 멀티 컵 베드{MULTI CUP BED FOR PLANTING STRAWBERRY}
본 발명은 딸기 재배를 위한 멀티 컵 베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복수의 포트가 일체로 형성되되 각각의 포트는 상토와 양액이 상호 연결 및 이동이 되지 않도록 형성하여 병해의 확산을 최소화하고 양액의 낭비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딸기는 출하시기를 3~4월로 앞당기기 위해 노지재배 대신 시설 하우스 내에서 양액을 공급하여 재배하는 양액 재배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비교적 무른 채소인 딸기는 육묘기에서부터 수확기에 이르기까지 탄저병, 시들음병, 역병,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 점박이응애, 작은뿌리파리, 총채벌레 등과 같은 주요 병해충 및 생리장애에 노출되기 쉬운 특성이 있는데, 시설 하우스 내에서의 딸기 양액 재배에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문헌 1 내지 5 등이 제시되어 있다.
한편, 시설하우스 내에서 겨울철의 딸기재배는 저온기에 이루어지므로 지상부나 지하부의 온도가 작물의 생육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이다. 특히, 근권 온도는 뿌리의 생리작용에 관여하여 작물의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뿌리는 근권의 온도에 따라 활력이 달라지며 그에 따라 양분의 흡수도 달라진다. 높은 근권온도는 뿌리의 신장은 촉진하지만 뿌리의 갈변과 신장의 정지를 촉진하고, 뿌리의 호흡속도가 높아져 광합성 속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최근 딸기의 양액재배에서도 근권 온도가 중요하여 지하수를 펌핑하거나 별도의 온수보일러를 사용하여 재배상자나 베드의 하부 측에 가온 시설을 해줄 필요가 있다.
상술한 특허문헌 1 내지 5중에서 본 발명과 밀접한 종래기술로는 본 출원인의 특허문헌 1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병충해의 확산을 최소화하면서도 양액을 효과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식물이 식재될 공간을 제공하는 다수의 포트가 편평한 상면의 전,후 2열로 교대로 배치되고, 전,후 2열 사이에 점적호스 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멀티 컵 베드는 각각의 포트에 상토(배지)를 상단 높이까지 채운 상태에서 점적호스 홈에 점적호스를 끼워서 양액을 공급하게 되는바, 전후 및 좌우로 인접한 포트 사이에 상토의 상단부가 어느 정도는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이루게 됨은 물론, 상토에 양액이 공급되어 축축한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포트 사이에 양액 상호 간이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어느 하나의 포트에서 병해충이 발생하게 될 경우 인접하는 포트 사이를 연결하는 상토나 양액을 통해서 급격하게 인접한 다른 포트로 병해충이 확산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또, 특허문헌 1의 멀티 컵 베드는 베드의 상면이 평면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점적호스에서 나온 양액이 각 포트 사이의 상면으로 흘러나오게 되면 그 자리에서 정체되거나 상면을 타고 바깥으로 흘러나가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므로 상면에 정체된 양액으로 인한 전염병의 확산은 물론 양액의 유실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었으며, 상면이 평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딸기 줄기가 컵 베드의 외곽으로 뻗어 내리면서 딸기 열매가 맺히게 될때 줄기가 직각으로 꺾이게 되어 양분이 열매로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거나 제대로 크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특허문헌 1을 비롯한 종래의 멀티 컵 베드에 있어서는 상술한 근권난방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어 있어서 온수호스의 열을 효과적으로 각각의 포트 내부로 전달하는데 불리한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99854호(2017.01.19.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402563호(2014.05.26.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637227호(2016.07.01.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13708호(2020.10.07.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2206187호(2021.01.18. 등록)
본 발명은 특허문헌 1의 멀티 컵 베드를 실제 생산하여 사용하면서 발견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인접하는 포트와의 상토 연계로 인한 병해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둘째, 딸기 줄기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점적호스에서 공급되는 양액이 불필요하게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각 포트로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되 양액이 인접하는 포트 사이에 이동을 하거나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여 병해의 확산을 최소화하며, 넷째, 각 포트 내의 딸기 뿌리가 냉해 피해를 입지 않도록 지온호스 등을 설치하여 효과적인 근권난방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딸기 재배용 멀티 컵 베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포트가 2열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제1열과 제2열의 포트는 각각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상면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2열 사이의 종방향 상면 중간에는 제1열과 제2열의 포트로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점적호스가 설치되도록 점적호스 거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열과 제2열의 좌우로 인접한 포트 사이의 횡방향 상면은 좌우측의 포트 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딸기 재배용 멀티 컵 베드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제1열과 제2열의 포트는 상호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횡방향 상면의 하부 측에는 점적호스에서 흘러내린 양액이 좌우측 포트로 향하도록 경사 돌기가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각 포트의 내면에는 점적호스의 양액이 포트의 사방으로 분산되도록 하기 위한 물돌이 턱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각 포트의 바닥에는 근권난방을 위한 난방 호스가 지날 수 있는 난방호스 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점적호스 거치부는 호스 밴드가 끼워지는 밴드 구멍과 점적호스의 이탈 방지를 위한 이탈방지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밴드 구멍과 이탈방지턱이 종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멀티 컵 베드의 상면에 점적호스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점적호스에서 나온 양액은 각각의 포트에 독립적으로 공급되게 되므로 인접하는 상토 간 양액의 이동이 없고 상토의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일측 포트에 병해가 발생하더라도 인접한 포트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점적호스에서 나온 양액은 곧바로 각 포트로 공급되거나 좌우로 경사진 횡방향 상면을 타고 좌우의 포트로 흘러가게 되므로 양액이 멀티 컵 베드의 경사면을 타고 바깥으로 유실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양액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컵 베드의 상면이 전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딸기의 줄기가 컵 베드의 외곽에서 직각으로 꺾이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고, 각 포트의 하부에는 종방향으로 난방 호스 홈이 형성되어 있어 근권난방을 위한 난방호스의 설치가 용이하므로 겨울철 딸기 재배시 하우스 내부의 난방비를 최소화하면서도 딸기 뿌리가 냉해 피해를 입지 않고 완성한 생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컵 베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 컵 베드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멀티 컵 베드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멀티 컵 베디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멀티 컵 베드의 측면도,
도 6은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7은 도 1의 B - 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멀티 컵 베드에서 딸기가 재배되고 있는 상태,
도 9는 도 9의 C부 확대도,
도 10은 도 9의 D - D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딸기 재배용 멀티 컵 베드가 도시되어 있고, 도 8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멀티 컵 베드(1)에서 딸기가 재배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포트(P1~P6)가 2열로 이격 배치되되 제1열의 포트(P1,P2,P3)과 제2열의 포트(P4,P5,P6)는 상호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열과 제2열의 포트(P1~P6)는 각각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상면(10)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면(10) 중 제1,2열 포트(P1,P2,P3와 P4,P5,P6) 사이의 종방향 상면(110) 중간에는 각 포트로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2줄의 점적호스(H1,H2)가 설치되도록 점적호스 거치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열과 제2열의 좌우로 인접한 포트(P1과 P2, P2와 P3, P4와 P5, P5와 P6) 사이의 횡방향 상면(120)은 좌우 측의 포트 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횡방향 상면(120)의 하부 측에는 점적호스(H1,H2)에서 흘러내린 양액이 좌우 측 포트로 향하도록 경사 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면(10)의 최하단부 즉, 제1,2열의 포트(P1~P6) 외측면 상부 측은 딸기의 줄기가 하방으로 뻗어내리게 되는바, 이 부분은 소정의 곡률로 곡면을 이루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상면(10) 자체가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딸기의 줄기는 상면(10)의 최하단부에서 완만하게 꺾이게 되므로 줄기의 손상이나 이로 인한 딸기 열매의 성장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상면(10)의 최하단부 저면 양측으로는 멀티 컵 베드(1)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 파이프(도시 생략됨)가 종방향으로 지나가게 되면서 상토와 양액이 공급되는 멀티 컵 베드(1)를 지지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각 포트(P1~P6)의 내측면에는 점적호스(H1,H2)의 양액이 포트의 사방으로 분산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물돌이 턱(2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물돌이 턱(20)은 점적호스(H1,H2)가 각 포트(P1~P6) 일측의 종방향 상면(110) 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종방향 상면(110) 측에 접하는 내측면에서부터 좌우 측면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외측면 측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종방향 상면(110) 위에 노출 설치된 점적호스(H1,H2)에서 상토 측으로 떨어진 양액이 각 포트의 내면을 타고 바로 하방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상기 물돌이 턱(20)을 따라 돌아서 각 포트의 전 둘레로 분산 공급됨으로써 뿌리의 전방향으로 양액이 고르게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2열의 각 포트(P1~P6)는 도 3의 평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길고 전후방향으로 좁은 장방형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각 포트에서 재배되는 딸기에서 뻗어나온 줄기가 외측 하방으로 여러 개 뻗어 나오기 유리하도록 함으로써 딸기의 수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2열의 각 포트(P1~P6)는 도 4의 정면도 및 도 5의 측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는 전후 및 좌우 폭이 넓고 하부로 갈수록 전후 및 좌우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각 포트의 크기나 형태는 멀티 컵 베드의 구조적인 강도 및 기능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 중 부호 '30'은 각 포트(P1~P6)의 하부 측에 형성되는 통기 겸 배수구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각 포트(P1~P6)의 바닥에는 근권난방을 위한 난방 호스(h3,h4)가 지날 수 있는 호스 홈(4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호스 홈(40)은 각 포트(P1~P6)의 외측면 측에 원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포트(P1~P6)의 하면에 터널형(아치형)으로 형성되거나 각 포트의 내측면 하부 측에 원호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점적호스 거치부(112)는 호스 밴드(F)가 끼워지는 밴드 구멍(114)과 점적호스(H1,H2)의 이탈 방지를 위한 이탈방지턱(11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밴드 구멍(114)과 이탈방지턱(116)은 종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형성되어 있어서 호스 밴드(F)의 끼움작업을 최소화하면서도 점적호스(H1,H2)가 종방향 상면(110) 위에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멀티 컵 베드(1)는 점적호스(H1,H2)가 상면의 점적호스 홈에 끼움 설치되는 대신 종방향 상면(110)의 위에 노출되도록 안치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호스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양액이 공급될 경우에는 홈과 점적호스 사이에 양액이 잔류하게 되면서 인접하는 포트 사이에 양액이 연결되어 있는상황이 되므로 연결된 양액 사이로 병균이 전파될 우려가 높았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점적호스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낙수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인접하는 포트 사이에 양액이 서로 차단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양액을 통한 병균의 전파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이탈방지턱(116)은 종방향 상면(112)의 정점 부위와 종방향 상면(112)의 정점 부위에서 하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2개가 형성되어 있는데, 정점 부위에 형성된 이탈방지턱(116a)은 제1열 및 제2열에 각각 설치되는 점적호스(H1,H2)가 다른 열 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하부 측에 형성된 이탈방지턱(116b)은 점적호스(H1,H2)가 해당 열의 포트 내측으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점적호스(H1,H2)에서 낙수된 양액이 횡방향 상면(120)을 타고 곧바로 베드 외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횡방향 상면(120) 좌우측의 포트로 양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멀티 컵 베드(1)는 제1열과 제2열의 포트(P1~P6)가 서로 대칭되지 않고 절반씩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좌우측 양단이 요철형을 이루고 있으며, 이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연속 배치할 경우 제1열과 제2열의 포트(P1~P3, P4~P6)는 종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며, 인접하는 멀티 컵 베드(1) 양단의 포트 사이도 내측의 횡방향 상면(120)과 동일하게 좌우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점적호스에서 떨어진 양액이 양단의 경사면을 따라 좌우측의 포트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종방향 상면(110)은 도 4의 정면도 및 도 5의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방향을 따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지 않고 횡방향 상면(120)이 좌우의 포트 쪽으로 기울어진 각도와 동일하게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횡방향 상면(120)의 하부 측에 형성된 경사돌기(122)는 도 3의 평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직선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좌우측 하방으로 기울어진 역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좌우로 경사진 횡방향 상면(120)을 타고 흘러내린 양액이 경사돌기(122)에서 걸려 다시 좌우측 포트로 신속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각 포트(P1~P6)의 내부 바닥면은 상부로 볼록한 형태를 이루고 있어서 양액이 포트의 바닥면에 정체되지 않고 외곽에 형성된 배수구(30)를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양액의 불완전한 배수 및 정체로 인한 뿌리의 활력 및 생장저하 예방가 더불어 병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멀티 컵 베드(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1)의 상면(10) 위에 점적호스(H1,H2)가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노출된 점적호스(H1,H2)에서 나온 양액은 전,후로 경사진 종방향 상면(110)의 전,후측에 종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각각의 포트(P1~P6)에 개별적으로 공급되게 되므로 인접하는 상토 간 양액의 이동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포트(P1~P6) 사이에 상토의 상단부 측이 연결되지 않은 독립된 환경에서 재배되게 되므로 일측 포트에 병해가 발생하더라도 양액이나 상토를 통해서 인접한 포트로 급격하게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컵 베드(1) 상부로 노출 설치된 점적호스(H1,H2)에서 낙수된 양액은 곧바로 각 포트(P1~P6)로 낙수되거나 횡방향 상면(120)을 타고 좌우의 포트로 흘러가게 되므로 양액이 멀티 컵 베드의 상면을 타고 바깥으로 유실되는 현상 및 상면에서 정체되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양액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컵 베드(1)의 상면이 평면을 이루지 않고 전,후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점적호스에서 낙수된 양액이 각각의 포트로 바로 흘러서 공급되게 되면서 상면에 정체되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상면에 정체되어 있는 양액으로 인한 병해의 확산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컵 베드(1)는 각 포트(P1~P6)의 하부에는 종방향으로 호스 홈(30)이 형성되어 있어 근권난방을 위한 난방호스(h1,h2)의 설치가 용이하고 밋밋한 포트의 바닥 하부나 측부에 난방호스를 설치하던 방식에 비해 각 포트의 내측으로 난방호스의 열기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 겨울철 딸기 재배시 하우스 내부의 난방비를 최소화하면서도 딸기 뿌리가 냉해 피해를 입지 않고 완성한 생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여기에 더하여, 본 실시 예에 의한 컵 베드(1)는 상면이 전,후로 경사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베드 외곽으로 늘어진 줄기가 직각으로 꺾이지 않고 완만한 각도로 굽어지게 되므로 줄기의 꺾임으로 인한 딸기 열매의 생장저하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
1 : 멀티 컵 베드
10 : 상면
110 : 종방향 상면
112 : 점적호스 거치부
114 : 밴드 구멍
116 : 이탈방지턱
116a : 이탈방지턱(상부)
116b : 이탈방지턱(하부)
120 : 횡방향 상면
122 : 경사돌기
20 : 물돌이 턱
30 : 배수구
40 : 호스 홈
F : 호스 밴드
H1,H2 : 점적호스
h1,h2 : 난방 호스
P1~P6 : 포트

Claims (13)

  1. 복수의 포트(P1~P6)가 2열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제1열의 포트(P1,P2,P3)와 제2열의 포트(P4,P5,P6)는 각각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상면(10)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면(10) 중 제1,2열 사이의 종방향 상면(110) 중간에는 제1열과 제2열의 포트(P1~P6)로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점적호스(H1,H2)가 설치되도록 점적호스 거치부(112)가 형성되되 상기 점적호스 거치부(112)는 호스 밴드(F)가 끼워지는 밴드 구멍(114)과 점적호스(H1,H2)의 이탈 방지를 위한 이탈방지턱(11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밴드 구멍(114)과 이탈방지턱(116)은 종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턱(116)은 종방향 상면(110)의 정점 부위와 종방향 상면(110)의 정점에서 하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2개가 형성되어 2개의 점적 호스(H1,H2)가 종방향 상면(110)의 위에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안치되어 낙수가 이루어지면서 각각 제1열과 제2열에 따로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열과 제2열의 좌우로 인접한 포트 사이의 횡방향 상면(120)은 좌우측의 포트 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횡방향 상면(120)의 하부 측에는 점적호스(H1,H2)에서 흘러내린 양액이 좌우측 포트로 향하도록 좌우측 하방으로 기울어진 역 V자형의 경사 돌기(122)가 형성되어 좌우로 경사진 횡방향 상면(120)을 타고 흘러내린 양액이 경사돌기(122)에서 걸려 다시 좌우측 포트로 흘러내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재배용 멀티 컵 베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열의 포트(P1,P2,P3)와 제2열의 포트(P4,P5,P6)는 상호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재배용 멀티 컵 베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포트(P1~P6)의 내면에는 점적호스(H1,H2)의 양액이 포트의 사방으로 분산되도록 하기 위한 물돌이 턱(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재배용 멀티 컵 베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포트(P1~P6)의 바닥에는 근권난방을 위한 난방 호스(h3,h4)가 지날 수 있는 호스 홈(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재배용 멀티 컵 베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물돌이 턱(20)은 점적호스(H1,H2)가 각 포트(P1~P6) 일측의 종방향 상면(110) 측에 접하는 내측면에서부터 좌우 측면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외측면 측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재배용 멀티 컵 베드.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호스 홈(30)은 각 포트(P1~P6)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원호 형태로 형성되거나 각 포트(P1~P6)의 하면에 터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재배용 멀티 컵 베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상면(110)은 상기 횡방향 상면(120)이 좌우의 포트 쪽으로 기울어진 각도와 동일하게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재배용 멀티 컵 베드.
  13. 삭제
KR1020210082074A 2021-06-24 2021-06-24 딸기 재배용 멀티 컵 베드 KR102332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074A KR102332636B1 (ko) 2021-06-24 2021-06-24 딸기 재배용 멀티 컵 베드
JP2021203209A JP7062127B1 (ja) 2021-06-24 2021-12-15 イチゴ栽培用マルチカップベッ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074A KR102332636B1 (ko) 2021-06-24 2021-06-24 딸기 재배용 멀티 컵 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636B1 true KR102332636B1 (ko) 2021-12-01

Family

ID=78899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074A KR102332636B1 (ko) 2021-06-24 2021-06-24 딸기 재배용 멀티 컵 베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062127B1 (ko)
KR (1) KR10233263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4612A (ja) * 2006-09-01 2008-03-13 Marumoto:Kk 流水育苗ポット台
KR20110008363U (ko) * 2010-02-22 2011-08-30 박규남 활엽수용 육묘 포트
KR101402563B1 (ko) 2012-06-27 2014-06-02 이화성 육묘 포트용 관수장치
KR101637227B1 (ko) 2015-05-28 2016-07-07 박선범 딸기재배용 사각포트를 이용한 딸기 재배 시설 및 재배 방법
KR101699854B1 (ko) 2016-05-31 2017-01-25 경상남도 딸기 수경재배용 멀티컵베드
KR20200113708A (ko) 2019-03-26 2020-10-07 김영덕 작물 재배용 포트
KR102206187B1 (ko) 2020-07-23 2021-01-25 박경민 육묘용 분할 트레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4612A (ja) * 2006-09-01 2008-03-13 Marumoto:Kk 流水育苗ポット台
KR20110008363U (ko) * 2010-02-22 2011-08-30 박규남 활엽수용 육묘 포트
KR101402563B1 (ko) 2012-06-27 2014-06-02 이화성 육묘 포트용 관수장치
KR101637227B1 (ko) 2015-05-28 2016-07-07 박선범 딸기재배용 사각포트를 이용한 딸기 재배 시설 및 재배 방법
KR101699854B1 (ko) 2016-05-31 2017-01-25 경상남도 딸기 수경재배용 멀티컵베드
KR20200113708A (ko) 2019-03-26 2020-10-07 김영덕 작물 재배용 포트
KR102206187B1 (ko) 2020-07-23 2021-01-25 박경민 육묘용 분할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62127B1 (ja) 2022-05-02
JP2023004827A (ja)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32503T3 (es) Sistema de cultivo
KR100876048B1 (ko) 딸기 육묘용 트레이
KR101645458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고설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딸기 자묘의 재배방법
EP1866101B1 (en) Irrigation system
KR101749871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딸기복층고설재배장치
KR200452591Y1 (ko) 점적관수식 육묘 포트
KR101831294B1 (ko) 딸기 육묘용 장치
KR20220002906U (ko) 딸기자묘용 냉온조절 재배포트
KR101402563B1 (ko) 육묘 포트용 관수장치
KR102332636B1 (ko) 딸기 재배용 멀티 컵 베드
KR101168995B1 (ko)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
JP4948034B2 (ja) トマトの栽培方法とその装置
KR20120109044A (ko) 토마토 재배장치 및 그 방법
US5310281A (en) Subsurface irrigation system
KR101845060B1 (ko) 딸기 육묘 설비
KR20150119688A (ko) 친환경 고효율 관개 트레이
KR102446876B1 (ko) 딸기재배용 런너 일소 방지구조 및 포트 냉각구조를 갖는 딸기 육묘포트
KR200407016Y1 (ko) 다층식 육묘재배기
KR101766591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딸기 고설재배장치에 사용되는 개별육묘포트
EP2773177B1 (en) An agricultural machine provided with a displaceable implement section
KR102184907B1 (ko) 고설재배용 포트 및 이를 이용한 고설재배 베드
KR20200030220A (ko) 뿌리식물 수경재배용 시트
KR20160109298A (ko) 딸기 모종용 포트
KR102199733B1 (ko) 묘목 물공급장치
KR20190104079A (ko) 다단 수경재배용 재배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