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733B1 - 묘목 물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묘목 물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733B1
KR102199733B1 KR1020200083976A KR20200083976A KR102199733B1 KR 102199733 B1 KR102199733 B1 KR 102199733B1 KR 1020200083976 A KR1020200083976 A KR 1020200083976A KR 20200083976 A KR20200083976 A KR 20200083976A KR 102199733 B1 KR102199733 B1 KR 102199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s
water
water supply
supply device
see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례
최성숙
Original Assignee
신광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례 filed Critical 신광례
Priority to KR1020200083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묘목 물 공급장치에 대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묘목 물 공급장치는 상하부가 개구된 하나의 파이프가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두 개의 부재로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가 식재된 묘목 둘레에 소정 깊이로 지면에 삽입되는 제1 부재(100) 및 제2 부재(200);
내부에 물을 저장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는 묘목을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묘목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묘목 물공급장치{Seedling Water Supply Device}
본 발명은 묘목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재된 묘목 둘레에 설치되어 묘목에 충분한 물 공급이 가능하며, 저장된 물이 수압에 의해 수직 하방향으로 공급되어 물공급장치의 외주면 밖으로 유실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묘목 뿌리의 수분흡수율을 증가시키는 한편, 잡초성장억제판을 구비하여 묘목의 성장을 돕는 묘목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묘목은 옮겨 심는 어린 나무를 뜻한다. 대개 인공적인 방법으로 대량으로 육성한 어린 나무로서 뿌린 씨에 싹이 나서 1~4년 동안 가꾸어 다른 곳에 옮겨 심게 된 나무를 말한다.
묘목의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적절한 수분공급과 영양공급, 잡초 관리, 병충해 예방이다. 그 중 수분공급은 묘목의 생장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며, 가장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종래에는 묘목을 식재한 후 묘목 주위로 두둑을 형성하여 물을 공급하였으나, 두둑에 다량의 물이 흡수되어 묘목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묘목의 뿌리가 있는 묘목 하부, 즉 수직 하방으로 물이 흘러가지 않고 주변으로 퍼져 나가서 뿌리에 충분한 수분이 흡수되지 못했다.
한편, 잡초는 작물에 비하여 생육이 빠르고 번식력이 강하여 작물의 생육 공간을 점령하고 양분과 수분을 빼앗는다. 재배 작물로 흡수되어야 할 양분과 수분이 빼앗기기 때문에 잡초 관리에도 많은 신경을 써야한다.
게다가, 잡초가 우거진 곳은 병균과 벌레의 서식처 또는 번식처가 되어 작물의 품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이를 방지하는데 별도의 제초 비용이 든다.
따라서, 저장된 물이 묘목의 뿌리가 있는 수직 하방향으로 공급되어 묘목 뿌리의 수분흡수율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묘목 주변의 잡초성장을 억제하는 묘목 물 공급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4-008583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식재된 묘목 둘레에 설치되어 묘목에 충분한 물 공급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된 물이 수압에 의해 수직 하방향으로 공급되어 물 공급장치의 외주면 밖으로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묘목 뿌리의 수분흡수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잡초성장억제판을 구비하여 묘목의 성장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묘목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가 개구된 하나의 파이프가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두 개의 부재로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가 식재된 묘목 둘레에 소정 깊이로 지면에 삽입되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
내부에 물을 저장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묘목을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묘목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단면이 반원을 이루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되,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원통부;
상기 원통부 상단에 형성되되, 수직 상방향으로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확관부;
상기 제1 부재의 일측에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에는 상기 제1 돌출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2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홈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는 제2 결합홈에 결합되고 제2 돌출부는 제1 결합홈에 결합되며,
내부에 저장된 물은 수압에 의해 수직 하방향으로 공급됨으로써, 물이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 밖으로 유실되지 않아 묘목 뿌리의 수분흡수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상기 원통부 또는 확관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묘목 물 공급장치의 중앙에 식재된 묘목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홈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홈에 연이어져 수평방향으로는 메쉬형 선반이 형성된 잡초성장억제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잡초성장억제판은 묘목 주위에 자라는 잡초가 소정 높이 이상 성장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성장한 잡초가 잡초성장억제판 하부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여 추가적인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확관부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는 묘목 물 공급장치를 지면에 삽입하기 위해 가압력을 부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확관부 상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점적호스를 거치하는 복수 개의 거치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치홈의 가장자리에 뾰족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거치홈에 설치되어 점적호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용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묘목 물 공급장치는 묘목에 충분한 물 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된 물이 수압에 의해 수직 하방향으로 공급되어 물 공급장치의 외주면 밖으로 유실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묘목 뿌리의 수분흡수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잡초성장억제판을 구비하여 묘목의 성장을 돕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묘목 물 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묘목 물 공급장치에 의해 물이 묘목의 뿌리로 급수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홈에 점적호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묘목 물 공급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묘목 물 공급장치에 의해 물이 묘목의 뿌리로 급수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홈에 점적호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묘목 물 공급장치는 제1 부재(100), 제2 부재(200), 잡초성장억제판(13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제1 부재(100) 및 제2 부재(200)는 상하부가 개구된 하나의 파이프가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두 개의 부재로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는 각각 원통부(110)와 확관부(120)를 구성한다.
원통부(110)는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단면이 반원을 이루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된다.
확관부(120)는 원통부(110) 상단에 형성되되, 수직 상방향으로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부재(100)의 일측에는 제1 돌출부(111)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1 결합홈(112)이 형성된다.
제2 부재(200)에는 제1 돌출부(111)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2 결합홈(212)이 형성되며, 제1 결합홈(112)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제2 돌출부(211)가 형성된다.
제1 돌출부(111)는 제2 결함홈에 결합되고, 마찬가지고 제2 돌출부(211)는 제1 결합홈(112)에 결합된다.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는 서로 대칭되는 모양으로 형성되며, 이들을 결합한 상태로 원통부(110)가 소정 깊이로 지면에 삽입되어 묘목(A) 둘레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묘목의 생장에 있어, 수분공급은 가장 큰 영향을 끼치며 가장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묘목의 뿌리로 충분한 수분공급이 되어야 묘목이 잘 성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정 간격을 이루어 식재된 묘목(A)의 내부에 물을 저장 가능하도록 물 공급장치를 묘목(A)을 둘러싸도록 설치하여, 묘목(A)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된 물은 수압에 의해 수직 하방향으로 공급됨으로써, 물이 원통부(110)의 외주면 밖으로 유실되지 않아 묘목(A) 뿌리의 수분흡수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묘목 물 공급장치에 의해 물이 묘목(A)의 뿌리로 급수되는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에는 묘목 주위로 물을 가두기 위해 형성되는 두둑은 높이가 낮아 충분한 정수압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저장된 물이 두둑 외주면 밖으로 퍼져나가서 묘목 뿌리의 수분흡수율이 낮을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보다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함과 동시에 정수압력을 높이기 위해 원통부(110)와 그 상부에 확관부(120)를 형성하였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묘목 물 공급장치 내부에 물을 가득 채운다. 이 때 저장된 물은 원통부(110)와 확관부(120)가 이루는 높이에 해당하는 정수압력으로 지면을 압박한다. 높은 정수압력의 물은 수직 하방향인, 즉 뿌리 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도 3(b)와 같이 물 공급장치 내부의 수위가 낮아져 정수압이 작아지더라도 이미 형성된 유로를 통해 묘목(A)의 뿌리방향으로 급수가 가능하다.
한편, 묘목 성장과정에서 수분 공급만큼 중요한 것이 잡초(B) 관리이다. 잡초(B)는 재배 작물에 비하여 생육이 빠르고 번식력이 강하여 작물의 생육 공간을 점령하고 양분과 수분을 빼앗는다. 재배 작물로 흡수되어야 할 양분과 수분이 빼앗기기 때문에 잡초(B) 관리에도 많은 신경을 써야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잡초성장억제판(130)을 구비하여 묘목(A) 주위에 자라는 잡초(B)의 성장을 억제하도록 하였다.
잡초성장억제판(130)은 식재된 묘목(A)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홈(131)과 메쉬형 선반(132)으로 구성된다.
관통홈(131)은 원통부(110) 또는 확관부(120)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관통홈(131)의 내경은 어린 묘목(A)의 외경보다 훨씬 크게 형성된다.
관통홈(131)은 바람직하게는 보통 내경이 약 150mm정도로 형성되며, 8~9년까지 사용 가능한 직경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묘목 물공급장치는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가 결합되어 묘목(A) 주위에 둘러싸여 설치되는 관계로, 잡초성장억제판(130) 또한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 내측에 각각 형성된다.
메쉬형 선반(132)은 관통홈(131)에 연이어져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메쉬형으로 형성되어 통기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다른 잡초성장억제판(130)은 묘목(A) 주위에 자라는 잡초(B)가 소정 높이 이상 성장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성장한 잡초(B)가 잡초성장억제판(130) 하부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여 추가적인 잡초(B)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잡초(B)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인력의 수고를 덜어주어 농가의 노동생산성에도 기여하는 특징이 있다.
작업자는 물 공급장치를 묘목(A)이 식재된 지면에 소정 깊이만큼 삽입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이 때 확관부(120)의 끝단이 수직 상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면, 작업자가 물공급장치에 힘을 가하기 어렵고, 손바닥을 다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확관부(120)에 플랜지(140)를 구비하였다.
플랜지(140)는 확관부(120)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평평한 구조의 플랜지(140)를 통해, 작업자가 물 공급장치를 지면에 삽입하기 위해 가압력을 부가하기 용이하며, 손바닥을 다칠 우려가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홈(150)과 이탈방지용 돌출부(160)를 구비하여, 점적관수시스템을 채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점적관수시스템은 점적호스(C)를 땅 위에 설치하여 물방울 형태로 급수하는 방식을 말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홈(150)과 이탈방지용 돌출부(160)를 통해 점적호스(C)를 거치할 수 있다.
거치홈(150)은 확관부(120) 상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점적호스(C)를 거치하도록 복수 개의 홈으로 형성된다.
이탈방지용 돌출부(160)는 거치홈(150)의 가장자리에 뾰족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탈방지용 돌출부(160)는 거치홈(150)에 설치되는 점적호스(C)의 이탈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점적호스(C)가 거치 가능한 구조를 채택하여, 점적관수시스템을 통해 균일 관수와 정밀 관수가 가능함과 동시에, 묘목(A) 급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묘목 물 공급장치는 뒤집어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플랜지(140)의 평평한 부분이 지면에 닿도록 설치되어, 확관부(120)의 확대된 영역에 의해 잡초(B) 성장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초기를 이용하여 잡초(B)를 제거할 경우에 예초기 절단날로부터 묘목(A)을 보호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은 묘목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재된 묘목 둘레에 설치되어 묘목에 충분한 물 공급이 가능하며, 저장된 물이 수압에 의해 수직 하방향으로 공급되어 물공급장치의 외주면 밖으로 유실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묘목 뿌리의 수분흡수율을 증가시키는 한편, 잡초성장억제판을 구비하여 묘목의 성장을 돕는 묘목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A : 묘목
B : 잡초
C : 점적호스
100 : 제1 부재
110 : 원통부
111 : 제1 돌출부
112 : 제1 결합홈
120 : 확관부
130 : 잡초성장억제판
131 : 관통홈
132 : 메쉬형 선반
140 : 플랜지
150 : 거치홈
160 : 이탈방지용 돌출부
200 : 제2 부재
211 : 제2 돌출부
212 : 제2 결합홈

Claims (6)

  1. 상하부가 개구된 하나의 파이프가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두 개의 부재로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가 식재된 묘목 둘레에 소정 깊이로 지면에 삽입되는 제1 부재(100) 및 제2 부재(200);
    내부에 물을 저장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는 묘목을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묘목에 물을 공급하며,
    상기 제1 부재(100) 및 제2 부재(200)는,
    단면이 반원을 이루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되, 동일한 직경으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하단부가 수직 하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원통부(110);
    상기 원통부(110) 상단에 형성되되, 수직 상방향으로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확관부(120);
    상기 제1 부재(100)의 일측에는 제1 돌출부(111)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1 결합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200)에는 상기 제1 돌출부(111)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2 결합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홈(112)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제2 돌출부(211)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111)는 제2 결합홈(212)에 결합되고 제2 돌출부(211)는 제1 결합홈(112)에 결합되며,
    내부에 저장된 물은 수압에 의해 수직 하방향으로 공급됨으로써, 물이 상기 원통부(110)의 외주면 밖으로 유실되지 않아 묘목 뿌리의 수분흡수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확관부(120)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플랜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140)는 묘목 물 공급장치를 지면에 삽입하기 위해 가압력을 부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 물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100) 및 제2 부재(200)는,
    상기 원통부(110) 또는 확관부(120)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묘목 물 공급장치의 중앙에 식재된 묘목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홈(131)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홈(131)에 연이어져 수평방향으로는 메쉬형 선반(132)이 형성된 잡초성장억제판(1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잡초성장억제판(130)은 묘목 주위에 자라는 잡초(B)가 소정 높이 이상 성장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성장한 잡초(B)가 잡초성장억제판(130) 하부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여 추가적인 잡초(B)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 물 공급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120) 상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점적호스(C)를 거치하는 복수 개의 거치홈(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 물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150)의 가장자리에 뾰족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거치홈(150)에 설치되어 점적호스(C)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용 돌출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 물 공급장치

KR1020200083976A 2020-07-08 2020-07-08 묘목 물공급장치 KR102199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976A KR102199733B1 (ko) 2020-07-08 2020-07-08 묘목 물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976A KR102199733B1 (ko) 2020-07-08 2020-07-08 묘목 물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733B1 true KR102199733B1 (ko) 2021-01-07

Family

ID=7412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976A KR102199733B1 (ko) 2020-07-08 2020-07-08 묘목 물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7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506A (ko) * 2002-11-18 2004-05-24 이화실 농작물 성장 도움 용기
KR20040085832A (ko) 2003-04-01 2004-10-08 서정수 식물 재배용 매트
KR200389992Y1 (ko) * 2005-04-13 2005-07-14 김세훈 뿌리보호 및 주변잡초 성장억제용 덮개
KR20140081670A (ko) * 2012-12-12 2014-07-01 이화성 저면 관수용 포트 받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506A (ko) * 2002-11-18 2004-05-24 이화실 농작물 성장 도움 용기
KR20040085832A (ko) 2003-04-01 2004-10-08 서정수 식물 재배용 매트
KR200389992Y1 (ko) * 2005-04-13 2005-07-14 김세훈 뿌리보호 및 주변잡초 성장억제용 덮개
KR20140081670A (ko) * 2012-12-12 2014-07-01 이화성 저면 관수용 포트 받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0625B1 (en) Seedling raising device for aerial seed collection of farm products
JP4169131B2 (ja) チャの育苗方法
CN103650884A (zh) 一种千屈菜科紫薇属植物直杆型单株栽培方法
KR101749871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딸기복층고설재배장치
CN104012273B (zh) 一种南板蓝的规范化种植方法
CN104969755A (zh) 一种提高文冠果裸根苗木移栽成活率的方法
CN103283439A (zh) 向日葵的改良栽培方法
CN109496517A (zh) 一种油用牡丹的种植管理技术
KR102199733B1 (ko) 묘목 물공급장치
JP6515229B1 (ja) 水稲不耕起乾田v溝直播栽培の播種方法
CN108575612B (zh) 秸秆还田的小麦种植方法
CN112616548A (zh) 一种橘园套种艾草的栽培方法
JP2004154031A (ja) ポットによる栽培装置及び方法
RU2787055C1 (ru) Способ капельного полива плодового са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2169932B1 (ko) 작물 재배 또는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RU2818365C1 (ru) Способ капельного орошения мелкосемянных культур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20458162U (zh) 一种烟苗移栽设施
KR102620968B1 (ko) 자바라스트로우로 양액을 공급하는 비닐하우스용 양액재배장치
US10918023B2 (en) Plant husbandry system and mulch barrier
Vincent et al. 2023–2024 Florida Citrus Production Guide: Grove Planning and Establishment: CPG ch. 13, HS1302, rev. 5/2023
JP3589551B2 (ja) イチゴの育苗容器、イチゴの育苗装置及びイチゴの育苗方法
KR102620950B1 (ko) 비닐하우스용 양액재배장치에서 거름망과 연결부를 통한 배수장치
CN217117044U (zh) 一种高丹草的育苗装置
CN210492023U (zh) 一种用于果园的水、肥、药一体化灌溉系统
CN110326495B (zh) 一种苎麻种植和收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