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719B1 - 딸기 육묘 포트 - Google Patents

딸기 육묘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719B1
KR102513719B1 KR1020220047974A KR20220047974A KR102513719B1 KR 102513719 B1 KR102513719 B1 KR 102513719B1 KR 1020220047974 A KR1020220047974 A KR 1020220047974A KR 20220047974 A KR20220047974 A KR 20220047974A KR 102513719 B1 KR102513719 B1 KR 102513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vidual
hose
port
branching
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미희
Original Assignee
나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미희 filed Critical 나미희
Priority to KR1020220047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딸기 자묘를 성장시키기 위한 육묘 포트에 관한 것으로, 2줄의 개별 포트(10,12)가 복수 열(R1,R2,R3)로 배치되며, 각 열(R1,R2,R3) 사이에는 호스 안치부(20)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호스 안치부(20)에서 각 개별 포트(10,12)로 연결되는 분기 수로(30,32)는 각 개별 포트(10,12)로 갈수록 폭(W)이 좁아지면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상대적으로 짧은 분기 수로(30)에 연결된 개별 포트(10)는 상대적으로 긴 분기 수로(32)에 연결된 개별 포트(12)보다 안지름(Ø)은 크되 바닥(10a)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내부 용적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10a)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개별 포트(10)의 저면에는 지지 파이프(P)에 거치하기 위한 굽다리(11)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딸기 육묘 포트{STRAWBERRY SEEDLING POT}
본 발명은 딸기 모주에서 런너를 통해 뻗어나온 자묘를 한번에 대량으로 육묘를 하되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병의 감염이 없이 건강하게 생장시키기 위한 딸기 육묘 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줄기를 통한 영양생식 형태의 번식을 '런너(runner; 덩굴 손) 번식'이라고 하는데, 런너 번식을 하는 대표적인 작물인 딸기는 근래 들어 자묘를 집단적으로 육묘하기 위한 수단으로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와 같은 상면 위에 종횡으로 개별 포트가 배치되고 각 개별 포트 사이에 점적 호스가 통과하는 수로가 형성된 연결 포트(또는 '트레이')가 사용되거나, 특허문헌 3 내지 특허문헌 4와 같이 상면에 지그재그 상태로 개별 포트가 형성되며 개별 포트 일측에 점적 호스가 통과하는 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별 포트로 짧고 길게 각각 분기 수로가 연결된 연결 포트(또는 '트레이')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 등에 개시된 연결 포트도 물과 양액의 균일한 공급에 의해 모종의 균일한 생장을 도모함과 아울러 이와 동시에 물과 양액을 통한 육묘 중인 자묘의 탄저병을 비롯한 각종 병원균의 감염과 전파를 최소화하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삼고 개발된 것이기는 하지만, 실제 사용과정에서 각각의 포트로 물과 양액을 균일하게 공급하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었고, 점적 호스가 안치되는 홈이나 수로 부분에서 물과 양액의 잔류로 인한 세균 감염의 우려가 잔존하였으며, 각 포트로 물과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수로의 구조가 복잡하여 상토를 채우는 과정에서 수로 부분에 상토가 잔류하게 되어 물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잔류하는 상토를 깨끗하게 제거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도 시행해야 했었으므로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76048호(2008.12.18. 등록) 일본실용신안등록 제3143823호(2008.07.16.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831294호(2018.02.14. 등록) 일본공개특허 특개2008-054612호(2008.03.13.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양생식으로 번식하는 딸기 등의 자묘를 대량으로 번식시키는 과정에서 물과 양액의 공급량 및 각각의 개별 포트에서의 물과 양액의 보유량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각각의 자묘가 균일한 성장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물러 물고임 현상으로 인한 병원균의 감염 및 전파 없이 건강하게 육묘할 수 있고, 물과 양액의 낭비가 없이 최적의 상태로 육묘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딸기 육묘 포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에 지그재그 상태로 2줄의 개별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개별 포트의 일측에 점적 호스가 배치되는 호스 안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호스 안치부에서 각각의 개별 포트로는 짧고 길게 점적 호스에서 떨어진 물과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분기 수로가 연결된 딸기 육묘 포트로;
상기 육묘 포트에는 2줄의 개별 포트가 복수 열로 배치되며, 각 열 사이에는 호스 안치부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호스 안치부에서 각 개별 포트로 연결되는 분기 수로는 각 개별 포트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짧은 분기 수로에 연결된 개별 포트는 상대적으로 긴 분기 수로에 연결된 개별 포트보다 안지름은 크되 바닥은 높게 형성되어 내부 용적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개별 포트의 저면에는 베드를 형성하는 지지 파이프에 거치하기 위한 굽다리가 형성된 딸기 육묘 포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에는, 상기 상대적으로 짧은 분기 수로가 일측에 연결된 개별 포트의 타측에는 월류 방지턱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기에는 상기 개별 포트의 내측면에는 분기 수로에서 공급된 물과 양액이 상토의 사방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물돌기 턱이 형성되고, 상기 호스 안치부의 하측에는 각 분기수로 사이의 경계부에 점적 호스가 분기 수로에서 이격되어 공중에 뜬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받침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딸기 등의 자묘를 대량으로 번식하는 과정에서 물과 양액의 낭비를 막고 이의 소비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자묘를 균일하게 생장시킬 수 있으며, 점적 호스가 육묘 포트의 상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물과 양액이 분기 수로를 통해 공급되므로 물고임 현상으로 인한 병원균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딸기 육묘 포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딸기 육묘 포트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딸기 육묘 포트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 - B선 단면도,
도 6은 자묘가 생장중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C - C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딸기 육묘 포트 및 이를 사용하여 자묘를 육묘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상면에 지그재그 상태로 2줄의 개별 포트(10,12)가 형성되고, 상기 개별 포트(10,12)의 일측에 점적 호스(H)가 배치되는 호스 안치부(20)가 형성되며, 상기 호스 안치부(20)에서 각각의 개별 포트(10,12)로는 짧고 길게 상기 점적 호스(H)에서 떨어진 물과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분기 수로(30,32)가 연결된 딸기 육묘 포트(1)로; 상기 육묘 포트(1)에는 2줄의 개별 포트(10,12)가 복수 열(R1,R2,R3)로 배치되며, 각 열(R1,R2,R3) 사이에는 호스 안치부(20)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호스 안치부(20)에서 각 개별 포트(10,12)로 연결되는 분기 수로(30,32)는 각 개별 포트(10,12)로 갈수록 폭(W)이 좁아지면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대적으로 짧은 분기 수로(30)에 연결된 개별 포트(10)는 상대적으로 긴 분기 수로(32)에 연결된 개별 포트(12)보다 안지름(Ø1>Ø2)은 크되 바닥(10a)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내부 용적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10a)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개별 포트(10)의 저면에는 지지 파이프(P)에 거치하기 위한 굽다리(11)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굽다리(11)는 육묘 포트(1)가 지지 파이프(P) 위에 안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개별 포트(10)의 하부에 대체로 아치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같은 열에서도 굽다리(11)가 형성된 개별 포트(10)는 양 외측에 위치하고 내측의 개별 포트(10)는 굽다리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분기 수로(30,32)는 대체로 그 횡단면이 중간부가 깊고 좌우 양측은 낮은 삼각 단면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횡방향으로는 개별 포트(10,12) 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깊어지게 형성되어 있어 점적 호스(H)에서 낙수된 물과 양액이 가능한 분기 수로(30,32)에 체류하지 않고 곧바로 각 개별 포트(10,12)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호스 안치부(20)의 하부에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분기 수로(30)와 상대적으로 긴 분기 수로(32)의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각각의 분기 수로(30,32)로 공급되는 물과 양액의 양이 균일하도록 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2줄의 개별 포트(10,12)가 3열(R1,R2,R3)로 배치되어 1장의 육묘 포트(1)에 18구의 자묘를 육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2열이나 4열로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는 모주 포트의 규격에 맞추어 다양하게 제작하면 된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대적으로 짧은 분기 수로(30)가 일측에 연결된 개별 포트(10)의 타측에는 월류방지턱(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월류방지턱(13)은 분기 수로(30)의 폭 및 개별 포트(10)의 상측 바깥지름과 거의 일치되는 폭으로 형성되어 개별 포트(10)로 과잉의 물과 양액이 공급되더라도 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별 포트(10,12)의 내측면에는 분기 수로(30,32)에서 공급된 물과 양액이 상토의 사방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물돌이 턱(1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물돌이 턱(14)은 분기 수로(30,32)에서 공급된 물과 양액이 분기 수로(30,32)에 접한 측의 개별 포트 내측면으로만 흘러내리게 되면 상토를 전체적으로 둘러서 충분히 적셔주지 못하고 바닥(10a)의 배수구멍(h)으로 그대로 배출되려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분기 수로(30,32)를 따라 흘러온 물과 양액이 물돌이 턱(14)을 따라 개별 포트(10,12)의 내면을 따라 돌면서 개별 포트 내부에 담긴 상토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적셔주게 되므로 자묘 뿌리가 사방으로 균일하게 생장이 가능하도록 도와주게 되며, 이에 의해 물과 양액의 낭비를 방지함과 아울러 자묘의 생육에 필요한 소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호스 안치부(20)의 하측에는 각 분기 수로(30,32) 사이의 경계부에 점적 호스(H)가 분기 수로(30,32)에서 이격되어 공중에 뜬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받침 돌기(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호스 안치부(20)와 약간 이격된 위치에는 받침 돌기(22)위에 안치된 점적 호스(H)가 개별 포트(10,12) 쪽으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24)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이탈방지돌기(24)는 육묘 포트(1)의 상면 중간 부분에만 호스 안치부(20)와 이격된 섬(島)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된 호스 안치부(20)와 이탈방지돌기(24)에는 점적 호스(H)를 별도의 클립으로 고정하기 위한 T자형의 클립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베드를 형성하는 지지 파이프(P) 위에 개별 포트(10)의 바닥 저면에 형성된 굽다리(11)가 안치되는데, 상기 개별 포트(10)는 각 포트 열(R1,R2,R3)에 한 줄씩 형성되어 있으므로 3개의 지지 파이프(P) 위에 육묘 포트(1)가 안치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육묘 포트(1)가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각각의 개별 포트(10,12)로 분기 수로(30,32)를 통한 급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육묘 포트(1)를 지지 파이프(P)에서 들어내거나 다시 안치시키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지지 파이프로 이루어진 베드 위에서 각 개별 포트(10,12)가 들떠있는 상태로 안치되어 있으므로 각 개별 포트(10,12)의 하부를 통해 공기의 유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베드 위에 난방 또는 냉방을 위한 시설을 설치하여 운용할 경우 자묘의 생장에 필요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육묘 포트(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지지 파이프(P)로 이루어진 고설재배용 베드의 중앙에 일렬로 배치된 모주 포트(100)의 좌우 양측에 배치하여 모주 모트(100)에서 재배되는 모주(F)로부터 런너가 뻗어나와 육묘 포트(1)의 각 개별 포트(10,12)에 뿌리가 활착하게 되면서 자묘(F1)가 생장하게 되는바, 각 개별 포트(10,12)로는 점적 호스(H)에서 공급된 물과 양액이 분기 수로(30,32)를 통해 균일하게 공급되게 된다.
상기 모주 포트(100)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특허 제10-2332636호 등에 개시된 구조는 물론 다양한 형태의 포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포트 외에도 비닐막이나 방수막으로 이루어진 고설 재배시설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각 개별 포트(10,12)는 분기 수로(30,32)의 길이 차이 즉, 점적 호스(H)로부터의 거리차이를 감안하여 안지름과 바닥 높이를 다르게 설계함으로써 물과 양액의 보유량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자묘(F1)의 균일한 생장을 도모할 수 있어 생육상태가 균일하고 건강한 자묘의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 예에서는 점적 호스(H)가 육묘 포트(1)의 상면에서 이격되어 공중에 들뜬 상태에서 각각의 분기 수로(30,32)로 물과 양액을 공급하게 되므로 물고임 현상이 없어 종래의 육묘 포트에서 물고임으로 인한 각종 병원균의 감염 및 전파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고, 월류방지턱(13)과 물돌이 턱(14)에 의해 물과 양액이 각 개별 포트가 아닌 다른 쪽으로 유실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자묘의 육성에 필요한 물과 양액의 소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1 : 육묘 포트
10,12 : 개별 포트
10a : 바닥
11 : 굽다리
13 : 월류방지 턱
14 : 물돌이 턱
20 : 호스 안치부
22 : 받침 돌기
24 : 이탈방지돌기
26 : 클립 구멍
30,32 : 분기 수로
F : 모주
F1 : 자묘
H : 점적 호스
h : 배수구멍
P : 지지 파이프
R1,R2,R3 : 포트 열
W : 폭
Ø1,Ø2 : 안지름

Claims (4)

  1. 상면에 지그재그 상태로 2줄의 개별 포트(10,12)가 형성되고, 상기 개별 포트(10,12)의 일측에 점적 호스(H)가 배치되는 호스 안치부(20)가 형성되며, 상기 호스 안치부(20)에서 각각의 개별 포트(10,12)로는 짧고 길게 상기 점적 호스(H)에서 떨어진 물과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분기 수로(30,32)가 연결된 딸기 육묘 포트(1)로;
    상기 육묘 포트(1)에는 2줄의 개별 포트(10,12)가 복수 열(R1,R2,R3)로 배치되며, 각 열(R1,R2,R3) 사이에는 육묘 포트(1)의 상면에서 이격되도록 호스 안치부(20)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호스 안치부(20)의 하측에는 각 분기 수로(30,32) 사이의 경계부에 점적 호스(H)가 분기 수로(30,32)에서 이격되어 공중에 뜬 상태를 유지하여 호스 안치부(20)에 물이 고일 수 없도록 하기 위한 받침 돌기(22)가 형성되고, 상기 호스 안치부(20)와 이격된 위치에는 받침 돌기(22) 위에 안치된 점적 호스(H)가 개별 포트(10,12) 쪽으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24)가 섬(島)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호스 안치부(20)에서 각 개별 포트(10,12)로 연결되는 분기 수로(30,32)는 각 개별 포트(10,12)로 갈수록 폭(W)이 좁아지면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상대적으로 짧은 분기 수로(30)에 연결된 개별 포트(10)는 상대적으로 긴 분기 수로(32)에 연결된 개별 포트(12)보다 안지름(Ø)은 크되 바닥(10a)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내부 용적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10a)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개별 포트(10)의 저면에는 지지 파이프(P)에 거치하기 위한 굽다리(11)가 형성되고, 상기 상대적으로 짧은 분기 수로(30)가 일측에 연결된 개별 포트(10)의 타측에는 분기 수로(30)의 폭 및 개별 포트(10)의 상측 바깥지름과 일치되는 폭으로 월류방지턱(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육묘 포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47974A 2022-04-19 2022-04-19 딸기 육묘 포트 KR102513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974A KR102513719B1 (ko) 2022-04-19 2022-04-19 딸기 육묘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974A KR102513719B1 (ko) 2022-04-19 2022-04-19 딸기 육묘 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719B1 true KR102513719B1 (ko) 2023-03-23

Family

ID=85799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974A KR102513719B1 (ko) 2022-04-19 2022-04-19 딸기 육묘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7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823B2 (ja) 1996-02-16 2001-03-07 日本発条株式会社 駐車装置
JP2008054612A (ja) 2006-09-01 2008-03-13 Marumoto:Kk 流水育苗ポット台
KR100876048B1 (ko) 2007-08-06 2008-12-26 경상남도 딸기 육묘용 트레이
KR101591241B1 (ko) * 2015-03-16 2016-02-11 박경민 점적관수식 육묘 트레이
KR20170043937A (ko) * 2015-10-14 2017-04-24 강진군 딸기 육묘용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823B2 (ja) 1996-02-16 2001-03-07 日本発条株式会社 駐車装置
JP2008054612A (ja) 2006-09-01 2008-03-13 Marumoto:Kk 流水育苗ポット台
KR100876048B1 (ko) 2007-08-06 2008-12-26 경상남도 딸기 육묘용 트레이
KR101591241B1 (ko) * 2015-03-16 2016-02-11 박경민 점적관수식 육묘 트레이
KR20170043937A (ko) * 2015-10-14 2017-04-24 강진군 딸기 육묘용 장치
KR101831294B1 (ko) 2015-10-14 2018-02-22 강진군 딸기 육묘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724B1 (ko) 점적관수식 육묘용 장치
KR200472972Y1 (ko) 딸기 수경재배용 베드
KR101926988B1 (ko)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KR101675721B1 (ko) 모종 재배 장치
KR101402563B1 (ko) 육묘 포트용 관수장치
KR102095127B1 (ko) 재배효율을 증진시킨 고설재배용 딸기 육묘 연결포트
KR102513719B1 (ko) 딸기 육묘 포트
KR20200113708A (ko) 작물 재배용 포트
US20220354076A1 (en)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 lighting system
KR101845060B1 (ko) 딸기 육묘 설비
KR101915125B1 (ko) 수경재배용 베드
JP7004370B1 (ja) イチゴ苗の生育システム及び生育方法
KR102276043B1 (ko) 간헐적 양액공급방식을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KR20210078469A (ko) 벽면 설치용 식물 포트의 적층 설치 구조
KR101426080B1 (ko) 원형 파이프를 이용한 비대칭 배수구를 갖는 수경재배기
KR102162705B1 (ko) 기능성 화분용기
CN209861768U (zh) 一种红豆树育苗装置
KR20210132840A (ko) 다용도 모듈형 화분
KR102276046B1 (ko) 간헐적 수경재배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간헐적 양액공급방식을 이용한 수경재배시스템
KR200267696Y1 (ko) 딸기 육묘용 연결포트
JP2023004827A (ja) イチゴ栽培用マルチカップベッド
WO2023058257A1 (ja) イチゴ苗の生育システム及び生育方法
JP3237786U (ja) 貯水槽と空気層付き植木鉢。
JP7126294B1 (ja) イチゴ苗の生育方法
KR200317161Y1 (ko) 난초용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