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848B1 - 모종포트 - Google Patents

모종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848B1
KR101200848B1 KR1020090064696A KR20090064696A KR101200848B1 KR 101200848 B1 KR101200848 B1 KR 101200848B1 KR 1020090064696 A KR1020090064696 A KR 1020090064696A KR 20090064696 A KR20090064696 A KR 20090064696A KR 101200848 B1 KR101200848 B1 KR 101200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pipe
seedling
pipe
panel
main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268A (ko
Inventor
이길세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 법인 주식회사 농모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 법인 주식회사 농모두 filed Critical 농업회사 법인 주식회사 농모두
Priority to KR1020090064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848B1/ko
Publication of KR20110007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종포트에 관한 것으로, 모종이 위치되도록 다수개의 배수공을 형성한 원뿔모양의 모종컵이 다수개가 배열되는 판넬과 상기 판넬의 중앙으로 중공관형태의 주분배관이 판넬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주분배관의 일측으로 제1결합부와 제1링홈이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주분배관의 타측으로 제2결합부와 제2링홈이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주분배관에 연결되며 판넬의 형상대로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중공관형태의 보조분배관과 상기 모종컵으로 다수의 방향에서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보조분배관에 연결되며 격자모양으로 배열된 중공관형태의 물이동관이 구성된 물흐름부와 상기 판넬을 다수개로 연결할 경우 하나의 판넬에 형성된 주분배관의 일측에 형성된 제1결합부와 다른 판넬에 형성된 타측의 제2결합부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모종컵으로 액체를 유입하는 주분배관, 보조분배관, 물이동관을 중공형태로 제작하여 상기 주분배관, 보조분배관, 물이동관으로 흐르는 액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의 바이러스나 세균이 액체와 함께 모종컵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모종이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90064696
모종포트, 바이러스, 세균, 파이프

Description

모종포트{The seedling pot}
본 발명은 모종포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종포트의 모종컵으로 액체를 유입하기 위해 형성된 주분배관, 보조분배관, 물이동관의 내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주분배관, 보조분배관, 물이동관을 통해 모종컵으로 흐르는 액체의 오염을 막아 모종이 죽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모종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종포트는 도 1에 도시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 - 234604호와 같이 모종포트(5)의 판넬(1)의 상측으로 배수홈(2)을 형성하고, 모종컵(3)의 상측으로 모종컵(3)과 동일한 개수의 호스를 위치시켜 상기 호스에서 물을 상기 배수홈(2)을 통해 각각의 위치에 배열된 모종컵(3)으로 물과 같은 액체를 흘려보내도록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모종컵으로 액체를 흘려보내는 배수홈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모종컵으로 흐르는 액체가 공기 중에 있는 바이러스나 세균에 오염되어 모종컵에 심어진 모종이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되어 모종이 죽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모종컵으로 액체를 흘려보내기 위해서는 모종포트에 형성된 모종컵의 갯수대로 호스를 배치하고 상기 호스에서 모종컵으로 물을 흘려보내야 했기 때문에, 다수개의 호스를 설치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종포트를 다수개 설치할 때, 상기 모종포트와 인접한 모종포트를 연결할 수가 없어 지면의 상태에 따라 모종포트가 수평을 이루지 못하였으며, 지면의 수평도에 따라 모종컵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일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모종포트를 지면에 위치시킬 때 지면의 상측으로 잡초가 자라거나 오염된 지면에 의해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모종컵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비닐이나 부직포 등을 덮게 되는데 상기 비닐이나 부직포 등에 의해 모종컵에서 외부로 물이 제대로 배수되지 않게 되어 모종컵에 유입된 물에 의해 모종의 뿌리가 썩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모종포트는 모종이 위치되도록 다수개의 배수공을 형성한 원뿔모양의 모종컵이 다수개가 배열되는 판넬과 상기 판넬의 중앙으로 중공관형태의 주분배관이 판넬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주분배관의 일측으로 제1결합부와 제1링홈이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주분배관의 타측으로 제2결합부와 제2링홈이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주분배관에 연결되며 판넬의 형상대로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중공관형태의 보조분배관과 상기 모종컵으로 다수의 방향에서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보조분배관에 연결되며 격자모양으로 배열된 중공관형태의 물이동관이 구성된 물흐름부와 상기 판넬을 다수개로 연결할 경우 하나의 판넬에 형성된 주분배관의 일측에 형성된 제1결합부와 다른 판넬에 형성된 타측의 제2결합부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종컵으로 액체를 유입하는 주분배관, 보조분배관, 물이동관을 중공형태로 제작하여 상기 주분배관, 보조분배관, 물이동관으로 흐르는 액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의 바이러스나 세균이 액체와 함께 모종컵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모종이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되지 않으며, 외부의 이물질이 주분배관, 보조분배관, 물이동관으로 유입되어 쌓이지 않기 때문에, 상기 주분배관, 보조분배관, 물이동관이 막히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하나의 호스를 주분배관에 연결하여 다수개의 모종포트로 물을 유입시키도록 하여, 각각의 모종포트로 물을 흐르게 하기 위한 시설물의 설치수량을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모종포트에 형성된 제1, 2결합부와 제1, 2링홈에 의해 다수개의 모종포트를 결합하도록 하여, 모종포트가 설치되는 지면의 수평도에 상관없이 각각의 모종컵으로 액체를 일정하게 흐르게 하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상기 주분배관에 밸브를 설치하여 모종포트에 따른 액체유입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모종컵으로 물을 유입시키는 물이동관이 격자모양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하나의 모종컵에 다수개의 이동관이 위치되도록 하여 한 곳의 물이동관이나 보조분배관이 막히더라도 다른 곳으로 우회하여 흐르도록 하여 임의의 모종컵으로 물이 흐르지 않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주분배관, 보조분배관, 물이동관의 일부분이 판넬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각각의 모종컵의 경계선이 되도록 하여, 모종컵에 담겨지는 흙이 일정하게 모종컵에 자리를 잡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모종컵을 원뿔모양으로 제작하여 지면에 위치시킬 때, 지면에 위치되는 비닐, 부직포 등을 뚫고 지중으로 모종컵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모종컵으로 유입되는 액체가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종의 뿌리가 썩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종포트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모종포트(5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10)과 물흐름부(2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판넬(1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종이 위치되도 록 다수개의 배수공(11)을 형성한 원뿔모양의 모종컵(12)이 다수개가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물흐름부(2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넬(10)의 중앙으로 중공관형태의 주분배관(21)이 판넬(10)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주분배관(21)의 일측으로 제1결합부(22)와 제1링홈(23)이 형성된 삽입홈(24)과 상기 주분배관(21)의 타측으로 제2결합부(25)와 제2링홈(26)이 형성된 돌출부(27)와, 상기 주분배관(21)에 연결되며 판넬(10)의 형상대로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중공관형태의 보조분배관(28)과 상기 모종컵(12)으로 다수의 방향에서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보조분배관(28)에 연결되며 격자모양으로 배열된 중공관형태의 물이동관(29)이 구성된 물흐름부(20)와 상기 판넬(10)을 다수개로 연결할 경우 하나의 판넬(10)에 형성된 주분배관(21)의 일측에 형성된 제1결합부(22)와 다른 판넬(10)에 형성된 타측의 제2결합부(25)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물흐름부(20)에 형성된 주분배관(21)의 일측으로 밸브를 더 포함하여 제작하도록 하고, 상기 주분배관(21), 보조분배관(28), 물이동관(29)의 일부분이 판넬(1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며, 주분배관(21)의 직경(d1)은 보조분배관(28)의 직경(d2)과 물이동관(29)의 직경(d3)보다 크게 제작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물흐름부(20)의 삽입홈(24)과 돌출부(27)에 형성된 제1결합부(22)와 제2결합부(25)는 모종포트가 다수개가 결합될 때 상호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하며, 제1링홈(23)과 제2링홈(26)에는 고무링(g)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종포트의 운영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모종포트(50)의 모종컵(12)에 상토를 채우도록 한다.
예를 들어, 판넬(10)의 상측으로 많은 양의 상토를 올려놓은 후, 상기 모종포트(50) 전, 후나 좌, 우로 흔들게 되면, 판넬(10)의 상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된 주분배관(21), 보조분배관(28), 물이동관(29)의 경계선에 의해 상기 모종컵(12)으로 일정한 양의 상토가 모종컵(12)으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상기 판넬(10)의 상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된 주분배관(21), 보조분배관(28), 물이동관(29)에 의해 사용자가 모종포트(50)를 편리하게 파지하여 모종포트(5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모종컵(12)에 상토가 일정하게 삽입되게 되면 모종포트(50)를 지면에 설치하도록 하는데 다수개의 모종포트(50)를 결합할 때, 주분배관(21)에 형성된 일측의 삽입홈(24)에 다른 모종포트(50)의 주분배관(21)의 타측에 형성된 돌출부(27)를 일정한 힘을 가하여 삽입하도록 한다.
그러면, 하나의 모종포트(50)의 주분배관(21)에 형성된 일측의 제1결합부(22)와 다른 모종포트(50)의 주분배관(21)에 형성된 타측의 제2결합부(25)가 대응되면서 다수개의 모종포트(50)가 결합되게 된다.
이때, 하나의 주분배관(21)에 형성된 일측의 제1링홈(23)과 다른 주분배관(21)에 형성된 타측의 제2링홈(26)에 고무링(g)을 삽입하여 주분배관(21)을 통해 흐르는 물이 모종포트(50)의 외측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삽입홈(24)의 제1결합부(22)가 돌출된 형태이면 상기 돌출부(27)의 제2결합부(25)는 홈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제1결합부(22)와 제2결합부(25)가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수개의 모종포트(50)를 연결한다.
그리고, 다수개가 설치된 모종포트(50) 중에서 임의의 모종포트(50)의 삽입홈(24)이나 돌출부(27)에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호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나 파이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등을 연결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모종포트(50)를 지면에 고정시키도록 하는데, 일반적으로 지면에 모종포트(50)를 설치할 때, 지면의 상측으로 비닐이나 부직포 등을 설치하게 된다.
이는, 지상에 있는 바이러스나 세균 등이 모종컵(12)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게 하거나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상으로 비닐이나 부직포 등을 설치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종포트(50)를 지면에 설치할 때, 상기 모종컵(12)을 지중으로 일정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모종컵(12)이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모종컵(12)이 비닐이나 부직포 등을 뚫으면서 지중에 고정되게 된다.
그러면, 지상에 설치된 비닐이나 부직포에 의해 모종컵(12)의 내부에 있는 물이 비닐이나 부직포에 고이지 않고 모종컵(12)으로 물이 유입된 물이 배수공(11)을 통해 지중으로 흘러나가기 때문에, 비닐이나 부직포에 의해 물이 고여 썩으면서 발생하는 바이러스나 세균이 모종컵(12)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어 모종이 죽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모종컵(12)에 형성되는 배수공(11)은 모종컵(12)의 중심과 측 면에 다수개로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모종포트(50)의 주분배관(21)의 삽입홈(24)이나 돌출부(27)에 연결된 호스나 파이프를 통해 물을 흐르게 하면, 상기 물이 주분배관(21)을 흐르면서 인접함 다른 모종포트(50)로 물이 순차적으로 흐르게 된다.
그러면, 상기 주분배관(21)에 연결된 보조분배관(28)으로 물이 흐르고 상기 보조분배관(28)에 연결된 물이동관(29)으로 물이 차례대로 흐르게 되면서 상기 물이동관(29)에서 모종컵(12)으로 물이 유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분배관(28)의 직경(d2)과 물이동관(29)의 직경(d3)은 주분배관(21)의 직경(d1)보다 작게 형성되어 주분배관(21)으로 유입되는 물이 보조분배관(28)과 물이동관(29)으로 일정한 압력으로 흐르게 되면서 상기 모종컵(12)으로 일정한 양의 물이 흐르게 된다.
한편, 하나의 모종컵(12)으로 다수개의 물이동관(29)이 배열되어 있어, 임의의 한 지점의 물이동관(29)의 내부가 막히더라도 다른 지점의 물이동관(29)에 의해 물이 모종컵(12)으로 흐르게 되어 물이 모종컵(12)으로 흐르지 않아 모종이 말라죽게 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주분배관(21), 보조분배관(28), 물이동관(29)을 흐르는 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공기 중에 있는 바이러스나 세균 등이 주분배관(21), 보조분배관(28), 물이동관(29)으로 들어가지 않게 되어 모종컵(12)에 심어진 모종이 바이러스나 세균 등에 오염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외부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주분배관(21), 보조분배관(28), 물이 동관(29)으로 쌓이지 않기 때문에, 주분배관(21), 보조분배관(28), 물이동관(29)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종포트(50)의 주분배관(21)에 형성된 삽입홈(24)이나 돌출부(27)에 설치된 밸브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물을 유입하고자하는 모종포트(50)나 물을 유입하지 않고자하는 모종포토(50)의 물의 유입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모종포트(50)를 삽입홈(24)의 제1결합부(22), 제1링홈(23)와 돌출부(27)의 제2결합부(25), 제2링홈(26)을 이용하여 다수개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다수개의 모종포트(50)의 수평을 맞추지 않아도 다수개의 모종포트(50)가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어, 주분배관(21), 보조분배관(28), 물이동관(29)으로 물이 일정하게 흐르게 되며 제1링홈(23)과 제2링홈(26)에 결합되는 고무링(g)에 의해 모종포트(50)의 내측으로 흐르는 물이 모종포트(50)의 외측으로 누수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홈(24)과 돌출부(27)에 형성된 제1, 2결합부(22, 25)에 의해 사용자가 편리하게 다수개의 모종포트(50)를 결합,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모종포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모종포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모종포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모종포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모종포트의 분해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판넬 11 : 배수공
12 : 모종컵 20 : 물흐름부
21 : 주분배관 22 : 제1결합부
23 : 제1링홈 24 : 삽입홈
25 : 제2결합부 26 : 제2링홈
27 : 돌출부 28 : 보조분배관
29 : 물이동관 g : 고무링
50 : 모종포트

Claims (5)

  1. 모종이 위치되도록 다수개의 배수공(11)을 형성한 원뿔모양의 모종컵(12)이 다수개가 배열되는 판넬(10);
    상기 판넬(10)의 중앙으로 중공관형태의 주분배관(21)이 판넬(10)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주분배관(21)의 일측으로 제1결합부(22)와 제1링홈(23)이 형성된 삽입홈(24)과 상기 주분배관(21)의 타측으로 제2결합부(25)와 제2링홈(26)이 형성된 돌출부(27)와, 상기 주분배관(21)에 연결되며 판넬(10)의 형상대로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중공관형태의 보조분배관(28)과 상기 모종컵(12)으로 다수의 방향에서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보조분배관(28)에 연결되며 격자모양으로 배열된 중공관형태의 물이동관(29)이 구성된 물흐름부(20)와 상기 판넬(10)을 다수개로 연결할 경우 하나의 판넬(10)에 형성된 주분배관(21)의 일측에 형성된 제1결합부(22)와 다른 판넬(10)에 형성된 타측의 제2결합부(25)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모종포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흐름부(20)의 주분배관(21)에는 밸브가 더 포함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모종포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흐름부(20)의 주분배관(21), 보조분배관(28), 물이동관(29)의 일부분이 판넬(1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모 종포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흐름부(20)의 주분배관(21)의 직경(d1)은 보조분배관(28)의 직경(d2), 물이동관(29)의 직경(d3)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모종포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흐름부(20)의 삽입홈(24)과 돌출부(27)에 형성된 제1결합부(22)와 제2결합부(25)는 모종포트가 다수개가 결합될 때 상호 대응되어 결합되며 제1링홈(23)과 제2링홈(26)에는 고무링(g)이 결합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모종포트.
KR1020090064696A 2009-07-16 2009-07-16 모종포트 KR101200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696A KR101200848B1 (ko) 2009-07-16 2009-07-16 모종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696A KR101200848B1 (ko) 2009-07-16 2009-07-16 모종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268A KR20110007268A (ko) 2011-01-24
KR101200848B1 true KR101200848B1 (ko) 2012-11-14

Family

ID=4361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696A KR101200848B1 (ko) 2009-07-16 2009-07-16 모종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643A (ko) 2020-09-24 2022-03-31 이성학 모종포트 조립판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6370A (ja) 2000-12-22 2002-07-02 Phytoculture Control Co Ltd 植物栽培システム
KR200422968Y1 (ko) 2006-05-19 2006-08-01 이재경 그루백의 관수 자동화장치
KR100876048B1 (ko) 2007-08-06 2008-12-26 경상남도 딸기 육묘용 트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6370A (ja) 2000-12-22 2002-07-02 Phytoculture Control Co Ltd 植物栽培システム
KR200422968Y1 (ko) 2006-05-19 2006-08-01 이재경 그루백의 관수 자동화장치
KR100876048B1 (ko) 2007-08-06 2008-12-26 경상남도 딸기 육묘용 트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643A (ko) 2020-09-24 2022-03-31 이성학 모종포트 조립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268A (ko) 2011-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6689B2 (ja) 開孔浸透灌漑排水管及び密封式全自動浸透灌漑雨水回収全方位型プランタ
JP3169728U (ja) 立体植物栽培棚
KR101724042B1 (ko)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
KR101466363B1 (ko) 채소, 화초 재배용 연결형 간이 화분
KR100576323B1 (ko) 도로의 배수측구겸용 우수처리시설물
KR101200848B1 (ko) 모종포트
JP2015522299A (ja) 灌漑システム内蔵の垂直型プランター装置
CN104115692A (zh) 蓄排水种植槽
KR101567546B1 (ko) 저면 관수용 포트 받침
CN211703188U (zh) 一种园林雨水回收灌溉系统
CN209924028U (zh) 一种雨水收集装置
JP3162718U (ja) 植え鉢
KR20170112660A (ko) 물받이 일체형 상부 급수식 화분
KR20170134801A (ko) 코이어식생포트용 저면관수장치
CN206090785U (zh) 一种便清洗式可调地漏
CN212507577U (zh) 一种降温型凉亭
KR101291080B1 (ko) 군화 흙 제거장치
CN109526458B (zh) 一种兼具倒挂功能的栽植器
KR100827572B1 (ko) 건축단지용 가변식 조립식 화단시설물
CN207369687U (zh) 建筑设计用组合种植装置
CN206692440U (zh) 一种园林污水处理装置
CN205611367U (zh) 一种新型园林苗木的培育结构
CN206971361U (zh) 生态园林水循环利用系统
KR200321912Y1 (ko) 도로조경용 화분
CN217869767U (zh) 一种园林建设用生态透水型道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