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379A -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379A
KR20210107379A KR1020200022302A KR20200022302A KR20210107379A KR 20210107379 A KR20210107379 A KR 20210107379A KR 1020200022302 A KR1020200022302 A KR 1020200022302A KR 20200022302 A KR20200022302 A KR 20200022302A KR 20210107379 A KR20210107379 A KR 20210107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rigation
drip
irrigation water
wis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준
김남균
엄선정
최영아
안준섭
Original Assignee
강진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군 filed Critical 강진군
Priority to KR1020200022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7379A/ko
Publication of KR20210107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025/006Tubular drip irrigation dispensers mounted coaxially within water feeding 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수를 위한 점적호스 주변에 착탈식으로 간편하게 설치되어 점적호스로부터 공급되는 관수의 공급량을 측정하고, 그에 따른 적정 압력보상 작업 등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상토 베드의 외측으로 관수의 흐름을 쉽게 유도하여 점적관수 배출량의 측정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인력 낭비를 줄이고, 작업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어 점적관수의 배출량 측정 작업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는, 점적호스에서 배출되는 점적관수의 배출량을 측정하기 위한 점적호스 배출량 측정 장치에 있어서, 베드를 따라 길게 설치된 점적호스의 하부로 끼워질 수 있게 길이방향 일측 말단부가 얇고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점적호스로부터 낙하하는 물을 받아 일측 방향으로 흐르게 유도하는 관수유로가 형성된 관수받이부와; 상기 관수받이부가 상기 점적호스의 하부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게 베드의 토양에 꽂히며 상기 관수받이부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핀과; 상기 관수받이부의 일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관수유로를 따라 배출되는 물을 받아 저장하는 관수수용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Drip Irrigation Discharge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수를 위한 점적호스 주변에 착탈식으로 간편하게 설치되어 점적호스로부터 공급되는 관수의 공급량을 측정하고, 그에 따른 적정 압력보상 작업 등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상토 베드의 외측으로 관수의 흐름을 쉽게 유도하여 점적관수 배출량의 측정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인력 낭비를 줄이고, 작업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어 점적관수의 배출량 측정 작업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경재배는 베드(상토를 담는 용기, 그릇 용도)에 흙이 아닌 상토 또는 물을 담아서, 식물체를 심고, 수시로 양분과 수분을 공급하면서 재배하는 방식으로써, 많은 장점이 있으나 수경재배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를 갖추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 중 수경재배용 베드는 상토를 담아 식물체를 식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뿌리가 생장하는 공간으로서 물과 양분, 공기를 보유하고 있는 공간으로써 식물체의 생산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특히, 딸기용 베드는 긴 천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길이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연결하는 형태 등이 주로 사용된다. 여기에 상토를 담고, 점적호스를 깔아서, 양수분 공급하면서 딸기를 수경재배한다.
한편, 딸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주로 수경 재배나 토양 재배를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점적호스를 통해 뿌리에 급액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또한, 이러한 식물 재배를 위해서 설치되는 점적호스는 물이 고루 나오게 하기 위해 물의 압력이 0.5~1.0kg/cm2일 때 전 배관의 물이 오차범위가 적은 압력 보상이 되지만 만일 그보다 압력이 낮거나 높아지면 압력차이에 따라 점적기의 압력차이가 나며 물의 공급량이 틀려져 압력 보상이 깨지게 된다.
그리고, 각 점적호스 설치수가 1열과 2열 3열일 때 물주는 시간은 점적호스 개수가 많을 수록 수분 공급시간은 1/2, 1/3로 줄어야 하지만 100m 정도 관수시 적어도 1분 가까이 급액할 때쯤 끝까지 적정압력이 차서 전체의 점적기에서 물이 고르게 나올 수 있는데, 이는 점적호스가 길수록 일정시간까지는 물이 고루 나오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또한, 관수의 목적은 식물이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고 일부는 배액으로 나오게 하여 남는 이온 및 근권내 이온량을 조절하는 것인데, 1열이든 2열이든 근권에 맞추어 관수가 이루어지면 큰 문제가 없으나, 많은 농가에서는 과다관수에 의한 습해 발생으로 근권손상에 의한 생육 저해와 병해충의 발생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한편, 종래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76048호 "딸기 육묘용 트레이"와 같은 기술에서는 딸기 육묘트레이에 관수를 위한 점적호스를 설치하여 점적호스로부터 뿌리가 위치한 상토에 직접적으로 물과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자동펌프와 타이머로 물의 공급량과 횟수를 조절하여 우수한 묘소질과 높은 양묘획득율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점적호스에서 압력 부족으로 관수의 공급이 과다하거나 충분하지 못한 문제와, 호스의 설치시 고저차에 의한 압력 부족으로 인한 문제 등을 확인하기 위한 점적관수의 측정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이에, 종래에는 점적호스에서 물이 배출되는 관수 배출구멍을 선택하고, 그 배출구멍에서 배출되는 관수를 일일이 용기에 받아 저장된 관수양을 측정하는 방법 등을 통해 상기와 같은 과다관수 문제 또는 압력 보상 문제들을 확인하는 작업을 실시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점적관수의 측정 방법은 수동식으로 관리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점적관수를 받아내어 모아진 관수량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진행되었던 것으로, 이와 같은 방식의 작업은 매우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필요 인력이 많아지는 문제 등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6048호 : 딸기 육묘용 트레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토 베드에 길게 설치된 점적호스의 움직임을 최소화한 상태로 설치 및 해체 작업이 간편하고, 관수수용용기에 점적관수가 쉽게 흐름 유도되어 일정 시간 동안의 점적관수 배출량을 측정하는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단시간에 여러 장소를 이동하며 동시 작업이 가능함에 따라 점적관수의 측정 작업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수수용용기가 관수받이부에 간편하고 쉽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수받이부가 상토 베드에 설치된 상태에서 점적관수가 일정량 모인 관수수용용기만을 착탈하는 작업만으로 점적관수의 측정 작업이 더욱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는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수수용용기가 관수받이부에 고정부재를 통해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편의성이 높은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는, 점적호스에서 배출되는 점적관수의 배출량을 측정하기 위한 점적호스 배출량 측정 장치에 있어서, 베드를 따라 길게 설치된 점적호스의 하부로 끼워질 수 있게 길이방향 일측 말단부가 얇고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점적호스로부터 낙하하는 물을 받아 일측 방향으로 흐르게 유도하는 관수유로가 형성된 관수받이부와; 상기 관수받이부가 상기 점적호스의 하부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게 베드의 토양에 꽂히며 상기 관수받이부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핀과; 상기 관수받이부의 일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관수유로를 따라 배출되는 물을 받아 저장하는 관수수용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는, 상기 관수유로에 설치되어 물이 흡수된 후 배출되게 하는 흡수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는, 상기 관수수용용기의 입구 부분이 상기 관수받이부의 일측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관수수용용기를 상기 관수받이부에 일체로 체결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는, 상기 관수받이부는, 상부에 상기 관수유로가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측에서 길이방향 타측으로 물이 흐르도록 유도하는 상부받침부와, 상기 상부받침부가 상기 베드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게 상기 상부받침부의 하부에서 상기 베드에 지지되는 하부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는, 상기 하부받침부는, 상기 상부받침부 관수유로의 구배 조절이 가능하게 높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는 상토 베드에 길게 설치된 점적호스의 움직임을 최소화한 상태로 설치 및 해체 작업이 간편하고, 점적관수 배출량의 측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단시간에 여러 장소를 이동하며 동시 작업이 가능함에 따라 점적관수의 측정 작업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는 관수수용용기가 관수받이부에 간편하고 쉽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수받이부가 상토 베드에 고정된 상태에서 점적관수가 일정량 모인 관수수용용기만을 착탈하는 작업만으로 점적관수의 측정 작업이 더욱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는 관수수용용기가 관수받이부에 고정부재를 통해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편의성이 매우 높은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의 사용 예를 보이기 위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의 높이 조절 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1)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의 사용 예를 보이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1)는, 점적호스에서 배출되는 점적관수의 배출량을 측정하기 위한 점적관 배출량 측정 장치에 있어서,관수받이부(10), 고정핀(20), 관수수용용기(30), 흡수포(40), 바닥패드(50), 고정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점적관 배출량 측정 장치(1)는 상토 베드(B)를 따라 길게 설치된 점적호스(H)의 외측 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상토 베드가 측면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는 경우 상기 관수받이부(10)의 상부면이 베드의 외측으로 일정 구배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관수받이부(10)는 베드(B)를 따라 길게 설치된 점적호스(H)의 하부로 설치되어 점적호스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받아 베드의 외측으로 흐름 유도하고, 후술되는 상기 관수수용용기(30)에 용이하게 모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관수받이부(10)가 상부받침부(11) 및 하부받침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받침부(11) 및 상기 하부받침부(12)는 상호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 분리 구성되어 서로 부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기 상부받침부(11) 및 상기 하부받침부(12)는 상호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와 하부가 길이방향으로 일정 각도(a)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는, 후술되는 상기 하부받침부(12)가 상토 베드의 측면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받침부(11)의 기울기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설정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 점적관 배출량 측정 장치(1)가 베드의 경사에 따라 기울어지게 설치된 경우 상기 하부받침부(12)의 기울기에 비해 상기 상부받침부(11)의 기울기 각도가 완만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부받침부(11)는 상기 점적호스로부터 낙하하는 관수를 받아 일측 방향으로 흐름 유도하는 관수유로(10a)가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관수유로(10a)는 상기 상부받침부(11)의 길이방향으로 평탄하거나 움푹한 골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는 바닥면(11a)과 상기 바닥면(11a) 주위를 감싸도록 상단부 둘레를 따라 이어지는 돌출턱(11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면(11a)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일정 기울기로 상기 상부받침부(11)가 기울어진 경우 상기 바닥면(11a)을 따라 물이 흐를 수 있게 되고, 이때 상기 바닥면(11a)에서 흐르는 물은 상기 돌출턱(11b)에 의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흐름 유도된다.
이때, 상기 관수유로(10a)에는 상기 상부받침부(11)의 일측 방향으로 유도된 관수가 하방의 한 지점으로 낙하하도록 유도하는 낙하유도부(11c)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낙하유도부(11c)는 상기 상부받침부(11)의 선단부에서 곡선형으로 하방으로 길게 이어지게 형성되고, 말단부로 갈수록 유로가 좁아지며 일정 지점까지 흐름 유도된 관수가 낙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상기 상부받침부(11)가 낙엽이나 가랑잎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받침부(11)는 상기 바닥면(11a), 상기 돌출턱(11b) 및 상기 낙하유도부(11c)가 낙엽이나 가랑잎과 같은 나뭇잎 형상으로 형성되어 점적호스를 통해 배출되는 관수가 마치 나뭇잎을 따라 흐르는 것과 같은 자연미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받침부(11)가 일정 구배를 이루도록 기울어지게 설치된 경우 상기 점적호스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관수유로(10a)를 따라 흐르게 된다. 즉, 상기 돌출턱(11b)에 의해 상기 상부받침부(11)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길이방향 타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된다.
상기 하부받침부(12)는 상기 상부받침부(1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 구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구성으로, 본 발명 점적관 배출량 측정장치(1)가 설치된 경우 상기 상부받침부(11)가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상토 베드(B)에 지지되는 구성이다.
이에, 상기 하부받침부(12)는 전체적으로 상기 상부받침부(11)의 형상과 상하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하부받침부(12)는 베드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테두리 부분이 상기 상부받침부(11)에 비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받침부(12)는 상기 점적호스(H)의 하부로 끼워질 수 있게 길이방향의 일측 말단부에 얇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끼움부(12a)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하부받침부(12)는 상토 베드의 측면 외측 방향에서 길이방향의 일측 말단부에 끼움부(12a)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12a)는 상기 점적호스의 하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로 얇고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점적호스는 통상 상토 베드에 밀착 고정되지 않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일부분만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부받침부(12)의 끼움부(12a)가 상기 점적호스의 하부로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하부받침부(12)의 끼움부(12a)가 상기 점적호스의 하부로 끼워질 때 상기 점적호스가 소정 높이로 들려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끼움부(12a)가 소정 두께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얇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점적호스의 돌출된 높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상토 베드에 길게 설치된 점적호스의 굴곡면이 최소한으로 완만하게 형성되어 상기 점적호스를 통해 공급된 관수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받침부(12)의 길이방향 일측 즉, 상기 끼움부(12a)에는 후술되는 상기 고정핀(20)이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삽입공(12b)이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받침부(11) 및 상기 하부받침부(12)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일정 각도(a)를 이루게 연장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 점적관 배출량 측정 장치(1)는 상기 하부받침부(12)가 상토 베드의 경사면에서 외측을 향하여 일정 기울기로 기울어지게 설치된 경우 상기 상부받침부(11)의 상부면 즉, 상기 관수유로(10a)가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상부받침부(11) 및 상기 하부받침부(12)는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점적관 배출량 측정 장치(1)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공이 용이함은 물론, 취급시 바닥에 떨어지는 경우에도 파손되는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20)은, 상기 관수받이부(10)의 일측 말단부 즉, 상기 끼움부(12a)가 상기 점적호스(H)의 하부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게 베드의 토양에 꽂히는 구성이다.
이에, 상기 고정핀(20)은 상기 하부받침부(12)의 상기 끼움부(12a)에 형성된 상기 한 쌍의 삽입공(12b) 각각에 삽입되어 베드에 꽂히는 한 쌍의 고정핀(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20)은 상단부에 파지가 용이한 손잡이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다룰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장치(1)는 상기 한 쌍의 고정핀(20)을 통해 상기 베드에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핀(20)은 상기 점적호스(H)의 내측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점적호스의 내측 단부에 상기 고정핀(20)이 걸림 지지됨으로써 상기 관수받이부(10)를 상토 베드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상기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장치(1)는 후술되는 상기 관수수용용기(30)에 일정량의 관수가 모여 자중이 증가한 경우에도 상기 고정핀(20)과 함께 상기 점적호스(H)의 고정력에 의해 이중 지지되어 상기 관수받이부(10)가 상기 점적호스(H)의 하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매우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관수수용용기(30)는 상기 관수받이부(10)의 일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받침부(11)에 형성된 관수유로(10a)를 따라 배출되는 물을 받아 저장하고, 일정 시간 동안 저장된 관수량을 통해 점적관수의 배출량을 확인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상기 관수수용용기(30)는 상기 상부받침부(11)를 통해 낙하하는 물을 받아내도록 상기 하부받침부(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하부받침부(12)에는 상기 관수수용용기(30)의 상단부 입구가 끼움 고정되는 원형의 끼움부(12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받침부(12)는 상기 낙하유도부(11c)가 상기 끼움부(12b) 내부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이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수수용용기(30)는 상단부 입구가 상기 끼움부(12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관수유로(10a)를 따라 유도되어 상기 낙하유도부(11c)로 낙하하는 물이 모여 저장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관수수용용기(30)는 낙하시 파손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관수수용용기(30)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메스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스실린더는 관수된 물을 일정량 모아 측정할 수 있는 눈금이 새겨질 수 있을 것으로, 세로로 긴 일자형이나 하부가 넓적한 보울(bowl) 형태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상기 메스실린더의 구체적인 형상은 굳이 한정되지 않을 것이며, 상기 관수받이부(1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떤 것이든 무방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관수수용용기(30)는 상기 끼움부(12b)에 용이하게 억지 끼움될 수 있도록 상단부 입구가 외부로 소정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3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1)는 상기 관수받이부(10)의 관수유로(10a)를 통해 흐르는 물이 흡수되는 흡수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1)는 상기 흡수포(40)를 통해 상기 관수유로(10a)에서 흐르는 물이 흡수된 후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수받이부(10)의 관수유로를 따라 흐르는 물은 상기 흡수포(40)에서 먼저 흡수된 후 상기 낙하유도부(11c)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1)는 상기 고정핀(20)을 상토 베드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수받이부(10)로 낙하하는 물이 상기 관수유로(10a)를 통해 상기 관수수용용기(30)로 곧바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흡수포(40)에 충분히 흡수되는 일정 시간동안 배출 시간이 지연된다.
따라서, 상기 관수받이부(10)가 상토 베드의 측면 방향에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경우 상기 관수수용용기(30)로 곧바로 물이 유입되지 않아 상기 관수수용용기(30)를 상기 관수받이부(10)에 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이와 같은 상기 흡수포(40)를 설치한 경우 상기 관수받이부(10)가 일정 기울기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관수유로(10a)를 따라 흐르는 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안정적인 흐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른 점적관수의 배출량을 측정하기 작업이 원활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는 상기 하부받침부(12)는, 상기 상부받침부(11)에 형성된 관수유로(10a)의 구배 조절이 가능하게 높이 조절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1)는 바닥패드(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바닥패드(5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51)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도 3에는 상기 바닥패드(50)가 평평한 형태로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상기 바닥패드(50)는 상기 상부받침부(11)의 구배 조절 각도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 저부가 어느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상부받침부(11) 및 상기 하부받침부(12)는 상호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와 하부가 길이방향으로 일정 각도(a)를 이루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바닥패드(50) 저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경우 상기 상부받침부(11) 및 상기 하부받침부(12)가 상호 일정 경사각을 이루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1)는 상토 베드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관수유로(10a)의 기울기를 형성하기 위해 구배 조절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하부받침부(12)에는 저부에 상기 끼움돌기(51)가 억지 끼움될 수 있는 끼움홀(12c)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끼움홀(12c)은 상기 바닥패드(50)에 형성된 상기 끼움돌기(51)와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1)는 상기 관수수용용기(30)의 입구 부분이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관수수용용기(30)를 상기 관수받이부(1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 고정시키는 고정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의 높이 조절 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60)는 상기 관수수용용기(30)의 입구 부분 즉,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30a)이 걸려 지지되는 끼움구멍(61)과, 상기 끼움구멍(61)과 일체로 연장되어 상하로 소정 길이만큼 길게 형성된 삽입다리(62)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받침부(12)는 길이방향의 타측 말단부에 상기 삽입다리(62)가 상방에서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홀(12d)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고정부재(60)는 상기 삽입다리(62)가 상기 끼움홀(12d)의 상방에서 삽입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관수수용용기(30)는 상기 고정부재(60)에 간편하게 착탈되고, 상기 관수수용용기(30)가 결합된 상태의 상기 고정부재(60)는 상기 하부받침부(12)에 간편하게 착탈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받침부(12)에 형성된 상기 끼움홀(12d)은 상기 관수수용용기(30)의 입구가 상기 낙하유도부(11c)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는 적정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받침부(12)는 상기 낙하유도부(11c)가 상기 끼움구멍(61) 내부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이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1)는 상기 관수받이부(10)를 상토 베드에 고정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관수수용용기(30)만을 따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고, 그에 따라 다수의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1)를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즉, 본 발명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1)를 이용한 점적관수의 배출량 측정 작업을 위한 설치 및 해체 작업 등이 적은 인력으로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종래의 수작업 등에 비해 점적관수의 배출량 측정 작업이 매우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점적호스 배출량 측정장치
10 관수받이부
11 상부받침부
12 하부받침부
20 고정핀
30 관수수용용기
40 흡수포
50 바닥패드
60 고정부재

Claims (5)

  1. 점적호스에서 배출되는 점적관수의 배출량을 측정하기 위한 점적호스 배출량 측정 장치에 있어서,
    베드를 따라 길게 설치된 점적호스의 하부로 끼워질 수 있게 길이방향 일측 말단부가 얇고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점적호스로부터 낙하하는 물을 받아 일측 방향으로 흐르게 유도하는 관수유로가 형성된 관수받이부와;
    상기 관수받이부가 상기 점적호스의 하부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게 베드의 토양에 꽂히며 상기 관수받이부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핀과;
    상기 관수받이부의 일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관수유로를 따라 배출되는 물을 받아 저장하는 관수수용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호스 배출량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유로에 설치되어 물이 흡수된 후 배출되게 하는 흡수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수용용기의 입구 부분이 상기 관수받이부의 일측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관수수용용기를 상기 관수받이부에 일체로 체결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받이부는, 상부에 상기 관수유로가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측에서 길이방향 타측으로 물이 흐르도록 유도하는 상부받침부와, 상기 상부받침부가 상기 베드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게 상기 상부받침부의 하부에서 상기 베드에 지지되는 하부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부는, 상기 상부받침부 관수유로의 구배 조절이 가능하게 높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
KR1020200022302A 2020-02-24 2020-02-24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 KR20210107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302A KR20210107379A (ko) 2020-02-24 2020-02-24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302A KR20210107379A (ko) 2020-02-24 2020-02-24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379A true KR20210107379A (ko) 2021-09-01

Family

ID=77780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302A KR20210107379A (ko) 2020-02-24 2020-02-24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737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048B1 (ko) 2007-08-06 2008-12-26 경상남도 딸기 육묘용 트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048B1 (ko) 2007-08-06 2008-12-26 경상남도 딸기 육묘용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8286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KR101699854B1 (ko) 딸기 수경재배용 멀티컵베드
KR200472972Y1 (ko) 딸기 수경재배용 베드
KR101402563B1 (ko) 육묘 포트용 관수장치
KR101675721B1 (ko) 모종 재배 장치
JP4431774B2 (ja) 流水育苗ポット台
KR101926988B1 (ko)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JP6206802B2 (ja) 水耕栽培装置
KR200489529Y1 (ko) 딸기 육묘용 트레이 받침대
KR101698669B1 (ko) 육묘용 포트 플레이트
JP2020000212A (ja) 可動型育苗棚ユニット
KR20210107379A (ko) 점적관수 배출량 측정 장치
KR100788273B1 (ko) 자동 저면 관수가 이루어지는 육묘 재배장치
KR102511318B1 (ko) 스마트팜 수경재배장치
KR20210105157A (ko) 뿌리 식물 재배 장치
JP4507444B2 (ja) 植物水耕栽培装置
KR101914112B1 (ko) 화분
CN204540120U (zh) 一种袋育苗苗床
KR20020025754A (ko) 화분의 자동수분공급장치
KR102300685B1 (ko)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KR102455010B1 (ko) 제자리 재배가 가능한 딸기 이중 재배포트
KR20110101545A (ko)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
JP2002218849A (ja) 高架栽培用培地容器
KR20210105158A (ko) 뿌리 식물 재배 방법
US20230255136A1 (en) Planting system for optimization of plant growth with direct air inj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