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545A -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 - Google Patents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01545A KR20110101545A KR1020100020608A KR20100020608A KR20110101545A KR 20110101545 A KR20110101545 A KR 20110101545A KR 1020100020608 A KR1020100020608 A KR 1020100020608A KR 20100020608 A KR20100020608 A KR 20100020608A KR 20110101545 A KR20110101545 A KR 201101015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nursery
- support
- seating member
- sha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정 구조를 갖는 용기받침대를 통해 시설양묘에 사용되는 양묘용기를 이용한 묘목이나 식물의 재배 시에 자연스러운 공기단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원활한 배수 및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수고가 큰 묘목을 시설 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시설양묘를 행할 수 있도록 한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는, 그 상면에 다수 개의 양묘용기가 안착되도록 직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다수 개의 횡부재 및 종부재가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격자무늬 형상을 갖음과 아울러, 그 정중앙 및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는 횡부재 및 종부재의 일부가 제거되어 설치홀이 형성된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설치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재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설치되도록 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는, 그 상면에 다수 개의 양묘용기가 안착되도록 직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다수 개의 횡부재 및 종부재가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격자무늬 형상을 갖음과 아울러, 그 정중앙 및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는 횡부재 및 종부재의 일부가 제거되어 설치홀이 형성된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설치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재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설치되도록 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구조를 갖는 용기받침대 상측에 산림시설양묘에 사용되는 양묘용기를 안착시킴에 따라 원활한 공기단근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보다 효율적인 양묘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이동형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전세계 시설양묘 분야에서 이러한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이동형의 용기받침대는 최초로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설양묘라 함은 온실이나 온상을 이용하여 불량한 생육 환경을 극복하고, 우량 묘목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시설양묘에 있어서는 관상용이나 녹화용 묘목을 공급하거나 각종 작물의 어린식물을 재배하기 위해 양묘용기를 이용하게 되는데, 상기 양묘용기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설치되어야만 양묘용기 하부로 자라나오는 뿌리가 지면과 맞닿아 지중으로 자라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해 다양한 구조의 용기받침대가 사용되게 된다.
즉, 이를 통해 상기 양묘용기 내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뿌리가 양묘용기 하부로 자라나온 후 자라나온 뿌리가 공기와 접촉하면서 말라죽고 양묘용기 내부의 뿌리에는 세근이 발달하게 되는 공기단근 작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면서 양질의 묘목이나 식물을 재배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시설양묘에서 상기 양묘용기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고정형의 용기받침대가 사용되게 된다.
그러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용기받침대는 금속 파이프나 철망을 나사로 결합하여 시설 내에 설치하기 때문에 조립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해체하지 않고는 이동이 불가능하며, 장기간 사용 시에 부식이 발생됨과 아울러 양묘 작업 시에 굵은 철망의 끊어진 부분에 의해 작업자의 신체에 손상이 일어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는 대략 60 내지 70센티미터[cm]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이루어져, 시설양묘를 통해 수고가 큰 수목을 생산하는데는 제한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높은 규격(60~70센티미터[cm])으로 인하여 겨울철 월동 시에 저온 및 건조피해가 많은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즉, 용기받침대의 높이가 지면에서 높을 수록 저온 및 건조피해가 높고, 낮을 수록 지면의 열과 습도의 영향을 받아 저온 및 건조피해가 낮은 경향을 보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특정 구조를 갖는 용기받침대를 통해 시설양묘에 사용되는 양묘용기를 이용한 묘목이나 식물의 재배 시에 자연스러운 공기단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원활한 배수 및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수고가 큰 묘목을 시설 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시설양묘를 행할 수 있도록 한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는, 그 상면에 다수 개의 시설양묘용 용기가 안착되도록 직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다수 개의 횡부재 및 종부재가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격자무늬 형상을 갖음과 아울러, 그 정중앙 및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는 횡부재 및 종부재의 일부가 제거되어 설치홀이 형성된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설치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재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설치되도록 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착부재의 설치홀은 그 평면의 형상이 각각 "+","T","ㄱ","ㄴ"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받침부재도 그와 대응되는 평면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해당 설치홀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부재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에는 배수홀이 천공되며, 각 받침부재는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면적이 점차 축소된 형태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용기받침대는 상호 대응되는 받침부재가 상호 끼워지면서 적재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각각의 받침부재의 몸체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한 쌍씩의 통풍홀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구조를 갖는 용기받침대를 통해 시설양묘에 사용되는 양묘용기를 이용한 묘목이나 식물의 재배 시에 자연스러운 공기단근 작용 및 원활한 배수, 통풍 작용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시설양묘를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용기받침대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가볍고 취급이 용이하여 시설 내.외로 이동이 용이하며,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양묘 작업 시에 기존의 금속재 용기받침대에 비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게 된다.
그리고, 용기받침대를 구성하는 받침부재의 높이가 대략 15 내지 20센티미터[cm] 정도로 낮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중묘 및 대묘와 같은 용기묘 생산에도 적합한 효과가 있게 된다.
또, 다수 개의 용기받침대는 상호 포개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용기받침대의 운반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한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하부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와 정면도 및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하부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와 정면도 및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하부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와 정면도 및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하부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는, 플라스틱 재질을 매개로 일체형 몸체로 형성되되, 대략 직사각판 형태를 갖는 안착부재(10) 및 상기 안착부재(1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설치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받침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안착부재(10)는 상면에 다수 개의 양묘용기가 안착되도록 직사각판 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그 몸체는 다수 개의 횡부재(12) 및 종부재(14)가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격자무늬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재(10)를 구성하는 종부재(14)는 일정 두께를 갖는 종부재(14) 및 상기 종부재(14) 보다 약간 두께가 얇은 보조 종부재(14a)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재(10)는 그 가로 및 세로의 길이(d1 및 d2)가 각각 120센티미터[cm] 및 100센티미터[cm]의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횡부재(12) 및 종부재(14)의 두께(T)는 7밀리미터[mm] 내지 9밀리미터[mm]의 치수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다수 개의 횡부재(12) 및 종부재(14)를 매개로 형성된 격자무늬 형상이 이루는 공간부는 그 가로 및 세로의 길이(d3 및 d4)가 각각 35밀리미터[mm] 및 70밀리미터[mm] 정도의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재(10)의 정중앙 및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는 상기 횡부재(12) 및 종부재(14)의 일부가 제거되어 상기 받침부재(20)와 연통되도록 설치홀(16)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설치홀(16)과 대응되도록 안착부재(10)의 하면에는 다수 개의 받침부재(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재(1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받침부재는 15센티미터[cm] 내지 20센티미터[cm]의 높이(h)를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착부재(10)의 설치홀(16)은 그 평면의 형상이 각각 "+","T","ㄱ","ㄴ" 등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재(20)도 상기 설치홀(16)과 대응되도록 동일한 평면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해당 설치홀(16)의 하측에 각각 형성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안착부재(10)의 정중앙에 형성되는 설치홀(16)은 그 평면형상이 대략 "+"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 상태에서, 그 전.후측에는 대략 "T" 형상의 평면형상을 갖는 설치홀(16)이 배치되고, 그 양측에는 대략 "+" 형상의 평면형상을 갖는 설치홀(16)이 배치되며, 상기 안착부재(10)의 각 모서리부분에는 대략 "ㄱ" 형상 또는 "ㄴ" 형상의 평면형상을 갖는 설치홀(16)이 배치되는 한편, 상기 각각의 설치홀(16)에는 그와 대응되는 평면형상을 갖는 받침부재(20)가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상의 받침부재(20)는 그 내부가 빈 상태로 이루어져 일정 공간부를 갖으며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에는 배수홀(22)이 형성되어 구성됨과 아울러, 각각의 받침부재(20)는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면적이 점차 축소된 형태를 이루도록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용기받침대가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받침부재(20)가 포개진 형태로 끼워짐에 따라 다량의 용기받침대를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안착부재(10) 하면에 위치한 각 받침부재(20) 사이의 간격을 통해서는 지게발 등이 어느 방향에서나 용이하게 인입될 수가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각각의 받침부재(20) 몸체에는 다수 개의 통풍홀(24)을 천공하여 원활한 통풍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각 받침부재(20)의 몸체에는 대략 가로 2센티미터[cm], 세로 4센티미터[cm] 정도 크기의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한 쌍씩의 통풍홀(24)이 천공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세로방향을 따라 중앙에 배열된 세 개의 받침부재(20)에 형성된 통풍홀(24)은 일직선 형태를 이루도록 6개가 연통되게 천공되어 구성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가볍고 취급이 용이함과 아울러, 다수 개의 받침부재(20) 사이에 사방 어느 방향에서나 지게발을 위치시킬 수가 있으므로. 용기받침대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일정 지점에 설치할 수가 있다.
이에, 일정 지점에 고정 설치된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의 상기 안착부재(10) 상면에는 시설양묘를 위한 다수 개의 양묘용기를 안착시켜 시설양묘를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용기받침대의 횡부재(12) 및 종부재(14)는 그 두께가 대략 7밀리미터[mm] 내지 9밀리미터[mm] 정도로 최소화 된 구조로 안착부재(10)를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양묘용기로부터 자라나오는 뿌리가 횡부재(12) 및 종부재(14)에 막혀 다시 위로 올라가거나 옆으로 자라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횡부재(12) 및 종부재(14)로 이루어져 대략 격자무늬 형상을 갖는 공간부는 대략 35밀리미터[mm] 및 70밀리미터[mm] 정도의 크기를 유지하므로, 시설양묘용으로 개발된 다양한 종류의 양묘용기를 모두 적용시킬 수가 있음은 물론, 상기 공간부를 통해 양묘용기 하측으로 자라나오는 뿌리에 원활한 공기단근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양묘용기 내부의 뿌리에는 세근이 충분히 발달할 수가 있게 된다.
다시말하면, 상기 용기받침대는 산림시설양묘용으로 개발된 10여종의 용기들을 일정하게 배열할 수가 있으며, 상기 안착부재(10)의 격자무늬 형상 배열을 통해 그 상면에 배열된 용기의 기저부가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의 각 받침부재(20)에는 한 쌍씩의 통풍홀(24) 및 배수홀(2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활한 통풍작용 및 배수작용이 이루어지면서 효율적인 양묘가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안착부재(10)의 설치홀(16) 상측에 배치된 용기의 기저부에서 자라나오는 뿌리는 상기 통풍홀(24)을 통해 유통되는 공기에 의해 뿌리단근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의 안착부재(10) 하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받침부재(20)는 그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면적이 점차 축소된 형태를 이루도록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이므로, 상기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용기받침대를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받침부재(20)가 포개진 형태로 끼운 후 다량 적재하여 용이하게 이동 및 보관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안착부재, 12: 횡부재,
14: 종부재, 14a: 보조종부재,
16: 설치홀, 20: 받침부재,
22: 배수홀, 24: 통풍홀.
10: 안착부재, 12: 횡부재,
14: 종부재, 14a: 보조종부재,
16: 설치홀, 20: 받침부재,
22: 배수홀, 24: 통풍홀.
Claims (3)
- 그 상면에 다수 개의 시설양묘용 용기가 안착되도록 직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다수 개의 횡부재 및 종부재가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격자무늬 형상을 갖음과 아울러, 그 정중앙 및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는 횡부재 및 종부재의 일부가 제거되어 설치홀이 형성된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설치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재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설치되도록 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의 설치홀은 그 평면의 형상이 각각 "+","T","ㄱ","ㄴ"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받침부재도 그와 대응되는 평면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해당 설치홀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에는 배수홀이 천공되며, 각 받침부재는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면적이 점차 축소된 형태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용기받침대는 상호 대응되는 받침부재가 상호 끼워지면서 적재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각각의 받침부재의 몸체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한 쌍씩의 통풍홀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0608A KR20110101545A (ko) | 2010-03-09 | 2010-03-09 |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0608A KR20110101545A (ko) | 2010-03-09 | 2010-03-09 |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1545A true KR20110101545A (ko) | 2011-09-16 |
Family
ID=4495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0608A KR20110101545A (ko) | 2010-03-09 | 2010-03-09 |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10154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0871A (ko) | 2020-05-14 | 2021-11-23 | 한보일렉트(주) | 롤러 이동 방식의 양묘 장치 |
KR20220156160A (ko) | 2021-05-18 | 2022-11-25 | 한보일렉트(주) | 파이프 조립 구조의 묘목 트레이 장치 |
-
2010
- 2010-03-09 KR KR1020100020608A patent/KR2011010154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0871A (ko) | 2020-05-14 | 2021-11-23 | 한보일렉트(주) | 롤러 이동 방식의 양묘 장치 |
KR20220156160A (ko) | 2021-05-18 | 2022-11-25 | 한보일렉트(주) | 파이프 조립 구조의 묘목 트레이 장치 |
KR20230044175A (ko) | 2021-05-18 | 2023-04-03 | 한보일렉트(주) | 파이프 조립 구조의 묘목 트레이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182867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 |
KR102514269B1 (ko) | 캐리어 상에 배열되는 제거 가능한 측면 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캐리어를 이용하는 식물의 재배를 위한 방법 | |
KR101570978B1 (ko) | 수경재배용 모종판 | |
JP2014018110A (ja) | 水耕栽培装置 | |
JP6388349B2 (ja) | イチゴ栽培装置及びイチゴ栽培方法 | |
KR20110101545A (ko) |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 | |
JP2007282539A (ja) | クマツヅラ科イワダレソウ属植物の生産方法 | |
JPH10155378A (ja) | 水耕栽培方法および水耕栽培装置 | |
CN211090974U (zh) | 一种用于园林绿化苗木育苗床 | |
CN210328687U (zh) | 一种育苗盘 | |
KR100809502B1 (ko) | 화분용 흙공급장치 | |
CN204540120U (zh) | 一种袋育苗苗床 | |
JP3398622B2 (ja) | 栽培容器ユニット及びこれを利用した高設栽培装置 | |
JP6138672B2 (ja) | 育苗セットと、トレイと、育苗ポットと、苗のスペーシング方法と、育苗方法 | |
CN209931144U (zh) | 一种便于移栽的育苗盘 | |
JP2015142518A (ja) | 樹木苗の育苗用装置及び生産方法 | |
CN106613874A (zh) | 一种农业大棚育苗床 | |
JP6946215B2 (ja) | 水耕栽培装置の苗受部構造 | |
KR20230016115A (ko) | 지피포트를 이용한 저면관수식 육묘방법 및 저면관수장치 | |
JP3128164U (ja) | 水耕栽培容器。 | |
KR101319615B1 (ko) | 토경 재배용 식재 유니트 | |
JP2016010388A (ja) | 栽培床、栽培床を使用する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装置を使用する方法 | |
JP3093900U (ja) | 育苗箱 | |
KR200477085Y1 (ko) | 수목 채소용 컨테이너 | |
CN114885707A (zh) | 种植蔬菜用的育苗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