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215Y1 - 납골함 - Google Patents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215Y1
KR200301215Y1 KR20-2002-0031466U KR20020031466U KR200301215Y1 KR 200301215 Y1 KR200301215 Y1 KR 200301215Y1 KR 20020031466 U KR20020031466 U KR 20020031466U KR 200301215 Y1 KR200301215 Y1 KR 200301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es
pottery
ossuary
protection
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헌의
Original Assignee
박헌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헌의 filed Critical 박헌의
Priority to KR20-2002-0031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2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2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는 유골(11)을 담을 수 있는 수납부(21)가 형성되고, 상방 개구부(22)에는 개폐가능한 옹기뚜껑(23)이 구비된 유골옹기(20)와, 내부에는 상기 유골옹기(20)와 소정 용량의 숯부재(40)가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부(31)가 형성되며, 상방 개구부(32)에는 개폐가능한 옹기뚜껑(33)이 구비된 유골함보호옹기(30)와, 상기 유골함보호옹기(30) 내에 상기 유골옹기(20)가 안치되고 남은 공간부(31)에 채워져, 제습, 정화, 방취, 방충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숯부재(40)로 구성되어 통기성이 우수한 유골옹기(20)가 유골함보호옹기(30)의 내부에 안치되어 이중벽을 구성하여 납골함 내부와 외부사이의 온도차이에 의한 결로현상을 막아 유골(11)이 습기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골옹기(20)의 외측면과 유골함보호옹기(30)의 내면 사이 공간부에 채워지는 숯부재(40)는 상기 유골옹기(20)와 유골함보호옹기(30)를 통과하여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하고, 제습시켜 미생물과 곰팡이의 생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며, 납골함 자체내의 냄새를 제거하여 납골당내부의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망자의 소중한 유골(11)이 변질되지 않고 영구히 보관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납골함{A Case for Laying a person's ashes to rest}
본 고안은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납골함을 통기성이 좋은 옹기로 이중벽을 형성하고, 이 이중벽사이에 숯을 채워 납골함 내에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로 부터 널리 행해지는 장례문화는 시신을 관에 넣고, 봉분을 세우는 매장방식과 시신을 화장하여 생긴 유골을 납골함에 담아 납골당에 안치하는 화장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장방식은 많은 분묘용지를 필요로 하여, 부지확보 등의 어려움이 있어 근래에는 유골을 납골함에 담아 납골당에 안치하는 화장방식의 장례문화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상기 납골함은 통상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유골을 담을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된 단지부재와, 상기 단지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이 단지부재를 밀폐시키는 뚜껑부재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상기 단지부재와 이 단지부재를 밀폐시키는 뚜껑부재는 주로 옥이나 대리석 등과 같은 천연석재를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납골함은 단순히 단지부재내의 수납부에 유골을 담은 후 뚜껑으로 밀폐시킨 후 납골당에 보관하기 때문에, 납골당 내부와 납골함의 단지부재 내부와의 기온차, 납골당 내의 습도 등에 의해 단지부재 내측에 결로현상이발생되어, 유골이 변질되고,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유골함(1)의 저판부(2) 내측 중앙에 수납실(3)을 요설하고, 이에 제습, 방취제(4)를 수납한 다음, 이 상부에 면포, 베포와 같은 유골 또는 유골분 받침용 부직포(5)를 피복하고, 수납실(3) 하부에 외부와 연통하는 미세한 통기공(6)을 천설하고, 통기공(6) 외주연 하방 저면에 돌출턱(7)을 돌설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유골함의 구조는 유골함 저부에 받침용 부직포로 제습, 방취제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구성되어, 유골함하부에 형성된 통기공에 의해 습한 외부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제습, 방취제의 효과를 저하시키며, 유골함의 측면은 외부공기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그의 내측에서 외측과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통기성이 우수한 크고 작은 두개의 옹기를 내, 외측에 위치시키는 형태로 이중벽으로 구성하되, 이들 옹기사이에 제습, 방취제로 숯을 채워넣는 방식을 통해 납골함 내에 발생되는 결로현상과 이로 인한 유골의 변질과 악취를 완전히 방지하는 납골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납골함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유골함 2 - 저판부
3 - 수납실 4 - 제습, 방취제
5 - 부직포 6 - 통기공
7 - 돌출턱 11 - 유골
20 - 유골옹기 21 - 수납부
22 - 개구부 23 - 옹기뚜껑
24 - 결합돌기 30 - 유골함보호옹기
31 - 공간부 40 - 숯부재
50 - 비문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는 유골(11)을 담을 수 있는 수납부(21)가 형성되고, 상방 개구부(22)에는 개폐가능한 옹기뚜껑(23)이 구비된 유골옹기(20)와;
내부에는 상기 유골옹기(20)와 소정 용량의 숯부재(40)가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부(31)가 형성되며, 상방 개구부(32)에는 개폐가능한 옹기뚜껑(33)이 구비된 유골함보호옹기(30)와;
상기 유골함보호옹기(30) 내에 상기 유골옹기(20)가 안치되고 남은 공간부(31)에 채워져, 제습, 정화, 방취, 방충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숯부재(4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즉, 통기성이 우수한 유골옹기(20)를 유골함보호옹기(30)의 내부에 안치시켜 이중벽을 구성하고, 이 유골옹기(20)의 외측면과 상기 유골보호옹기(30)의 내부면 사이에는 숯부재(40)가 채워져 유골옹기(20)에 수납되는 유골(11)에 신선한 공기를 원할히 순환하여 곰팡이등과 같은 미생물의 생성을 방지하고, 습기와 냄새는 이중의 옹기벽과 숯부재(40)를 통과하면서 완전히 제거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로서, 내, 유골함보호옹기와 유골함보호옹기뚜껑이 분리되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유골옹기가 유골함보호옹기내에 내장되고,각각 내, 유골함보호옹기뚜껑이 결합되며, 상기 내, 유골함보호옹기 사이의 공간부에는 숯부재가 채워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인 납골함의 가장 큰 특징은 유골이 담겨지는 유골옹기(20)를 유골함보호옹기(30)의 내부에 안치시켜 이중벽을 구성하고, 이 유골옹기(20)의 외측면과 상기 유골보호옹기(30)의 내부면 사이에는 숯부재(40)를 채우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옹기는 찰흙에다 나뭇잎이 썩어 만들어지는 부엽토와 재를 썩혀 만든 잿물을 입혀 구워내며, 공기를 정화해 주고, 통기성이 우수하여 내, 외측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특성이 있다.
또한, 옹기의 기본재료인 태토는 작은 모래알갱이나 작은 돌덩이 등을 포함하여, 이러한 작은 알갱이들이 소성을 통하여 옹기 내부에 미세한 공간을 만들어 습기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내, 외측의 공기는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숯부재(40)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미생물과 곰팡이의 생성을 억제하는 방부효과, 내부가 다공질로 되어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여과효과, 주위의 습기를 흡수하는 제습효과와, 부패균의 발생을 억제하여 냄새의 근원을 없애고, 악취를 흡착하는 냄새제거효과, 벌레등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는 방충효과등이 있다.
한편, 도 2 ∼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납골함의 유골옹기(20)는 상방이 개구부(22)로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납부(21)가 형성되어 유골(11)이 담겨진다.
그리고, 상기 유골(11)이 담겨진 유골옹기(20)의 상부에는 옹기뚜껑(23)이위치하여 상방 개구부(22)를 밀폐하고, 이 유골옹기뚜껑(23)의 하부에는 결합돌기(24)가 형성되어 유골옹기(20)의 상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유골옹기(20)는 상방이 개구부(32)로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공간부(31)가 형성된 유골함보호옹기(30)에 내장되며, 이 유골함보호옹기(30)의 공간부(31)는 유골옹기(20)가 내장될 경우 이 유골옹기(20)의 외측면과 상기 유골함보호용기(30)의 내측면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유골옹기(20)가 상기 유골함보호옹기(30)의 내부에 내장되면서 발생되는 유골옹기(20)의 외측면과 상기 유골함보호용기(30)의 내측면사이 공간부(31)에는 숯부재(40)가 채워져 제습, 정화, 방취, 방충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유골함보호옹기(30)의 상부에는 옹기뚜껑(33)이 구비되어 상기 유골옹기(20)와 숯부재(40)가 내장되는 개구부(32)를 밀폐하고, 이 옹기뚜껑(33)의 하부에는 결합돌기(34)가 형성되어 유골함보호옹기(30)의 상부에서 옹기뚜껑(33)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여 밀폐된 상태를 유지 한다.
또, 상기 외측단지부재의 외측면에는 망자의 비문(50)을 각인 형성시켜 외관미를 증대시키고, 다른 납골함와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골함보호옹기(30)의 공간부(31) 하부에 숯부재(40)를 소정의 양으로 채운 후 수납부(21)에 유골(11)을 담아 옹기뚜껑(23)으로 밀폐된 유골옹기(20)를 상기 공간부(31)에 내장하고, 숯부재(40)를 완전히 가득 채운 다음 옹기뚜껑(33)을 상기 유골함보호옹기(30) 상방 개구부(32)에 결합하여 공간부(31)를 밀폐시키는 것이다.
즉, 외부에서 유골함보호옹기(30)를 통과한 공기는 숯부재(40)를 거치고, 다시 유골옹기(20)를 통과여 수납부(21)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다시 숯부재(40)를 통하여 유골함보호옹기(30)로 배출되어 내, 외측 공기가 순환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인 납골함는 유골(11)을 보관할 경우 통기성이 우수한 유골옹기(20)가 유골함보호옹기(30)의 내부로 안치되어 이중벽을 구성하여 내외측 공기가 별도의 통기공 없이도 원할하게 순환되어 내, 외측온도차를 최소화하고,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는 순환되는 과정에서 옹기의 미세한 공간에 의해 흡수되어 유골옹기(20) 내부에 습기가 유입되거나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유골옹기(20)가 유골함보호옹기(30) 내부로 안치되어 생기는 상기 유골옹기(20)의 외측면과 유골함보호옹기(30)의 내면사이의 공간부(13)에는 숯부재(40)가 채워져, 이 숯부재(40)의 효과에 의해 유골옹기(20)와, 유골함보호옹기(30)를 순환하는 공기를 정화시키고, 악취와 습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미생물과 곰팡이의 생성을 억제하고, 벌레등 해충의 접근을 막아 유골(11)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통기성이 우수한 유골옹기를 유골함보호옹기의 내부로 안치시켜 이중벽이 구성하여 납골함 내부와 외부사이의 온도차이에 의한 결로현상을 막아 유골이 습기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는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골옹기의 외측면과 유골함보호옹기의 내면 사이 공간부에 채워지는 숯부재는 상기 유골옹기와 유골함보호옹기를 통과하여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하고, 제습시켜 미생물과 곰팡이의 생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며, 납골함 자체내의 냄새를 제거하여 납골당내부의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망자의 소중한 유골이 변질되지 않고 영구히 보관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내부에는 유골(11)을 담을 수 있는 수납부(21)가 형성되고, 상방 개구부(22)에는 개폐가능한 옹기뚜껑(23)이 구비된 유골옹기(20)와;
    내부에는 상기 유골옹기(20)와 소정 용량의 숯부재(40)가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부(31)가 형성되며, 상방 개구부(32)에는 개폐가능한 옹기뚜껑(33)이 구비된 유골함보호옹기(30)와;
    상기 유골함보호옹기(30) 내에 상기 유골옹기(20)가 안치되고 남은 공간부(31)에 채워져, 제습, 정화, 방취, 방충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숯부재(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KR20-2002-0031466U 2002-10-22 2002-10-22 납골함 KR200301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466U KR200301215Y1 (ko) 2002-10-22 2002-10-22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466U KR200301215Y1 (ko) 2002-10-22 2002-10-22 납골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475A Division KR20040035355A (ko) 2002-10-22 2002-10-22 납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215Y1 true KR200301215Y1 (ko) 2003-01-17

Family

ID=49398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466U KR200301215Y1 (ko) 2002-10-22 2002-10-22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2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1215Y1 (ko) 납골함
KR20040035355A (ko) 납골함
KR200418291Y1 (ko) 납골함
KR200399690Y1 (ko)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KR200173781Y1 (ko) 유골함
KR200256261Y1 (ko) 유골함
KR200337594Y1 (ko) 납골함
JP3208912U (ja) 消臭剤
KR200246450Y1 (ko) 공기 순환 및 방부 기능을 지닌 납골단지
KR100649079B1 (ko) 공기순환식 단지
KR200359908Y1 (ko) 맥반석과 게르마늄을 이용한 납골함
KR200360020Y1 (ko) 납골단지
KR200395146Y1 (ko) 납골함
KR20200088660A (ko) 이중용기 구조의 납골함
KR200395140Y1 (ko) 은나노 유골항아리
KR200442396Y1 (ko) 멸균기능을 갖춘 납골함
KR200281069Y1 (ko) 결로 방지재가 내장된 이중벽 유골함
KR200389611Y1 (ko) 납골함
KR100558831B1 (ko)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
KR100643734B1 (ko) 납골함
KR20050100040A (ko) 납골단지
KR200259644Y1 (ko) 뚜껑에 탈취구가 형성된 납골단지
KR100946254B1 (ko) 항균, 항습 봉안함
KR20080000626U (ko) 황토석을 이용한 유골함
KR200359905Y1 (ko) 대리석과 옥을 이용한 납골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