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8831B1 -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 - Google Patents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831B1
KR100558831B1 KR1020040036094A KR20040036094A KR100558831B1 KR 100558831 B1 KR100558831 B1 KR 100558831B1 KR 1020040036094 A KR1020040036094 A KR 1020040036094A KR 20040036094 A KR20040036094 A KR 20040036094A KR 100558831 B1 KR100558831 B1 KR 100558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ntainer
powder
inner container
mi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1065A (ko
Inventor
이민호
Original Assignee
이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호 filed Critical 이민호
Priority to KR1020040036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831B1/ko
Publication of KR20050111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5/00Warp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25/06Galloon crocheting machines
    • D04B25/08Galloon crocheting machines for producing 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flocked webs or pile fabrics upon which a resin is applied; Teasing, raising web before resin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골함을 외벽과 내벽으로 구성되는 외부용기와 골분을 넣는 내부용기 사이의 공간부를 밀납으로 충전시키며 내부용기 하부에는 고령토와 소석회의 혼합물을 바닥층으로 바닥에 깔고, 중앙에 골분(骨粉 : 뼛가루)을 넣으며 다시 그 위에 광물질을 덮고, 상부는 소석회로 되는 상부층을 형성함으로서 납골함 내에 습기가 차거나 세균이 침입하여 부식되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며, 또한, 골분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므로 납골묘에 유골을 장기간 보존하여도 언제나 깨끗하고 청결한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는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납골함, 광물질 석분, 외부용기, 내부용기, 고령토, 소석회

Description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a charnel chest made use of mineral powder}
도1은 본 발명 납골함의 일 예를 보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 납골함의 일 예를 보인 구성 부품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납골함 2 : 외부용기 3 : 외벽
4 : 내벽 5 : 뚜껑 6 : 공간부
7 : 내부용기 8 : 바닥층 9 : 골분
10 : 광물질 석분층 11 : 상부층
본 발명은 광물질 석분(石粉)을 이용한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물질 석분을 이용하여 납골함을 제조함으로써 보관중인 유골의 변질 및 부식을 방지하고, 벌레가 생기지 않으며 냄새를 제거하도록 하여 유골이 장기간에 걸쳐서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구성한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자연에서 와서 자연으로 돌아가 보다 나은 인간으로 다시 탄생된다는 윤회설로 개개인 나름대로의 자비심으로 인간다운 삶을 추구하며 열심히 살아가고 있다.
우리나라와 같은 유교문화권에서는 시신의 화장보다는 매장을 선호하고 있어 한정된 국토의 면적에 묘지의 면적이 날로 증가함으로 묘지의 절대적인 부족 및 그에 따른 국토 이용면적의 감소가 문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와 같이 인구밀도가 높고 국토면적이 좁은 나라에서는 묘지 부족현상이 심화되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가에서는 매장보다 화장을 권고하고 있으며, 이에 2001년 장묘법의 개정과 국민의식의 변화로 화장문화가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이유로 납골묘를 설치하고 그 안에 납골함을 안치하는 인구가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납골함은 일반적으로 도자기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단지형태로서 뚜껑과 함 본체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러한 단순한 단지형태의 납골함은 온도의 변화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등으로 인하여 단지 내부의 결로현상 및 세균의 번식으로 유골이 쉽게 부패되고, 악취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납골함 내부에 진공을 유지하도록 납골함이나 뚜껑에 밀폐수단을 갖추고 내부 공기를 빼내도록 한 것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유골을 수납한 후 내부 공기를 빼내는 기술수단이 번거롭고 완전한 진공상태를 형성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적외선을 방출시키며 항균 건조 및 탈취기능을 갖는 일라이트 세라믹(천광석)으로 된 항균 탈취편을 내설한 납골함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유골단지 내부에만 항균 탈취편이 설치되어 있음으로 일시적인 효과는 있을지언정 공기의 유통 등으로 장기적인 효과는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한편, 납골함 내ㆍ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한 납골함 내부의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골함의 내부면에 옻을 첨가한 한지(韓紙)층을 형성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지만 옻을 다루기가 까다롭고 건강에 주의를 요하며, 한지와의 혼합 공정 등이 복잡해지고, 음침하고 다습한 곳에 장기간 방치하는 경우에는 유골에 손상을 입힐 우려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납골함을 외벽과 내벽으로 구성되는 외부용기와 골분을 넣는 내부용기 사이의 공간부를 밀납으로 충전시키며 내부용기 하부에는 고령토와 소석회의 혼합물을 바닥층으로 바닥에 깔고, 중앙에 골분(骨粉 : 뼛가루)을 넣으며 다시 그 위에 광물질을 덮고, 상부는 소석회로 되는 상부층을 형성함으로서 납골함 내에 습기가 차거나 세균이 침입하여 부식되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며, 또한, 골분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므로 납골묘에 유골을 장기간 보존하여도 언제나 깨끗하고 청결한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는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을 제공하는 것이 제2의 목적인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은 외부용기와 내부용기로 되는 납골함에 있어서, 외부용기는 외벽과 내벽의 2중벽으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외벽과 같은 재질의 뚜껑을 형성하고, 내부용기는 뚜껑이 없는 도자기나 옥으로 제조되며 내부용기의 내부 하단에는 고령토와 소석회가 1:1의 비율로 혼합된 바닥층을 조성하고, 바닥층 위에 골분을 넣고, 골분 위에 코리늄(coryneum) 등의 광물질 석분(mineral powder)층을 형성하며, 광물질 석분층의 상부에는 소석회를 내부용기 입구까지 충전하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 사이의 공간부는 밀납을 충전하여 밀봉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겸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 납골함의 일 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 납골함의 일 예를 보인 구성 부품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용기(2)와 내부용기(7)로 되는 납골함(1)에 있어서, 외부용기(2)는 외벽(3)과 내벽(4)의 2중벽으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외벽(2)과 같은 재질의 뚜껑(5)을 형성하고, 내부용기(7)는 뚜껑이 없는 도자기나 옥으로 제조되며 내부용기의 내부 하단에는 고령토와 소석회가 1:1의 비율로 혼합된 바닥층(8)을 조성하고, 바닥층(8) 위에 골분(9)을 넣고, 골분(9) 위에 코리늄(coryneum) 등의 광물질 석분(mineral powder)층(10)을 형성하며, 광물질 석 분층(10)의 상부에는 소석회를 내부용기(7) 입구까지 충전하여 상부층(11)을 형성하고, 외부용기(2)와 내부용기(7) 사이의 공간부(6)는 밀납을 충전하여 밀봉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외부용기(2)의 외벽(3)은 대리석으로 하고, 내벽(4)은 옥으로 하는 것이 아름다움과 원적외선 발산 등의 효과면에서 바람직하지만, 효과에 큰 차이가 없이 보다 단단한 광채가 나는 화강암을 외벽(3)으로 하고 대리석을 내벽(4)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에서는 고령토와 소석회가 1:1의 비율로 혼합된 바닥층(8)을 내부용기(7)에 조성하였지만, 외부용기(2)에 바닥층(8')을 조성하고 이 바닥층(8') 위에 내부용기(7)를 재치하고 그 내부용기(7)에 바로 골분(9)을 넣고, 골분(9) 위에 광물질 석분층(10)을 형성하며, 이 광물질 석분층(10)의 상부에 소석회를 내부용기(7) 입구까지 충전하는 상부층(11)을 형성하여도 좋다.
고령토와 소석회가 혼합된 바닥층(8)은 고령토의 탈수작용과 소석회의 중화작용 등으로 시신을 매장할 때 묘자리 바닥에 가장 좋은 흙과 유사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며, 골분(9) 위에 광물질 석분층(10)에는 산화규소(SiO2), Al2O3, Fe2O3, K2O 등의 10여가지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원적외선 및 음이온과 산소열을 다량 방출하기 때문에 내부용기(7)내에 습기를 제거하고 언제나 청결하고 깨끗한 환경을 유지함으로 뼛가루의 부식을 방지하고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여 주변을 늘 쾌적하게 유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내부용기(7)의 상부층(11)에 소석회를 충전하는 것은 소석회의 강염기성을 이용하여 소독작용과 냄새 제거효과 등을 배가하기 위한 것이며, 외부용기(2)와 내부용기(7) 사이의 공간부(6)를 밀납으로 밀봉하는 것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 내부용기(7)가 요동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외부공기의 침입을 방지하여 골분(骨粉)을 장기간 동안 신선하게 보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 광물질 석분은 특허출원 제 10-2002-0013685호에서 알려진 '미라클 신 광물질 석분'을 활용하면 값이 저렴하고 원적외선 및 음이온과 산소열 방출효과가 탁월하여 편리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납골함을 외벽과 내벽으로 구성되는 외부용기와 내부용기 사이의 공간부를 밀납으로 충전시키며 내부용기 하부에는 고령토와 소석회의 혼합물을 바닥층으로 바닥에 깔고, 중앙에 골분(骨粉)을 넣으며 다시 그 위에 광물질을 덮고, 상부는 소석회로 되는 상부층을 형성함으로서 납골함 내에 습기가 차거나 세균이 침입하여 골분이 부식되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광물질 석분층이 골분을 감싸고 있으므로 골분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므로 납골묘에 유골을 장기간 보존하여도 언제나 깨끗하고 청결한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내ㆍ외부용기 사이의 공간이 밀납으로 밀봉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 내부용기(7)가 요동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외부공기의 침입을 방지하므로 골분(骨粉)을 장기간 동안 신선하게 보존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외부용기와 내부용기로 되는 납골함에 있어서, 외부용기는 외벽과 내벽의 2중벽으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외벽과 같은 재질의 뚜껑을 형성하고, 내부용기는 뚜껑이 없는 도자기나 옥으로 제조되며 내부용기의 내부 하단에는 고령토와 소석회가 1:1의 비율로 혼합된 바닥층을 조성하고, 바닥층 위에 골분을 넣고, 골분 위에 광물질 석분(mineral powder)층을 형성하며, 광물질 석분층의 상부에는 소석회를 내부용기 입구까지 충전하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 사이의 공간부는 밀납을 충전하여 밀봉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
  2. 제 1항에 있어서, 외부용기의 외벽은 대리석으로 하고, 내벽은 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
  3. 제 1항에 있어서, 외부용기는 단단한 광채가 나는 화강암을 외벽으로 하고 대리석을 내벽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
  4. 제 1항에 있어서, 외부용기 하부에 바닥층을 조성하고 이 바닥층 위에 내부용기를 재치하며 그 내부용기에 바로 골분을 넣고, 골분 위에 광물질 석분층을 형성하며, 이 광물질 석분층의 상부에 소석회를 내부용기 입구까지 충전하는 상부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
KR1020040036094A 2004-05-20 2004-05-20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 KR100558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094A KR100558831B1 (ko) 2004-05-20 2004-05-20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094A KR100558831B1 (ko) 2004-05-20 2004-05-20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065A KR20050111065A (ko) 2005-11-24
KR100558831B1 true KR100558831B1 (ko) 2006-03-10

Family

ID=37286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094A KR100558831B1 (ko) 2004-05-20 2004-05-20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88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76345A (zh) * 2014-09-09 2015-01-14 长兴意蜂蜂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装花粉的储存盒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348Y1 (ko) 2000-05-01 2000-10-02 이성문 이중납골단지
KR20020064566A (ko) * 2001-02-02 2002-08-09 추연구 분골의 부패를 방지하는 방법
KR200298465Y1 (ko) 2002-09-27 2002-12-16 남진석 납골함
KR20040052772A (ko) * 2004-05-03 2004-06-23 손병덕 위생적인 납골함
KR20040086618A (ko) * 2003-04-03 2004-10-12 윤재의 골분 항아리의 냄새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348Y1 (ko) 2000-05-01 2000-10-02 이성문 이중납골단지
KR20020064566A (ko) * 2001-02-02 2002-08-09 추연구 분골의 부패를 방지하는 방법
KR200298465Y1 (ko) 2002-09-27 2002-12-16 남진석 납골함
KR20040086618A (ko) * 2003-04-03 2004-10-12 윤재의 골분 항아리의 냄새제거방법
KR20040052772A (ko) * 2004-05-03 2004-06-23 손병덕 위생적인 납골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065A (ko)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8831B1 (ko)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
KR200359905Y1 (ko) 대리석과 옥을 이용한 납골함
KR200359908Y1 (ko) 맥반석과 게르마늄을 이용한 납골함
KR200359907Y1 (ko) 화강암과 옥을 이용한 납골함
KR20120101960A (ko) 가족 납골함
KR200359906Y1 (ko) 화강암과 대리석을 이용한 납골함
KR101162921B1 (ko)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KR101950936B1 (ko) 2인의 유분을 함께 담아 보존할 수 있는 유골함
KR200390104Y1 (ko) 3중 구조 황토 납골단지
KR20080000626U (ko) 황토석을 이용한 유골함
KR200337594Y1 (ko) 납골함
KR100951416B1 (ko) 봉안용 캡슐
KR200429899Y1 (ko) 납골단지
KR200211374Y1 (ko) 제오라이트 납골함
KR100935200B1 (ko) 골분의 부패 및 냄새를 방지하기 위한 납골토 및 그 이용방법
KR101844115B1 (ko) 유골함
KR200301215Y1 (ko) 납골함
KR20040086618A (ko) 골분 항아리의 냄새제거방법
KR200277152Y1 (ko) 이중 숯층을 가지는 유골함
KR200173781Y1 (ko) 유골함
KR200447965Y1 (ko) 납골함
KR20040035355A (ko) 납골함
KR100643734B1 (ko) 납골함
KR200404416Y1 (ko) 환경친화적 비노출형 납골묘
KR101921088B1 (ko) 유골함 좌대 및 이를 이용한 유골함안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