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088B1 - 유골함 좌대 및 이를 이용한 유골함안치구조 - Google Patents

유골함 좌대 및 이를 이용한 유골함안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088B1
KR101921088B1 KR1020160048017A KR20160048017A KR101921088B1 KR 101921088 B1 KR101921088 B1 KR 101921088B1 KR 1020160048017 A KR1020160048017 A KR 1020160048017A KR 20160048017 A KR20160048017 A KR 20160048017A KR 101921088 B1 KR101921088 B1 KR 101921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tray
charcoal
chaff charcoal
urn
cha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848A (ko
Inventor
최미자
Original Assignee
최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미자 filed Critical 최미자
Priority to KR1020160048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088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골함이 봉안된 상태가 기품과 위엄을 가지므로 고인에 대한 존중과 숭앙의 마음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제조도 용이한 새로운 구성의 유골함 좌대 및 이를 이용한 유골함안치구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골함 좌대 및 이를 이용한 유골함안치구조{Pedestal of urn and urn enshrining structure}
본 발명은 유골함 좌대 및 이를 이용한 유골함안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골함이 봉안된 상태가 기품과 위엄을 가지므로 고인에 대한 존중과 숭앙의 마음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제조도 용이한 새로운 구성의 유골함 좌대 및 이를 이용한 유골함안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장례문화가 고인의 유해를 땅에 매장하여 분묘를 쓰는 매장문화에서 유해를 화장하는 화장문화로 점차 확산되어 최근에는 거의 대부분이 화장하는 방법으로 장례를 치르고 있다.
한편, 유해를 화장하여 유골을 납골당에 모시는 경우에는 화장 후 유골을 유골함에 넣어서 납골시설에 봉안한다. 유족들은 고인에 대한 사랑과 존경 등의 마음을 최대한으로 표현하기 위해 유골함도 고가의 제품을 선택하고, 또, 납골시설도 좋은 시설을 선택한다.
그런데 유골함을 납골시설의 봉안공간에 그냥 그대로 안치하기 때문에 보기에 썰렁해 보이는 등 보기에 좋지 않다. 따라서 고인에 대한 사랑과 존경의 마음을 최대한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유족들에게 만족감을 주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유족들이 고인을 좀 더 정중하고 정성껏 모셨다는 느낌을 줄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7166호(2011. 04. 2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될 것으로서, 유골함이 봉안된 상태가 기품과 위엄을 가지며 유족들이 고인을 정중하게 정성껏 모셨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어서 유족들에게 만족감을 주며, 제조도 용이하고, 유골이 부패되지 않도록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유골함 좌대 및 이를 이용한 유골함안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유골분이 수납되는 유골함(10)을 올려놓도록 목재, 석재, 도자기, 마블(인조대리석), 금속 중 선택된 재질로 이루어진 유골함 좌대(100)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좌대(100)는 1단 또는 2단으로 이루어지고, 둘레면에는 양각의 문양(12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좌대(100)는 금속판을 절곡시켜 성형되되, 상기 좌대(100)의 둘레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장식홈(105)이 형성되어, 상기 오목홈(105)에 의해 좌대(100)의 둘레면이 보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좌대(100)와, 상기 좌대(100) 위에 놓이는 유골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유골함(10)은 유골분을 담은 유골분쌈지(10)가 수납된 상태에서 내부가 왕겨숯(30)으로 충진되고, 상기 왕겨숯(30)의 상측에는 은나노항균볼(40)을 깔아서 형성된 은나노항균볼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안치구조가 제공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을 사용하면 유골함이 봉안된 상태가 기품과 위엄을 가지며 고인에 대한 존중과 숭앙의 마음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유족들에게 고인을 정중하게 정성껏 모셨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금속판으로 성형하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경량의 제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둘레면에 수평방향으로 장식홈을 형성하면 좌대가 장식될 뿐만 아니라 좌대의 둘레면이 보강되어 좌대의 강도도 상승된다.
또한, 유골함에 숯이 충진되기 때문에 숯에 의해 유골함 내부의 결로가 방지되고 습도가 조절되어 유골함에 곰팡이나 미생물이 번식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 은나노항균볼의 항균력에 의해 유골이 부패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골함을 올려놓도록 된 유골함 좌대에 관한 것으로서, 1단 또는 2단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좌대(100)가 1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 좌대(100)는 원반형상으로 되어 상면에는 유골함(20)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1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좌대(100)의 둘레면에는 좌대(10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 양각의 문양(12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둥형태의 양각 문양(120)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문양(120)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문양의 종류를 몇가지 예시하면, 연꽃, 사군자, 운학, 포도, 용, 구름 등이 있으며, 고인의 종교에 따라 기독교를 상징하는 십자가 문양이나 불교를 상징하는 만(卍)자 문양 등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좌대(100)는 목재, 석재, 도자기, 마블(인조대리석),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성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좌대(100)에 유골함(20)을 올려서 납골당 등에 봉안하면, 유골함(20)이 정중하게 받들어지는 느낌을 주고, 유골함이 봉안된 상태가 기품과 위엄을 가진다. 따라서 유족들의 고인에 대한 존중과 숭앙의 마음이 잘 표현되며, 유족입장에서는 고인을 정중하게 정성껏 보셨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어서 유족들에게 만족감을 주고 가족을 잃은 슬픔에 대한 위로가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좌대(100)가 2단으로 이루어지는데, 하측의 제1단(102)은 사각, 상측의 제2단(104)은 8각으로 이루어지되, 제1단(102)이 제2단(104) 보다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단(102)의 둘레면에 양각으로 연꽃문양(12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좌대(100)를 2단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하측의 제1단(102)의 높이가 상측의 제2단(104)의 높이에 비해 다소 높게 형성된다. 제1단(102)에 비해 제2단(104)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면 좌대(100)가 안정감이 없어 보이고 불안정해 보이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좌대(100)는 2단으로 이루어지되, 제1단(102)과 제2단(104)이 모두 원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제1단(102)과 제2단(104)이 오목홈(105)에 의해 나뉘어진다.
본 실시예는 알루미늄이나 티타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성형된다. 바람직하게는 금속판을 원통형상으로 프레스성형하고, 둘레면에 오목홈(105)과 양각의 문양(120)을 형성하며, 상면에 안착홈(110)을 형성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목홈(105)이 좌대(100)를 2단으로 구획하는 장식홈으로서의 기능을 하면서 아울러 좌대(100)의 둘레면의 강도를 보강하는 2중의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금속판으로 좌대(100)를 성형하면, 좌대(100)의 내부가 중공을 이루게 되므로 좌대가 경량화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유골분이 변질되지 않도록 유골함에 수납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골분을 유골분쌈지(10)에 담아서 유골함(20)에 넣고, 유골분쌈지(10)가 수납된 유골함(20)에 숯(30)을 충진하고, 유골함(20)에 충진된 숯(30)의 상측에 은나노항균볼(40)을 깔아서 은나노항균볼층을 형성하여 숯(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다음, 유골함뚜껑(22)을 닫는다.
상기 유골분쌈지(10)는 한지로 이루어진다. 유골분쌈지(10)는 한지를 봉투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 단순히 한지시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숯(30)은 유골함(2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말상 또는 볼형상으로 성형된 것이 사용된다. 분말상의 숯은 숯을 소정크기의 입도로 파쇄한 것이고, 볼형상의 것은 숯분말을 바인더와 혼합하여 볼형상으로 성형하여 소성시킨 것이다.
숯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미세한 다공질구조에 의해 우수한 조습성과 탈취성을 가지며,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되며, 전자파차폐효과도 가진다. 또한, 숯(30)에 의해 단열효과도 얻게 되어 유골함(20) 내부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도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숯은 질 좋은 참숯을 3~5mm 정도의 평균 입도를 갖도록 파쇄하여 사용된다. 숯의 입도가 상기 수준 보다 낮으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골함(20)에 숯을 채웠을 때 숯이 채워진 상태의 공극률이 저하되어 유골함의 중량이 증가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숯으로 왕겨숯이 사용된다. 왕겨숯은 왕겨를 고온에서 탄화시킨 것이다. 왕겨는 주성분이 섬유질로 되어 있어서 경질화된 목질보다 구조가 치밀하기 때문에, 일반 목재에 비해 탄화과정에서 미세한 기공이 더 많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왕겨숯은 일반적인 목재숯에 비해 기공율이 높기 때문에 기공에 의한 흡착력이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장점을 가지며, 항균성, 항곰팡성도 더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왕겨숯을 사용하면 숯을 파쇄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서 편리한 장점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골함(20)에 숯을 소정 두께로 깐 다음에 상기 유골분쌈지(10)를 유골함(20)에 수납시켜서 유골분쌈지(10)가 유골함(20) 바닥에 닿지 않고 숯(30) 위에 놓이도록 한다.
유골함(20)에 유골분쌈지(10)를 수납시킨 다음, 숯(30)을 유골함(20)에 채워 넣는다. 숯(30)이 유골분쌈지(10)를 완전히 덮어서 유골분쌈지(10)가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숯(30)을 유골함(20)에 채운다.
또, 은나노항균볼(40)은 볼형상의 심재에 나노입자 은이 코팅된 것으로서, 은에 의해 우수한 항균성을 가진다. 심재로는 세라믹을 볼형상으로 성형한 것이 사용되는데, 세라믹의 몇가지 예를 들어 보면, 질화규소(Si3N4), 지르코니아(ZrO2), 탄화규소(SiC), 알루미나(Al2O2), 제올라이트 등이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심재를 다공성 소재로 사용하면, 은이 심재에 넓은 표면적을 갖도록 코팅되기 때문에, 은에 의한 항균효과가 상승된다. 이러한 은나노항균볼은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은나노항균볼(40)을 상기 숯(30) 위에 층을 이루도록 깔아서 왕겨숯(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왕겨숯(30) 위에 한지(50)를 깔고 그 위에 은나노항균볼(40)을 깐다. 이와 같이 하면 유골함(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한지(50)를 통과하여 유골함(20)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공기가 함유된 수분이 한지(50)에 흡수되므로 유골함(20)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유골분을 유골합(20)에 수납시키면, 왕겨숯(30)의 조습성에 의해 유골함(20) 내부에 결로에 의해 수분이 발생되더라도 유골함 내부의 습도가 조절되며, 또, 은나노항균볼(40)의 항균성에 의해 유골함 내부에 곰팡이가 발생되거나 또는 미생물이 번식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더욱이, 은나노항균볼(40)에 의해 왕겨숯(30)이 커버되어 왕겨숯(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유골이 안치된 상태의 외관도 보기기 좋다. 즉, 시꺼먼 색을 가지는 왕겨숯(3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은나노항균볼(40)만 보이는데, 은나노항균볼(40)은 코팅된 은에 의해 은색을 띄기 때문에 유골이 안치된 상태의 외관이 상당히 고급스럽고 깔끔해 보이므로 유가족들이 고인을 잘 모셨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가족을 잃은 상실감에 대한 위로가 되므로 유가족들에게 큰 만족감을 주게 된다.
10. 유골분쌈지 20. 유골함
22. 우골함뚜껑 30. 왕겨숯
40. 은나노항균볼 50. 한지
100. 좌대 102. 제1단
104. 제2단 105. 오목홈
110. 안착홈 120. 문양

Claims (4)

  1. 유골분이 수납되는 유골함(20)을 올려놓도록 목재, 석재, 도자기, 마블(인조대리석), 금속 중 선택된 재질로 이루어지며, 1단 또는 2단으로 이루어지고, 둘레면에는 양각의 문양(120)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유골함(20)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안착되도록 안착홈(110)이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2단으로 구획하는 장식홈으로서의 기능을 하면서 둘레면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오목홈(10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좌대.
  2. 삭제
  3. 삭제
  4. 좌대(100)와, 상기 좌대(100) 위에 놓이는 유골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유골함(20)은 유골분을 담은 유골분쌈지(10)가 수납된 상태에서 유골함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고, 단열효과로 유골함(20) 내부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골분쌈지(10)가 유골함(20) 바닥에 닿지 않게 내부에 왕겨숯(30)이 충진되고, 상기 왕겨숯(30)의 상측에는 왕겨숯(3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유골함(20)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지(50)를 덮고, 상기 한지(50)의 상부에 항균성을 가진 은나노항균볼(40)을 깔아서 은나노항균볼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안치구조.
KR1020160048017A 2016-04-20 2016-04-20 유골함 좌대 및 이를 이용한 유골함안치구조 KR101921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017A KR101921088B1 (ko) 2016-04-20 2016-04-20 유골함 좌대 및 이를 이용한 유골함안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017A KR101921088B1 (ko) 2016-04-20 2016-04-20 유골함 좌대 및 이를 이용한 유골함안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848A KR20170119848A (ko) 2017-10-30
KR101921088B1 true KR101921088B1 (ko) 2018-11-22

Family

ID=6030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017A KR101921088B1 (ko) 2016-04-20 2016-04-20 유골함 좌대 및 이를 이용한 유골함안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0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145B1 (ko) * 2005-06-10 2006-06-20 주식회사 한국 오.에프.에이 진열장용 받침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145B1 (ko) * 2005-06-10 2006-06-20 주식회사 한국 오.에프.에이 진열장용 받침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848A (ko) 201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985B1 (ko) 편백 재질의 칩을 포함하는 기능성 팩이 삽입된 경추 베개
KR101921088B1 (ko) 유골함 좌대 및 이를 이용한 유골함안치구조
US20090300841A1 (en) Health bed
KR20110001563U (ko) 침구에 사용되는 기능성 솜
KR20120101960A (ko) 가족 납골함
KR100943385B1 (ko) 복합 기능 납골함
KR200277152Y1 (ko) 이중 숯층을 가지는 유골함
KR100765132B1 (ko) 숯납골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90104Y1 (ko) 3중 구조 황토 납골단지
WO2004084788A1 (en) Solidified ashes, solidified ashes urn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JP3874746B2 (ja) 炭材による水墨画風オブジェ
KR200325788Y1 (ko) 이중구조의 납골단지
KR101875157B1 (ko) 미니어처 봉분
KR100558831B1 (ko)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
KR200405712Y1 (ko) 건강베개
KR200229918Y1 (ko) 납골함
KR200272756Y1 (ko) 납골함
KR200399690Y1 (ko)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KR100946254B1 (ko) 항균, 항습 봉안함
KR102005353B1 (ko) 헤드 분리형 봉제인형
AU2012101032A4 (en) A Display Urn
KR20170097973A (ko) 유골안치구조 및 유골안치방법
KR20090078055A (ko) 수목장례용 골분함
KR200306324Y1 (ko) 납골용기
KR200380146Y1 (ko) 건강식 훈제요리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