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068B1 - 공간 편집용 자리 및 그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 - Google Patents

공간 편집용 자리 및 그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068B1
KR102094068B1 KR1020180039661A KR20180039661A KR102094068B1 KR 102094068 B1 KR102094068 B1 KR 102094068B1 KR 1020180039661 A KR1020180039661 A KR 1020180039661A KR 20180039661 A KR20180039661 A KR 20180039661A KR 102094068 B1 KR102094068 B1 KR 102094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space
disposed
typ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6703A (ko
Inventor
윤혜진
Original Assignee
윤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혜진 filed Critical 윤혜진
Priority to KR1020180039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068B1/ko
Publication of KR20190116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6Magn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상황과 욕구에 맞게 공간을 다양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 편집용 자리 및 그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4개의 측판, 측판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상판, 그리고 측판 하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하판을 포함하고, 상판의 각 측면에는, 인접하는 다른 상판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하판의 하부면 중 각 모서리 영역에는, 서로 결합된 측판, 상판 및 하판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고정시키는 이동 잠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간 편집용 자리 및 그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MAT FOR EDITING SPACE AND MAT ASSEMBL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간 편집용 자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상황과 욕구에 맞게 공간을 다양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 편집용 자리 및 그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은 산업화 이후로 일하고 생활하는 공간에서 자연과 인간성의 부족으로 인하여 육체적 및 정신적인 장애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인간은 자연 속에서 함께 어울려서 소통하는 문화적 여건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화적 여건으로서 도시 속의 공원이 좋은 예일 수 있지만, 공원을 찾아가서 자연을 즐길 수 있는 공간적 시간적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
최근에는 공간적 시간적 여유가 없는 사람들을 위하여 사람들이 일하면서 생활하는 실내 공간에도 관상용 식물과 꽃을 배치하거나 또는 사람들의 보행 통로를 따라 수로 형태의 아쿠아 로드를 배치함으로써, 실내에서도 자연 공간을 연출하여 사람들에게 편안함과 안정감을 제공하였다.
즉, 기존의 자연 공간 연출 방식으로서, 아쿠아 로드를 이용한 상업공간 인테리어 시스템이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27333 (2010.03.11)로 공개된 바 있고,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거실장이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39790 (2010.04.16)로 공개된 바 있으며, 실내용자연생태시스템이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47790 (2010.05.10)으로 공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자연 공간 연출 방식은, 미리 설계된 공간 배치 형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공간 배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공간 배치를 모두 제거하고 다시 새로 공간 배치를 설계하여 자연 공간을 연출해야 하므로, 시간 및 비용이 많이 들고, 한정된 공간 배치로 인하여 사람들이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향후, 사용자가 상황과 욕구에 맞게 원하는 형태의 자연 공간을 적은 비용으로 빠른 시간에 연출할 수 있는 자연 공간 연출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육면체 형상을 갖는 자리에 연결 부재 및 이동 잠금 부재를 배치하여 다수의 자리를 연결 및 이동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황과 욕구에 맞게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편집하여 자연 공간을 적은 비용으로 빠른 시간에 연출할 수 있는 공간 편집용 자리 및 그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간 편집용 자리는,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4개의 측판, 측판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상판, 그리고 측판 하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하판을 포함하고, 상판의 각 측면에는, 인접하는 다른 상판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하판의 하부면 중 각 모서리 영역에는, 서로 결합된 측판, 상판 및 하판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고정시키는 이동 잠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포함하고, 인접하는 다른 상판의 측면에 배치된 자성체에 접촉하여 연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연결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돌기 또는 체결 홀을 포함하고, 인접하는 다른 상판의 측면에 배치된 체결 홀 또는 체결 돌기에 체결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 잠금 부재는, 서로 결합된 측판, 상판 및 하판을 소정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바퀴와, 바퀴에 접촉되어 바퀴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바퀴에 비접촉되어 바퀴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상판은,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일 예로, 상판은, 가로 길이가 약 40cm ~ 70cm이고, 세로 길이가 약 40cm ~ 70cm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측판의 높이는, 약 30cm ~ 40cm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음, 본 발명의 공간 편집용 자리는, 서로 결합된 측판, 상판 및 하판을 안착시켜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동 프레임의 하부에는, 이동 프레임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고정시키는 이동 잠금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판은,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내부 공간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상판은, 중앙 영역에 홀이 형성되고, 홀 영역에 배치되어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상판은, 중앙 영역에 홀이 형성되고, 홀 내의 내부 공간에 흙이 채워지며, 홀 영역에 소정의 관상 식물이 흙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상판은, 중앙 영역에 홀이 형성되고, 홀 내의 내부 공간에 물이 채워지며, 물에 수중 및 수상 생물이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상판은,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내부 공간의 상부를 커버하고,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가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상판은, 중앙 영역에 홀이 형성되고, 홀 영역에 배치되어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도어의 개폐에 따라 내부 공간 내에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가 배치되거나 또는 도어에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간 편집용 자리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는,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4개의 측판, 측판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상판, 그리고 측판 하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하판을 포함하고, 바닥면 위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평상을 이루는 다수의 자리들과, 서로 인접하는 자리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그리고 자리를 소정 영역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고정시키는 이동 잠금 부재를 포함하고, 연결 부재는, 자리의 상판 각 측면에 배치되고, 이동 잠금 부재는, 자리의 하판 하부면 중 각 모서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자리는, 일반 타입 자리, 사물함 타입 자리, 화분 타입 자리, 어항 타입 자리, 등받이 타입 자리, 그리고 등받이를 갖는 사물함 타입 자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 타입 자리는, 상판이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내부 공간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사물함 타입 자리는, 상판의 중앙 영역에 홀이 형성되고, 홀 영역에 배치되어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화분 타입 자리는, 상판의 중앙 영역에 홀이 형성되고, 홀 내의 내부 공간에 흙이 채워지며, 홀 영역에 소정의 관상 식물이 흙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화분 타입 자리는, 측판의 일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가 형성되고, 배수구에는, 소정 길이의 배수관이 삽입될 수 있다.
다음, 어항 타입 자리는, 상판의 중앙 영역에 홀이 형성되고, 홀 내의 내부 공간에 물이 채워지며, 물에 수중 및 수상 생물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어항 타입 자리는, 측판의 일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가 형성되고, 배수구에는, 소정 길이의 배수관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등받이 타입 자리는, 상판이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내부 공간의 상부를 커버하고,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등받이 타입 자리는, 상판에 등받이를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 홀이 형성되고, 등받이는, 상판의 체결 홀 일부에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등받이를 갖는 사물함 타입 자리는, 상판에 중앙 영역에 홀이 형성되고, 홀 영역에 배치되어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도어의 개폐에 따라 내부 공간 내에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가 배치되거나 또는 도어에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는, 평상을 이루는 다수의 자리들 주변에 배치되는 테두리 자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테두리 자리는, 다수의 자리 배열에 의해 형성되는 평상의 4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테두리 자리는, 평상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자리의 상판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는 고정 평판과, 고정 평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고정 평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 다리와, 고정 평판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고 상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여 평상을 이루는 자리의 측부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는 평판 도어와, 평판 도어의 하부에 연결되어 평판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 다리는, 평판 도어가 회전 이동할 때, 회전 이동하여 평판 도어의 하부면에 접힐 수 있다.
이어, 평상을 이루는 자리는, 평판 도어가 개방되면, 테두리 자리의 개방 영역을 통해 자리가 외부로 이동 배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이동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는, 테두리 자리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는 디딤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딤대의 높이는, 테두리 자리의 높이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 및 그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을 갖는 자리에 연결 부재 및 이동 잠금 부재를 배치하여 다수의 자리를 연결 및 이동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황과 욕구에 맞게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편집하여 자연 공간을 적은 비용으로 빠른 시간에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 제6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 제7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의 공간 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의 테두리 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의 테두리 자리 개폐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로서 일반 타입 자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부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연결 부재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이동 잠금 부재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로서, 일반 타입 자리(100)는,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4개의 측판(120), 측판(120)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상판(110), 그리고 측판(120) 하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하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타입 자리(100)의 상판(110)은,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내부 공간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상판(110)의 각 측면에는, 인접하는 다른 상판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 부재(150)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연결 부재(15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인접하는 다른 상판의 측면에 배치된 자성체에 접촉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성체의 극성은, 인접하는 다른 상판의 측면에 배치된 자성체의 극성과 반대일 수 있다.
자성체를 사용하는 이유는, 체결 부재를 사용할 경우, 상판(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돌출되므로 사용자가 상판 위에서 다칠 위험이 있으며, 서로 인접하는 상판(110)들 사이에 공간이 생겨 불안정한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자성체를 사용하는 경우, 상판(110)의 상부에 돌출부가 없어 사용자의 안전 위험 요소를 제거할 수 있고, 서로 인접하는 상판(110)들 사이의 공간이 거의 없어 안정한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자성체는, 상판(110)의 일 측면 중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자성체, 상판(110)의 일 측면 중 우측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자성체, 그리고 상판(110)의 일 측면 중 좌측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3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다수의 자성체를 배치하는 이유는, 접착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1 자성체의 극성은, 제2, 제3 자성체의 극성과 서로 반대일 수 있다.
그 이유는, 이웃하는 상판과의 접착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자성체는, 상판(110) 측면에 형성되는 홈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서로 인접하는 상판(110)들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하여 안정한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 홈 내에 배치되는 자성체는, 커버 부재(140)에 의해 커버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서로 인접하는 상판(110)들 사이의 밀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고 외관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커버 부재(140)는, 상판(110)과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그 이유는, 커버 부재(140)의 제작이 간단하여 제작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외관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 연결 부재(150)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돌기 또는 체결 홀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인접하는 다른 상판의 측면에 배치된 체결 홀 또는 체결 돌기에 체결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연결 부재(150)는, 상판(110)과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그 이유는, 제작이 간단하여 제작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 연결 부재(150)는, 상판(110)과 다른 재질일 수 있다.
그 이유는,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 타입 자리(100)는, 하판의 하부면 중 각 모서리 영역에는, 서로 결합된 측판(120), 상판(110) 및 하판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고정시키는 이동 잠금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잠금 부재(130)는, 도 4와 같이, 서로 결합된 측판(120), 상판(110) 및 하판을 소정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바퀴(134)와, 바퀴(134)에 접촉되어 바퀴(134)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바퀴(134)에 비접촉되어 바퀴(134)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잠금부(136)와, 바퀴(134)를 하판의 하부면에 연결시키는 바퀴 다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 타입 자리(100)는, 상판(110)의 면적은, 하판의 면적보다 더 넓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연결 부재(150)가 상판(110)의 측면에 배치되므로, 연결 부재(150)의 배치 공간이 더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판(110)은,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형일 수 있다.
일 예로, 상판(110)은, 가로 길이가 약 40cm ~ 약 70cm이고, 세로 길이가 약 40cm ~ 약 70cm일 수 있다.
그 이유는, 성인이 자리 위에 올라앉아 양반 다리 자세로 앉아 있는 경우, 성인이 차지하는 면적이 약 60cm × 약 60cm일 수 있고, 아동이 자리 위에 올라앉아 양반 다리 자세로 앉아 있는 경우, 이동이 차지하는 면적이 약 50cm × 약 50cm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 측판(120)의 높이는, 약 30cm ~ 약 40cm일 수 있다.
그 이유는, 성인이 자리 위에 한 발로 올라갈 수 있는 높이이기 때문이다.
이어, 측판(120), 상판(110) 및 하판은, 모두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측판(120), 상판(110) 및 하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측판(120), 상판(110) 및 하판은, 목재, 아크릴, 금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로서 사물함 타입 자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도어 개폐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도어 개폐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로서, 사물함 타입 자리(200)는,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4개의 측판(220), 측판(220)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상판(210), 그리고 측판(220) 하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하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물함 타입 자리(200)의 상판(210)은, 중앙 영역에 홀이 형성되고, 홀 영역에 배치되어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240)는, 상판(210)의 가장 자리 영역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244)와, 도어(240)의 개폐를 위한 손잡이 홀(24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부재(244)는, 180도 경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판(210)의 각 측면에는, 인접하는 다른 상판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연결 부재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사물함 타입 자리(200)는, 하판의 하부면 중 각 모서리 영역에는, 서로 결합된 측판(220), 상판(210) 및 하판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고정시키는 이동 잠금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잠금 부재(230)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연결 부재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로서 화분 타입 자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배수관의 출수구 영역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배수관의 입수구 영역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화분 타입 자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로서, 화분 타입 자리(300)는,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4개의 측판(320), 측판(320)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상판(310), 그리고 측판(320) 하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하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분 타입 자리(300)의 상판(310)은, 중앙 영역에 홀(342)이 형성되고, 홀(342) 내의 내부 공간에 흙이 채워지며, 홀(342) 영역에 소정의 관상 식물(340)이 흙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화분 타입 자리(300)의 측판(320)은, 일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360)가 형성되고, 배수구(360)에는, 소정 길이의 배수관(350)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배수관(350)은, 측판(320)의 배수구(360)에 수평한 제1 방향으로 삽입되고 내부 공간 내의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가 배치되는 입수 영역과,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외부에 노출되어 측판(320)의 측면에 부착되고 입수 영역 내의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출수구가 배치되는 출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배수관(350)의 출수 영역의 출수구는, 내부 공간 내의 물의 높이보다 더 높게 위치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중력에 의해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배수관(350)의 출수 영역 내의 물의 높이는, 내부 공간 내의 물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관상 식물(340)의 높이는, 흙의 표면으로부터 약 50cm ~ 약 70cm일 수 있다.
그 이유는, 관상 식물(340)의 높이가, 자리 위에 앉아 있는 성인의 가슴과 어깨 사이의 높이로 있으므로 사람들이 관상 식물(340)을 가까이서 친밀하게 접함으로써, 심신의 안정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홀(342) 내의 내부 공간의 내측면 위에는, 방수층(370)이 형성될 수 있다.
그 이유는, 화분 타입 자리(300)가 습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판(310)의 각 측면에는, 인접하는 다른 상판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연결 부재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화분 타입 자리(300)는, 하판의 하부면 중 각 모서리 영역에는, 서로 결합된 측판(320), 상판(310) 및 하판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고정시키는 이동 잠금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잠금 부재(330)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연결 부재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로서 어항 타입 자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어항 타입 자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로서, 어항 타입 자리(400)는,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4개의 측판(420), 측판(420)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상판(410), 그리고 측판(420) 하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하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어항 타입 자리(400)의 상판(410)은, 중앙 영역에 홀이 형성되고, 홀 내의 내부 공간에 물(440)이 채워지며, 물(440)에 수중 및 수상 생물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어항 타입 자리(400)의 측판(420)은, 일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가 형성되고, 배수구에는, 소정 길이의 배수관(450)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배수관(450)은, 측판(420)의 배수구에 수평한 제1 방향으로 삽입되고 내부 공간 내의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가 배치되는 입수 영역과,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외부에 노출되어 측판(420)의 측면에 부착되고 입수 영역 내의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출수구가 배치되는 출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수관(450)의 출수 영역의 출수구는, 내부 공간 내의 물(440)의 높이보다 더 높게 위치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중력에 의해 내부의 물(440)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배수관(450)의 출수 영역 내의 물의 높이는, 내부 공간 내의 물(440)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홀 내의 내부 공간의 내측면 위에는, 방수층이 형성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어항 타입 자리(400)가 습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판(410)의 각 측면에는, 인접하는 다른 상판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연결 부재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어항 타입 자리(400)는, 하판의 하부면 중 각 모서리 영역에는, 서로 결합된 측판(420), 상판(410) 및 하판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고정시키는 이동 잠금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잠금 부재(430)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연결 부재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로서 등받이 타입 자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등받이 타입 자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로서, 등받이 타입 자리(500)는,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4개의 측판(520), 측판(520)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상판(510), 그리고 측판(520) 하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하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등받이 타입 자리(500)의 상판(510)은,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내부 공간의 상부를 커버하고,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54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판(510)은, 등받이(540)를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 홀(550)이 형성되고, 등받이(540)는, 상판(510)의 체결 홀(550) 일부에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 돌기(54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판(510)에 형성되는 체결 홀(550)의 개수는, 등받이(540)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542)의 개수보다 더 많을 수 있다.
그 이유는, 등받이(540)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판(510)의 각 측면에는, 인접하는 다른 상판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연결 부재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등받이 타입 자리는, 하판의 하부면 중 각 모서리 영역에는, 서로 결합된 측판(520), 상판(510) 및 하판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고정시키는 이동 잠금 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잠금 부재(530)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연결 부재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 제6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 제6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로서 등받이를 갖는 사물함 타입 자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7는 도 16의 등받이를 갖는 사물함 타입 자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6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로서, 등받이를 갖는 사물함 타입 자리(600)는,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4개의 측판(620), 측판(620)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상판(610), 그리고 측판(620) 하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하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등받이를 갖는 사물함 타입 자리(600)의 상판(610)은, 중앙 영역에 홀이 형성되고, 홀 영역에 배치되어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640)를 포함하며, 도어(640)의 개폐에 따라 내부 공간 내에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650)가 배치되거나 또는 도어(640)에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650)가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640)는, 상판(610)의 가장 자리 영역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644), 도어(640)의 개폐를 위한 손잡이 홀, 그리고 등받이(650)를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 홀(64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등받이(650)는, 도어(640)의 체결 홀(642) 일부에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 돌기(65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판(610)의 각 측면에는, 인접하는 다른 상판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연결 부재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등받이 타입 자리는, 하판의 하부면 중 각 모서리 영역에는, 서로 결합된 측판(620), 상판(610) 및 하판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고정시키는 이동 잠금 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잠금 부재(630)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연결 부재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은 본 발명 제7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7 실시예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는, 측판, 상판 및 하판이 결합된 일반 타입 자리(100)를 포함하는 다양한 자리를 안착시켜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7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프레임(700)의 하부에는, 이동 프레임(700)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고정시키는 이동 잠금 부재(71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 잠금 부재(710)는, 이동 프레임(700)을 소정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바퀴와, 바퀴에 접촉되어 바퀴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바퀴에 비접촉되어 바퀴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프레임(700)에 안착되는 자리는,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4개의 측판, 측판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상판, 그리고 측판 하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하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리는, 일반 타입 자리, 사물함 타입 자리, 화분 타입 자리, 어항 타입 자리, 등받이 타입 자리, 그리고 등받이를 갖는 사물함 타입 자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1000)는, 다수의 자리들이, 바닥면 위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평상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자리 조립체(1000)를 구성하는 자리는, 일반 타입 자리(100), 사물함 타입 자리(200), 화분 타입 자리(300), 어항 타입 자리(400), 등받이 타입 자리(500), 그리고 등받이를 갖는 사물함 타입 자리(60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리 조립체(1000)를 구성하는 자리는,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4개의 측판, 상기 측판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상판, 그리고 상기 측판 하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하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의 자리 조립체(1000)는, 각기 다른 타입을 갖는 6개의 자리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지만, 사용자가 자신의 상황과 욕구에 맞게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편집하여 자연 공간을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리 조립체(1000)는, 바닥면 위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평상을 이루는 다수의 자리들, 서로 인접하는 자리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그리고 자리를 소정 영역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고정시키는 이동 잠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부재는, 자리의 상판 각 측면에 배치되고, 이동 잠금 부재는, 자리의 하판 하부면 중 각 모서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자리 조립체(1000)를 구성하는 자리는, 일반 타입 자리, 사물함 타입 자리, 화분 타입 자리, 어항 타입 자리, 등받이 타입 자리, 그리고 등받이를 갖는 사물함 타입 자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자리의 4측면에는, 일반 타입 자리, 사물함 타입 자리, 화분 타입 자리, 어항 타입 자리, 등받이 타입 자리, 그리고 등받이를 갖는 사물함 타입 자리 중 동일한 타입의 자리가 모두 연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자리의 4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일반 타입 자리, 사물함 타입 자리, 화분 타입 자리, 어항 타입 자리, 등받이 타입 자리, 그리고 등받이를 갖는 사물함 타입 자리 중 다른 타입의 자리가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반 타입 자리는, 상판이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내부 공간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사물함 타입 자리는, 상판의 중앙 영역에 홀이 형성되고, 홀 영역에 배치되어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는, 상판의 가장 자리 영역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와, 도어의 개폐를 위한 손잡이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화분 타입 자리는, 상판의 중앙 영역에 홀이 형성되고, 홀 내의 내부 공간에 흙이 채워지며, 홀 영역에 소정의 관상 식물이 흙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화분 타입 자리는, 측판의 일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가 형성되고, 배수구에는, 소정 길이의 배수관이 삽입될 수 있다.
배수관은, 측판의 배수구에 수평한 제1 방향으로 삽입되고 내부 공간 내의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가 배치되는 입수 영역과,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외부에 노출되어 측판의 측면에 부착되고 입수 영역 내의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출수구가 배치되는 출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관의 출수 영역의 출수구는, 내부 공간 내의 물의 높이보다 더 높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관의 출수 영역 내의 물의 높이는, 내부 공간 내의 물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어, 어항 타입 자리는, 상판의 중앙 영역에 홀이 형성되고, 홀 내의 내부 공간에 물이 채워지며, 물에 수중 및 수상 생물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어항 타입 자리는, 측판의 일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가 형성되고, 배수구에는, 소정 길이의 배수관이 삽입될 수 있다.
배수관은, 측판의 배수구에 수평한 제1 방향으로 삽입되고 내부 공간 내의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가 배치되는 입수 영역과,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외부에 노출되어 측판의 측면에 부착되고 입수 영역 내의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출수구가 배치되는 출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관의 출수 영역의 출수구는, 내부 공간 내의 물의 높이보다 더 높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관의 출수 영역 내의 물의 높이는, 내부 공간 내의 물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다음, 등받이 타입 자리는, 상판이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내부 공간의 상부를 커버하고,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등받이 타입 자리는, 상판에 상기 등받이를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 홀이 형성되고, 등받이는, 상판의 체결 홀 일부에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등받이를 갖는 사물함 타입 자리는, 상판에 중앙 영역에 홀이 형성되고, 홀 영역에 배치되어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도어의 개폐에 따라 내부 공간 내에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가 배치되거나 또는 도어에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는, 상판의 가장 자리 영역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 도어의 개폐를 위한 손잡이 홀, 등받이를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 홀을 포함하고, 등받이는, 도어의 체결 홀 일부에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리 조립체(1000)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자리(800)들을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할 수 있다.
각 자리(800)는, 이동 잠금 부재(810)의 고정을 해제하여 자리(80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자리(800)가 원하는 위치에 도착하면 자리(800)가 이동하지 않도록 이동 잠금 부재(8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잠금 부재(810)는, 자리(800)의 하판 하부면 중 각 모서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잠금 부재(810)를 이용하여 자리(800)를 이동 및 고정시켜 원하는 형상의 자리 조립체(1000)를 제작함으로써, 다양한 자연 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리 조립체(1000)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자리(800)들을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할 수 있다.
각 자리(800)는, 서로 인접하는 자리(800)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8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부재(820)는, 자리(800)의 상판 각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결 부재(820)를 이용하여 자리(800)를 분리 및 연결시켜 원하는 형상의 자리 조립체(1000)를 제작함으로써, 다양한 자연 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을 갖는 자리(800)에 연결 부재(820) 및 이동 잠금 부재(810)를 배치하여 다수의 자리(800)를 연결 및 이동 배치하여 자리 조립체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황과 욕구에 맞게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편집하여 자연 공간을 적은 비용으로 빠른 시간에 연출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의 공간 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간 편집용 자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자리 조립체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자연 공간 연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사적 또는 공적인 성격으로 편집된 환경이 연출된 자리 조립체 위에서 상황과 용도에 맞게 일어나는 개인적이고 공동적인 문화적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의 테두리 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1000)는, 평상을 이루는 다수의 자리(800)들 주변에 배치되는 테두리 자리(9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테두리 자리(900)는, 다수의 자리 배열에 의해 형성되는 평상의 4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테두리 자리(900)는, 평상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자리(800)의 상판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는 고정 평판(910), 고정 평판(910)의 하부에 연결되어 고정 평판(910)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 다리(912), 고정 평판(910)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고 상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여 평상을 이루는 자리의 측부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는 평판 도어(920), 그리고 평판 도어(920)의 하부에 연결되어 평판 도어(920)를 지지하는 도어 다리(9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평판 도어(920)는, 고정 평판(910) 및 자리(800)의 상판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평판 도어(920)의 일측은, 소정의 체결 부재(924)에 의해 고정 평판(910)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체결 부재(924)는, 180도 경첩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어 다리(922)는, 평판 도어(920)가 회전 이동할 때, 회전 이동하여 평판 도어(920)의 하부면에 접힐 수 있다.
여기서, 도어 다리(922)는, 소정의 체결 부재에 의해 평판 도어(92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체결 부재는, 90도 경첩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평상을 이루는 자리(800)는, 평판 도어(820)가 개방되면, 테두리 자리(900)의 개방 영역을 통해 자리(800)가 외부로 이동 배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이동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평상(910)의 면적은, 평판 도어(920)의 면적보다 더 넓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자리(800)가 외부로 이동 배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이동 삽입될 수 있는 테두리 자리(900)의 개방 영역이 좁기 때문이다.
즉, 테두리 자리(900)의 개방 영역을 좁게 형성하고 고정 평상(910)의 면적을 넓힘으로써, 평상을 이루는 자리(800)가 안정적으로 고정 배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자리 조립체(1000)는, 테두리 자리(90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는 디딤대(9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디딤대(940)의 높이는, 테두리 자리(900)의 높이보다 더 낮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사용자가 테두리 자리(900) 위에 오를 때, 디딤대(940)를 거쳐 편안하게 오르도록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의 테두리 자리 개폐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는, 평판 도어(920)의 하부에 체결 부재(923)로 연결된 도어 다리(922)를 회전 이동하여 평판 도어(920)의 하부면에 접는다.
이어, 사용자는, 도어 다리(922)가 접힌 평판 도어(920)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여 평상을 이루는 자리(800)의 측부를 개방한다.
다음, 사용자는, 평판 도어(820)가 개방되면, 테두리 자리(900)의 개방 영역을 통해 자리(800)를 외부로 이동 배출하거나 또는 내부로 이동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자리(800)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 평판 도어(820)를 닫아 평상을 이루는 자리(800)의 측부를 폐쇄한다.
이어, 사용자는, 평판 도어(820) 하부의 도어 다리(922)를 하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여 평판 도어(820)를 지지한다.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을 갖는 자리에 연결 부재 및 이동 잠금 부재를 배치하여 다수의 자리를 연결 및 이동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황과 욕구에 맞게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편집하여 자연 공간을 적은 비용으로 빠른 시간에 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일반 타입 자리 110: 상판
120: 측판 130: 이동 잠금 부재
140: 연결 부재 200: 사물함 타입 자리
300: 화분 타입 자리 400: 어항 타입 자리
500: 등받이 타입 자리 600: 등받이를 갖는 사물함 타입 자리
700: 이동 프레임 800: 자리
900: 테두리 자리 1000: 자리 조립체

Claims (10)

  1.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4개의 측판;
    상기 측판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상판; 그리고,
    상기 측판 하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의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의 각 측면에는,
    인접하는 다른 상판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의 하부면 중 각 모서리 영역에는,
    서로 결합된 측판, 상판 및 하판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고정시키는 이동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되;
    상기 연결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인접하는 다른 상판의 측면에 배치된 자성체에 접촉하여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는 인접하는 다른 상판의 측면에 배치된 자성체의 극성과 반대인 것이며,
    또한 상기 상판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는 서로 극성이 반대인 것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는 상기 상판 측면에 형성되는 홈 내에 배치되는 것이며;
    상기 이동 잠금 부재는,
    서로 결합된 측판, 상판 및 하판을 소정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바퀴; 그리고,
    상기 바퀴에 접촉되어 상기 바퀴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상기 바퀴에 비접촉되어 상기 바퀴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잠금부; 및 상기 바퀴를 상기 하판의 하부면에 연결시키는 바퀴 다리;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상판은,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각각 40 ~ 70cm로서, 서로 동일하고, 상기 측판은 그 높이가 30 ~ 40cm인 것이고,
    상기 서로 결합된 측판, 상판 및 하판을 안착시켜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고정시키는 제2이동 잠금 부재가 배치되는 것이며;
    상기 제2 이동 잠금 부재는
    상기 이동 프레임을 소정의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바퀴; 그리고, 상기 바퀴에 접촉되어 상기 바퀴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상기 바퀴에 비접촉되어 상기 바퀴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일반 타입 자리, 사물함 타입 자리, 화분 타임 자리, 어항 타입 자리, 등받이 타입 자리 또는 등받이를 갖는 사물함 타입 자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편집용 자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적어도 하나 이상 매트릭스 형태로 인접 배열되어 평상을 이루는 제1항에 따른 공간 편집용 자리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편집용 자리는,
    일반 타입 자리, 사물함 타입 자리, 화분 타입 자리, 어항 타입 자리, 등받이 타입 자리, 그리고 등받이를 갖는 사물함 타입 자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편집용 자리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평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리 주변에 배치되는 테두리 자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편집용 자리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자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리 배열에 의해 형성되는 평상의 4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편집용 자리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테두리 자리는,
    상기 평상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자리의 상판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는 고정 평판;
    상기 고정 평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 평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 다리;
    상기 고정 평판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고, 상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평상을 이루는 자리의 측부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는 평판 도어; 그리고,
    상기 평판 도어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평판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편집용 자리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

KR1020180039661A 2018-04-05 2018-04-05 공간 편집용 자리 및 그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 KR102094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661A KR102094068B1 (ko) 2018-04-05 2018-04-05 공간 편집용 자리 및 그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661A KR102094068B1 (ko) 2018-04-05 2018-04-05 공간 편집용 자리 및 그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703A KR20190116703A (ko) 2019-10-15
KR102094068B1 true KR102094068B1 (ko) 2020-03-26

Family

ID=68209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661A KR102094068B1 (ko) 2018-04-05 2018-04-05 공간 편집용 자리 및 그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0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459B2 (ja) * 1998-06-26 2000-10-1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ション 高集積度チップ・オン・チップ実装
JP2009114621A (ja) * 2007-11-01 2009-05-28 Ahresty Corp 免震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スライドパネル及びその設置構造
KR200469749Y1 (ko) * 2011-07-19 2013-11-05 신동현 자석 매트블럭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7885Y2 (ja) * 1992-02-04 1997-12-17 早川ゴム株式会社 二重床用床材
JP2577513Y2 (ja) * 1992-08-31 1998-07-30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システムフロアー
JP3096459U (ja) * 2003-03-14 2003-09-19 シシクアドクライス株式会社 移動式足場用キャスタ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459B2 (ja) * 1998-06-26 2000-10-1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ション 高集積度チップ・オン・チップ実装
JP2009114621A (ja) * 2007-11-01 2009-05-28 Ahresty Corp 免震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スライドパネル及びその設置構造
KR200469749Y1 (ko) * 2011-07-19 2013-11-05 신동현 자석 매트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703A (ko) 201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31964A1 (en) Combined furniture and animal housing
JPS62181151U (ko)
US10694856B2 (en) Furniture with integrated storage compartments
KR102094068B1 (ko) 공간 편집용 자리 및 그를 이용한 자리 조립체
KR20090052783A (ko) 수경공원이 설치된 테이블
AU611043B2 (en) Improvements in water mattress construction
US6024046A (en) Doggie sleeping hole
EP1613144B1 (en) Partition system
JP2003105991A (ja) 集合住宅の床下構造
JP2007319567A (ja) テーブル
KR200352060Y1 (ko) 반신욕에 적합한 조립식 욕조
AU2004202385B2 (en) Curvilinear spa
JPH0585949U (ja) 浴室のスペースユニット
CN201048495Y (zh) 通用植栽盆底座
CN204488356U (zh) 龙鼎
JPS6243076Y2 (ko)
CN209397680U (zh) 一种马桶
KR101921088B1 (ko) 유골함 좌대 및 이를 이용한 유골함안치구조
JP3119194U (ja) 二世帯カロートを備えた墓石
JPH0213030Y2 (ko)
Thybony The Hogan
JPH0512641Y2 (ko)
KR20140004040U (ko) 침대와 의자로 활용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 & Oil 맛사지용 여행용 가방
JPS5826637Y2 (ja) 洗い湯マット
KR200367662Y1 (ko) 가족 납골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