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662Y1 - 가족 납골묘 - Google Patents

가족 납골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662Y1
KR200367662Y1 KR20-2004-0022347U KR20040022347U KR200367662Y1 KR 200367662 Y1 KR200367662 Y1 KR 200367662Y1 KR 20040022347 U KR20040022347 U KR 20040022347U KR 200367662 Y1 KR200367662 Y1 KR 2003676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crypt
family
deceased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이
Original Assignee
김영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이 filed Critical 김영이
Priority to KR20-2004-0022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6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6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6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족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 영역의 외주연을 따라 다수의 고정공이 천공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외측 벽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소정 폭 돌출되며 표면에 하나 이상의 비석지지홈이 형성된 하부테두리부 및 일측 벽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서 상부에 봉분이 일체로 형성된 납골묘본체와; 상기 납골묘본체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내부 상측을 향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고정볼트로서 상기 납골묘본체 내부에 고정되며 표면 중앙에 소정 높이의 축이 입설된 안치실바닥판과; 상기 안치실바닥판에 형성된 축에 축설되어 회전하며 하나 이상의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납골함안치실이 형성된 납골함안치판과; 상기 각 납골함안치실의 입구에 입설한 영정과; 상기 봉분에 씌워진 인조잔듸 및 상기 인조잔듸의 하부영역을 지지하는 상부테두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으며, 특히 가족 납골묘에 모셔진 여러 고인 중 특정한 고인의 납골함안치실을 필요에 따라 성묘하는 사람의 앞으로 이동시켜 영정을 현출할 수 있어서 고인의 체취를 보다 가까이서 느끼면서 성묘를 할수 있는 가족 납골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족 납골묘{family charnel house}
본 고안은 가족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가족 납골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납골묘는 좁은 면적에 설치할 수 있는 분묘형태로서 화장 또는 개장한 유골을 안치할 수 묘지형식의 납골당을 말하는 것으로서, 묘지 개발로 인한 국토의 잠식 방지와 더불어 자연 경관 훼손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적은 비용으로 묘지구입비용을 해결할 수 있어서 국가, 가정경제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널리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납골묘는, 모양이나 형식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으며 개인 및 부부형 가족형 등으로 형성되며 구성 또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는데 그 대분분이 일정한 형태의 납골묘를 석재로 조립하여 형성하되 석재를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도록 재단하여 납골묘를 설치할 장소에서 조립하는 형태로서 내부에는 납골함을 넣을 수 있는 납골실이 수 개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납골묘는 대리석과 같은 고급석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이 고가인 동시에 설치비용의 부담이 많다는 단점과 아울러, 운반 및 현장시공이 용이치 않은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가족 납골묘는 각 납골함안치실이 둘레방향을 따라 또는 납골묘 내부에서 구획되어 고정되어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납골함안치실에 모셔진 여러 분의 고인 중 어느 한분의 고인의 기일에는 성묘를 하는 사람의 앞으로 해당 고인의 납골함안치실을 위치시킬 수 없기 때문에 상석에 고인의 영정만을 모시고 제를 지내야 한다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가족 납골묘를 제공하는 것이며,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족 납골묘에 모셔진 여러 고인 중 특정한 고인의 납골함안치실을 필요에 따라 성묘하는 사람의 앞으로 이동시켜 영정을 현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고인의 체취를 보다 가까이서 느끼면서 성묘를 할수 있는 가족 납골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족 납골묘의 종단단면도.
도 2는 도 2에 따른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납골묘본체 11 : 플랜지
13 : 고정공 15 : 고정핀
19 : 하부테두리부 21,21a: 비석지지홈
23 : 비석 25 : 봉분
27 : 인조잔듸 29 : 상부테두리부재
31 : 힌지 33 : 도어
35 : 고정볼트 37 : 안치실바닥판
39 : 축 41 : 구획벽
43 : 납골함안치실 45 : 납골함안치판
47,47a: 홈 49 : 구름볼
100 : 콘크리트기초부 200 : 영정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가족 납골묘에 있어서, 하부 영역의 외주연을 따라 다수의 고정공이 천공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외측 벽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소정 폭 돌출되며 표면에 하나 이상의 비석지지홈이 형성된 하부테두리부 및 일측 벽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서 상부에 봉분이 일체로 형성된 납골묘본체와; 상기 납골묘본체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내부 상측을 향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고정볼트로서 상기 납골묘본체 내부에 고정되며 표면 중앙에 소정 높이의 축이 입설된 안치실바닥판과; 상기 안치실바닥판에 형성된 축에 축설되어 회전하며 하나 이상의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납골함안치실이 형성된 납골함안치판과; 상기 각 납골함안치실의 입구에 입설한 영정과; 상기 봉분에 씌워진 인조잔듸 및 상기 인조잔듸의 하부영역을 지지하는 상부테두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납골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치실바닥판의 표면과 상기 납골함안치판의 하부면에 각각 형성한 원형의 홈 및 상기 홈에 구름 가능하게 놓여진 구름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납골묘본체는 FRP(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족 납골묘의 종단단면도이며, 도 2는 도 2에 따른 A-A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족 납골묘본체(10)는, 제품공급가를 저렴하게 하고 운반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FRP(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한다.
납골묘본체(10)는 납골묘본체가 설치될 장소에 타설된 콘크리트기초부(100)에서 유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 영역의 외주연에 형성한 플랜지(11)에 다수 개 형성된 고정공(13)에 고정핀(15)을 삽입하여 상기 콘크리트기초부(100)에 고정시킨다.
납골묘본체(10)의 외측 벽의 외주면에는 외측을 향하여 소정 폭으로 돌출 형성시킨 하부테두리부(19)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테두리부(19)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으로 비석지지홈(21)을 형성하여 납골묘 내부에 모셔진 각 고인의 비석(23)을 입설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납골묘 내부에 모셔진 고인 중 특정한 고인을 성묘할 때에는 각 비석지지홈(21) 중 어느 하나의 비석지지홈(21)에 끼워진 해당고인의 비석(23)을 정면 측에 형성된 비석지지홈(21a)으로 옮겨 입설시키 후 성묘할 수 있다.
한편, 납골묘본체(10)는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 상부 영역에는 봉분(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봉분(25)에는 인조잔듸(27)가 씌워져 상부테두리부재(29)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납골묘본체(10)의 일측 벽에는 힌지(31)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33)를 설치하고 있어서 납골묘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다.
납골묘본체(10)의 내부, 즉 납골묘본체(10)의 외측 면에 형성된 하부테두리부(19)와 동일한 높이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고정볼트(35)로 납골묘본체(10)의 내부에 안치실바닥판(37)을 고정하고 있으며, 표면 중앙에는 소정 높이의 축(39)을 축설하고 있다. 그리고 입구에 영정(200)이 입설되며 하나 이상의 구획벽(41)에 의해 구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납골함안치실(43)을 갖는 납골함안치판(45)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납골함안치판(45)은 안치실바닥판(37)의 표면과 납골함안치판(45)의 하부면에 각각 형성된 원형의 홈(47)(47a)에 마련된 구름볼(49)에 의해 회전이 쉽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가족 납골묘는, 납골함안치실(43)은 제조시에 다양한 개수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구매자는 원하는 개수의 납골함안치실(43)이 형성된 납골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는, 납골묘에 모셔진 여러 고인 중 특정한 고인 한분을 성묘할 때에는 도어(33)를 개방시킨 후 납골함안치판(45)을 손으로 잡고 회전시켜 납골함안치실(43)의 입구에 입설된 고인의 영정(200)을 확인하여 개방된 도어(33) 측으로 영정(200)을 현출시키고 이어서 하부테두리부(19)의 비석지지홈(21)에 입설되어 있던 해당 고인의 비석(23)을 찾아 도어 부근에 마련된 비석지지홈(21a)에 입설시킨 후 성묘를 하면 고인의 체취를 보다 가까이서 느끼면서 성묘를 할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납골묘본체를 FRP(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플라스틱)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으며, 특히 가족 납골묘에 모셔진 여러 고인 중 특정한 고인의 납골함안치실을 필요에 따라 성묘하는 사람의 앞으로 이동시켜 영정을 현출할 수 있어서 고인의 체취를 보다 가까이서 느끼면서 성묘를 할수 있는 가족 납골묘가 제공된다.

Claims (3)

  1. 가족 납골묘에 있어서,
    하부 영역의 외주연을 따라 다수의 고정공이 천공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외측 벽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소정 폭 돌출되며 표면에 하나 이상의 비석지지홈이 형성된 하부테두리부 및 일측 벽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서 상부에 봉분이 일체로 형성된 납골묘본체와;
    상기 납골묘본체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내부 상측을 향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고정볼트로서 상기 납골묘본체 내부에 고정되며 표면 중앙에 소정 높이의 축이 입설된 안치실바닥판과;
    상기 안치실바닥판에 형성된 축에 축설되어 회전하며 하나 이상의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납골함안치실이 형성된 납골함안치판과;
    상기 각 납골함안치실의 입구에 입설한 영정과;
    상기 봉분에 씌워진 인조잔듸 및 상기 인조잔듸의 하부영역을 지지하는 상부테두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납골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실바닥판의 표면과 상기 납골함안치판의 하부면에 각각 형성한 원형의 홈 및 상기 홈에 구름 가능하게 놓여진 구름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납골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묘본체는 FRP(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납골묘.
KR20-2004-0022347U 2004-08-05 2004-08-05 가족 납골묘 KR2003676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347U KR200367662Y1 (ko) 2004-08-05 2004-08-05 가족 납골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347U KR200367662Y1 (ko) 2004-08-05 2004-08-05 가족 납골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479A Division KR100646106B1 (ko) 2005-07-12 2005-07-12 가족 납골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662Y1 true KR200367662Y1 (ko) 2004-11-10

Family

ID=49441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347U KR200367662Y1 (ko) 2004-08-05 2004-08-05 가족 납골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6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4387B2 (en) Portable tombstone
KR100646106B1 (ko) 가족 납골묘
KR200367662Y1 (ko) 가족 납골묘
KR20060102567A (ko)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
KR200207087Y1 (ko) 납골묘에 적용되는 회전식의 유골함 보관구조
KR200163430Y1 (ko) 전통원형묘지형태의납골당
JP2001173272A (ja) 簡易墓石
KR100272315B1 (ko)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KR100680029B1 (ko) 폐연탄재를 이용한 공동묘지의 친환경적 납골당의 시공법및 그 구조
GB2264962A (en) A cinerarium
KR200285570Y1 (ko) 옥외형 다단식 납골묘
KR100261763B1 (ko) 납골묘
WO2004051031A1 (en) Grave-constructions for above ground multiple burials
KR200207158Y1 (ko) 납골탑
KR200223742Y1 (ko) Pvc 납골함단의 커버 고정장치
KR200189920Y1 (ko) 한국형 납골당 가족묘 공원
KR200392056Y1 (ko) 납골묘
KR200361497Y1 (ko) 폐연탄재를 이용한 공동묘지의 친환경적 납골당의 구조
KR200322828Y1 (ko) 납골묘
KR200223741Y1 (ko) Pvc 납골함단 및 그 제작방법
KR200329435Y1 (ko) 사각둘레석 납골묘
KR200246500Y1 (ko) 납골묘
KR200227846Y1 (ko) 가족 납골묘
KR200220571Y1 (ko) 가족 납골묘지
KR200332560Y1 (ko) 납골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