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158Y1 - 납골탑 - Google Patents

납골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158Y1
KR200207158Y1 KR2020000020759U KR20000020759U KR200207158Y1 KR 200207158 Y1 KR200207158 Y1 KR 200207158Y1 KR 2020000020759 U KR2020000020759 U KR 2020000020759U KR 20000020759 U KR20000020759 U KR 20000020759U KR 200207158 Y1 KR200207158 Y1 KR 200207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tower
base end
pagoda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천석
Original Assignee
윤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천석 filed Critical 윤천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1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탑신(塔身)에 시차를 두고 여러 구의 유해를 봉안할 수 있는 회전납골대가 내장되어 가족 납골묘로 활용될 수 있는 납골탑(納骨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납골탑은 지상에 세워지는 기단부(基壇部)(10)와; 상기 기단 상면에 얹어져 고정되고 일측에 납골문(220)이 구비된 중공형 탑신(塔神)(22)과 상기 탑신 내 상기 기단부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얹어져 고정되며, 그 외주를 따라 유해가 안치되는 복수 개의 안치실(21a)이 형성된 회전납골대(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탑신부(塔身部)(20)와; 상기 탑신부 위에 얹어져 상기 탑신 상부를 폐쇄하는 탑두부(塔頭部)(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납골탑은 유해에 대한 밀봉효과가 뛰어나 유해를 변질없이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또한, 납골문의 개폐를 통해 시차를 두고 여러 구의 유골을 봉안할 수 있는 회전납골대가 내장되어 가족 단위의 납골묘로 사용될 수 있는 바, 별도 부대설비가 불필요한데다 설치도 용이하여 기존의 납골공원과 선산(先山)은 물론 절이나 일반 가정의 정원 등에도 간편하게 유해를 모실 수 있으며, 그 이동도 매우 간편하다.

Description

납골탑{CHARNEL TURRET}
본 고안은 탑신(塔身)에 시차를 두고 여러 구의 유해(遺骸)를 봉안할 수 있는 회전식 납골대가 내장되어 가족 납골묘로 활용할 수 있는 납골탑(納骨塔)에 관한 것이다.
유교사상에 뿌리를 둔 매장(埋葬) 중심의 전통적인 장묘문화는 해마다 수많은 신규 묘지와 무연고 묘지를 양산하여 환경과 자연경관을 파괴함은 물론 토지의 효율적 이용을 제한하고, 묘지 매입비용 등이 포함된 과다한 장례비용을 소모하여 매우 비경제적이며, 폭우 등에 의한 침식이나 유실 방지를 위하여 묘지를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등 많은 불합리한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최근, 상술한 바와 같은 매장 중심의 전통적인 장묘문화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어, 기존의 매장 중심의 전통적인 장묘문화를 시신을 화장(火葬)한 후 그 유해(遺骸)를 납골당이나 절 등과 같은 특정한 납골시설에 안치하는 화장 중심의 장묘문화로 바꾸기 위한 노력들이 범사회적으로 폭넓게 전개되고 있다.
그 결과, 이제는 화장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어느 정도 불식되어, 화장하는 비율이 과거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화장장과 납골당 등과 같은 화장에 필요한 시설들이 크게 확충되고 있다. 더불어 유해를 보다 위생적으로 장기간 변질되지 않게 보관할 수 있으면서 기존의 부정적 이미지를 탈피할 수 있는 납골시설에 대한 연구들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239021 호의 '조립식 주조형 납골함 제조방법 및 설치방법'과 실용공개 제 1999-0040471 호의 '납골당이 내장된 석탑', 그리고, 실용공개 제 1999-0015841호의 '납골당용 유골함의 회전 테이블식 보관장치' 등은 상술한 바와 같은 연구의 결과 개발된 납골장치들로, 이들은 각기 유해를 변질되지 않게 반영구적으로 대량 안치할 수 있음으로써 분묘를 억제하여 자연환경을 보존하는데 일조(一助)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납골장치들은 집단묘지나 납골당과 같은 별도의 대형 납골시설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데다 타인과 공동으로 사용해야 하는 집단묘지와 납골당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하지 못하여 가족묘를 선호하는 일반인 정서에 부합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화장문화를 대중화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즉, 종래 납골장치들은 수십기 이상의 안치실들이 아파트식으로 배열되어 공간의 효율성은 매우 높으나, 장례나 제례 특히 많은 유가족들이 한꺼번에 몰리는 성묘 등을 위한 대형 부대시설이 필요하여 납골시설이 부득이 대형화될 수밖에 없으므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등의 정책적 지원 없이는 납골시설의 건립이 어렵다는 점과, 또, 유해들이 상하로 배열되어 안치되므로 상하 배열이 사회적 지위로서 인식되어 선대 유해가 타인의 유해 아래에 안치되는 것에 대해 상당한 거부감을 갖고 있으면서 가족 단위의 묘지를 극단적으로 선호하는 일반인의 정서에 부합하지 못하였다는 점 때문에 활용도가 극히 저조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납골장치들이 가진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 시차를 두고 여러 구의 유해를 안전하게 안치할 수 있는 회전식 납골대가 내장되어 가족 납골묘로 이용할 수 있고, 별도의 부대설비가 불필요한데다 설치도 용이하여 기존의 납골공원과 선산(先山)은 물론 절이나 일반 가정의 정원 등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더욱이 그 자체로서 추념의 의미를 담고 있으면서 외관에 영정이나 글귀 또는 문양 등을 자유로이 장식할 수 있어 고인(故人)을 더욱 기릴 수 있는 납골탑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매장 중심의 전통적인 장묘문화를 화장 중심의 장묘문화로 바꾸어 서두의 설명한 바와 같은 매장 중심의 장묘문화가 낳는 문제점들을 일소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탑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탑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탑에 내장되는 회전납골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탑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기단부 13 : 갑석
13b : 궤도홈 20 : 탑신부
21 : 회전납골대 21a : 안치실
21b : 궤도홈 21c : 고정홈
22 : 탑신 30 : 탑두부
40 : 유골함 130 : 구름돌
211, 212 : 덮개 22 : 납골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에 따른 납골탑은, 지상에 세워지는 기단부(基壇部)와; 상기 기단 상면에 얹어져 고정되고 일측에 납골문이 구비된 중공형 탑신(塔身)과 상기 탑신 내 상기 기단부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얹어져 고정되며, 그 외주를 따라 유해가 안치되는 복수 개의 안치실이 형성된 회전납골대(納骨臺)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탑신부와; 상기 탑신 위에 얹어져 상기 탑신 상부를 폐쇄하는 탑두부(塔頭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납골탑은, 이상의 구성과 더불어, 상기 안치실의 개방면을 덮어 그 내부를 밀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납골탑은, 상기 기단부 상면에 형성된 원환형의 궤도홈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회전납골대를 상기 기단부에 대하여 지지하는 다수의 구름돌를 더 포함하면, 상기 회전납골대가 원활하게 회전되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 기단부 상면 중심에서 돌출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회전납골대의 하부 중심에서 돌출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지는 고정홈을 더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납골대 상기 안치실 사이 사이의 외주면에 손잡이홈이 더 형성되면, 상기 회전납골대를 요동 없이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유해봉안작업이 더욱 용이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납골탑은 탑신의 납골문을 통해 탑신에 둘러싸여 밀봉되는 회전납골대에 시차를 두고 여러 구의 유해를 안치할 수 있으므로 가족 납골묘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납골탑은 부피가 작으면서 별도의 부대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설치도 용이하여 기존 납골공원이나 선산(先山)은 물론 절이나 일반 가정의 정원 등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더욱이 납골탑 자체로서 추념의 의미를 담고 있으면서 그 외관에 영정이나 글귀 또는 문양 등을 자유로이 장식할 수 있어 고인을 기리는 데에도 더욱 효과적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을 통해 본 고안에 따른 납골탑의 구성과 그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과 2는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탑의 사시도와 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탑은 하부 기초인 기단부(10), 본체가 되는 탑신부(20), 그리고, 탑의 상부를 장식하는 탑두부(30)의 크게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단부(10)는 지면에 대하여 탑신부(20)와 탑두부(20)를 떠받혀 지지하는 것으로서, 단일 부재를 가공하여 만들 수도 있으나 가공의 편의과 비용절감을 위해서 본 실시예서와 같이 여러 개의 부재로 나누어 각각 가공한 다음 그것들을 서로 접합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단부(10)가 세 개의 부재, 즉, 지면과 맞닿는 지대석(11)과, 그 지대석(11) 위에 세워지는 육각기둥 형상의 면석(12), 그리고, 상기 면석(12)에 의해 떠받쳐지고 그 상면에 반구형 단면을 갖는 원형 궤도홈(13b)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궤도홈(13b) 중심에 고정축이 돌출된 갑석(13)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신부(20)는 그 내부에 유해가 안치되는 탑의 몸체 부분으로서, 상기 기단부(10)의 갑석(13) 위에 회전가능하게 얹어지는 회전납골대(21)와, 상기 회전납골대(21)를 둘러 싸 그 주위를 밀폐하는 밀폐 케이스인 중공형 탑신(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납골대(21)는,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을 따라 유해가 안치되는 다수의 안치실(21a)에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석재(石材)로서, 상기 안치실(21a)의 개방면을 덮고 그 가장자리가 실링(Sealing) 처리되어 상기 안치실(21a)을 밀폐하게 되는 두 개의 덮개(211)(212)를 부가적 구성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회전납골대(21)의 하면에는 상기 갑석의 궤도홈(21b)에 대응하는 궤도홈(21b)이 형성되고, 그 궤도홈(21b) 중심과 상면 중심에는 갑석(13)의 고정돌기(13c)와 후술하는 탑두부(30) 하면 중심의 고정홈(미도시)에 끼워지는 고정홈(21c)과 고정돌기(21d)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치실(21a) 사이사이에는 손잡이홈(21e)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회전납골대(21)는 그 하면 궤도홈(21b)과 상기 갑석(13)의 궤도홈(13b) 사이에 다수의 구름돌(130)들을 개재하면서 갑석(13) 위에 얹어지게 되는데 이 때 그 상하면의 고정홈(21c)과 고정돌기(21d)가 각각 갑석(13)의 고정돌기(13c)와 후술하는 탑두부(30)의 고정홈(미도시)에 끼워짐으로써, 구름돌(130)의 미끄럼 작용으로 갑석(13) 위에서 용이하게 회전되고 또 그 상하의 고정돌기(21d)과 고정홈(21c)이 갑석(13)과 탑두부(3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시 요동이 방지된다. 회전납골대(21)의 각 안치실(21a)에는 유해가 봉안된 유골함(40)이 안치되는 바, 이 때 유골함(40)으로는 유해의 변색을 막을 수 있는 옥돌로 제조된 유골함이 사용되고 또 그 유골함이 한지(韓紙)로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신(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여닫이식 납골문(220)이 설치된 대략 육각형의 중공(中空) 석재(石材)로서, 상기 회전납골대(21)를 수용하면서 상기 갑석(13) 위에 얹어져 상기 회전납골대(21)의 주위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이 탑신(22)의 외주의 각 면에는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고인을 추모하고 생전의 뜻을 기리는 글귀나 문양 또는 조형 등이 장식되거나 또는 고인의 영정이 부착된다. 특히 상기 납골문(220)에는 손잡이 기능을 겸할 수 있는 장식이 양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2에서 부호 13d이 가리키는 것은 탑신(2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탑신(22)의 하단부가 끼워지도록 갑석(13) 상면에 형성되는 단이다.
상기 탑두부(30)는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신(22) 위에 얹어지는 탑의 지붕으로서, 회전납골대(21)가 수용된 탑신(22)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탑에 대한 유해 봉안작업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신(22)의 납골문(220)을 개방한다. 다음, 탑신(22)내 회전납골대(21)를 회전시켜 빈 안치실(21a)을 찾아 내어 납골문(220)을 향하게 한 다음 그 안치실(21a)에 유해가 봉안된 옥재질의 유골함(40)을 넣는다. 그리고 그 안치실(21a)에 개방면에 덮개(211)(212)를 덮고, 그 덮개(2110(21)의 가장자리를 실링처리하여 안치실(21a)을 완전 밀봉시킨 후, 그 안치실(21a)이 고인에 대한 장식이 양각된 탑신(22)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회전납골대(21)를 회전시킨다. 마지막으로 탑신(22)의 납골문(220)을 닫은 다음 그 납골문(220)의 주위를 실링 처리하면, 납골탑에 대한 유해봉안작업이 모두 끝나게 된다. 이어 수년 후 또 고인이 또 생기는 경우에는 납골문을 재개방하여 그 유해를 앞서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회전납골대(21)의 다른 안치실(21a)에 봉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납골탑은 탑신(22)의 개폐 가능한 납골문(220)을 통해 그 내부의 회전납골대에 시차를 두고 여러 구의 유해를 안치할 수 있으므로 가족 납골묘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납골탑은 부피가 작으면서 별도의 부대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설치도 용이하여 기존 납골공원이나 선산(先山)은 물론 절이나 일반 가정의 정원 등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더욱이 납골탑 자체로서 추념의 의미를 담고 있으면서 그 외관에 영정이나 글귀 또는 문양 등을 자유로이 장식할 수 있어 고인을 기리는 데에도 더욱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탑은 유해를 적어도 3 차에 걸쳐 밀봉하므로 유해에 대한 밀봉효과가 뛰어나 유해를 변질없이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납골탑은 또한 납골문의 개폐를 통해 시차를 두고 여러 구의 유해를 봉안할 수 있는 회전납골대가 내장되어 가족 단위의 납골묘로 이용될 수 있는 바, 별도 부대설비가 불필요한데다 설치도 용이하여 기존의 납골공원과 선산(先山)은 물론 절이나 일반 가정의 정원 등에도 간편하게 유해를 모실 수 있으며, 그 이동도 매우 간편하다.
이에, 분묘를 양산하여 여러 가지의 문제점들을 유발하는 종래 매장 중심의 전통적인 장묘문화를 화장 중심의 장묘문화로 바꾸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laims (5)

  1. 지상에 세워지는 기단부(基壇部)와;
    상기 기단부 상면에 얹어져 고정되고 일측에 납골문이 구비된 중공형 탑신(塔身)과, 상기 탑신 내 상기 기단부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얹어져 고정되며 그 외주를 따라 유해(遺骸)가 안치되는 복수 개의 안치실이 형성된 회전납골대(納骨臺)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탑신부(塔身部)와;
    상기 탑신 위에 얹어져 상기 탑신 상부를 폐쇄하는 탑두부(塔頭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실의 개방면을 덮어 그 내부를 밀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탑.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부 상면에 형성된 원환형의 궤도홈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회전납골대를 상기 기단부에 대하여 지지하면서 상기 회전납골대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다수의 구름돌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탑.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부 상면 중심에서 돌출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회전납골대의 하부 중심에서 돌출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지는 고정홈을 더 구비하여, 상기 회전납골대가 상기 기단부에 대하여 요동없이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탑.
  5.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납골대의 상기 안치실 사이 사이의 외주면에 상기 회전납골대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손잡이홈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탑.
KR2020000020759U 2000-07-20 2000-07-20 납골탑 KR20020715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645A KR20020008467A (ko) 2000-07-20 2000-07-20 납골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645A Division KR20020008467A (ko) 2000-07-20 2000-07-20 납골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158Y1 true KR200207158Y1 (ko) 2000-12-15

Family

ID=196789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645A KR20020008467A (ko) 2000-07-20 2000-07-20 납골탑
KR2020000020759U KR200207158Y1 (ko) 2000-07-20 2000-07-20 납골탑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645A KR20020008467A (ko) 2000-07-20 2000-07-20 납골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0084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959A (ko) * 2001-11-05 2003-05-16 오옥균 통돌 납골탑
KR101229767B1 (ko) 2010-01-12 2013-02-05 조세묵 완전방수 납골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348B1 (ko) * 2008-01-30 2010-06-28 윤재기 기와를 이용한 납골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1358B2 (ja) * 1994-07-01 1998-07-30 有限会社創元社 納骨塔
JP3746852B2 (ja) * 1996-09-11 2006-02-15 一次 清野
JPH10227156A (ja) * 1997-02-14 1998-08-25 Kozo Yamamoto 回転式法名塔
JP2000064665A (ja) * 1998-08-19 2000-02-29 Nikko Sangyo Kk ペット用慰霊塔
KR200179390Y1 (ko) * 1999-12-03 2000-04-15 주식회사불교문화 정토원 납골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959A (ko) * 2001-11-05 2003-05-16 오옥균 통돌 납골탑
KR101229767B1 (ko) 2010-01-12 2013-02-05 조세묵 완전방수 납골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467A (ko) 200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38083A1 (en) Multi-use park for the living and the dead
KR200207158Y1 (ko) 납골탑
KR101323892B1 (ko) 회전개폐가 가능한 납골묘
JP3166679U (ja) 墓前用水鉢及び花立て・水鉢セット
KR200189933Y1 (ko) 납골묘의 회전구조
KR101148118B1 (ko) 회전형 납골함 어셈블리
KR200175289Y1 (ko) 봉분식 납골당
KR200392056Y1 (ko) 납골묘
KR200228642Y1 (ko) 21세기형적층을겸하는수동식회전용유골함의납골묘
KR200220633Y1 (ko) 가족납골묘
KR200250706Y1 (ko) 봉분식 납골묘의 유골함 보관 장치
KR200380745Y1 (ko) 평장 납골묘 유골함 보관장치
KR200193187Y1 (ko) 가족 납골묘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KR200475777Y1 (ko) 통기구조 및 평면 다중 구조의 납골실이 적용된 납골묘
KR100261763B1 (ko) 납골묘
KR200267695Y1 (ko) 조립식 납골탑
KR200246921Y1 (ko) 납골묘비
KR200257754Y1 (ko) 납골함의 안치공간이 확장된 납골당
KR200322828Y1 (ko) 납골묘
KR200246500Y1 (ko) 납골묘
KR200267616Y1 (ko) 납골묘
CN2420379Y (zh) 墓穴防水防潮衬
KR100304492B1 (ko) 혼합형분묘의시공방법
KR200207171Y1 (ko)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