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921Y1 - 납골묘비 - Google Patents

납골묘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921Y1
KR200246921Y1 KR2019980020675U KR19980020675U KR200246921Y1 KR 200246921 Y1 KR200246921 Y1 KR 200246921Y1 KR 2019980020675 U KR2019980020675 U KR 2019980020675U KR 19980020675 U KR19980020675 U KR 19980020675U KR 200246921 Y1 KR200246921 Y1 KR 2002469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ain body
gravestone
ossuary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6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817U (ko
Inventor
조인현
Original Assignee
조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현 filed Critical 조인현
Priority to KR20199800206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92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8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8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9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921Y1/ko

Links

Landscapes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받침대 상의 수납홈에 납골함을 올려놓고, 이 납골함을 본체와 케이스로 감싸 외부의 바람이나 빗물 등에 의해 소손되지 않도록 하며 케이스의 상부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문양을 지닌 덮개를 씌워 묘지가 차지하는 면적을 크게 줄여 국토의 이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고안한 납골묘비에 관한 것으로, 이 납골묘비는 납골함(40)이 배치되는 수납홈(16a)을 지닌 받침대(16)와, 받침대(16)상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홈(16a)에 놓여진 납골함(40)을 보호하는 본체(10)와, 본체(10)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사방에는 사진 등이 삽입되는 끼움홈(20a)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20)와, 케이스(20)의 상부에 씌워지는 덮개(21)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납골묘비
본 고안은 납골묘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대 상의 수납홈에 납골함을 올려놓고, 이 납골함을 본체와 케이스로 감싸 외부의 바람이나 빗물 등에 의해 소손되지 않도록 하며 케이스의 상부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문양을 지닌 덮개를 씌워 묘지가 차지하는 면적을 크게 줄여 국토의 이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고안한 납골묘비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의 유교 문화권에서는 시신을 화장하지 않고 땅속에 매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들 국가는 국토의 많은 부분을 점차 묘지가 차지하게 되어 유용 가능한 토지면적이 줄어들게 되며, 산이 묘지로 바뀜에 따라서, 자연 경관을 해치게 되고 환경파괴로 인해서 자연 생태계에 상당히 나쁜 영향을 주게 된다.
그에 따라 각국 정부에서는 시신을 매장하는 경우에 묘지의 크기를 작게 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매장 방식의 장례문화를 화장 방식으로 유도하고 있다.
또한, 화장의 경우에는 태우고 남은 뼈를 갈아서 강물이나 바다에 뿌리기도 하지만, 납골함에 넣어서 보관하기도 한다. 납골함의 보관방식으로는 일본 등지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것으로 여러 개의 칸을 만들어 납골함을 쌓아놓는 아파트식 납골묘비(본 명세서에서 납골묘비는 납골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함)도 있으나, 이러한 아파트식 납골묘비 보다는 산이나 들에 소형 납골묘비를 만들어 납골함을 보관하는 것이 아직까지 매장을 선호하고 있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정서에 부합되리라 본다.
그러나, 현재 이용하고 있는 납골묘비는 매장문화를 선호하고 있는 사람들의 정서에 부합되지 않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화장보다는 매장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으며 묘지의 증가추세는 계속 늘어남으로써 전국토의 상단 부분이 묘지로 뒤덮혀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1997년 9월 8일에 본 출원인이 출원한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7-25432호에는 본체와 묘비덮개로 이루어진 소형묘비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의 구성을 보면, 전면부에 비명일 새길 수 있고, 상부면에 모래 등의 분말을 담아 향을 꽂을 수 있는 향고정홈 및 이 향을 피울 수 있는 분향물품을 보관하는 보관홈이 형성되며, 받침대에 의해 받쳐지는 묘비본체와, 상기 묘비본체의 풍화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묘비본체를 씌워주는 묘비덮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소형묘비의 경우에는 기존의 묘지에 봉분 대신 설치하여 이용함으로써, 묘지가 차지하는 면적을 크게 줄여 국토면적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매장문화를 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받침대와 본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본체의 내부에 납골함을 넣을 수 없으며, 덮개의 외측면에는 가족 사진등을 삽입하여 외부에서도 볼 수 있는 별도의 홈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가족의 이름이나 관련 사항 등을 기록하려면 덮개의 외측면에 글자나 문양을 새겨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사진 등을 보관할 수 없기 때문에 고인의 모습이나 가족사진을 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묘비 내에 납골함을 보관할 수 있고 가족사진이나 고인의 사진 및 글씨 등을 넣을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묘비에 글씨나 문양 등을 새기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매장문화에 익숙해져 있는 사람들도 납골방식을 쉽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납골묘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비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서 선 I-I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비에서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보관함
14 : 향고정홈 16 : 받침대
17 : 손잡이홈 20 : 케이스
21 : 덮개 22 : 꽃다발고정홈
24 : 고정홀 30 : 꽃다발
40 : 납골함 42 : 뚜껑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납골묘지는 납골함(40)이 배치되는 받침대(16)와, 상기 받침대(16)상에 놓여진 납골함(40)을 감싸도록 상기 받침대 상에(16)에 배치되는 본체(10)를 포함하는 납골묘비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를 감싸도록 상기 받침대 상에(16)에 배치되고 사방에는 사진 등이 삽입되는 끼움홈(20a)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에 형성된 끼움홈(20a)의 상단에 삽입되어 각종 먼지나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플랜지(21a)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납골묘비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와 제2도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및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에서 선 I-I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비에서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비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지면에 놓여지는 받침대(16)와, 받침대(16)상에 배치되는 납골함(40)을 감싸기 위한 본체(10)와, 본체(10)의 외측에서 이를 감싸고 있는 케이스(20) 및 케이스(20)의 상부에 씌워지는 덮개(21)로 이루어져 있다. 납골함(40)의 형태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항아리 모양의 용기를 예시하였으며, 윗면에는 뚜껑(42)을 덮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였다. 납골함(40)의 내측 공간부(40a)에는 통상 분말형태의 뼈가루가 들어있다.
여기에서, 받침대(16)의 윗면에는 납골함(40)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납홈(1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의 중간지점에는 손잡이홈(17)이 형성되어 있어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수납홈(16a)상에는 본체(10)가 배치된다.
본체(10)의 전면부(18)에는 묘비명이나 십자가 등을 새겨넣을 수 있도록 평탄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윗면에는 분향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보관홈(12)을 비롯하여 향을 꽃아놓을 수 있도록 하는 향고정홈(14)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10)의 외부에는 케이스(20)가 배치되어 본체(10) 및 본체(10)에 들어있는 납골함(40)을 보호하게 된다.
케이스(20)의 사방에는 사진이나 후손들의 이름 등이 적혀있는 내용물을 끼워넣을 수 있는 끼움홈(20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지로 운반하기 전에 상가 집에서는 이 끼움홈에 사진을 넣어 문상객들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사진틀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장지에 가서 본체(10)위에 케이스(20)를 끼우면 된다. 끼움홈(20a)에 끼워져 있는 사진이나 내용물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케이스(20)를 투명한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21a)를 통해 케이스(20)의 윗면에 삽입되어 각종 먼지나 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씌우는 덮개(21)의 윗면에는 꽃다발(30)등을 꽃아놓을 수 있는 꽃다발고정홈(30)이 형성되어 있으며, 꽃다발고정홈(30)의 둘레에는 한 두송이의 꽃을 꽃아놓을 수 있는 다수의 고정홀(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결합상태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고정홀(24)의 외곽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장식체(26)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비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로, 납골묘비의 내부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화장후에 남은 가루형태의 뼈가 보관되어 있는 납골함(40)이 들어 있다.
조립시에, 납골함(40)은 받침대(16)윗면에 형성된 수납홈(16a)에 올려놓은 다음, 본체(10)를 덮는다. 본체(10)의 내부에는 납골함(40)이 수납되기에 충분한 높이와 직경을 갖는 수납 공간부(10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납골함(40)을 감싼 상태로 받침대(16)상의 수납홈(16a)에 본체(10)를 올려놓는다. 이때, 본체(10)의 하단은 수납홈(16a)내에 유동되지 않도록 안정되게 삽입된다. 납골함(40)을 감싸고 있는 본체(10)는 케이스(20)로 감싸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제4도는 케이스(20)를 제거한 상태의 납골묘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한식과 같은 명절에 성묘를 위해 묘소를 방문하여 제례하는 경우에는 케이스(20)를 벗겨내고서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분향물품 보관함(12)에 보관되어 있던 성냥 등을 이용하여 향에 불을 붙인 다음에, 이 향을 향고정홈(14)에 꽂아놓으면 된다. 제례를 마친 후에 향고정홈(14)에 꽃혀있는 잔여분의 향을 제거하고 분향물품을 보관홈(12)에 넣어 보관한 다음, 케이스(20)로 본체(10)를 덮으면 다음 제례시까지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매장용 묘지 자리에 봉분을 만드는 대신에 묘지 자리에 받침대를 놓은 다음, 이 받침대 상에 납골함을 넣고 본체와 케이스를 차례대로 덮어 매장문화에 익숙해져 있는 사람들도 화장 방식을 쉽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묘지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여 국토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환경파괴를 줄이는 한편, 궁극적으로는 화장 방식의 장례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납골함(40)이 배치되는 받침대(16)와, 상기 받침대(16)상에 놓여진 납골함(40)을 감싸도록 상기 받침대 상에(16)에 배치되는 본체(10)를 포함하는 납골묘비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를 감싸도록 상기 받침대 상에(16)에 배치되고 사방에는 사진 등이 삽입되는 끼움홈(20a)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에 형성된 끼움홈(20a)의 상단에 삽입되어 각종 먼지나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플랜지(21a)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비.
KR2019980020675U 1998-10-28 1998-10-28 납골묘비 KR2002469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675U KR200246921Y1 (ko) 1998-10-28 1998-10-28 납골묘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675U KR200246921Y1 (ko) 1998-10-28 1998-10-28 납골묘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817U KR20000008817U (ko) 2000-05-25
KR200246921Y1 true KR200246921Y1 (ko) 2001-12-17

Family

ID=6952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675U KR200246921Y1 (ko) 1998-10-28 1998-10-28 납골묘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9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610B1 (ko) 2010-01-11 2011-09-05 박광서 조각상 묘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610B1 (ko) 2010-01-11 2011-09-05 박광서 조각상 묘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817U (ko) 200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8444C (en) Cremated remains remembrance and burial system
US6052954A (en) Burial structure for the non-retrievabl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US20030145533A1 (en) Burial structure for th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KR200246921Y1 (ko) 납골묘비
KR200158896Y1 (ko) 소형묘비
KR200427030Y1 (ko) 평장식 납골묘
JP3166679U (ja) 墓前用水鉢及び花立て・水鉢セット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KR200347823Y1 (ko) 수납 통을 갖는 금속재 비석.
JP3060645U (ja) タイムカプセル内蔵の墓石及び/または墓石用基礎土台
JP2001173272A (ja) 簡易墓石
JPH05193Y2 (ko)
KR200234969Y1 (ko) 골장용 돌묘
CN2576855Y (zh) 盆景式微型墓穴
KR200475777Y1 (ko) 통기구조 및 평면 다중 구조의 납골실이 적용된 납골묘
KR200179384Y1 (ko) 부도탑묘
JP3166281U (ja) 墓用花立及び水鉢・花立セット
KR200189937Y1 (ko) 납골당
KR200189920Y1 (ko) 한국형 납골당 가족묘 공원
KR100353310B1 (ko) 축조용 돌묘
JP3778896B2 (ja) 墓の構造及び該墓に使用する骨つぼ
JP2740739B2 (ja) 墓の構造
KR200298973Y1 (ko) 납골당
KR200189933Y1 (ko) 납골묘의 회전구조
KR200325773Y1 (ko) 유골 보관용 봉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