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896Y1 - 소형묘비 - Google Patents

소형묘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896Y1
KR200158896Y1 KR2019970025432U KR19970025432U KR200158896Y1 KR 200158896 Y1 KR200158896 Y1 KR 200158896Y1 KR 2019970025432 U KR2019970025432 U KR 2019970025432U KR 19970025432 U KR19970025432 U KR 19970025432U KR 200158896 Y1 KR200158896 Y1 KR 2001588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mbstone
incense
groove
cover
bouqu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642U (ko
Inventor
조인현
Original Assignee
조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현 filed Critical 조인현
Priority to KR2019970025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896Y1/ko
Publication of KR9700626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6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8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묘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면부(18)에 비명을 새길 수 있고, 상부면에 모래 등의 분말을 담아 향을 꽂을 수 있는 향고정홈(14) 및 향을 피울 수 있는 분향물품들을 보관하는 보관홈(12)이 형성되며, 받침대(16)에 의해 받쳐지는 묘비본체(10)와, 상기 묘비본체(10)를 씌워주고, 상부면에 꽃다발을 꽂을 수 있는 꽃다발받침홈(22) 및 끼움홈(24)이 형성된 묘비덮개(20)로 구성된 풍화방지용 소형묘비인 바, 발인에서부터 장지에까지 휴대 사용하여서 편리함을 지니고, 비용을 저감하도록 하며, 묘비가 외부에 노출되어 비, 바람에 의하여 풍화되고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등의 잇점을 갖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Description

소형묘비
본 고안은 묘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묘지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경우에 묘비본체의 상부면에 향고정홈 및 분향물품보관홈을 형성하여 묘지에서 분향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이 묘비본체를 씌울 수 있는 묘비덮개를 구비하여 이 묘비덮개의 상부면에 형성된 꽃다발받침홈 및 끼움홈을 구비하여 발인에서부터 장지에 까지 휴대하여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소형묘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죽은 시신을 화장하지 않고, 땅에 묻고 있는 우리의 유교적인 장례문화에 의하여 관을 땅에 묻은 후에 묘지를 표시하는 봉분을 둥글면서 되도록 이면 넓은 면적에 걸쳐 크게 형성시키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묘지가 국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되어 좁은 국토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발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묘지의 봉분을 작게 형성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되도록 이면, 외국의 화장문화 국가에서 적용되는 납골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여론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후손들이 찾기 쉽도록 묘지의 전면부분에 설치되는 묘비등에는 묘지에 묻혀 있는 사람의 이름, 탄생년월일 및 죽은 날짜등과 같은 다양한 내용이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서, 장기간에 걸쳐서 외부에 노출 되는 경우에 풍화작용 및 침식작용에 의하여 훼손되거나 이물질에 의하여 더러워지는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집 혹은 병원등과 같은 분향장소에서 사진 및 위패를 모셔두고서 고인의 친지 및 지인들의 분향을 받은 후에 일정시간이 지나서 이 분향소에 모셔져 있는 고인의 사진 및 위패 등을 발인하여 장지로 이동한 후에 이 사진 및 위패등과는 별도로 비명이 새겨져 있는 비석 등을 묘지 앞에 세워두게 되므로 장례물품을 번거롭고 복잡하게 많이 마련하여야 하므로 장례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묘지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경우에 묘비의 상부면에 향고정홈 및 분향물품보관홈을 형성하여 묘지에서 분향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이 묘비를 씌울 수 있는 묘비덮개를 구비하여 이 묘비덮개의 상부면에 형성된 꽃다발받침홈 및 끼움홈을 구비하여 꽃을 헌화하도록 하고, 묘지가 외부에 노출되어 비, 바람에 의하여 풍화되고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묘비를 분향소의 위패 및 사진 등의 대용으로 사용되고 묘지에서는 비석으로도 사용하도록 하므로 장례비용을 저감하는 것 등이 목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묘비의 분리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묘비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묘비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묘비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묘비본체 12 : 보관홈
14 : 향고정홈 16 : 받침대
17 : 손잡이홈 18 : 전면부
20 : 묘비 덮개 22 : 꽃다발받침홈
24 : 끼움홈 26 : 장식체
30 : 꽃다발
이러한 목적은 전면부에 비명을 새길 수 있고, 상부면에 모래 등의 분말을 담아 향을 꽂을 수 있는 향고정홈 및 이 향을 피울 수 있는 분향물품이 보관되는 보관홈이 형성되며, 받침대에 의해 받쳐지는 묘비본체와, 상기 묘비본체의 풍화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묘비본체를 씌워주는 묘비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묘비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묘비의 구성을 살펴 보면, 전면부(18)에 비명을 새길 수 있고, 상부면에 모래 등의 분말을 담아 향을 꽂을 수 있는 향고정홈(14) 및 향을 피울 수 있는 분향물품을 보관하도록 하는 보관홈(12)이 형성되며, 받침대(16)에 의해 받쳐지는 묘비본체(1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묘비본체(10)를 씌워주고, 상부면에 꽃다발을 꽂아서 받쳐둘 수 있는 꽃다발받침홈(22) 및 이 꽃다발받침홈(22)의 주위에 몇 송이의 꽃을 꽃을 수 있는 끼움홈(24)이 형성된 묘비덮개(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묘비본체(10)의 받침대(16) 측면부분에는 손으로 묘비본체(10)를 들고서 이동시켜 설치하도록 하는 일정 깊이 함몰된 손잡이홈(17)이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묘비덮개(20)의 상부면에는 왕관형상의 장식체(20)가 설치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장식체(20)는 묘비덮개(20)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식 혹은 분리가 가능한 분리식 등으로 구성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꽃다발받침홈(22)에는 다량의 꽃다발(30)을 꽂을 수 있으며, 꽃다발받침홈(22)의 주위에는 장식용으로 멋을 더하기 위하여 한송이 혹은 몇송이의 꽃을 환형으로 돌아가면서 꽂을 수 있도록 끼움홈(24)이 다수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묘비본체(10)의 전면부(18)에는 사진을 부착할 수 있으며, 묘비본체(10)의 재질은 가볍고, 단단한 석고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이외에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여서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묘비를 묘지에 설치하고서 평상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묘비덮개(20)를 씌워서 묘비본체(10)를 보호하는 상태를 두도록하여 비,바람 등에 의하여 묘비본체(10)의 전면부(18)에 있는 비명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향고정홈(14)에는 모래등이 보관되어 향을 꽂을 수 있도록 하고, 분향물품을 보관하는 보관함(12)에는 평상시에 향 및 성냥등과 같은 분향에 필요한 물품을 보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분향소와 같은 발인장소에서 묘비본체(10)를 위패 대신에 사용하다가 묘비본체(10)를 발인장소에서 장지 까지 이동하여 묘지 앞에서 묘비본체(10)를 세워두도록 하고, 이 묘비본체(10)의 상부를 묘비덮개(20)로 씌워두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묘비덮개(14)가 씌워진 상태에서 사람이 묘지를 방문한 경우에는 꽃다발(30)을 꽃다발받침홈(22)에 꽂아두고서 명복을 기리도록 할 수 있으며, 끼움홈(24)에는 장식을 위하여 한송이 혹은 몇송이의 꽃을 꽂아두도록 한다.
한편, 추석 혹은 명절과 같은 시기에 성묘 등을 위하여 묘소를 방문하여 제사를 지내는 경우에는 묘비덮개(20)를 벗겨내고서 묘비본체(10)를 외부로 개방시킨 후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향물품보관홈(12)에 보관된 향 및 성냥 등을 이용하여 향에 불을 붙이고 향고정홈(14)의 모래 등에 꽂아서 제사를 지내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사를 모두 지낸 후에는 향고정홈(14)에 꽂아져 있는 잔여분의 향을 제거하고, 분향물품을 보관하는 보관홈(12)에 성냥 및 향을 다시 보관하고서 묘비덮개(20)로 묘비본체(10)를 씌운 상태로 두도록 하고, 다음 제사지낼 때 까지 보관하여 둘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묘비를 사용하게 되면, 묘지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경우에 묘지에 설치되는 묘비를 별도로 세울 필요 없이 묘비의 받침대 양측에 손잡이홈을 형성하여 묘비를 발인장소에서 장지까지 휴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며, 묘비본체의 상부면에 향고정홈 및 분향물품응 보관하는 보관홈을 형성하여 묘지에서 분향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이 묘비를 씌울 수 있는 묘비덮개를 구비하고 이 묘비덮개의 상부면에 형성된 꽃다발받침홈 및 끼움홈을 형성하여 꽃을 헌화하도록 하고, 묘비본체가 외부에 노출되어 비, 바람에 의하여 풍화되고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등의 잇점을 갖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또한, 묘비를 소형화하므로 정부시책인 묘지 소형화 정책에 발맞춰 나아갈 수 있을 뿐만아니라 묘지에 비싼돈을 들여서 화려하게 장식하지 않아도 묘비를 저렴한 가격에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가게부담을 덜어주는 등의 장점을 지닌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전면부(18)에 비명을 새길 수 있고, 상부면에 모래 등의 분말을 담아 향을 꽂을 수 있는 향고정홈(14) 및 이 향을 피울 수 있는 분향물품을 보관하는 보관홈(12)이 형성되며, 받침대(16)에 의해 받쳐지는 묘비본체(10)와, 상기 묘비본체(10)의 풍화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묘비본체(10)를 씌워주는 묘비덮개(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묘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묘비본체(10)의 받침대(16) 측면부분에는 일정 깊이 함몰된 손잡이홈(1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묘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묘비덮개(20)의 상부면에 꽃다발을 꽂을 수 있는 꽃다발받침홈(22) 및 끼움홈(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묘비.
KR2019970025432U 1997-09-08 1997-09-08 소형묘비 KR200158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432U KR200158896Y1 (ko) 1997-09-08 1997-09-08 소형묘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432U KR200158896Y1 (ko) 1997-09-08 1997-09-08 소형묘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642U KR970062642U (ko) 1997-12-11
KR200158896Y1 true KR200158896Y1 (ko) 1999-10-15

Family

ID=1951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432U KR200158896Y1 (ko) 1997-09-08 1997-09-08 소형묘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8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610B1 (ko) 2010-01-11 2011-09-05 박광서 조각상 묘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610B1 (ko) 2010-01-11 2011-09-05 박광서 조각상 묘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642U (ko) 199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8896Y1 (ko) 소형묘비
US7269884B2 (en) Incinerable article of funerary ornamentation
KR200246921Y1 (ko) 납골묘비
JP3166679U (ja) 墓前用水鉢及び花立て・水鉢セット
KR200281240Y1 (ko) 유골함 케이스
CN2576855Y (zh) 盆景式微型墓穴
US20170143147A1 (en) Forever Loved Flowers
JP2006288421A (ja) 可搬式墓
KR200189937Y1 (ko) 납골당
KR200347823Y1 (ko) 수납 통을 갖는 금속재 비석.
JP3242158U (ja) 納骨堂
KR200487690Y1 (ko) 납골함 화환장식대의 조화부착수단
KR100353310B1 (ko) 축조용 돌묘
KR200281244Y1 (ko) 유골함 안치대
JP3060645U (ja) タイムカプセル内蔵の墓石及び/または墓石用基礎土台
JP3154472U (ja) 墓地構造
US20080172849A1 (en) Memorial marker with a cremation URN and memorabilia container
JP2002028069A (ja) 納骨霊牌
JP3205520U (ja) 透明樹脂骨壷
JPH11241527A (ja) 永代納骨用集合型墓石、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永代供養方法
KR200179384Y1 (ko) 부도탑묘
KR200325773Y1 (ko) 유골 보관용 봉투
KR20000072752A (ko) 소형 무덤
JP2023124991A (ja) 墓石
KR200298973Y1 (ko) 납골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