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244Y1 - 유골함 안치대 - Google Patents

유골함 안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244Y1
KR200281244Y1 KR2020010038150U KR20010038150U KR200281244Y1 KR 200281244 Y1 KR200281244 Y1 KR 200281244Y1 KR 2020010038150 U KR2020010038150 U KR 2020010038150U KR 20010038150 U KR20010038150 U KR 20010038150U KR 200281244 Y1 KR200281244 Y1 KR 2002812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es
present
altar
deceased
rem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필혁
Original Assignee
김필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필혁 filed Critical 김필혁
Priority to KR2020010038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2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2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244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골함 안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고인의 영령을 보호하는 한편, 후손의 심리적 안정감 및 고인에 대한 최대한의 예우의 뜻을 담은 유골함 안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유골함이 안치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으면서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부면 내측 중앙에 유골함이 안치되도록 형성된 만곡진 홈과 홈 외곽의 상부면 4 방향에 삽입홈이 형성된 돌기를 갖는 사각 형상의 받침과, 하부면 4 방향에 삽입홈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기둥이 형성되고 내측 중앙 하방으로 유골함의 외측을 감싸도록 하는 종이 일체로 형성된 지붕과, 받침 전방 양측에 구비된 비석과, 전방 중앙에 구비된 제단과, 받침과 비석 및 제단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받침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골함 안치대{Enshrine pedestal for ashes box}
본 고안은 유골함 안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고인의 영령을 보호하는 한편, 후손의 심리적 안정감 및 고인에 대한 최대한의 예우의 뜻을 담은 유골함 안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우리의 오랜 전통 장묘 관습인 매장 중심의 장묘 문화로 인해 매년 100여 만평에 해당하는 국토가 훼손되고 있어, 이로 인한 심각한 묘지난과 환경파괴, 경제적 손실 등의 문제점을 인식하여 화장 중심의 장묘 문화로 바뀌어 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화장은 고인의 유해를 불에 살라서, 그 남은 뼈를 분말화하여 모아 보관하도록 된 것으로, 이는 별도의 유골함에 넣고 밀봉하여 납골함에 안치하여 보관하게 된다.
납골함은 각각의 별개 함으로 형성된 탑 형태의 함체이다.
유골함은 특별히 생전에 부부 관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상기 납골함의 각 함에 하나씩 보관되는 것이 보통으로 이는 유골을 보관하는 납골함의 이미지상 후손이 보기에도 딱딱한 분위기를 느끼게 되고, 공동의 납골함의 경우, 다른 조상 또는 고인의 유골함과 같이 납골함에 보관되므로, 같은 납골함을 이용하는 다른 후손의 제례 행사와 겹치게 되어 상호 불편함을 느끼게 되며, 여기 저기 다른 납골함에 안치된 조상의 유골을 찾아다니며 예를 올려야 하는 등 후손이 납골함의 관리 및 성묘 등 제례 행사를 함에 있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유골함만을 납골함에 안치하게되므로 보관상 파손의 위험성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은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고인의 영령을 보호하는 한편, 후손의 심리적 안정감 및 고인에 대한 최대한의 예우의 뜻을 담은 유골함 안치대를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골함이 안치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으면서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부면 내측 중앙에 유골함이 안치되도록 형성된 만곡진 홈과 홈 외곽의 상부면 4 방향에 삽입홈이 형성된 돌기를 갖는 사각 형상의 받침과, 하부면 4 방향에 삽입홈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기둥이 형성되고 내측 중앙 하방으로 유골함의 외측을 감싸도록 하는 종이 일체로 형성된 지붕과, 받침 전방 양측에 구비된 비석과, 전방 중앙에 구비된 제단과, 받침과 비석 및 제단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받침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유골함 안치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유골함 안치대에 유골함이 안치된 상태를 보인 안치 상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유골함 안치대의 측면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타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이 납골함에 안치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유골함 안치대 11 : 받침
12 : 홈 13 : 돌기
13': 삽입홈 14 : 지붕
15 : 기둥 16 : 종
17 : 비석 17': 제단
18 : 받침판
첨부 도면 도 1은 본 고안인 유골함 안치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유골함 안치대에 유골함이 안치된 상태를 보인 안치 상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유골함 안치대의 측면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타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이 납골함에 안치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첨부 도면의 도면 부호 10은 본 고안인 유골함 안치대를 나타낸 것으로, 유골함 안치대(10)는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를 갖으면서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부면 내측에 유골함(1)이 안치되도록 형성된 만곡진 홈(12)과 상부면 4 방향에 삽입홈(13')이 형성된 돌기(13)를 갖는 사각 형상의 받침(11)과, 하부면 4 방향에 삽입홈(13')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기둥(15)이 형성되고 내측 중앙 하방으로 유골함(1)의 외측을 감싸도록 하는 종(16)이 일체로 형성된 지붕(14)과, 받침 전방 양측에 구비된 비석(16)과, 전방 중앙에 구비된 제단(17)과, 받침(11)과 비석(16) 및 제단(17)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받침판(18)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골함(1)을 받침(11)에 형성된 홈(12)에 안치하고 지붕(14)과 일체로 형성된 기둥(15)을 받침(11)의 삽입홈(13')에 끼워 고정하게 되며, 운반 시 받침판(18)을 들고 이동하게 된다.
본 고안은 종(16)은 기능적인 측면에서 유골함(1)이 쓰러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나, 정서적인 측면에서는 종의 울림이 멀리 퍼지면서 사람의 가슴속을 울리듯이 고인의 영령의 인자한 기운이 후손들에게 널리퍼지도록 하고 길이길이 후손의 가슴속에 남아 있도록 바라는 후손의 염원을 만족시켜줌과 동시에 위안을 삼을 수 있도록 하는 심리 상태를 반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이 정서적인 측면과 상징적인 의미에 중점을 둔 것은 장묘 문화라는 자체가 어느 정도는 이와 같은 점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이를 간과하고서는 그 문화의 특징을 살릴 수 없기 때문이며, 이와 같은 장묘 문화와 이를 위한 본 고안을 미신으로 오인하여서는 안될 것이다.
더욱이 이와 같은 장묘 문화와 그와 관련된 기술을 격하시켜 생각해서는 안될 것이다.
본 고안은 엄연한 우리의 문화와 정서 및 미풍 양속을 반영하였음에 중점을 둔 것이다.
첨부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받침(11) 및 지붕(14) 등을 8각 형태로 변형한 것으로, 본 고안은 어떠한 다각형의 형태로도 변형 가능함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종(16) 내부에 1개의 유골함(1)을 안치하였으나 이의 가감에는 기술적 의미를 두지 않는다.
첨부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종(16)의 내경 중간 부분에 탄성부재(16-1)를 구비하여 유골함(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한편, 서로 다른 유골함(1)의 직경에 구애받지 않고 안치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납골함(2)의 각 함에 안치되는 것으로, 납골함(2)의 각 함은 사각 함체 형상이며 전면이 투명한 차단판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안치되는 유골함 안치대(10)의 미려한 형상과 모양을 그대로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유골함을 받침 상부에 형성된 홈에 안치시키고 종으로써 그 외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하므로써 유골함의 이동시 안정성 및 이동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고인 영령의 인자한 기운이 종의 소리가 세상에 울려퍼지는 것과 같이 후손들에게 널리 퍼지도록 하고 길이길이 후손의 가슴속에 남아있도록 바라는 후손의 염원을 만족시켜줌과 동시에 위안을 삼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소정의 높이를 갖으면서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부면 내측 중앙에 유골함(1)이 안치되도록 형성된 만곡진 홈(12)과 홈(12) 외곽의 상부면 4 방향에 삽입홈(13')이 상향 형성된 돌기(13)를 갖는 사각 형상의 받침(11)과, 외곽 하부면 4 방향에 삽입홈(13')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기둥(15)이 형성되고 내측 중앙 하방으로 유골함(1)의 외측을 감싸도록 하는 종(16)이 일체로 형성된 지붕(14)과, 받침(11) 전방 양측에 구비된 비석(17) 및 제단(17')과, 받침(11)과 비석(17) 및 제단(17')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받침판(1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안치대.
  2. (삭제)
KR2020010038150U 2001-12-11 2001-12-11 유골함 안치대 KR2002812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150U KR200281244Y1 (ko) 2001-12-11 2001-12-11 유골함 안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150U KR200281244Y1 (ko) 2001-12-11 2001-12-11 유골함 안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244Y1 true KR200281244Y1 (ko) 2002-07-12

Family

ID=73113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150U KR200281244Y1 (ko) 2001-12-11 2001-12-11 유골함 안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2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674B1 (ko) 2005-11-02 2008-02-12 김정겸 실내용 납골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674B1 (ko) 2005-11-02 2008-02-12 김정겸 실내용 납골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7570B1 (en) Cross-shaped urn
US6076292A (en) Hybrid grave marker and cremains container
KR200281244Y1 (ko) 유골함 안치대
EP3715563A1 (en) A commemoration place including an underground columbarium
KR200281241Y1 (ko) 유골함 케이스
KR200281240Y1 (ko) 유골함 케이스
KR200281243Y1 (ko) 유골함 안치대
JP2001173272A (ja) 簡易墓石
JP3204165U (ja) 墓碑及びその墓碑を備えた樹木葬用の墓
JP3166679U (ja) 墓前用水鉢及び花立て・水鉢セット
KR200281242Y1 (ko) 유골함 안치대
KR20110123486A (ko) 전자 비석
JP2002115422A (ja) 墓石にカロートを一体化した耐震性カロート墓石及び、無縁化したカロート墓石をピラミッド状に配列した永代供養墓。
US20170143147A1 (en) Forever Loved Flowers
KR200158896Y1 (ko) 소형묘비
KR100353310B1 (ko) 축조용 돌묘
JP3000534U (ja) メモリアルカプセル
US945721A (en) Monument or tombstone.
KR200223628Y1 (ko) 다구의 납골구조
JP2996972B1 (ja) 納骨墓
JP2006288421A (ja) 可搬式墓
JP3064511U (ja) セット墓
KR200242678Y1 (ko) 납골당의 구조
JP6156963B1 (ja) 採光構造を有する墓石
JP3203614U (ja) 墓および霊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