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241Y1 - 유골함 케이스 - Google Patents
유골함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81241Y1 KR200281241Y1 KR2020010038147U KR20010038147U KR200281241Y1 KR 200281241 Y1 KR200281241 Y1 KR 200281241Y1 KR 2020010038147 U KR2020010038147 U KR 2020010038147U KR 20010038147 U KR20010038147 U KR 20010038147U KR 200281241 Y1 KR200281241 Y1 KR 20028124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present
- ashes
- altar
- ossuary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골함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골함의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후손의 심리적 안정감 및 고인에 대한 최대한의 예우의 뜻을 전하도록 하는 한편, 조상 여러대의 유골함을 동시에 인치하도록 하므로써 한정된 납골함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후손의 제례 행사 및 납골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유골함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소정의 높이를 갖으면서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부면 내측에 유골함이 안치되도록 단턱이 형성되고 단턱 상부면에 다수개의 홈이 형성된 받침과, 단턱 외부의 받침 상부면 외측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반원형의 기둥이 다수개 배열되고 내측 중간면 부분에 돌출턱이 형성된 사각 형상의 벽면과, 벽면에 형성된 돌출턱에 안착되는 상부면 내측에 단턱이 형성되고 단턱 상부면에 홈이 다수개 형성된 내측 받침과, 벽면 내측에 끼워지도록 하부면에 삽입턱이 하향 돌출된 삼각 형상의 지붕과, 받침 전방 양측에 구비되는 비석과, 전방 중앙에 구비되는 제단과, 받침과 비석 및 제단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받침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유골함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골함의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후손의 심리적 안정감 및 고인에 대한 최대한의 예우의 뜻을 전하도록 하는 한편, 조상 여러대의 유골함을 동시에 인치하도록 하므로써 한정된 납골함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후손의 제례 행사 및 납골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유골함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우리의 오랜 전통 장묘 관습인 매장 중심의 장묘 문화로 인해 매년 100여 만평에 해당하는 국토가 훼손되고 있어, 이로 인한 심각한 묘지난과 환경파괴, 경제적 손실 등의 문제점을 인식하여 화장 중심의 장묘 문화로 바뀌어 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화장은 고인의 유해를 불에 살라서, 그 남은 뼈를 분말화하여 모아 보관하도록 된 것으로, 이는 별도의 유골함에 넣고 밀봉하여 납골함에 안치하여 보관하게 된다.
납골함은 각각의 별개 함으로 형성된 탑 형태의 함체이다.
유골함은 특별히 생전에 부부 관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상기 납골함의 각 함에 하나씩 보관되는 것이 보통으로 이는 유골을 보관하는 납골함의 이미지상 후손이 보기에도 딱딱한 분위기를 느끼게 되고, 공동의 납골함의 경우, 다른 조상 또는 고인의 유골함과 같이 납골함에 보관되므로, 같은 납골함을 이용하는 다른 후손의 제례 행사와 겹치게 되어 상호 불편함을 느끼게 되며, 여기 저기 다른 납골함에안치된 조상의 유골을 찾아다니며 예를 올려야 하는 등 후손이 납골함의 관리 및 성묘 등 제례 행사를 함에 있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유골함만을 납골함에 안치하게되므로 보관상 파손의 위험성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은 유골함의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후손의 심리적 안정감 및 고인에 대한 최대한의 예우의 뜻을 전하도록 하는 한편, 조상 여러대의 유골함을 동시에 인치하도록 하므로써 한정된 납골함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후손의 제례 행사 및 납골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유골함 케이스를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정의 높이를 갖으면서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부면 내측에 유골함이 안치되도록 단턱이 형성되고 단턱 상부면에 다수개의 홈이 형성된 받침과, 단턱 외부의 받침 상부면 외측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반원형의 기둥이 다수개 배열되고 내측 중간면 부분에 돌출턱이 형성된 사각 형상의 벽면과, 벽면에 형성된 돌출턱에 안착되는 상부면 내측에 단턱이 형성되고 단턱 상부면에 홈이 다수개 형성된 내측 받침과, 벽면 내측에 끼워지도록 하부면에 삽입턱이 하향 돌출된 삼각 형상의 지붕과, 받침 전방 양측에 구비되는 비석과, 전방 중앙에 구비되는 제단과, 받침과 비석 및 제단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받침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유골함 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유골함 케이스에 유골함이 안치된 상태를 보인 안치 상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유골함 케이스의 측면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이 납골함에 안치되는 상태를 보인 안치 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유골함 케이스 11 : 받침
12 : 단턱 12': 홈
13 : 벽면 13-1 : 기둥
13-2 : 돌출턱 14 : 내측받침
15 : 단턱 15': 홈
16 : 지붕 17 : 삽입턱
18 : 비석 19 : 제단
20 : 받침판 1 : 유골함
첨부 도면 도 1은 본 고안인 유골함 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유골함 케이스에 유골함이 안치된 상태를 보인 안치 상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유골함 케이스의 측면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이 납골함에 안치되는 상태를 보인 안치 상태 사시도이다.
첨부 도면의 도면 부호 10은 본 고안인 유골함 케이스를 나타낸 것으로, 유골함 케이스(10)는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를 갖으면서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부면 내측에 유골함(1)이 안치되도록 단턱(12)이 형성되고 단턱(12) 상부면에 다수개의 홈(13)이 형성된 받침(11)과, 단턱(12) 외부의 받침(11) 상부면 외측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반원형의 기둥(13-1)이 다수개 배열되고 내측 중간면 부분에 돌출턱(13-2)이 형성된 사각 형상의 벽면(13)과, 벽면(13)에 형성된 돌출턱(13-2)에 안착되는 상부면 내측에 단턱(15)이 형성되고 단턱(15) 상부면에 홈(15')이 다수개 형성된 내측 받침(14)과, 벽면(13) 내측에 끼워지도록 하부면에 삽입턱(17)이 하향 돌출된 삼각 형상의 지붕(16)과, 받침(11) 전방 양측에 구비되는 비석(18)과, 전방 중앙에 구비되는 제단(19)과, 받침(11)과 비석(18) 및 제단(19)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받침판(20)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골함(1)을 받침(11)의 단턱(12)에 형성된 홈(12')과, 벽면(13)의 돌출턱(13-2)에 안착되는 내측받침(14)의 단턱(15)에 형성된 홈 (15')에 유골함(1)을 삽입, 안치하고, 벽면(13) 상부에 지붕(16)의 삽입턱(17)을 끼워, 즉, 벽면(13)에 지붕(16)을덮어 보관하게 되며, 운반시 받침판(20)을 들고 이동하게 된다.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인의 유골을 그대로 추려서 보관하는 유골함(1') 다수개를 보관할 수도 있으며, 분말 유골이 든 유골함(1)과 혼합 안치하여 보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납골함(2)의 각 함에 받침판(20)과 함께 안치되는 것으로, 납골함(2)의 각 함은 사각 함체 형상이며 전면이 투명한 차단판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안치되는 유골함 케이스(10)의 미려한 형상과 모양을 그대로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는 신전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신전 형상으로 유골함 케이스(10)를 구성한 것은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유골함(1)이 쓰러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나, 정서적인 측면에서는 신전 내에 조상을 안치함으로써 조상이 높고 안락한 곳에 계셨으면 하는 후손의 염원을 만족시켜줌과 동시에 위안을 삼을 수 있도록 하는 심리 상태를 반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이 정서적인 측면과 상징적인 의미에 중점을 둔 것은 장묘 문화라는 자체가 어느 정도는 이와 같은 점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이를 간과하고서는 그 문화의 특징을 살릴 수 없기 때문이며, 이와 같은 장묘 문화와 이를 위한 본 고안을 미신으로 오인하여서는 안될 것이다.
더욱이 이와 같은 장묘 문화와 그와 관련된 기술을 격하시켜 생각해서는 안될 것이다.
본 고안은 엄연한 우리의 문화와 정서 및 미풍 양속을 반영하였음에 중점을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유골함을 신전 형상의 케이스에 안치시킴으로써 유골함의 이동시 안정성 및 이동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신전 내에 조상을 안치함으로써 조상이 높고 안락한 곳에 계셨으면 하는 후손의 염원을 만족시켜줌과 동시에 위안을 삼을 수 있도록 하는 심리 상태를 반영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 소정의 높이를 갖으면서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부면 내측에 유골함(1)이 안치되도록 단턱(12)이 형성되고 단턱(12) 상부면에 다수개의 홈(13)이 형성된 받침(11)과, 단턱(12) 외부의 받침(11) 상부면 외측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반원형의 기둥(13-1)이 다수개 배열되고 내측 중간면 부분에 돌출턱(13-2)이 형성된 사각 형상의 벽면(13)과, 벽면(13)에 형성된 돌출턱(13-2)에 안착되는 상부면 내측에 단턱(15)이 형성되고 단턱(15) 상부면에 홈(15')이 다수개 형성된 내측 받침(14)과, 벽면(13) 내측에 끼워지도록 하부면에 삽입턱(17)이 하향 돌출된 삼각 형상의 지붕(16)과, 받침(11) 전방 양측에 구비되는 비석(18)과, 전방 중앙에 구비되는 제단(19)과, 받침(11)과 비석(18) 및 제단(19)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받침판(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케이스.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8147U KR200281241Y1 (ko) | 2001-12-11 | 2001-12-11 | 유골함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8147U KR200281241Y1 (ko) | 2001-12-11 | 2001-12-11 | 유골함 케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81241Y1 true KR200281241Y1 (ko) | 2002-07-12 |
Family
ID=7311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38147U KR200281241Y1 (ko) | 2001-12-11 | 2001-12-11 | 유골함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81241Y1 (ko) |
-
2001
- 2001-12-11 KR KR2020010038147U patent/KR20028124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95705B1 (en) | Burial urn for cremated remains | |
US7739776B2 (en) | Modular columbarium system | |
US6520606B1 (en) | Urn display system | |
US20020144471A1 (en) | Pyramid mausoleum and columbarium system and method | |
EP0248894A1 (en) | Storage and display system | |
US3990198A (en) | System for sepulchral urn (post cremation) burial | |
US6076292A (en) | Hybrid grave marker and cremains container | |
KR101503648B1 (ko) | 안치공간을 개인단 또는 부부단으로 변형 사용할 수 있는 봉안함 안치단 | |
KR200281241Y1 (ko) | 유골함 케이스 | |
EP3715563A1 (en) | A commemoration place including an underground columbarium | |
KR200281244Y1 (ko) | 유골함 안치대 | |
KR200281243Y1 (ko) | 유골함 안치대 | |
KR200281240Y1 (ko) | 유골함 케이스 | |
JP2001173272A (ja) | 簡易墓石 | |
KR200281242Y1 (ko) | 유골함 안치대 | |
Kearl | Cremation: Desecration, purification, or convenience? | |
JP2602470B2 (ja) | 墓 碑 | |
JP2002115422A (ja) | 墓石にカロートを一体化した耐震性カロート墓石及び、無縁化したカロート墓石をピラミッド状に配列した永代供養墓。 | |
KR200356530Y1 (ko) | 조립식 가족용 다기 납골당 | |
JP2996972B1 (ja) | 納骨墓 | |
JPH1181744A (ja) | 集合墓所構造及び納骨方法 | |
JP3061969U (ja) | 固定手段を有する墓石用台座 | |
JP2006288421A (ja) | 可搬式墓 | |
KR200356531Y1 (ko) | 조립식 부부용 다기 납골당 | |
KR200352910Y1 (ko) | 가족 납골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514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