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973Y1 - 납골당 - Google Patents

납골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973Y1
KR200298973Y1 KR2020020028789U KR20020028789U KR200298973Y1 KR 200298973 Y1 KR200298973 Y1 KR 200298973Y1 KR 2020020028789 U KR2020020028789 U KR 2020020028789U KR 20020028789 U KR20020028789 U KR 20020028789U KR 200298973 Y1 KR200298973 Y1 KR 200298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inscription
door
deceased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의형
Original Assignee
강의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의형 filed Critical 강의형
Priority to KR2020020028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9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973Y1/ko

Links

Landscapes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인의 비문과 유골함을 함께 모실 수 있으며, 일반 묘와 같은 봉분을 갖는 12각 원형 구조의 납골당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근래에 들어서는 망자를 화장처리한 후 납골시설을 이용하여 모시는 사례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아직까지 일반인의 납골당에 대한 인식은 그리 좋은 편은 아니다. 따라서, 일반인의 거부감이 적은 일반 묘의 봉분을 갖는 형태의 납골당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봉분을 둘러싸는 12각 원형의 상단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을 떠받치는 다수 개의 기둥이 형성되며, 상기 기둥의 하부에는 2단의 받침대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기둥 사이에는 고인의 비문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비문이 세워진 자리의 밑부분에는 비문이 삽입되어 세워질 수 있는 사각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비문과 대치되는 후방에는 원형의 탈착식 도어가 구비된 벽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비문과 대치되는 벽체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유골함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실이 마련되고, 상기 수납실에는 계단 형상의 안치대가 형성되며, 상기 계단 형상의 안치대에는 고인의 유골인 담긴 유골함이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납골당의 구조를 봉분을 갖는 일반 묘의 형태로 제작함으로서 일반인들이 갖고 있는 납골당에 대한 거부감 및 나쁜 인식을 불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납골당{CHANEL HOUSE}
본 고안은 고인의 비문과 유골함을 함께 모실 수 있는 12각 원형 구조를 갖는 납골당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우리나라는 유교문화의 영향에 의한 오랜 매장 풍습으로 사람의 사후에 매장을 선호하여 대부분 매장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국토에서 차지하는 묘지 비율은 전국토의 약 1%로서 이는 주거지역의 1/2, 공업지역의 약 2배에 해당하는 면적이다.
매년 약 9㎢(여의도 면적의 1.2배)씩 잠식되어가고 있는 묘지로 인해 서울은 2년, 수도권 5년, 전국적으로 10년 이내에 묘지공급에 한계가 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수목이 없는 묘지는 하절기의 장마철에 산사태의 원인이 됨은 자명한일이다.
이와 함께 오랜기간이 경과후에 벌초를 하지 않아 황폐화된 묘, 떼가 벗겨진 묘, 동절기를 거치며 붕괴된 묘, 개인주의의 만연과 전통적인 집안 의식 및 친족, 이웃간의 상호 부조의식 해이로 인한 전국의 무 연고묘는 총묘지 2천만기의 40%인 800만기에 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미 미국, 유럽, 일본등 선진국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매장을 하지 않고 화장을 하여 납골당에 안치 봉안하여 조상을 받드는 풍속이 거의 정착화 되었고 이것이 오랜 전통으로 계속 보존 유지되어 국토를 잘 가꾸어 후손들에게 물려주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근래에 들어서는 망자를 화장처리한 후 납골시설을 이용하여 모시는 사례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아직까지 일반인의 납골당에 대한 인식은 그리 좋은 편은 아니다. 따라서, 일반인의 거부감이 적은 일반 묘의 봉분을 갖는 형태의 납골당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인의 비문과 유골함을 함께 모실 수 있으며, 일반 묘와 같은 봉분을 갖는 12각 원형 구조의 납골당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써 본 고안은
봉분을 둘러싸는 12각 원형의 상단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을 떠받치는 다수 개의 기둥이 형성되며, 상기 기둥의 하부에는 2단의 받침대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기둥 사이에는 고인의 비문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비문이 세워진 자리의 밑부분에는 비문이 삽입되어 세워질 수 있는 사각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비문과 대치되는 후방에는 원형의 탈착식 도어가 구비된 벽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비문과 대치되는 벽체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유골함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실이 마련되고, 상기 수납실에는 계단 형상의 안치대가 형성되며, 상기 계단 형상의 안치대에는 고인의 유골인 담긴 유골함이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당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문 및 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납골당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벽체에 탈착되는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당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문 및 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납골당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벽체에 탈착되는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납골당(100)의 전체 구조를 살펴보면, 흙으로 만들어진 봉분(110)을 둘러싸는 12각 원형의 상단(102)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102)을 떠받치는 다수 개의 기둥(10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둥(104)의 하부에는 2단의 받침대(10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다수 개의 기둥(104) 사이에는 고인의 비문(12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문(120)이 세워진 자리의 밑부분에는 비문(120)이 삽입되어 세워질 수 있는 사각 형상의 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문(120)과 대치되는 후방에는 원형의 탈착식 도어(140)가 구비된 벽체(130)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문(120)과 대치되는 벽체(13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유골함(152)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실(154)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실(154)에는 계단 형상의 안치대(1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계단 형상의 안치대(150)에는 고인의 유골인 담긴 유골함(152)이 안치된다.
또한, 상기 벽체(13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탈착식 도어(140)는 도 4의 (a)와 (b)에 도시된 형상을 갖게 된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원형의 탈착식 도어(140)는 외주의 일측에 돌출부(144)가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하나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 크기의 관통홈(142a)(142b)이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와 더불어, 상기 벽체(130)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도어(140)가 탈착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 있으며, 그 관통된 내측에 도어(140)의 돌출부(144)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크기의 일측이 돌출된 요홈(146)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원형의 탈착식 도어(140)는 외주의 일측에 돌출부(144)가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엄지손가락과 나머지 네손가락이 끼워짐에 의해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도록 반원의 내홈(148a)(148b)이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와 더불어, 상기 벽체(130)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도어(140)가 탈착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 있으며, 그 관통된 내측에 도어(140)의 돌출부(144)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크기의 일측이 돌출된 요홈(146)이 구비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부연 설명하면, 유족들이 납골당의 수납실(154)에 안치된 유골함(152)과 기타 유품 등을 보관하거나 꺼낼 경우 먼저 비문(120)을 들어내고 도 4의 (a)에 도시된 벽체(130)의 중앙부에 형성된 도어(140)의 관통홈(142a)(142b)에 엄지와 중지 손가락을 각각 삽입하여 도어를 꽉 쥔 상태에서 벽체(130)의 내측에 형성된 요홈(146)의 돌출부까지 도어(140)를 회전하여 돌린 후 들어내어 착탈하면 된다.
도 4 (b)의 경우, 납골당 벽체(130)의 중앙부에 형성된 도어(140)의 내홈(148a)(148b)에 엄지와 나머지 네 손가락을 각각 삽입하여 도어를 꽉 쥔 상태에서 벽체(130)의 내측에 형성된 요홈(146)의 돌출부까지 도어(140)를 회전하여 돌린 후 들어내어 착탈하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납골당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납골당의 구조를 봉분을 갖는 일반 묘의 형태로 제작함으로서 일반인들이 갖고 있는 납골당에 대한 거부감 및 나쁜 인식을 불식시킬 수 있다.
둘째, 일반 묘의 형태로서 12 고인의 유골함에 대한 각각의 수납실을 별도로 마련함과 더불어 수납실의 도어를 탈착식으로 개선함으로서 좀 더 안전하게 유골함보관할 수 있다.

Claims (3)

  1. 봉분(110)을 둘러싸는 12각 원형의 상단(102)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102)을 떠받치는 다수 개의 기둥(104)이 형성되며, 상기 기둥(104)의 하부에는 2단의 받침대(106)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기둥(104) 사이에는 고인의 비문(120)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비문(120)이 세워진 자리의 밑부분에는 비문(120)이 삽입되어 세워질 수 있는 사각 형상의 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비문(120)과 대치되는 후방에는 원형의 탈착식 도어(140)가 구비된 벽체(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비문(120)과 대치되는 벽체(13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유골함(152)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실(154)이 마련되고, 상기 수납실(154)에는 계단 형상의 안치대(150)가 형성되며, 상기 계단 형상의 안치대(150)에는 고인의 유골인 담긴 유골함(152)이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형의 탈착식 도어(140)에는
    외주의 일측에 돌출부(144)가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하나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 크기의 관통홈(142a)(142b)이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벽체(130)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도어(140)가 탈착될 수 있도록 관통되고, 그 관통된 내측에 도어(140)의 돌출부(144)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크기의 일측이 돌출된 요홈(146)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형의 탈착식 도어(140)에는
    외주의 일측에 돌출부(144)가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엄지손가락과 나머지 네손가락이 끼워짐에 의해 운반될 수 있도록 반원의 내홈(148a)(148b)이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벽체(130)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도어(140)가 탈착될 수 있도록 관통되고, 그 관통된 내측에 도어(140)의 돌출부(144)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크기의 일측이 돌출된 요홈(146)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
KR2020020028789U 2002-09-26 2002-09-26 납골당 KR200298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789U KR200298973Y1 (ko) 2002-09-26 2002-09-26 납골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789U KR200298973Y1 (ko) 2002-09-26 2002-09-26 납골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973Y1 true KR200298973Y1 (ko) 2002-12-31

Family

ID=73128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789U KR200298973Y1 (ko) 2002-09-26 2002-09-26 납골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9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8973Y1 (ko) 납골당
EP3715563A1 (en) A commemoration place including an underground columbarium
JP3166679U (ja) 墓前用水鉢及び花立て・水鉢セット
JP2001173272A (ja) 簡易墓石
KR200475777Y1 (ko) 통기구조 및 평면 다중 구조의 납골실이 적용된 납골묘
KR200216704Y1 (ko) 조립식 납골당
JP3204165U (ja) 墓碑及びその墓碑を備えた樹木葬用の墓
KR200335516Y1 (ko) 납골당
KR200200935Y1 (ko) 납골묘
KR101614269B1 (ko) 다층식 공동묘
US20230250667A1 (en) Decorative memorial for holding cremains
KR200189933Y1 (ko) 납골묘의 회전구조
JP3154472U (ja) 墓地構造
JP3166281U (ja) 墓用花立及び水鉢・花立セット
KR200175289Y1 (ko) 봉분식 납골당
KR200201585Y1 (ko) 원형 납골묘
CN210264133U (zh) 地下公墓
KR200295032Y1 (ko) 납골당
KR200246921Y1 (ko) 납골묘비
JP3216337U (ja) 自宅安置用墓石
JP3060645U (ja) タイムカプセル内蔵の墓石及び/または墓石用基礎土台
KR101030801B1 (ko) 유골함 겸 향로 및 그 제조방법
KR200224082Y1 (ko) 전통형태의 가족묘지와 납골 병행 안치소
JP2016084699A (ja)
KR200356531Y1 (ko) 조립식 부부용 다기 납골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