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969Y1 - 골장용 돌묘 - Google Patents
골장용 돌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34969Y1 KR200234969Y1 KR2020010009163U KR20010009163U KR200234969Y1 KR 200234969 Y1 KR200234969 Y1 KR 200234969Y1 KR 2020010009163 U KR2020010009163 U KR 2020010009163U KR 20010009163 U KR20010009163 U KR 20010009163U KR 200234969 Y1 KR200234969 Y1 KR 20023496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x
- stone
- cover
- bon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석을 포함하는 돌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장 묘지의 이장(移葬)시 육탈된 유골만을 별도로 추려 시신의 화장 없이 간편하게 골장(骨葬) 할 수 있도록 한 골장용 돌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비석(30)을 포함하는 돌묘를 구성함에 있어서: 골장함(1)을 수용 보관하기 위하여 일방으로 개구(12)된 함체 형상의 골장함 케이스(10)와; 상기 골장함 케이스(10)의 개구(12) 내 측으로 삽설되는 받침단턱(22)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고, 상면으로는 비석 받침홈(24)이 형성된 덮개(20) 및; 상기 덮개(30)에 안착 받침되고, 죽은자의 각종 이력을 새겨 넣기 위한 비문 표시면(32)이 경사 형성된 비석(30)으로 분리 구성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비석을 포함하는 돌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장 묘지의 이장(移葬)시 육탈된 유골만을 별도로 추려 시신의 화장 없이 간편하게 골장(骨葬) 할 수 있도록 한 골장용 돌묘에 관한 것이다.
화장문화가 발달한 선진국가 들에 비하여 우리나라는 국민 정서나 문화의 차이에 따라 아직까지 매장묘지 문화가 선호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로 인한 전 국토의묘지화가 매우 심각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묘지문화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자에는 범정부적으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매장묘지의 평수를 최대로 제한하거나 또는 매장 년수를 제한하는 법을 제정함과 아울러 화장문화로의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매장 묘지는 그 매장 년수가 영구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앞으로는 이를 대신하는 묘지 문화가 필수적일 수밖에 없으나, 지금까지는 이러한 매장 묘지의 이장에 따른 골장용 묘지가 제안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매장 묘지를 대신하는 비석겸용 돌묘가 본원고안의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57659호로 제안된 바 있으나, 선출원 된 돌묘는 비석과 분골단지가 수용되는 본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운반 취급이 매우 용이하지 못하였고, 무엇보다도 종래 돌묘는 시체를 화장하고 난 후 그 분골을 별도의 단지에 담아 모시도록 한 것이어서 전체적인 돌묘의 규모는 작으나 유골 자체를 직접 보관할 수 있는 구조는 아닌 것이어서, 묘지 이장시 시체를 또 다시 화장하는 것은 사람을 두 번 죽이는 결과라고 여겨 이를 꺼리는 국민 정서상 매장 묘지를 대신하는 돌묘로서의 재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결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매장 묘지의 이장시 시신의 화장 없이 유골만을 별도로 추려 골장 가능하고, 또한 석(石)재로 이루어진 비석과 골장함 케이스를 분리 형성하여 이들의 운반 취급을 매우 용이하게 한 골장용 돌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조립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조립 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골장함 10: 골장함 케이스
12: 개구 20: 덮개
22: 받침단턱 24: 비석 받침홈
30: 비석 32: 비문 표시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은, 골장함을 수용 보관하기 위하여 일방으로 개구된 함체 형상의 골장함 케이스와; 상기 골장함 케이스의 개구 내 측으로 삽설되는 받침단턱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고, 상면으로는 비석 받침홈이 형성된 덮개 및 상기 덮개에 안착 받침되고, 죽은자의 각종 이력을 새겨 넣기 위한 비문 표시면이 경사 형성된 비석으로 구성된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골장용 돌묘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돌묘는 골장함(1)이 수용되는 골장함 케이스(10)와, 덮개(20) 및 비석(3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각 구성 요소들은 석(石)재로 만들어진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돌묘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장함 케이스(10)는 사방 측면과 하단면은 막혀지고, 상단의 일 측만이 개구(12)되게 하여,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갖는 골장함(1)이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함체 형태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골장함(1)은 유골중 가장 긴 뼈가 수용되는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하여 추출된 유골의 손상 없이 그대로 담아 보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장함 케이스(10)의 개구(12) 상단에 안착되는 덮개(20)의 하면으로는 도3과 같이 개구(12) 내 측으로 삽설되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단턱(22)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면으로는 비석 받침홈(24)이 파여 있다.
비석(30)은 그 하부면이 덮개(20)의 비석 받침홈(24)에 살설 고정되는 것이며, 각종 비문을 새기기 위한 경사면의 비문 표시면(32)을 포함한다.
한편 덮개(20)는 그 상면으로 비석(30)이 안착되는 점을 감안하여 그 두께를 비교적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돌묘를 구성하는 골장함 케이스(10)와, 덮개(20) 및 비석(30)이 분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운반 취급이 매우 편리하고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장 묘지의 이장시 육탈된 유골을 별도로 추려 골장함(1)에 정성껏 넣어 보관한 다음 땅속에 묻혀진 골장함 케이스(10)내에 골장함(1)을 집어넣고 골장함 케이스(10)의 개구(12)를 덮개(20)로 닫아 밀폐한다.
그러면 이 때 덮개(20)는 그 하면의 받침단턱(22)이 개구(12)내로 삽설 받침되어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며, 골장함 케이스(10)와 덮개(20)의 밀폐면을 상호 정교하게 다듬어주면 더욱 강한 밀폐력을 발휘하게 된다.
한편 골장함 케이스(10)내에 수용되는 골장함(1)은 별도의 유동방지부재를 이용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덮개(20)의 밀폐가 완료되면, 덮개(20)의 비석 받침홈(24)에 대하여 비문 표시면(32)으로 죽은 사람의 이력이 새겨진 비석(30)을 받침 고정하면 돌묘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며, 도3과 같이 덮개(20)의 중간부분까지 흙으로 덮어 이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도록 하여 준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돌묘는 골장함(1)의 크기를 크게하고 이에 맞는 골장함 케이스(10)를 형성하여 줌으로서, 매장 묘지의 이장시 육탈된 유골을 별도의 화장 없이 그대로 추려 골장 가능함으로서, 종래 이장에 따른 유골을 분골화 시키기 위한 시신의 별도 화장이 필요 없게되어 국민 정서에도 맞을 뿐 아니라 매장 묘지의 이장에 따른 거부감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골장함 케이스(10) 내로는 각각의 골장함(1)에 부부의 유골을 내장하고 비석(30)의 비문 표시면(32)으로는 부부 각각의 이력을 나누어 새겨주게 되면 부부 합장묘로서의 기능도 아울러 하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매장 묘지의 이장에 따른 유골의 골장이 매우 간편 용이하고, 또한 돌묘의 각 구성 부재들이 분리 형성되어 있어 이들의 운반 취급도 매우 간편 용이한 이점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경우 육탈된 유골을 별도의 화장 없이 그대로 골장함에 넣어 보관하도록 함으로서, 묘지 이장에 따른 거부감을 중일 수 있고, 돌묘의 전체적인 외관이 미려하고 비석까지 포함하고 있어 묘지 현장에서 직접 매장 묘지를 돌묘로 전환하거나, 집묘로 사용하더라도 묘지로서 기능에 전혀 손색이 없는 획기적인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을 지라도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도 있다.
Claims (1)
- 비석(30)을 포함하는 돌묘를 구성함에 있어서:골장함(1)을 수용 보관하기 위하여 일방으로 개구(12)된 함체 형상의 골장함 케이스(10)와;상기 골장함 케이스(10)의 개구(12) 내 측으로 삽설되는 받침단턱(22)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고, 상면으로는 비석 받침홈(24)이 형성된 덮개(20) 및;상기 덮개(30)에 안착 받침되고, 죽은자의 각종 이력을 새겨 넣기 위한 비문 표시면(32)이 경사 형성된 비석(30)으로 분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장용 돌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09163U KR200234969Y1 (ko) | 2001-04-02 | 2001-04-02 | 골장용 돌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09163U KR200234969Y1 (ko) | 2001-04-02 | 2001-04-02 | 골장용 돌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34969Y1 true KR200234969Y1 (ko) | 2001-10-10 |
Family
ID=73098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09163U KR200234969Y1 (ko) | 2001-04-02 | 2001-04-02 | 골장용 돌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34969Y1 (ko) |
-
2001
- 2001-04-02 KR KR2020010009163U patent/KR20023496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06754B2 (en) | Combined headstone and columbarium | |
US6295705B1 (en) | Burial urn for cremated remains | |
US7703185B2 (en) | Combined headstone and columbarium | |
US6076292A (en) | Hybrid grave marker and cremains container | |
WO1999057395A1 (en) | Burial structure for the non-retrievabl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 |
US8490258B1 (en) | Cremation remains system for a decedent | |
Rilly et al. | Closer to the Ancestors. Excavations of the French Mission in Sedeinga 2013-2017 | |
US6484457B1 (en) | Burial structure for the non-retrievabl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 |
KR200234969Y1 (ko) | 골장용 돌묘 | |
JP3166679U (ja) | 墓前用水鉢及び花立て・水鉢セット | |
KR200347823Y1 (ko) | 수납 통을 갖는 금속재 비석. | |
KR200246921Y1 (ko) | 납골묘비 | |
CN2576855Y (zh) | 盆景式微型墓穴 | |
KR200158896Y1 (ko) | 소형묘비 | |
JP2023124991A (ja) | 墓石 | |
KR200281244Y1 (ko) | 유골함 안치대 | |
JP7397515B2 (ja) | 骨壷納骨型墓地構造 | |
Magness | Disposing of the Dead: An Illustration of the Intersection of Archaeology and Text | |
KR100353310B1 (ko) | 축조용 돌묘 | |
KR200193187Y1 (ko) | 가족 납골묘 | |
KR200223628Y1 (ko) | 다구의 납골구조 | |
KR200397432Y1 (ko) | 납골함 | |
KR200227846Y1 (ko) | 가족 납골묘 | |
KR200189937Y1 (ko) | 납골당 | |
KR200248386Y1 (ko) | 유골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608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