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348B1 - 기와를 이용한 납골묘 - Google Patents

기와를 이용한 납골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348B1
KR100966348B1 KR1020080009732A KR20080009732A KR100966348B1 KR 100966348 B1 KR100966348 B1 KR 100966348B1 KR 1020080009732 A KR1020080009732 A KR 1020080009732A KR 20080009732 A KR20080009732 A KR 20080009732A KR 100966348 B1 KR100966348 B1 KR 100966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stone
support
tile
ossu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3748A (ko
Inventor
윤재기
이정희
Original Assignee
윤재기
이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기, 이정희 filed Critical 윤재기
Priority to KR1020080009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348B1/ko
Publication of KR20090083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와를 이용한 납골묘에 있어서, 팔각 형상으로 지대석이 형성되어 지반위에 설치되며 지대석 상부에 제1지지석이 위치하고 제1지지석의 중심 통공에 맞출 수 있도록 지주봉이 설치되며, 지대석 상부에 제2지지석을 갖는 제1받침석이 적층되고, 제1받침석의 제2지지석의 상부에 제2받침석이 설치되며, 제2받침석의 상부에서 일정거리가 떨어진 상태로 제3받침석이 위치되고, 지지석, 제1받침석, 제2받침석 및 제3받침석에는 공간의 구획하는 기와가 설치되며, 제3받침석의 상부에 설치된 기와의 상부에는 탑두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와를 이용하여 다층의 석탑모양으로 조성하여 다수의 납골을 봉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기존의 석재를 이용한 납골묘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납골묘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납골, 유골, 기와, 송진가루, 촛농, 공기차단,

Description

기와를 이용한 납골묘{The roofing the charnel house which uses the tile}
본 발명은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와를 이용하여 다층의 석탑모양으로 조성하여 다수의 납골을 봉안함은 물론 저렴한 가격으로 납골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기와를 이용한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유교사상에 뿌리를 둔 매장(埋葬) 중심의 전통적인 장묘문화는 해마다 수많은 신규 묘지와 무연고 묘지를 양산하여 자연경관을 파괴함은 물론 토지의 효율적 이용을 제한하고 있다.
묘지 매입비용 등이 포함된 과다한 장례비용을 소모하여 매우 비경제적이며, 폭우 등에 의한 침식이나 유실 방지를 위하여 묘지를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등의 많은 불합리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최근 상술한 바와 같은 매장 중심의 전통적인 장묘문화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기존의 매장 중심의 전통적인 장묘문화에서 시신을 화장한 후 그 유해를 납골당이나 절 등과 같은 특정한 시설에 안치하는 화장 중심의 장묘문화로 바꾸기 위한 노력들이 범사회적으로 폭넓게 전개되고 있다.
그 결과 이제는 화장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어느 정도 불식되어 화장하는 비율이 과거에 비해 많이 증가하였고,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 될 것이다.
이에 화장장과 납골당 등과 같은 화장에 필요한 시설들이 크게 확충되고 있다. 더불어 유해를 위생적으로 장기간 변질되지 않게 보관할 수 있으면서 기존의 부정적 이미지를 탈피할 수 있는 납골시설에 대한 연구들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 납골장치들은 집단묘지나 납골당과 같은 별도의 대형 납골시설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고, 타인과 같이 공동으로 사용해야 하는 집단묘지와 납골당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하지 못하여 가족묘를 선호하는 일반인 정서에 부합하지 못하기 때문에 화장문화를 대중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종래 납골장치들은 수십기 이상의 안치실이 아파트 식으로 배열되어 공간의 효율성은 매우 높으나, 장례나 제례, 특히 유가족들이 한꺼번에 몰리는 성묘 등을 위한 대형 부대시설이 필요하여 납골시설이 부득이 대형화될 수밖에 없으므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등의 정책적 지원 없이는 납골시설의 건립이 어렵다는 점과, 또 유해들이 상하로 배열되어 안치되므로 상하 배열이 사회적 지위로서 인식되어 선대 유해가 타인의 유해 아래에 안치되는 것에 대해 상당한 거부감이 있어 가족 단위의 묘지를 극단적으로 선호하는 일반적인 정서에 부합하지 못하였다는 점 때문에 활용도가 극히 저조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와를 이용하여 다층의 석탑모양으로 조성하여 다수의 납골을 봉안할 수 있도록 한 기와를 이용한 납골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의 석재를 이용한 납골묘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납골묘를 제작하여 납골묘의 설치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기와를 이용한 납골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납골묘의 유지 보수의 비용 소모가 적게 들어가는 기와를 이용한 납골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납골묘에 있어서,
팔각 형상으로 지대석이 형성되어 지반위에 설치되며 지대석 상부에 제1지지석이 위치하고 제1지지석의 중심 통공에 맞출 수 있도록 지주봉이 설치되며, 제1 지대석 상부에 제2지지석을 갖는 제1받침석이 적층되고, 제1받침석의 제2지지석 상부에 제2받침석이 설치되며, 제2받침석의 상부에서 일정거리가 떨어진 상태로 제3받침석이 위치되고, 지대석, 제1받침석, 제2받침석 및 제3받침석 사이 사이에는 공간의 구획하는 기와가 설치되며, 제3받침석의 상부에 설치된 기와의 상부에는 탑두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를 이용한 납골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와를 이용하여 다층의 석탑모양으로 조성하여 다수의 납골을 봉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석재를 이용한 납골묘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납골묘를 제작하므로 납골묘의 설치에 따른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납골묘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그에 따른 비용이 적게 소모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기와를 이용한 납골묘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와를 이용한 납골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C-C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D-D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 본 발명의 납골묘에 안치되는 납골함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와를 이용한 납골묘는 지면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됨은 물론 그 상부에 평평하게 형성된 지대석(10)이 구성되고, 지대석(10)의 상부에는 십자형상의 제1지지석(11)이 형성되며, 제1지지 석(11)의 상부 중앙에는 통공(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지지석(11)에 형성된 통공(12)에는 지주봉(20)이 설치되고, 지주봉(20)은 그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일측에는 체결돌기(21)가 형성되며, 다른 일측에는 체결돌기(21)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홈(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석(11)의 상부와 지주봉(20)에 팔각, 육각, 사각, 원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제1받침석(30)이 구성되고, 상기 제1받침석(20)은 제1지지석(1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그 저부에 결합홈(30a)이 형성된다.
상기 제1받침대(30)의 상부에는 공간을 구획하는 제2지지석(31)이 설치되고, 제2지지석(31)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결합공(32)이 형성된다.
또한 제1받침대(30)의 제2지지석(31)에 형성된 결합공(32)에는 지주봉(20)이 결합되어 제2받침석(40)의 중심을 잡아준다.
그리고 제1받침대(30)의 제1지지석(31) 상부에는 제2받침석(40)이 설치된다.
또한, 지대석(10)과 제1받침석(30), 제1받침석(30)과 제2받침석(40), 제2받침석(40)의 상부에는 기와(60)가 설치되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골함(70)이 안치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제2받침석(40) 상부에 설치된 기와(60)의 상부에는 제3받침석(50)을 설치하고, 제3받침석(50)의 상부에는 납골함(80)이 들어가는 공간의 구획 및 구획된 공간을 폐쇄할 수 있도록 기와(60)를 설치하며, 기와(60)의 상부에는 탑두석(70)을 설치하여 납골묘 전체의 형상이 조화롭게 유지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대석(10), 제1받침석(30), 제2받침석(40), 제3받침석(50) 및 탑두부(70)의 사이에 설치된 기와(60)에는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실링(Sealing) 처리한다.
상기 지대석(10)과 제1받침석(30)의 사이, 제1받침석(30)과 제2받침석(40)의 사이, 제2받침석(40)과 제3받침석(50)의 사이 및 제3받침석(50)과 탑두부(70)의 사이에 납골함(80)이 설치되고, 납골함(80)은 통상의 항아리 형상으로 납골함몸체(81)가 구성되며, 납골함몸체(81) 내측에는 파쇄된 유골을 한지에 싸서 안치시킨다.
한지에 싸인 유골이 담아진 납골함몸체 내측에는 송진가루(83)를 황토볼(82)과 일정 비율로 섞어서 넣는다.
납골함몸체(81) 내측에 황토볼(82)과 송진가루(83)를 이용하여 채운 상태에서 납골함몸체(81) 입구에 황토볼(82), 송진가루(83)와 촛농(84)을 일정 비율로 섞어 봉인하여 공기의 유입을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기와를 이용한 납골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납골묘를 설치하기 위한 지반을 평평하게 다지는 평탄작업을 하고, 그 위에 지대석(10)을 설치한다.
상기 지대석(10)을 설치한 상태에서 제1지지석(11)의 정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지주봉(20)을 이용하여 중심위치를 잡는다.
상기 지대석(10)에 지주봉(20)을 설치한 상태에서 제1지지석(11)의 상부에 제2받침대(40)를 설치하고, 제2받침대(40)는 그 저부에 형성된 설치홈(30a)으로 제1지지석(11)이 위치되도록 설치한다.
제1지지석(11) 상부에 제1받침석(30)을 설치한 상태에서 제1받침석(30)의 상부에 설치된 제2지지석(31)의 상부에 제2받침석(40)을 적층 한다.
상기와 같이 지대석(10)의 상부엔 제1받침석(30)과 제2받침석(40)을 설치한 상태에서 제2받침석(40)의 상부에는 기와(60)를 설치한다.
이때 기와(60)는 제1받침석(30)의 상부에 설치된 제2지지석(31)과 같이 기둥 역할을 행하는 부재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와(60)끼리 결속되도록 실링 처리를 한 후 기와(60) 상부에 제3받침석(50)을 설치한다.
제3받침석(50)을 설치한 상태에서 다시 기와(60)를 설치하고, 이때에도 상기와 같이 실링 처리하여 기와(60)끼리 결속되도록 한다.
상기 기와(60)를 설치한 후 탐두석(70)을 설치하여 납골묘를 구성한다.
이때 지대석(10)과 제1받침석(40)의 사이에 기와(60)를 설치하여 마무리를 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납골묘에 안치되는 납골함(80)은 상기 구성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골을 한지와 같은 종이에 싸고, 종이에 싼 유골을 납골함몸체(81) 내측에 안치한 상태에서 황토볼(82)과 송진가루(83)를 일정 비율로 섞어 넣은 후 납골함몸체(81)의 입구에 황토볼(82), 송진가루(83)와 촛농(84)을 혼합하여 입구를 봉쇄한다.
촛농(84)과 송진가루(83)의 혼합에 의해 납골함몸체(81)의 입구를 막으므로 공기와 차단되어 유골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대석(10), 제1받침석(30), 제2받침석(40), 제3받침석(50)의 재질은 통상의 석재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그 주위에 기와(60)를 설치하므로 종래의 납골묘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작비용이 저렴하게 들어감에 따라 이에 대한 사용이 확산 되므로 장래문화를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와를 이용한 납골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C-C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3의 D-D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8 본 발명의 납골묘에 안치되는 납골함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대석 11: 제1지지석
12: 통공 20: 지주봉
21: 체결돌기 22: 체결홈
30: 제1받침석 31: 제2지지석
32: 결합공 40: 제2받침석
50: 제3받침석 60: 기와
70: 탑두석 80: 납골함
81: 납골함몸체 82: 황토볼
83: 송진가루 84: 촛농

Claims (3)

  1.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납골묘에 있어서,
    중심부에 통공(12)이 형성된 제1지지석(11)이 상부에 위치하고 지반 위에 설치되는 팔각형의 지대석(10)과;
    상기 지대석(10) 상부에 올려진 제1지지석(11)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12)에 끼워지며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일측 저단에는 체결돌기(21)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 상단에는 체결홈(22)이 형성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된 지주봉(20)과;
    상기 지대석(10)에 설치된 제1지지석(11)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지지석 상단부가 결합홈(30a)에 끼워지도록 설치된 제1받침석(30)과;
    상기 제1받침석(30) 상부에 제2지지석(31)을 설치하되, 상기 제2지지석(31)은 중앙부 결합공(32)에 지주봉(12)이 끼워지며 제2 지지석 상단부에 결합홈(30a)과 결합되어 설치된 제2받침석(40)과;
    상기 제2받침석(40)의 상부에서 일정거리가 떨어진 상태로 제3받침석(50)이 위치되고, 상기 지대석(10)과, 제1받침석(30), 제1받침석과 제2받침석(40), 제2받침석과 제2받침석과 제3받침석(50) 사이에는 납골함을 봉안하기 위한 공간의 폐쇄 및 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된 기와(60)와;
    상기 제3받침석(50) 상부에 설치된 기와(60)의 그 상부에는 탑두석(7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를 이용한 납골묘.
  2. 삭제
  3. 삭제
KR1020080009732A 2008-01-30 2008-01-30 기와를 이용한 납골묘 KR100966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732A KR100966348B1 (ko) 2008-01-30 2008-01-30 기와를 이용한 납골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732A KR100966348B1 (ko) 2008-01-30 2008-01-30 기와를 이용한 납골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748A KR20090083748A (ko) 2009-08-04
KR100966348B1 true KR100966348B1 (ko) 2010-06-28

Family

ID=41204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732A KR100966348B1 (ko) 2008-01-30 2008-01-30 기와를 이용한 납골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3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928Y1 (ko) * 1993-07-20 1996-07-18 이홍재 조립식 분골묘탑
KR20020008467A (ko) * 2000-07-20 2002-01-31 윤천석 납골탑
KR20060092484A (ko) * 2005-02-18 2006-08-23 조중근 전통 양식의 황토 납골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928Y1 (ko) * 1993-07-20 1996-07-18 이홍재 조립식 분골묘탑
KR20020008467A (ko) * 2000-07-20 2002-01-31 윤천석 납골탑
KR20060092484A (ko) * 2005-02-18 2006-08-23 조중근 전통 양식의 황토 납골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748A (ko) 2009-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348B1 (ko) 기와를 이용한 납골묘
KR200420148Y1 (ko) 환경친화적 계단식 납골묘
CN205422126U (zh) 升降式墓葬系统
DE202013000776U1 (de) Pflanzgefäß mit integrierter LED-Lichterkette
WO2010074524A3 (ko) 지하 복합 장사 시설
CN202090677U (zh) 电梯碑塔
JP2010101156A (ja) 複層建築物に敷設する立体庭園
KR200392056Y1 (ko) 납골묘
CN204876780U (zh) 家族式组合墓碑
CN205370082U (zh) 一种自然山体隧道式非字形骨灰陵园
KR200356617Y1 (ko) 가옥형 납골묘
KR200383820Y1 (ko) 환경친화적 계단식 납골묘
KR200356530Y1 (ko) 조립식 가족용 다기 납골당
CN202090679U (zh) 陵园碑塔
JP3141665U (ja) 納骨容器兼用の花笠墓
CN209670448U (zh) 一种国画式卧碑景观葬
CN109380015A (zh) 一种简易构造的生态植物外墙
CN201420416Y (zh) 家族式组合墓碑
KR200408604Y1 (ko) 봉분식 납골묘
KR200356531Y1 (ko) 조립식 부부용 다기 납골당
CN201106305Y (zh) 多层生态陵园
CN1226520C (zh) 塔式公墓
CN118049089A (zh) 墓洞建筑
WO2016060121A1 (ja)
KR20130046825A (ko) 적층식 매장묘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