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146Y1 - 납골함 - Google Patents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146Y1
KR200395146Y1 KR20-2005-0017692U KR20050017692U KR200395146Y1 KR 200395146 Y1 KR200395146 Y1 KR 200395146Y1 KR 20050017692 U KR20050017692 U KR 20050017692U KR 200395146 Y1 KR200395146 Y1 KR 200395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pace
ashes
ossuary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6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지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지상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지상사
Priority to KR20-2005-00176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1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1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인의 화장된 유골을 담아 보관하기 위한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유골보호벽을 이중 원형으로 밑까지 파서 별도의 유골함을 두지않고 유골을 담는 내부공간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내부공간부를 형성하는 내부유골보호벽과 외벽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공간부에 참숯을 채워넣고, 외벽의 소정위치에 신선한 공기의 통기를 위한 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골이 채워진 내부공간부의 개구부를 덮는 내부뚜껑 밑쪽에도 유골에 청정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소정위치에 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뚜겅의 중앙손잡이의 주위를 최대한 깊이 파여진 공간을 두어 참숯이 채워지며, 외부뚜껑에는 내측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납골함의 내부쪽으로 청정한 공기가 항상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제작하여된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납골함{An ossuary for placing a person's ashes to rest}
본 고안은 고인의 화장된 유골을 담아 보관하기 위한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유골보호벽을 이중 원형으로 밑까지 파서 별도의 유골함을 두지않고 유골을 담는 내부공간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내부공간부를 형성하는 내부유골보호벽과 외벽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공간부에 참숯을 채워넣고, 외벽의 소정위치에 신선한 공기의 통기를 위한 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골이 채워진 내부공간부의 개구부를 덮는 내부뚜껑 밑쪽에도 유골에 청정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소정위치에 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뚜겅의 중앙손잡이의 주위를 최대한 깊이 파여진 공간을 두어 참숯이 채워지며, 외부뚜껑에는 내측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납골함의 내부쪽으로 청정한 공기가 항상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어 통기 및 자동습도조절로 유골의 변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제작하여된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장묘문화는 매장보다 화장을 장려하는 추세로, 이는 고인의 유골이나 분골을 납골함에 넣어, 납골당 및 납골묘에 안치하며, 상기 납골함은 유골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고, 냄새 발생의 방지 및 발생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항온, 항습, 항곰팡이, 항균, 방충, 통풍, 탈취 기능이 있어야 하며, 내구성이 좋고, 불연성으로 제작되어, 안치 기간에 구애받지 않고, 화재 및 재난에 의한 소실이 없도록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일반적인 납골함으로는, 자연석류 납골함, 금속류 납골함 및 도자기류 납골함 등이 있으며, 자연석류 납골함 및 금속류 납골함은 내·외부의 통풍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납골함 내·외부의 온도차가 생기고 이는 결국 납골함 내부에 습기를 발생시켜(결로 현상) 유골의 부패와 냄새를 발생하고, 이에 따라 납골당 내에 불쾌한 냄새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366063호에 종래의 납골함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개량하여 된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 상기와 같은 선행자료의 납골함은 유골을 보관하는 유골보관공이 형성되어 있는 속이 빈 원기둥형태로 된 것을 내부함으로 하고, 상기 내부함을 보호하기 위한 외부함으로 이루어져 있어 그 사용이 불편하고, 납골함의 정리시 매번 내부함을 들었다 너었다를 수차례 반복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수명이 길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내부에 봉안되어 있는 유골이 외부공기와의 접촉에 의하여 변질되는 문제 또한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외부 충격에 의하여 넘어지거나, 내부함이 외부함과의 충돌로 인하여 내부함이 파손되어 유골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저면부가 상대적으로 상부면보다 넓어 안정적이고, 내부의 유골함을 형성하기 위하여 안쪽의 유골보호벽을 이중원형으로 밑쪽까지 파서 유골함을 납골함의 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내벽과 외벽사이에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여 제작 후 상기 공간부에 참나무숯과 같은 충진재를 채워넣어 습기제거, 냄새제거, 유골의 변질방지 및 기타 유해작용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안정적이며, 공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통기구멍이 외벽 및 내부뚜껑 밑쪽에 형성시켜 청정한 공기가 항상 원활히 순환될 수 있도록 제작한 납골함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 본 고안은 저면과 상부면이 정사각형으로 되며, 저면에 비해 상부면이 상대적을 면적이 적은 사각탑 모양으로 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개구를 덮는 외부뚜껑으로 구성하되, 상기 본체부는 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유골을 담는 내부공간부를 형성하는 내벽과 상기 내벽과 일정간격져 있는 외벽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에 소정 간격의 공간부가 형성되게되고, 상기 내벽이 외벽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며, 상기 내벽의 개구를 덮는 한지와 내부뚜껑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외벽에는 내부로의 청정한 공기의 통기를 위하여 소정 위치에 다수개의 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뚜껑의 손잡이 주위를 최대한 깊은 공간을 형성하도록 골부를 형성한 후, 상기 내벽과 외벽사이의 공간부에 습기제거, 냄새제거, 유골색깔변질제거 및 기타 유해작용을 차단할 수 있는 참나무숯과 같은 충진재로 채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의 외부뚜겅을 덮지 않은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의 A-A'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르는 납골함(100)은 첨부도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본체부(10)와 외부뚜껑(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저면(40)과 상부면(41)이 정사각형으로 되며, 저면(40)에 비해 상부면(41)이 상대적으로 면적이 적은 사각탑 모양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100)의 구조를 살펴보면,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에 도신된 바와 같이 본체부(10) 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유골을 담는 내부공간부(11)를 형성하는 내벽(12)과 상기 내벽(12)과 일정간격져 있는 외벽(13)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되며, 상기 내벽(12)과 외벽(13) 사이에 소정 간격의 공간부(14)가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내벽(12)은 외벽(13)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며, 상기 내벽(12)의 개구를 덮는 한지(15)와 내부뚜껑(16)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외벽(13)에는 내부로의 청정한 공기의 통기를 위하여 소정 위치에 다수개의 통기구멍(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뚜껑(16)의 손잡이 주위를 최대한 깊은 공간을 두도록 골부(30)를 형성하여 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내벽(12)과 외벽(13)사이의 공간부(14)에는 소정의 크기로 된 충진재(31)를 채워 넣어 습기제거, 냄새제거, 유골색깔변질방지 및 기타 유해작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충진재(31)는 참나무숯을 사용하는게 되어 있으며, 너무 크거나 아주 미세한 가루로 갈아서 사용할 경우 일반적인 유해작용의 차단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특히 가로로 만들어 사용할 경우 내부로의 청정한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외부뚜껑(20)은 내부에 내부뚜껑(16)과의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최대한 깊게 파서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공기순환기능을 확대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의 납골함은 유골을 내부공간부에 봉안하고 내부뚜껑을 닫기전에 한지로 먼저 봉하고, 다음으로 내부뚜껑을 한지위에 덮어 봉안한 다음 내벽과 외벽상이의 공간부와 내뿌뚜껑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주변에 깊게 패인 공간에 충진재로 참나무숯을 채워 넣고, 상부면을 형성하는 외부뚜껑을 덮은 후, 납골당에 안치하여 사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본 고안에 따르는 납골함은 종래의 납골함과는 달리 유골함을 형성하는 내벽이 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게되어 외부충격에도 파손되거나 하는 문제가 없게 된다. 또한, 저면이 상면보다 넒어서 안치시 지진 또는 기타 재해에 안전성이 높으며 종래의 납골함에 비해 1~3배의 중량이 있어 안전도가 더욱 높으며, 충진재로 참나무 숯을 사용하므로써 숯이 가지는 고유 특성인 습기제거, 냄세제거가 탁월하고, 한지를 사용함으로써 숯과 한지의 공통작용에 의해 유골의 색깔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여주게 된다. 특히 한지의 경우 내부뚜껑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구멍으로 기타의 이물질이 유골과 섞이는 것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는 납골함은 화강암석과 같은 옥석을 사각탑형태로 가공한 후, 상기 가공된 석재를 면적이 넓은 곳을 저면으로 하여, 저면에 수직이 되도록 상부면에 수직을 내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원통형의 내부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홈가공을 하고, 홈가공 후 내벽을 형성시키기 위한 홈가공을 하여 유골을 봉안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내벽을 형성시켜 외벽과의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공간부를 형성시켜 제조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납골함은 밑면이 넓고, 종래의 납골함에 비하여 중량감이 있어 지진과 같은 재해에 안전도가 높으며, 충진재로 참나무숯을 적당한 크기로 바수어 사용하므로 청정한 공기가 내부로 원활하게 순환되게 되며, 습기제거, 냄새제거, 유골색깔변질방지 및 기타 유해작용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골 봉안 후 내부뚜껑을 닫기전 한지를 봉하고 내부뚜껑을 닫으므로 후에 뚜껑만을 연 상태에서 유골의 변질여부를 쉽게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의 외부뚜겅을 덮지 않은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의 A-A'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본체부 11: 내부공간부
12: 내벽 13: 외벽
14: 공간부 15: 한지
16: 내부뚜껑 17: 통기구멍
20: 외부뚜껑 30: 공간
31: 충진재 32: 골부
40: 저면 41: 상부면
100: 납골함

Claims (2)

  1. 저면(40)과 상부면(41)이 정사각형으로 되며, 저면에 비해 상부면이 상대적을 면적이 적은 사각탑 모양으로 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의 개구를 덮는 외부뚜껑(20)으로 구성하되,
    상기 본체부는 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유골을 담는 내부공간부(11)를 형성하는 내벽(12)과 상기 내벽과 일정간격져 있는 외벽(13)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내벽(12)과 외벽(13) 사이에 소정 간격의 공간부(14)가 형성되게되고, 상기 내벽(12)이 외벽(13)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며, 상기 내벽(12)의 개구를 덮는 한지(15)와 내부뚜껑(16)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외벽(13)에는 내부로의 청정한 공기의 통기를 위하여 소정 위치에 다수개의 통기구멍(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뚜껑(16)의 손잡이 주위를 최대한 깊은 공간을 형성하도록 골부(30)를 형성한 후, 상기 내벽(12)과 외벽(13)사이의 공간부(14)에 습기제거, 냄새제거, 유골색깔변질제거 및 기타 유해작용을 차단할 수 있는 충진재(31)가 채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가 참나무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KR20-2005-0017692U 2005-06-20 2005-06-20 납골함 KR200395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692U KR200395146Y1 (ko) 2005-06-20 2005-06-20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692U KR200395146Y1 (ko) 2005-06-20 2005-06-20 납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146Y1 true KR200395146Y1 (ko) 2005-09-07

Family

ID=4369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692U KR200395146Y1 (ko) 2005-06-20 2005-06-20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1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132B1 (ko) 2007-03-08 2008-11-10 강성택 환경 친화적 적층식 납골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132B1 (ko) 2007-03-08 2008-11-10 강성택 환경 친화적 적층식 납골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5146Y1 (ko) 납골함
KR20120101960A (ko) 가족 납골함
KR200418291Y1 (ko) 납골함
KR200337594Y1 (ko) 납골함
KR200399690Y1 (ko)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KR200173781Y1 (ko) 유골함
KR200429899Y1 (ko) 납골단지
KR200211374Y1 (ko) 제오라이트 납골함
KR100761485B1 (ko) 결로 방지구조를 갖는 평장형 봉안묘
KR200277152Y1 (ko) 이중 숯층을 가지는 유골함
KR200312500Y1 (ko) 납골함
KR200427581Y1 (ko) 숨 쉬는 두 겹 덮개 납골함
JP3616149B2 (ja) 揮散容器
KR20080000626U (ko) 황토석을 이용한 유골함
KR200256261Y1 (ko) 유골함
KR200301215Y1 (ko) 납골함
KR200301223Y1 (ko) 통기홀을 갖는 이중 유골함
JP3067864U (ja) 墓における納骨室構造
KR200386000Y1 (ko) 통기공을 형성한 도자기 납골함
KR200348563Y1 (ko) 유골함
KR100558831B1 (ko)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
KR20040035355A (ko) 납골함
KR200290464Y1 (ko) 유골함
KR200246450Y1 (ko) 공기 순환 및 방부 기능을 지닌 납골단지
KR200397432Y1 (ko) 납골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