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069Y1 - 결로 방지재가 내장된 이중벽 유골함 - Google Patents

결로 방지재가 내장된 이중벽 유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069Y1
KR200281069Y1 KR2020020006087U KR20020006087U KR200281069Y1 KR 200281069 Y1 KR200281069 Y1 KR 200281069Y1 KR 2020020006087 U KR2020020006087 U KR 2020020006087U KR 20020006087 U KR20020006087 U KR 20020006087U KR 200281069 Y1 KR200281069 Y1 KR 200281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es
box
condensation
wall
out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0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수
Original Assignee
김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수 filed Critical 김옥수
Priority to KR20200200060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0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069Y1/ko

Link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골이 위치하는 유골함에 결로 방지제를 내장하여 습기제거와 공기정화기능을 통한 유골의 변질과 악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결로 방지재가 구비된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원석에 이중벽이 형성되도록 벽의 중앙부를 절취 가공한 공간부(23)와, 덮개 상면에 결로 방지재(31)가 충진될 수 있도록 벽의 높이를 낮게한 내부함(10)과, 상기 내부함(10)보다 그 높이를 높게하는 외부함(20)과, 상기 내·외부함(10,20)의 바닥면(12,22)과 공간부(31)에 내장되는 결로 방지재(31)와, 상기 내·외부함(10,20)을 도포재로 밀폐시켜 덮는 내·외부함 덮개(11,22)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내부함과 외부함을 일체로 형성한 유골함에 결로 방지재를 내장하여 습기제거와 공기정화기능을 통한 유골의 변질과 악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결로 방지재가 내장된 이중벽 유골함{THE REMAINS OF THE DEAD BOX WITH DOUBLE WELL CONTAIN ANTI-DEW DROPS}
본 고안은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골함을 이중벽으로 하되 이를 별개의 함체로 하지 않고 하나의 원석으로 내부를 절취 가공하여 유골이 내장 되도록 하고, 또한 벽의 중앙부를 절취 가공하여 공간부를 내어 이중벽으로 형성한뒤 상기 벽의 공간부와 유골하부 및 내부함 뚜껑 상부에 결로 방지재를 내장 시킴으로서 습기제거와 공기정화기능을 통한 유골의 변질과 악취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는 결로 방지재가 구비된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널리 행해지고 있는 장례문화는 시신을 관에 넣고 봉분을 세우는 매장의 형태와 시신을 화장하여 생긴 유골을 유골함에 담아 납골당에 안치하는 화장의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매장의 형태는 많은 분묘 용지를 필요로 함에 따라 국토의 이용효율을 낮추고 산림의 회손을 가져오며, 경제적으로도 많은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좁은 용지에 개인 또는 가족들의 유골을 유골함에 담아 납골당에 안치시키는 화장형태의 장례문화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최근 이러한 경향에 따라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유골함은 상부가 개방되어 유골이 위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밀폐시키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유골함은 상기 본체에 유골을 내장하여 뚜껑을 닫고 납골당에 안치시켜 사용하고 있으나, 단순히 유골을 보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납골당 내의 주변습도에 따라 유골이 변질되어 악취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유골을 담은 별개의 용기로 된 내부함체를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별개의 외부함체속에 넣어 이중함체로 형성하고, 상기 내부함체와 외부함체 사이의 공간부에 방습·방취 성분을 갖는 보조부재를 채우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유골함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골함은 내부함체를 외부함체에 내장시키기 위해서 결로 방지재를 바닥면으로 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균일하게 도포하여야 하고, 내부함체를 외부함체에 내장시킨 뒤에도 결로 방지재가 공간부에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눈대중으로나 별도의 측정도구를 이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외부함체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방습·방취재를 충진하더라도 공기나 습기가 지속적으로 침투되어 시간이 흐를수록 오히려 조기에 유골이 변질되거나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뚜껑이 구비되어 용기에 유골이 내장된 유골함을 결로 방지제가 구비된 본체에 내장하여 습기제거와 공기정화기능을 통한 유골의 변질과 악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결로 방지재가 구비된 유골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유골을 담은 함이 내장될 수 있도록 하나의 원석 중앙내부를 절취 가공시키고, 벽의 중앙부를 절취 가공하여 공간부를 내어 내·외벽인 이중벽으로 형성한뒤 상기 공간부에 결로 방지재를 채우고, 상기 공간부는 물론 내부함 덮개 상부와 외부함 덮개 하부 공간에도 결로 방지재를 충진시키며, 내부함 바닥면에도 결로 방지재가 삽입되고 통기성이 좋은 우두륨재질의 주머니를 내장시켜 그 주머니 위에 유골을 담은 함을 안치시킨뒤 내부함과 외부함 덮개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닫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1 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2 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내부함 11 : 내부함 덮개
20 : 외부함 21 : 외부함 덮개
23 : 공간부 30 : 본체
31 : 결로 방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1 과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원석에 이중벽이 형성되도록 벽의 중앙부를 절취 가공한 공간부(23)와, 덮개 상면에 결로 방지재(31)가 충진될 수 있도록 벽의 높이를 낮게한 내부함(10)과, 상기 내부함(10)보다 그 높이를 높게하는 외부함(20)과, 상기 내·외부함(10,20)의 바닥면(12,22)과 공간부(31)에 내장되는 결로 방지재(31)와, 상기 내·외부함(10,20)을 도포재로 밀폐시켜 덮는 내·외부함 덮개(11,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30) 및 내부함덮개(11)와 외부함덮개(22)는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경도가 좋고 공극율이나 투수율이 적은 대리석이나 화강석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재료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본체(30) 및 내부함덮개(11)와 외부함덮개(22)는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에 미려함을 주기위해서 원통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사각형 이나 육각형등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30)는 상단부가 개방되어 내부함(10)과 외부함(20)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내부함(10)의 벽높이는 외부함(20)보다 수직길이를 낮게 하는데 그 이유는 내부함덮개(11)를 덮고 그 위에 결로 방지재(31)를 충진시킨뒤 그 상부에 외부함덮개(21)를 다시 덮기 위한 것이다.
또한, 내부함(10)과 외부함(20) 사이에는 결로 방지재(31)가 채워지는 공간부(22)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22)은 내부함의 바닥면(12)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길이까지 절취시키며 공간부(31)의 폭은 외벽 또는 내벽 두께와 동일하거나 약간 차이를 두어 절취 가공한다.
상기 내부함(10)에는 절개부(32a)를 구비하는 주머니(32)에 상기 결로 방지재(31)를 삽입하여 내부함(10) 바닥면(12)에 내장하고, 상기 주머니(32) 상면에 유골함(1)이 위치 하도록 평평한 면을 형성한다.
상기 주머니(32)는 통기성이 우수한 나무재의 시트로 이루어진 것으로 주머니(32)에 삽입되는 결로 방지재(31)를 보호하여 유골함(1)과 혼합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주머니(32)의 통기성으로 인하여 결로 방지재(31)의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게 한다.상기 결로방지재(31)를 감싸는 주머니(32)는 나무재의 시트를 가공한 것으로 외형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우드륨과 같은 형상을 갖게 되나 합성수지재는 아니며, 나무재의 시트로 이루어져 내부의 결로방지재(31)가 통기성 및 결로방지를 높일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결로 방지재(31)는 다공성으로 인한 습도조절 및 방부작용 효과와, 음이온을 공급하여 탈취작용으로 공기를 정화시키는 작용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숯을 사용한다.
상기 내부함덮개(11)와 외부함덮개(22)는 상기 내부함(10)과 외부함(20) 형상에 대응되는 판상으로 상기 내부함 바닥면(22)에 주머니(32)가 위치하고 그 위에 유골함(1)이 위치하면 내부함(10) 상단부(13)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내부함덮개(11)를 닫고, 상기 공간부(23)와 내부함 덮개(11) 위에 결로 방지재(31)가 채워지면 외부와 밀폐되도록 상기 외부함(20) 상단부(24)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외부함 덮개(21)를 닫는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별도로 이루어진 함체 대신에 하나의 원석을 절취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된 내부함(10)과 외부함(20) 사이에 공간부(23)를 형성하여 결로 방지재(31)가 일정한 두께로 채워져 본체(30)에 유입되는 습기를 일차적으로 조절하고, 내부함(10)에 내장된 결로 방지재(31)의 기능으로 내부함(10)에 유입되는 습기를 이차적으로 조절하며, 뚜껑이 구비되어 유골이 용기에 내장되는 유골함(1)에 의해서 삼차로 습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게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고안은 내부함과 외부함을 일체로 형성한 본체의 공간부에 결로 방지재를 내장하여 습기제거와 공기정화기능을 통한 유골의 변질과 악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내부함체를 외부함체에 내장시키기 전·후에도 결로 방지재가 내부함과 공간부에 균일하게 도포되어 별도의 측정기기가 필요하지 않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하나의 원석에 이중벽이 형성되도록 벽의 중앙부를 절취 가공한 공간부(23)와,
    덮개 상면에 결로 방지재(31)가 충진될 수 있도록 벽의 높이를 낮게한 내부함(10)과,
    상기 내부함(10)보다 그 높이를 높게하는 외부함(20)과,
    상기 내·외부함(10,20))의 바닥면(12,22)과 공간부(31)에 내장되는 결로 방지재(31)와,
    상기 내·외부함을 도포재로 밀폐시켜 덮는 내·외부함 덮개(11,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재가 내장된 이중벽 유골함.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함(10) 바닥면(12)에 안치되는 결로방지재(31)는 통기성을 갖는 나무시트로 이루어진 주머니(32)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재가 내장된 이중벽 유골함.
KR2020020006087U 2002-02-28 2002-02-28 결로 방지재가 내장된 이중벽 유골함 KR200281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087U KR200281069Y1 (ko) 2002-02-28 2002-02-28 결로 방지재가 내장된 이중벽 유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087U KR200281069Y1 (ko) 2002-02-28 2002-02-28 결로 방지재가 내장된 이중벽 유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069Y1 true KR200281069Y1 (ko) 2002-07-13

Family

ID=7311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087U KR200281069Y1 (ko) 2002-02-28 2002-02-28 결로 방지재가 내장된 이중벽 유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0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970B1 (ko) * 2021-10-06 2022-02-08 (주)에스에이치산업 유골함
KR102355971B1 (ko) * 2021-10-06 2022-02-08 (주)에스에이치산업 유골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970B1 (ko) * 2021-10-06 2022-02-08 (주)에스에이치산업 유골함
KR102355971B1 (ko) * 2021-10-06 2022-02-08 (주)에스에이치산업 유골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6010366D1 (de) Verschlossene Kapsel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insbesondere Espresso
KR101215544B1 (ko) 봉안함
KR200281069Y1 (ko) 결로 방지재가 내장된 이중벽 유골함
KR101255949B1 (ko) 유골부패방지용 진공 구조 납골함
MY144811A (en) Cigarette box and blank set for the same
KR101844504B1 (ko) 납골함
KR20120101960A (ko) 가족 납골함
KR200418291Y1 (ko) 납골함
JP2001152698A (ja) ユニット化された多重引き出し式納骨箱
KR200399690Y1 (ko)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KR20100117466A (ko)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KR20170124902A (ko)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
JPS6128607Y2 (ko)
KR200453415Y1 (ko) 목심칠기 유골함 (木芯漆器遺骨函)
TWM628967U (zh) 防潮骨灰罐
KR200301215Y1 (ko) 납골함
KR200303004Y1 (ko) 활성탄과 석회석을 삽입한 기능성 납골함
KR200173781Y1 (ko) 유골함
KR200389611Y1 (ko) 납골함
KR200380182Y1 (ko) 단지형 유골함
KR100734550B1 (ko)
KR200360020Y1 (ko) 납골단지
KR200329752Y1 (ko) 유해 보관용 납골단지
KR200199348Y1 (ko) 이중납골단지
KR20040035355A (ko) 납골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